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12021 년도설계 실무 지침교통및 기하구조0221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제정2-2하이 패 스 나들목설계 지침 내안내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2-3고속도로교통수 요 예측 내실화 방안안전 하고 편리한 22200)미 래교통 플랫폼 구조업447-1829SS설계 지침 제정(2021.06.23.)1 고속도로 접 근성ㆍ편의성 향상을 위해 하이 패스나들목설치를 확대중에 있으나 해당설계기준 부재로 나 들 목 별설계상이에 따른이용객 혼돈,안전성 저하가 우려 되며 , LAMA 분담 주 체인지 자 체와 기하구조등설계기준 적용 관련 논 란도발생 되고 있어 합리적인 하이 패스나들목설계기준을 제정 하여설계일관성ㆍ안전성 확보, 나들목 설치 효율성을 향 코자 상 함에 추진경위 x으 [] 2010~2012 : 하이 패 스 10 시범 운영 계획수립ㆍ개통 (통도사, 양촌)«41.12SHA개통( 진입), '12.7양촌동 [] 2012.08 :「고속도로1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Wet ASE),제정* 하이 패 10스 사업비 분담 : 영 업시설(도공)비H [ㅣ 2015.01 :「고속도로1ㅇ'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 관한지침(국 토 부 』 개정* 하이 패 |스 활 성 화를 위해 사업비 분 담 조건 변경및 본선 직접 연결 시 8/0)1 조건 추가- 휴게소, 버 정류장스등 연결 :도공 50%, 지자체 50%- 본선 직접 연결 : 영 업 설시 비(도 공), 보상비(지자체), 그 외(50%씩) 디 2020.12 : 『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 작성및 외부 전문가 자문 [J 2021. 2 : 『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 』침설계( 기술 심사처)심의 [] 2021. 3 :「고도 속로 10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 관한지침( 국 토 \』 개정무분별한 히이 파 식 6 요구에 따른 사업비 분 담 조건 변경(본선직접 연결 시 6(:)1 조건 변경- 휴게소,버스 정 류장등 연결:도공50%,지자체50%- 본선 직접 연결 : 영 업시설 (도공),비 Oo보상비(지자체), 신규 접속도로(지자체), 그 외(50%씩)*이용대상 : 하이 패스 장착 차량 중 승용차, 버스및 4.5 톤 미만 화 물으로차명확화※ 공용 노선 하이 패 10스 설치 추진 현황('21.3 월 기준)합 계개통공사중설계중비고30 개소14 개소6 개소10 개소Cxsaceny교통및 기하구조 l 57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주요 내용 하 패스이나들목 형식 분류구분BAasa연결로 접형속부대시설 접속형개요본 선에부대시설, 분기점등의 휴게소등 부대시설직접 접속연결로에 접속광장부에 접속고속 국도는=- 개념도1°촉점도로.「점 속로도적용 사례as 101m cae 하 패스이나들목설계기준 자동차적용ㅇ 통 허용과차량-무인 운영 끄으들 목으로 요금 수납,과적ㆍ적재 불량 차량 단속ttlo중승용차,a4려 하여 관련침"에서는지하이 패 스 장착차량버|»및nw적재중량 45톤 미만 화 물 차를이용대상으로 허용 하고있음*「고도속로 10 추가 설치기준및운영등에관한지침(국토 부, '21.3.15)ㅇ설계기준 자동차적용-대형 자동차(45 톤 미만 화 물 차와 세 미 트 레일러 간시설물규모차이'가거의없으므로,향후 전 차종 운 행(스 트마 톨링Co=입등) 상 황 까지 감안하여 " 세 미 트 레일러 "를설계기준 자동차로 적용차로 확폭부(0.25~1.00) 포장 두께 다소 증대.ZR소형대형세미TEase ㅣ 자동차 ㅣ 자동차 ㅣ 트레일러 | " 꾸설계기준자동차 적용©Cxssceay연결로 기하구조 적용기준ㅇ설계속도구분본선 접속 형 ㅣ 연결로 접속형 ㅣ 부대시설접속 형| 비고_. | 정 규나들목려사항aA 연결로 | 연결로설계속도 | 광장부 제한속도 GieseSASS BS | (40-60km/h) 고려 ㅣ (300/14 고려ZVA : 50 km/h설제표준$25:40 km/h40 km/h’fayh속도 | 지형및적용 | 접속도로 |40~50070/430~50km/h30~40km/h여건고려ㅇ평면및종 선형-분설계속도글비표T30 km/hr40 km/hr50 km/hrlat최소평면 곡선 반지름30m50m80m최대평지7%7%7%종단경사"| 산지등12%11%10%* 지형상황등 필요 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 상 구조 표의 비율에 1 퍼센 트를 더한 값 적용가능본선및 연결로 접속 형Baa aaa”구분표준최소표준최소이비차로폭3.60m3.25m3.25m3.25m최소길어깨 | 좌1.50m0.75m0.95m0.75m =| BABo3.00m1.50m2.00m150m|=6.2m겔 어깨 차로길어깨표준횡단도*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상 위도로 10007)이상 : (지방- 상 위도로 10007 미만 : 6 기준또는 6~ 사업비, 현장 조건등 설치여건이 양호한 경우 본선ㆍ연결로 접속 형과 동일한 횡단 구성적용 구조능Cxssceay교통및 기하구조 ㅣ 599.0] 99) 연결로 내TT H-TT Hae=aeoo]O=또는ee oo) | Br -& ShrTES2느유추브wk부류후 합류TT요추“aWoTTTTSSqa=4s고 7177771"2 22|S"|eSN= |||_|클로 버 형의 루 프에는 적용안 됨BPC)S40- . 보 산신조 | . . , 보 간선조 WARE ASE | ADIE ISce S| ee 집신도로| 00000 60000. | 00008 Ok/h) oyBRAY)oyBRRTrTr 집산로집 산로 |이상미만 |이상:미만 | .S|LES집산로집 산로300240|150120240180)9%50 | 600480 | 480300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신규 제정 ㅣ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연결로 내 “분류 후 합류” 접속단 간의이격 거리 검토- “분류 후 분류” 처럼 주행 경로 판단이 필요한 경우가 아 니 므로 표지판설치를위한최소 간격 정도확보(형식이유사한“합류후합류”참조적용)ETA]구분("합류 후 합류")+B& oe”~접속ㅇ| 꼬잔여접속 단 간의 거리적용60142/18이상 | 24020 | 90m60m90m90m.60km/h#)]¥F|180m | 70m60m50m50mBIS -)합류 후 합 류(도 . 구 . 시)60 ㅣ 교통및 기하구조CXLsaceayㅇ 부대시설내 하 패스이나들목 접속 금 지구간 적용-가ㆍ감속차로 노 즈 부 통과 속 (0500/,도5900/10와 하이 패 스 나들목연결로설계 속 (0007/14)도차를 고려하여 충분한가ㆍ감 속을 위한접속 금지구간 적용=« 7 2K 외 연결로가 추ㅇ 차로 확폭-「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에 따라 확폭 반영※ 표준설계속도ㆍ횡단 구성적용 시 확폭 필요구간(부대시설 접속 형만 해당)aa확폭 량을 고려한추가ay | 속도Sl Ae)(mMSeesala AZISM ㅣ 구조동차 = ga sz)Eel(m) 계확폭===m)65(R(902.500.753.25-부대시설50(R(652.501.003.500.25MASI30km/h |3.25 | 40(R(502.501.253.750.50TS35(R(402.501.504.000.7530(R(352.501.754.251.00ㅇ정지시거 확보-『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및 해설』에서 제시된 정지시거가 확보 되지 않는 구간은 선형 조정, 길어깨 확폭등 반영※표준 횡단 구성적용 시 장 애 물로 인한 정지시거 부 족 구간 일방향 연결 (1로 차로)](현재 국 토교통부에서 정지시거 기준 개정 중에 있어 개정 완료 시에는 그에 따라 재 산정 필요이age ㅣ 부대시설구분본선 접속 형Aasmae ㅣ 미그번ㄱoS번ㄱoSHEAAS(km/h)50404030최소정지시거 (0)55404030정지시거곡선부 내측이 =미 확보 구간좌측인경우R(115m | R(6im |R(6imR(3Om자로( 장 애 물이 ㅣ 곡선부 내 측이 __--바여있는 경우)우 측인 경우(R(88m)"“Fe* 우측길어깨 폭 257 적용 시 #(8820-ㄱ안정지시거 부족(길어깨 폭 3.07 적용 시에는 만족)Cxsaceny교통및 기하구조 ㅣ 61ㅇ 회 차시설 설치기준-(진입부) 제한 차량 진입방지를 위해반드시설치- (진출부) 현장여건, 교통안전성, 관련 부서의견※ 회 차시설 설치 형식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NXmzIzz=z=테이퍼가속 차로‘L=20 . Om)L=40.0m접속도로0가속차로테이퍼L=40.0mL=20.0m시 영 업 설비 설치구간 기하구조 적용기준ㅇ 평면및 종단 선형구분영 업 설비 설치구간비고평 면 선형직선 선형(평 면 곡선 반지름 2002이상)종단 경사0.5% ~ 2.0%이하 (3%이하)*「현장수 납 차로를 고려한영업소광장부설계 지 (2019.06,침설계 처)』준용*() : 경제성,지역및지형을 고려하여 부득이한경우ㅇ 횡단 구성영업시설 설치구간Tw5비고차로ay아일랜드폭원3.60m0.25m1.50m~2.00m8.6m7.6m2.0m3.6m3.0m2.0m3.6m2.0m1.5m연결로2.0m1.5m==»1.5m0. 10oF 7(고속 국도 방향) oneoe0. Rpm0840고속 국도 방향) 0.remOFm아일랜드|아일랜드아일랜드아일랜드P.V.C(@50mm)P.V.C(@50mm)설치간 2.00격설치간격 2.00본선및 연결로 접속 형부대시설 접속 형* 현장여건으로 상 구조아일랜드폭적용곤란시관련 부서와 협의 하여 조정가능62|a! 기하기하COXsacesyyd영업소차로수 산정기준ㅇ설계 서비스 수수준-LOS“D”적용- 소규모 나들목으로 대부분등 제약 사항이 많은 점a) 1ㆍ일반적도로설계 서 비I)SE, = MSF; X fcaX f op, * fav * fg여 구조서,.92 :설계서 비 스 수준의 서비스교통량(004)27497? :설계서 비 스 수준 ?에서 최대서비스교통량(6001001)7, : 차단시설영향보정 계수76:영업 설비 유형보정 계수/,, : 중 차량 보정 계수/, : 종단경사 보정 계수자시5A분영랑비 SE | ADAA설 Gs노.zc교 서비스통 량 (92)106 | \/000OP빼경사(aA)이 |le|Uf) | AE 영향1 희 차 단시설 영향2 희m8[peepee연속형 | 비 연속 형| 비 연속 형A | (0.24252 ㅣ 134122B | (0.40aq | aq | 420 | 223203C | (0.57 0.9108 | 0.8296 |0.7692| 0.409% | 1.00 | 1.00 | 552 | 318290D | (0.74(AER) | (AMER) |777 ㅣ 44377E | (1.001,050 | 559509* 하이 패스차로통과 속도 3007/0시용량 150000070를 기준으로보정 계수 적용* 상 구조서비스 교통량은 예 시로 중 차량및및oot종단 경사 보정 계수 최대 값을 적용 하여 신 정 히였음- 차로수 산정v=False- PDDHV _ 서비스 교통량OOK.여 구조서ㅅㅠ ㅋ = 소요 차로수72727 = 첨 두설계시간 교통량 (0040SF =설계 서 비 스 수준 :의 서비스 교통량(0604)Cxssceay통및 기하구조 ㅣ 63Qty SA]Ft (a4)41)위치QD 00place name16608061000080608060000000000|1km민000 0006500m비이전방00하이 패 스전| ay500m200m전방 전방복주식~~(ore) oo150mplace name|element「100m전방비이모재비이마가겨서전방하이해 패 스 전용미미 = 스 구조 진입호(002.0000000006Hi-pass OnlyHi-pass Only교차로0020002)바나CeOEsareeSOO setae =4.5ton이 Wz 교차로EB하이 패스전용place nameosCT Eee’] aeOY Zl ol]르SOO setae및 기하기하Cxssceayㅇ『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 』침책자발간및 배부 E68)적용기준ㅇ설계 중인 노선 : 본 방침적용ㅇ공사중및 공용 중인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공사주관 (시행)부서에서적용 여부 판단후 시행COX2 ㅋ ㄷ == 시교통및 기하구조 ㅣ 65812021 년도설계 실무 지침교통및 기하구조0221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제정2-2하이 패 스 나들목설계 지침 내안내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2-3고속도로교통수 요 예측 내실화 방안안전 하고 편리한 22200)미 래교통 플랫폼 구조업447-1829SS설계 지침 제정(2021.06.23.)1 고속도로 접 근성ㆍ편의성 향상을 위해 하이 패스나들목설치를 확대중에 있으나 해당설계기준 부재로 나 들 목 별설계상이에 따른이용객 혼돈,안전성 저하가 우려 되며 , LAMA 분담 주 체인지 자 체와 기하구조등설계기준 적용 관련 논 란도발생 되고 있어 합리적인 하이 패스나들목설계기준을 제정 하여설계일관성ㆍ안전성 확보, 나들목 설치 효율성을 향 코자 상 함에 추진경위 x으 [] 2010~2012 : 하이 패 스 10 시범 운영 계획수립ㆍ개통 (통도사, 양촌)«41.12SHA개통( 진입), '12.7양촌동 [] 2012.08 :「고속도로1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Wet ASE),제정* 하이 패 10스 사업비 분담 : 영 업시설(도공)비H [ㅣ 2015.01 :「고속도로1ㅇ'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 관한지침(국 토 부 』 개정* 하이 패 |스 활 성 화를 위해 사업비 분 담 조건 변경및 본선 직접 연결 시 8/0)1 조건 추가- 휴게소, 버 정류장스등 연결 :도공 50%, 지자체 50%- 본선 직접 연결 : 영 업 설시 비(도 공), 보상비(지자체), 그 외(50%씩) 디 2020.12 : 『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 작성및 외부 전문가 자문 [J 2021. 2 : 『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 』침설계( 기술 심사처)심의 [] 2021. 3 :「고도 속로 10 추가 설치기준및 운영등에 관한지침( 국 토 \』 개정무분별한 히이 파 식 6 요구에 따른 사업비 분 담 조건 변경(본선직접 연결 시 6(:)1 조건 변경- 휴게소,버스 정 류장등 연결:도공50%,지자체50%- 본선 직접 연결 : 영 업시설 (도공),비 Oo보상비(지자체), 신규 접속도로(지자체), 그 외(50%씩)*이용대상 : 하이 패스 장착 차량 중 승용차, 버스및 4.5 톤 미만 화 물으로차명확화※ 공용 노선 하이 패 10스 설치 추진 현황('21.3 월 기준)합 계개통공사중설계중비고30 개소14 개소6 개소10 개소Cxsaceny교통및 기하구조 l 57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침 주요 내용 하 패스이나들목 형식 분류구분BAasa연결로 접형속부대시설 접속형개요본 선에부대시설, 분기점등의 휴게소등 부대시설직접 접속연결로에 접속광장부에 접속고속 국도는=- 개념도1°촉점도로.「점 속로도적용 사례as 101m cae 하 패스이나들목설계기준 자동차적용ㅇ 통 허용과차량-무인 운영 끄으들 목으로 요금 수납,과적ㆍ적재 불량 차량 단속ttlo중승용차,a4려 하여 관련침"에서는지하이 패 스 장착차량버|»및nw적재중량 45톤 미만 화 물 차를이용대상으로 허용 하고있음*「고도속로 10 추가 설치기준및운영등에관한지침(국토 부, '21.3.15)ㅇ설계기준 자동차적용-대형 자동차(45 톤 미만 화 물 차와 세 미 트 레일러 간시설물규모차이'가거의없으므로,향후 전 차종 운 행(스 트마 톨링Co=입등) 상 황 까지 감안하여 " 세 미 트 레일러 "를설계기준 자동차로 적용차로 확폭부(0.25~1.00) 포장 두께 다소 증대.ZR소형대형세미TEase ㅣ 자동차 ㅣ 자동차 ㅣ 트레일러 | " 꾸설계기준자동차 적용©Cxssceay연결로 기하구조 적용기준ㅇ설계속도구분본선 접속 형 ㅣ 연결로 접속형 ㅣ 부대시설접속 형| 비고_. | 정 규나들목려사항aA 연결로 | 연결로설계속도 | 광장부 제한속도 GieseSASS BS | (40-60km/h) 고려 ㅣ (300/14 고려ZVA : 50 km/h설제표준$25:40 km/h40 km/h’fayh속도 | 지형및적용 | 접속도로 |40~50070/430~50km/h30~40km/h여건고려ㅇ평면및종 선형-분설계속도글비표T30 km/hr40 km/hr50 km/hrlat최소평면 곡선 반지름30m50m80m최대평지7%7%7%종단경사"| 산지등12%11%10%* 지형상황등 필요 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 상 구조 표의 비율에 1 퍼센 트를 더한 값 적용가능본선및 연결로 접속 형Baa aaa”구분표준최소표준최소이비차로폭3.60m3.25m3.25m3.25m최소길어깨 | 좌1.50m0.75m0.95m0.75m =| BABo3.00m1.50m2.00m150m|=6.2m겔 어깨 차로길어깨표준횡단도*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상 위도로 10007)이상 : (지방- 상 위도로 10007 미만 : 6 기준또는 6~ 사업비, 현장 조건등 설치여건이 양호한 경우 본선ㆍ연결로 접속 형과 동일한 횡단 구성적용 구조능Cxssceay교통및 기하구조 ㅣ 599.0] 99) 연결로 내TT H-TT Hae=aeoo]O=또는ee oo) | Br -& ShrTES2느유추브wk부류후 합류TT요추“aWoTTTTSSqa=4s고 7177771"2 22|S"|eSN= |||_|클로 버 형의 루 프에는 적용안 됨BPC)S40- . 보 산신조 | . . , 보 간선조 WARE ASE | ADIE ISce S| ee 집신도로| 00000 60000. | 00008 Ok/h) oyBRAY)oyBRRTrTr 집산로집 산로 |이상미만 |이상:미만 | .S|LES집산로집 산로300240|150120240180)9%50 | 600480 | 480300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신규 제정 ㅣ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연결로 내 “분류 후 합류” 접속단 간의이격 거리 검토- “분류 후 분류” 처럼 주행 경로 판단이 필요한 경우가 아 니 므로 표지판설치를위한최소 간격 정도확보(형식이유사한“합류후합류”참조적용)ETA]구분("합류 후 합류")+B& oe”~접속ㅇ| 꼬잔여접속 단 간의 거리적용60142/18이상 | 24020 | 90m60m90m90m.60km/h#)]¥F|180m | 70m60m50m50mBIS -)합류 후 합 류(도 . 구 . 시)60 ㅣ 교통및 기하구조CXLsaceayㅇ 부대시설내 하 패스이나들목 접속 금 지구간 적용-가ㆍ감속차로 노 즈 부 통과 속 (0500/,도5900/10와 하이 패 스 나들목연결로설계 속 (0007/14)도차를 고려하여 충분한가ㆍ감 속을 위한접속 금지구간 적용=« 7 2K 외 연결로가 추ㅇ 차로 확폭-「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에 따라 확폭 반영※ 표준설계속도ㆍ횡단 구성적용 시 확폭 필요구간(부대시설 접속 형만 해당)aa확폭 량을 고려한추가ay | 속도Sl Ae)(mMSeesala AZISM ㅣ 구조동차 = ga sz)Eel(m) 계확폭===m)65(R(902.500.753.25-부대시설50(R(652.501.003.500.25MASI30km/h |3.25 | 40(R(502.501.253.750.50TS35(R(402.501.504.000.7530(R(352.501.754.251.00ㅇ정지시거 확보-『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및 해설』에서 제시된 정지시거가 확보 되지 않는 구간은 선형 조정, 길어깨 확폭등 반영※표준 횡단 구성적용 시 장 애 물로 인한 정지시거 부 족 구간 일방향 연결 (1로 차로)](현재 국 토교통부에서 정지시거 기준 개정 중에 있어 개정 완료 시에는 그에 따라 재 산정 필요이age ㅣ 부대시설구분본선 접속 형Aasmae ㅣ 미그번ㄱoS번ㄱoSHEAAS(km/h)50404030최소정지시거 (0)55404030정지시거곡선부 내측이 =미 확보 구간좌측인경우R(115m | R(6im |R(6imR(3Om자로( 장 애 물이 ㅣ 곡선부 내 측이 __--바여있는 경우)우 측인 경우(R(88m)"“Fe* 우측길어깨 폭 257 적용 시 #(8820-ㄱ안정지시거 부족(길어깨 폭 3.07 적용 시에는 만족)Cxsaceny교통및 기하구조 ㅣ 61ㅇ 회 차시설 설치기준-(진입부) 제한 차량 진입방지를 위해반드시설치- (진출부) 현장여건, 교통안전성, 관련 부서의견※ 회 차시설 설치 형식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NXmzIzz=z=테이퍼가속 차로‘L=20 . Om)L=40.0m접속도로0가속차로테이퍼L=40.0mL=20.0m시 영 업 설비 설치구간 기하구조 적용기준ㅇ 평면및 종단 선형구분영 업 설비 설치구간비고평 면 선형직선 선형(평 면 곡선 반지름 2002이상)종단 경사0.5% ~ 2.0%이하 (3%이하)*「현장수 납 차로를 고려한영업소광장부설계 지 (2019.06,침설계 처)』준용*() : 경제성,지역및지형을 고려하여 부득이한경우ㅇ 횡단 구성영업시설 설치구간Tw5비고차로ay아일랜드폭원3.60m0.25m1.50m~2.00m8.6m7.6m2.0m3.6m3.0m2.0m3.6m2.0m1.5m연결로2.0m1.5m==»1.5m0. 10oF 7(고속 국도 방향) oneoe0. Rpm0840고속 국도 방향) 0.remOFm아일랜드|아일랜드아일랜드아일랜드P.V.C(@50mm)P.V.C(@50mm)설치간 2.00격설치간격 2.00본선및 연결로 접속 형부대시설 접속 형* 현장여건으로 상 구조아일랜드폭적용곤란시관련 부서와 협의 하여 조정가능62|a! 기하기하COXsacesyyd영업소차로수 산정기준ㅇ설계 서비스 수수준-LOS“D”적용- 소규모 나들목으로 대부분등 제약 사항이 많은 점a) 1ㆍ일반적도로설계 서 비I)SE, = MSF; X fcaX f op, * fav * fg여 구조서,.92 :설계서 비 스 수준의 서비스교통량(004)27497? :설계서 비 스 수준 ?에서 최대서비스교통량(6001001)7, : 차단시설영향보정 계수76:영업 설비 유형보정 계수/,, : 중 차량 보정 계수/, : 종단경사 보정 계수자시5A분영랑비 SE | ADAA설 Gs노.zc교 서비스통 량 (92)106 | \/000OP빼경사(aA)이 |le|Uf) | AE 영향1 희 차 단시설 영향2 희m8[peepee연속형 | 비 연속 형| 비 연속 형A | (0.24252 ㅣ 134122B | (0.40aq | aq | 420 | 223203C | (0.57 0.9108 | 0.8296 |0.7692| 0.409% | 1.00 | 1.00 | 552 | 318290D | (0.74(AER) | (AMER) |777 ㅣ 44377E | (1.001,050 | 559509* 하이 패스차로통과 속도 3007/0시용량 150000070를 기준으로보정 계수 적용* 상 구조서비스 교통량은 예 시로 중 차량및및oot종단 경사 보정 계수 최대 값을 적용 하여 신 정 히였음- 차로수 산정v=False- PDDHV _ 서비스 교통량OOK.여 구조서ㅅㅠ ㅋ = 소요 차로수72727 = 첨 두설계시간 교통량 (0040SF =설계 서 비 스 수준 :의 서비스 교통량(0604)Cxssceay통및 기하구조 ㅣ 63Qty SA]Ft (a4)41)위치QD 00place name16608061000080608060000000000|1km민000 0006500m비이전방00하이 패 스전| ay500m200m전방 전방복주식~~(ore) oo150mplace name|element「100m전방비이모재비이마가겨서전방하이해 패 스 전용미미 = 스 구조 진입호(002.0000000006Hi-pass OnlyHi-pass Only교차로0020002)바나CeOEsareeSOO setae =4.5ton이 Wz 교차로EB하이 패스전용place nameosCT Eee’] aeOY Zl ol]르SOO setae및 기하기하Cxssceayㅇ『 하이 패스 나들목설계 지 』침책자발간및 배부 E68)적용기준ㅇ설계 중인 노선 : 본 방침적용ㅇ공사중및 공용 중인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공사주관 (시행)부서에서적용 여부 판단후 시행COX2 ㅋ ㄷ == 시교통및 기하구조 ㅣ 65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7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8-1_제설자재창고 설치기준 변경 및 중기 설치계획 file 효선 2025.01.15 245
17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Ⅰ_2022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효선 2025.01.15 1584
17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2년) file 효선 2025.01.15 544
17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5 260
17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1_BIM설계기술 조기 정착을 위한 BIM 설계평가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5 129
17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2_드론 통합측량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2
17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3_공종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항목을 통합한 안전관리 대공종 신설 file 효선 2025.01.15 176
17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4_도로구역 및 지형도면 통합고시 추진(안) file 효선 2025.01.15 148
17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5_설계안정성 검토 업무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6
17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6_고속도로 적정공사기간 확보방안 검토(안) file 효선 2025.01.15 154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1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5 160
17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내 안내 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 file 효선 2025.01.15 129
17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3_고속도로 교통수요예측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21
17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1_고속도로 통로암거 규격개선 file 효선 2025.01.15 213
17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2_깎기 및 쌓기 비탈면 옹벽 상단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91
17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1_말뚝기초 횡방향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56
17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2_스트럿-타이 모델링 개선 등을 통한 교각 코핑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69
17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3_교량 난간 방호벽 절개부위 보강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86
17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4_고속도로 장수명 설계추진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36
17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5_PSC거더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횡만곡 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