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2025.01.15 17:39
터널공 ❙ 273
터널공
62
터널공
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시설처-3999
(2022.12.02.)
1 검 토 배 경
공용중 터널 제트팬 설치시 구조보강을 위한 철골보강재 설치에
따른 공사비 발생 및 장기 고소작업·차단으로 안전사고 우려
케이블프리 제트팬 확산설치의 경제성 추가확보 방안
* 케이블프리 제트팬 확산설치 방안(시설처-1514, 2022.05.12.)
2 관련기준 및 문제점
관련기준
o 제트팬 실하중의 15배 규정으로 최대 21배* 설계반영(붙임1)
※ 공사기준
① 제트팬 설치부 라이닝 철근 최적화 (설계처-2343, 2012.8)
- 제트팬 하중 15배 고려 라이닝 철근보강 범위 최적화(L=9m→4m)
② 콘크리트 라이닝 세부 설계기준 수립 (설계처-2317, 2016.7)
- 무근콘크리트 구간 강도설계법 적용(당초 허용응력설계법)
단면검토 자 중 이완하중 잔류수압 제트팬 하중
Comb. 1 1.4 - - 1.4
Comb. 2 1.2 1.6 1.6 1.2
Comb. 3 1.2 1.2 1.2 1.2
à ① × ② = 15 × 1.2 ~ 1.4 = 18 ~ 21배 적용
※ 해외는 제트팬 실하중(동하중 별도계산)의 1배∼1.5배 적용
문제점
o 기준 충족을 위해 무근콘크리트 라이닝 제트팬 설치부 보강 필요
- 천단부 응력집중 발생으로 구조검토시 설계강도 초과
o 장기 고소작업 및 차단으로 안전사고 우려(보강 12일/터널, 팬 8대 기준)
o 철골보강재 설치비(38백만원/대) 및 차단비(7백만원/대) 발생
안전사고 방지, 소요예산 절감을 위한
라이닝 보강 최소화 방안 발굴 필요
274 ❙ 터널공
3 개선방안 검토
검토내용
보강 최소화를 위한 제트팬 중량과 설치방법 개선의 최적(안) 발굴
제트팬 경량화 : 재하하중 감소를 통한 응력발생 완화
설치방법 개선 : 하중 재하위치 분산으로 응력집중 방지
중량(톤)
1.4
1.0
0.5
개선(라인형) 현행(사각형) 설치방법
제트팬 경량화[초슬림형 제트팬]
o 현행 설치방법으로 구조해석 결과 0.5ton까지 경량화 필요
구 분 팬 중량
(ton)
해석단면
(암반등급 Ⅲ 기준)
응력(kPa)
평가
기준 인장면
현 행 1.4 1,132 2,710 N.G
개 선 0.5 1,132 1,019 O.K
- 전동기 무게만 0.2ton으로 케이싱 등 부품 고려시 제작곤란
- 경량 재질 검토결과 제트팬 적용곤란
구 분 FRP CFRP 티타늄 합금
사 유 강도 확보 곤란 제작공정 복잡 경제성 확보불가
o 안전율을 과다 반영한 기존설계 고려, 경량화 목표중량 1ton 선정
- 기준에 최적화한 규격 개선으로 중량감소 가능
안전율 적용 예시 기 준 실 제 비 고
설치강도 15배 이상 28~44배 안정판, 브라켓
구동 소음측정 95dB 이하 88dB
제작불가
설치불가
목표
터널공 ❙ 275
터널공
설치방법 개선
o 현행 설치방법으로는 제트팬 1ton 경량화에도 보강 필요
o 설계, 제조, 구조 등 전문가 합동회의를 통한 설치방안 발굴
※ 천단부 응력집중 문제 해결을 위한 제트팬 지지위치 개선
· 하중 지지지점 이격 증가로 응력집중 방지 (0.5m 이하 → 2m 이상)
· 횡단면 내 하중 지지지점 감소로 응력발생 완화 (4점 → 2점)
o 개선개요
구 분 현 행(사각형) 개 선(라인형)
라이닝
: 0.25W : 0.25W
제트팬
브라켓
* 적색 박스 : 하중지지용 브라켓 위치
o 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시 설계강도 이내 설치 가능
구 분 팬 중량
(ton)
해석단면
(암반등급 Ⅲ 기준)
응력(kPa)
평가
기준 인장면
현 행 1.0 1,132 1,909 N.G
개 선 1.0 1,132 919 O.K
검토결론
o 경량화를 위한 규격 최적화 및 시제품 제작을 통한 시험검증 추진
o 설치방법 개선방안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적정성 검증 필요
276 ❙ 터널공
4 추 진 내 용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o 시방기준 내 규격 최적화 및 설치방법 개선 대응 형상변경
구 분 당초(슬림형) 개선(초슬림형)
표준도
브라켓*
두께 9t 두께 6t
* 터널 상부 제트팬 부착을 위한 설치 부자재
o 형상 변경에 따른 취약구조부 설계강도 검토(붙임2)
제트팬 모델링 취약부 안전율(기준 15배)
4 3
2
1 ① 설치대 브라켓 : 21배
② 설치대 조립부 : 27배
③ 케이싱 조립부 : 20배
④ 브라켓(인장시험) : 26배
* 50배 이상 인장에도 파단 미발생
현장적용 적정성 검증
o 개선된 설치방법의 구조검토 시행(붙임3)
o 구조검토 결과의 적정성 검증을 위한 기술자문(도교원, 붙임4)
- 검토방법 적정, 현장 적용 시 터널특성 별 재검토 필요
⇨ 터널특성 별 검토결과 및 적용판단 기준 설계자문(기술심사처, 붙임5)
- 안전율 등 검토적정, 자문의견 반영한 판단기준 등 보완 완료
1,220mm 1,000mm 1,220mm
1,000mm 850mm 1,000mm
설치대 추가
터널공 ❙ 277
터널공
제작 및 시험시공
o 시제품 제작(붙임6)
- 규격 최적화를 통한 목표중량 달성(중량 30% 감소, 1.4ton → 1ton)
o 성능시험 시행(붙임7)
- 기존 슬림형 제트팬 대비 주요성능 시방기준* 만족
* 시방에 따른 치수(임펠러 간극 등) 및 성능(풍속, 전압효율, 소음, 진동 등)
o 3차례 시험시공을 통한 시공성 검증(터널 방재인증센터, 붙임8)
초슬림형 제트팬 ‘표준도’ 및 ‘표준시방서’ 제정(붙임9)
o 성능기준은 기존 슬림형 제트팬 유지, 규격기준만 개선 반영
구 분 슬림형 초슬림형 비 고
중 량
본체, 소음기, 전동기 1,200kg 이내 850kg 이내
브라켓, 턴버클, 기타 220kg 이내 150kg 이내
총 중량 1,420kg 이내 1,000kg 이내
총 길이
3,600 이상
~ 3,960 이하
3,400 이상
~ 3,600 이하
* 원가계산을 통한 표준단가(슬림형, 초슬림형) 제작 예정(‘23)
설치기준 수립
o 효율적 설계를 위한 카탈로그형 무보강 적용기준 제시
암반
등급
변형계수
(MPa)
이완하중고*
발파이완하중
Hp m
Terzaghi 이완하중
Hp B
Terzaghi 이완하중
Hp B Ht
Ⅳ
1,000 × × ×
1,500 × × ×
Ⅲ
2,000 △ × ×
2,500 ○ × ×
3,000 ○ △ ×
4,000 ○ ○ ×
5,000 ○ ○ ×
· ○: 보강 불필요, △: 암반조건에 따라 보강 여부 상이, X : 추가 보강 필수
· 변형계수가 더 높은 암반등급(Ⅰ∼Ⅲ)에선 발파이완하중 적용시 보강 불필요
· 이완하중고 : 터널 설계에 따라 상이하므로 터널특성 검토 후 적용
278 ❙ 터널공
5 적 용 방 안
표준 제트팬 변경적용
o ∅1,250 제트팬 표준 변경(슬림형→초슬림형)
o 적용대상
- 공용터널 : 제트팬 신설 또는 교체시 적용
- 신설(설계중)터널 : 방침 시행 이후 즉시 적용
* 공사중 터널(공용 및 신설구간)은 현장여건 검토 후 적용여부 판단
설치방안 2원화 적용
o 터널 특성 검토를 통한 설치방법 선정
터널 특성
구 조 물 주변지반
터널단면 라이닝 현황 암반등급 지보패턴 변형계수
- 검토 흐름도에 따라 라이닝 보강여부 및 설치방법 결정(붙임10)
대상터널 특성
기초자료* 조사
특성 및 무보강
기준 부합 검토 O.K
라이닝 무보강,
라인형 설치
터널특성 N.G 라이닝
안정성 검토
N.G 라이닝 보강,
사각형 설치
무보강 적용기준 N.G
* 기초자료 조사시 검토 체크리스트 활용(붙임11)
o 적용대상
- 공용터널
· 중규모 보완 : 방침 시행 이후 적용
· 노 후 교 체 : 열부력 고려 등 제트팬 증설 필요시 적용
* 공사중 터널은 현장여건 검토 후 적용여부 판단
- 신설터널
· 라이닝 하중 적용기준* 개정 이후 추진 [설계처 협조]
* 제트팬 설치부 라이닝 철근 최적화 방안[설계처-2343(2012.8.23.)]
터널공 ❙ 279
터널공
6 기 대 효 과
보강 최소화를 통한 경제적 제연설비 구축으로 예산절감(붙임12)
o 중규모터널 제연설비 보완대상(50개소) 적용시 163억원 절감
o 연장 4등급 터널(133개소) 제연설비 보완시 247억원 추가절감
터널 제연설비 시공 및 관리여건 향상
o 터널 상부 고소작업 물량 감소에 따라 시공 위험도 개선
o 도로 차단일수 12일 감소로 도로주행 안전성 강화
o 경량화를 통한 라이닝 재하 하중 감소로 구조물 안정성 향상
붙임 1. 국내 및 해외 관련 기준(별첨)
2. 초슬림형 제트팬 설계 보고서(별첨)
3. 라이닝 안정성 검토 보고서(별첨)
4. 기술자문 결과(도로교통연구원)
5. 설계자문 및 결과(기술심사처)(별첨)
6. 초슬림형 제트팬 개발개요(별첨)
7. 초슬림형 제트팬 시험결과 대비표(별첨)
8. 초슬림형 제트팬 시험시공 사진대지(별첨)
9. 초슬림형 제트팬 표준도 및 시방서(별첨)
10. 설치방법 선정 검토 흐름도(별첨)
11. 터널특성 검토 체크리스트(별첨)
12. 예산절감 산출 세부내역(별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