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52 ❙ 포장공

53

포장공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도로처-367

(2022.01.28.)

1 추 진 배 경

 대내 경영환경

o 부채는 ‘20년 31.2조원(82.0%), ‘21년 33.7조원(84.0%)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통행료 수입은 정체 (약 4조원 수준)

o 유지관리연장 증가, 시설물 노후화 등으로 유지관리비 지속 증가

(시설개량 소요예산 연 7.4% 증가) 전망

* 출처 : 2021년∼2025년 한국도로공사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및 2021년 시설

개량 사업계획(기획조정실)

 유지관리 여건분석

o 최근 5개년 유지관리비용은 포장공35% > 교량공28% > 부대공23% >

토공11% 등의 순으로 투자

o 노후포장*은 전년대비 평균 12% 증가하나, 시설개량 중기투자계획

(기획조정실, 2021)은 연 4.2% 증가로 예산 부족문제 가중 예상

* 아스팔트포장(10년 초과), 콘크리트포장(20년 초과)

포장공 ❙ 253

포장공

2 그 간의 노력 및 현 수준

 아스팔트포장 추진경과

구 분 1990~2000년 2000~2010년 2010년 이후

포장형식 밀입도 포장 SMA 포장 개질SMA 포장

파손유형 소성변형 도로파임 박리, 층분리

기술개발 SMA개발(‘95) 도로파임 저감대책(‘08) 품질향상 지속추진

o (SMA도입) 1990년대 이상고온 및 중차량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

및 피로균열 저감을 위해 SMA(Stone Mastic Asphalt) 포장공법 도입*

* 신설공사(2000년), 유지보수공사(2013년) 전면도입

o (개질SMA도입 등) 2000년대 집중호우, 폭설 등 이상기후로 인한 도로

파임이 급증하여 개질SMA도입 등 도로파임 저감대책* 추진

* 배합설계 공극률 강화(1~3%), 다짐도 확보를 위한 다짐에너지 향상,

수분민감성 개선을 위한 혼합물 박리방지제 적용 등

 아스팔트포장 내구수명 수준

건수 건수/1차로km

도로파임 발생현황 내구수명 예측*

* (출처) 포장 장기공용성 관측구간을 활용한 포장공법 효과검증(도교원, ‘17~’19)

ㅇ 기술발전으로 도로파임 획기적으로 감소(1.45→0.2건/1차로․km, 86%↓)

ㅇ 유지보수 재포장공사는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내구수명

12년으로 목표(20년) 대비 50~70% 수준임 * 신설 아스콘 19.3년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연장 추진 필요”

254 ❙ 포장공

3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추진계획

 추진전략

비 전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환경 제공

목 표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을 통한 예산부족 한계 극복

“포장 연간 유지관리비용 25% 절감”

전 략

과 제

설계부터 사후관리까지 생애주기 핵심과제 추진

❶설계개선 ❷공법개선 ❸시공관리 ❹사후관리

TF팀

구 성

운 영 ◦ (구성) 내외부 포장 전문가 30명

◦ (운영) 1차(5월) Kick off Meeting : 33개 아이디어 도출

2차(9월) Meeting : 23건 과제 토론

3차(11월) Meeting : 17건 과제 토론

추 진

방 향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30% 향상(12년 → 16*년)”

*16년(목표수명의 80% 수준)

* 재포장공사 여건 : (장소)교통차단 협소공간, (시간)한정된 작업가능시간,

(기반)열화된 포장체, (인력)관리인원 및 역량부족

포장공 ❙ 255

포장공

 세부 실행 과제 : 4대 분야 17과제

설계부터 사후관리까지 내구수명향상 핵심 포인트 개선

공사설계

개선

(4건)

① 재포장 단면(두께) 설계 절차 개선 도로처

② 이상기후 대비 高등급 바인더 적용 도로처, 구조물처

③ 교통차단 방식 개선 도로처, 구조물처

④ 예방적 유지보수 기법 도입 도로처, 구조물처

보수공법

개선

(6건)

① 토공부 기능성 중간층 개념 도입 추진 도로처

② 교면 방수 품질향상 추진 구조물처

③ 덧씌우기 예정구간 단면보수 공법개선 도로처

④ 기존 포장과 부착력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⑤ 종방향 시공조인트 처리 개선 도로처, 구조물처

⑥ 반사균열 억제를 위한 신공법 적용 도로처

시공관리

강화

(4건)

① 아스팔트 플랜트 관리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② 배합설계 기술향상 도로처, 구조물처

③ 개질바인더 품질관리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④ 시공단계 품질관리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사후관리

강화

(3건)

① 시공사 책임시공 유도 도로처, 구조물처

② 준공 및 하자관리 강화 도로처

③ 소규모 포장메꿈 품질확보 도로처, 구조물처

256 ❙ 포장공

1 재포장공사 설계 개선

1-1 재포장 단면설계(두께산정) 절차 개선 도로처 붙임 #1

 

 현장조사를 통한 재포장 단면두께 결정

o (세부절차)

 개량대상 결정  조사구간 선정  현장조사  단면두께 결정

∙ 사업계획수립으로

개량대상 결정

(포장 불량구간)

∙ 현장조사 단위구간

선정(포장 형식, 파손

유형, 최대 1km 전후)

∙파손 유형별 현장

조사(코어링 등) 실시

※ 붙임 세부요령 참조

∙현장조사 결과를

활용해 포장 형식별

단면두께 결정

o (현장조사) 코어링을 통한 하부 포장 상태확인(붙임자료 참조)

o (시행시기) 원활한 공사 추진을 위해 사업시행 전년도* 설계추진

* 차년도 사업계획 수립(10월) → 재포장공사 단면설계(11~12월)

 콘크리트포장 (절삭)덧씌우기 최소두께 상향

o 밀림방지, 반사균열 저감 등을 위해 최소 10cm 반영

* 밀림방지 및 반사균열 저감 위해 최소 10cm 적용(포장연구실-227, 2020.03.03)

* 리모델링 설계 시 기 적용 중(포장연구실-1409, 2019.11.15)

1-2 이상기후 대비 高등급 바인더 적용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2

 (저온등급 상향) 성능이 우수한 PG 76-28 기본 바인더로 적용

o (사유) PG76-22 대비 가격은 비슷하나 균열저항성 등이 우수함

* (균열저항성) 포장설계법 피로균열 PG76-22 대비 3배 향상

* (탄성회복률) 탄성회복률 PG76-22 대비 21% 향상

* (소성변형 저항성) 동적안정도 PG76-22 대비 10% 향상

※공용성 시험을 통한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 및 품질관리 시험법 개발 연구결과(‘19∼’21)

 (소성변형 예방) 발생위험 구간 PG 82-22(34) 적용추진 추가검토

o (사유) 중교통량 및 정체 발생 구간은 소성변형에 취약

o 교통분석을 통한 중교통량 및 정체* 발생구간 지정․적용 검토

* 미연방도로청(평균속도 20km/h 미만), 우리공사(평균속도 50km/h 미만)

포장공 ❙ 257

포장공

1-3 교통차단 방식 개선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3

 품질확보를 위한 중․장기* 교통차단 등 방식개선 추가검토

* 단기(1일1시간초과), 중기(1일~3일이내), 장기(3일 초과)

o 교통영향 분석으로 중장기 차단 가능구간 검토

- 하이포탈 통합플랫폼상의 통행제한 캘린더 활용하여 분석

※ 교통영향 분석 [고속도로 통행제한관리개선방안(교통처-3019,‘20.7.6.)]

* 통행제한 캘린더에 차단정보 입력하여 정체길이가 3km 이상 예상되거나,

2km이상의 정체가 2시간 이상 예상될 경우는 차단 불가

* (정체비율) 수도권(55%) > 충청(26%) > 경상(12%) > 강원(6%) > 전라(2%)

o 사업계획 수립 시 長구간 포장 집중보수 가능토록 구간선정

- 短구간 1일 차단 작업 → 長구간 중․장기 차단

현 행 개 선

1-4 예방적 유지보수 기법 도입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4

 시험시공을 통한 품질 및 적용기준 정립 추가검토

o (시험시공) 표면처리공법과 Crack sealing 공법 복합 적용

- 품질기준 수립(A그룹), 공법 복합적용 효과검증(B그룹)

구 분 A그룹 B그룹

상 태 2등급(SD 0.3% 이하) 3~4등급(SD 0.3~10%)

적 용

표면강화제(유화)

표면강화제(컷백)

표면강화제(유화) + Crack sealing

표면강화제(컷백) + Crack sealing

o (추적조사) 시공 전 및 직후, 공용 중 6회/2년(~‘23)

* (조사항목) 균열, 미끄럼, 소음, 공극률, AP함량, 복합전단강도 등

o (기준수립) 예방적 유지보수공법 품질기준 및 최적 적용시기 결정

- 생이주기 비용(LCC)를 고려한 최적 적용방안 수립

258 ❙ 포장공

2 재포장공사 보수공법 개선

2-1 토공부 기능성 중간층 개념 도입 추진 도로처 붙임 #5

 토공부 방수층을 기능성 중간층으로 개념 확대 추진 추가검토

o (개념확대) 방수기능 뿐 아니라 하부층 열화에 따른 반사균열 방지,

부착력 증대 등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중간층 개념 도입

o (품질기준) 기능성 중간층 목적*에 맞는 품질기준 정립

* 방수성능, 반사균열 저항, 부착력 증대, 교통 하중지지력 등

o (적용대상) 목적에 따른 기능성 중간층 적용대상 검토

- 방수 필요구간(특수환경노출지역, AAR 등) 재 검토

- 반사균열 우려구간, 부착력 부족구간(비절삭 덧씌우기) 등

2-2 교면 방수 품질향상 추진 구조물처 붙임 #6

 합리적인 방수공법 선정(안) 추가검토

o 방수공법 선정 절차

교량별 평가

기초자료 작성 ⇨

방수공법

선정평가 ⇨

선정결과

설계반영 ⇨ 공사 시행

본부 담당자 평가위원 본부 담당자 시공사(하도급)

* 평가위원 : 기술처장(위원장), 본부·지사 기술직 팀장 등(총 5명이상)

o 선정기준 : 선정 평가표 및 해설서

 품질향상을 위한 공사방법 개선 추가검토

o 교량 연장별 일 시공량 조정 검토 ⇨ 적정 품질관리 유도

(현재) Q=730㎡/일 → (개선) 연장 50m 미만(Q=280㎡/일), 50m 이상(Q=730㎡/일)

o 기존 포장층 절삭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시공 ⇨ 방수재 부착강도 개선

(현재) 15mm비트간격드럼(t=8cm) →(개선) 15mm비트간격드럼(t=7cm) + 8mm비트간격드럼(t=1cm)

o 바닥판 열화부 보수를 위한 장비(모빌믹서) 설계반영 검토

o 정확한 열화부 보수물량 확인을 위한 교량 바닥판 상태평가(GPR) 검증 및 개선

포장공 ❙ 259

포장공

2-3 덧씌우기 예정구간 단면보수 공법 개선 도로처 붙임 #7

 시공성 및 경제성 고려 아스팔트 혼합물 사용

o 사용재료 : 표층(중간층)용 밀입도 혼합물

※ 단, CRCP포장은 철근영향을 고려해 초속경 콘크리트 단면보수재 사용

 콘크리트포장 단면보수 세부 기준

o 균질한 시공품질 및 하부조건 조성을 위해 전폭보수 검토

o 다짐장비 적용을 감안하여 폭 1m 이상 보수

o 다짐도 96% 이상, 배합설계 공극률 4% 이하

o 단면보수 시행 전 택코팅(0.6~0.8ℓ/㎡) 시행(균질하게 시공)

o 다짐밀도 부족한 경계부 수분침투 방지를 위해 상부 씰링 실시

2-4 기존 포장과 부착력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8

 택코팅재 품질관리 강화 추가검토

o 유화아스팔트(택코팅재) PG등급화 하여 성능평가 도입

o 유화아스팔트(택코팅재) 부착력(Binder Bonding Strength) 기준 도입

 유제 동시살포장비 의무사용 및 살포량 확인

o 택코팅유제 동시살포장비 의무사용* 및 적정 살포량 확인 철저

* 동시살포장비 의무사용 조항 계약문서(과업지시서 등)에 명기

 덧씌우기 공사 전단 및 인장 접착강도 증대방안 강구 추가검토

o 절삭/ 비절삭구간 확인, 비절삭 구간 부착력 증대방안 마련

o 층분리 등 파손예방을 위한 전단 및 인장 접착강도 증대방안

 모든 콘크리트 절삭 재포장에 열풍기 반영

o 물청소(워터블라스팅) 후 수분 제거 철저

260 ❙ 포장공

2-5 종방향 시공조인트 처리 개선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9

 시공 조인트 조기파손 예방 대책

절삭 덧씌우기 비절삭 덧씌우기

컷팅 후 절삭

o 콘크리트 접합부 컷팅 후 절삭 ㅇ 다짐불량 단부(5cm) 제거

o 2층 포설 시 시공 조인트 상하부 15cm 어긋나게

시공, 접합부 택코팅 살포 및 오버랩(5cm) 시공

o 예방적 개념으로 시공조인트 상부에 성형 실링재* 등 시공

- 차량이 타는 분리 차선 부 시공조인트에 적용

* (시공 후 규격) 폭 70~100mm, 두께 2~3mm

 갓길차로(LCS) 설치구간 시공조인트부 휠패스 제척 강화

2-6 반사균열 억제를 위한 신공법 적용 도로처 붙임 #10

 전용장비를 활용한 균열유도 안치공법*(Creak & Seating) 적용 추가검토

o 균열유도 전처리 시 아스팔트 덧씌우기 두께 축소 가능

* 인위적으로 종․횡방향 균열을 유도시켜 거동을 분산시켜 반사균열 억제

o 한국형 균열유도장비*(MBT, Movable Breaking Transformer)

- (제원 및 특성) 타격패턴, 높이, 간격 조절 가능

- (시공성) 해머높이 1.8m, 슬래브당 4회 타격 시 600m/4h

* 한국도로공사 & 중앙대학교 공동개발

o 리모델링 현장적용(‘22) 및 노후 콘크리트포장 표준공법 化추진

포장공 ❙ 261

포장공

3 재포장공사 시공관리 강화

3-1 아스팔트 플랜트 관리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1

 인증 플랜트제 도입 및 구매제도 개선 추진(~‘22) 추가검토

o SMA혼합물 단체표준/인증심사* 기준제정, 인증심사 실시

-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와 MOU체결(‘21.2) 및 단체표준 제정 中

o 구매제도 개선 추진(경쟁입찰방식 → 다수공급자계약 MAS*)

* 조달청과 인증플랜트가 사전 단가계약, 수요기관이 나라장터 선택

 플랜트 점검․관리 강화 추가검토

o SMA 플랜트 최소 시설기준 개정 및 점검 체크리스트 작성

o 현재 운영중인 용역을 활용한 플랜트 전담 감리원 지정 운영

- 사업관리용역 시행본부(2명), 품질검사 용역 시행본부(1명) 지정

* 유지관리 건설사업관리용역 운영방안(도로처-1011, ‘19.3.20.), 품질검사원 운영(환경품질처-1778, ’15.5.8)

3-2 배합설계 기술향상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2

 본부 재포장 담당자 정기 배합설계 교육* 실시 추가검토

o (시기/주관) 매년 2월 / 도로교통연구원 품질시험센터

o (내용) 현장 실습 및 이론교육

* 2015년 이후 실시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부터 미 시행

 감독원(감리) 배합설계 확인 능력 배양 추가검토

o 배합설계 핸드북(도로교통연구원, 2010) 개정 및 검토 툴* 작성 활용

* 측정데이터 입력 시 적정여부 판단(Excel 기반 검토 툴)

 배합설계 전문가 양성 추가검토

o 도로교통연구원 품질시험센터 전담인력* 증원(2명) 추진

* 순환보직 제외 일반직(현 품질시험센터 1명 운영 中)

o 지역본부 및 사업단 배합설계 기술지원

o 배합설계 적정성 확인 및 아스팔트 플랜트 정기점검(반기 1회)

262 ❙ 포장공

3-3 개질바인더 품질관리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3

 개질제 소성변형 등급제 신규 도입 추가검토

o 교통량 및 정체구간을 고려하여 S~C의 4등급으로 세분화

o S 등급 개질제 사용 시 A등급 대비 포장 수명 1.6배 향상

교통량(대/차로/일)

4,000대 이상 &

정체 잦은 구간 4,000대 이상 1,000∼4,000대 1,000대 이하

등 급 S A B C

소성변형률(kPa-1) 0.5 이하 0.5∼1.0 1.0∼2.0 2.0∼3.0

* PG76-22 → (PG 등급 세분화) PG76-22(S, A, B, C)로 변경

o (적용안) 기본 A등급 이상 적용, 중차량․지정체구간 S등급

 개질바인더 저장안정성 품질 확인 추가검토

o 개질재 재료분리에 따른 품질 저하 예방

- 배수성포장 바인더의 저장안정성 품질기준을 준용

3-4 시공단계 품질관리 강화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4

 시공단계별 검측관리 강화

o 재포장공사 ‘핵심 포인트 10’ 선정 및 시공 관계자 공유

o 시공 단계별 주요공종 검측 체크리스트 작성․활용

* 품질환경처 “고속도로 유지보수공사 품질관리절차서 개발” 연계 추진

 현장 실시간 품질관리를 위한 장비 보급 추가검토

【다짐】다짐횟수 측정장치 【온도】적외선 카메라

▪ 본부별 보유(3대), 업체 활용 ▪ 본부별 보유(2대), 감독원 활용

* 본사 일괄 구매 후 지급 검토(‘22년)

 재포장공사 전문가 합동 기술지도 점검 실시 추가검토

o 본사(도로처) 및 도로교통연구원 합동 정기 점검

포장공 ❙ 263

포장공

4 재포장공사 사후관리 강화

4-1 시공사 책임시공 유도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5

 하자담보 책임기간 연장(2년 → 3년)

o 지역본부에서 시행하는 포장유지보수공사 하자담보 책임기간을 신설

포장 및 리모델링 공사와 동일하게 3년 적용(‘22 발주건 적용)

※ 하자담보 책임기간 연장을 위한 행정사항

▪ 입찰(공고문, 현장설명서) 서류에 하자담보책임기간 별도 명시 ▪ 도급계약서에 변경사유 및 기간, 추가 발생 하자보수보증 수수료 명시

 성능보증제 도입 검토 추가검토

o 2018년 서울시에서 시범 도입한 성능보증제* 벤치마킹 추진

* 성능품질평가 결과에 따라 준공금과 하자담보 책임기간(2년 또는 5년) 변동 적용

4-2 준공 및 하자관리 강화 도로처 붙임 #16

 내실 있는 시공기록 및 추적관리 추가검토

o 시공기록관리 및 재포장공사 내구수명 추적관리 강화

 기성 및 준공검사 검사시험 시행 강화

o 기성 및 준공검사 조서에 검사시험 성적서 첨부

* 시험항목 및 방법 ※『아스팔트포장 시공지침』제6장 품질관리 및 검사

시험항목 시험방법 비 고

두께, AP함량, 입도, 밀도,

이론최대밀도, 다짐도, 공극률

임의의 3개소에서

위치별 코어 3EA(Φ150mm)

검사비용

시공사

평탄성 임의의 구간 선정 부담

 하자관리 내실화

o (만료검사) 포장상태조사용역 결과(본사 → 지역본부) 활용

o (원인규명) 하자발생 원인 규명 및 보수공법 적정성 확인

o (품질관리) 아스팔트 공급원승인절차 및 품질관리 실시

264 ❙ 포장공

4-3 소규모 포장메꿈 보수 품질 확보 도로처, 구조물처 붙임 #17

 소형 이동식 플랜트를 활용한 포장메꿈 방식 개선 추가검토

o 고품질 아스콘(SMA, 배수성) 현장 이동식 플랜트 생산 및 포장메꿈 실시

* 半가공 혼합물AP40%을 이동식 플랜트에서 신규 AP바인더 60% 추가하여 재가열

(1) 아스팔트 플랜트 생산(AP 40%) (2) 이동식 플랜트 생산(AP 60% 추가)

 보온박스(Hot Box) 등을 활용한 온도관리 강화 추가검토

o 소량 잦은 이동시공으로 온도관리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보온

박스(Hot Box) 확대 등 온도관리 강화 추진

 소규모 포장메꿈 종합장비 개발 추진 추가검토

o 절삭, 청소, 택코팅, 포설, 다짐이 가능한 종합장비 개발

4 협 조 사 항

 관련부서 협조사항

과제번호 협조사항 협조부서

1-2

․균열저항 우수한 PG 76-28 기본 바인더 적용 검토 설계처, 건설처

․중교통량 및 정체 발생구간 지정 협조 교통처

1-4 ․예방적 유지보수공법 품질기준 및 적용방안 검토 포장연구실

2-1 ․토공부 기능성 중간층 개념도입 기술 지원 포장연구실

2-2 ․교면 방수 품질향상 추진 구조물처

2-4 ․기존포장과 부착력 강화를 위한 방안 강구 포장연구실

3-2 ․배합설계 기술향상 교육․핸드북․검토 툴, 전담인력 확보 품질시험센터

3-3 ․개질바인더 품질관리(소성변형, 저장안전성) 강화 포장연구실

4-3 ․소규모 포장메꿈 종합장비 개발 추진 첨단기계화센터

포장공 ❙ 265

포장공

5 추 진 계 획

 과제별 향후 추진계획

과제

번호

추진내용

관련

부서

추진일정

비고

22년 23년 24년

1-1 · 현장조사 및 단면결정요령 보완 포장연구실 붙임1

1-2 · 소성변형 발생위험구간 지정 및 고등급 바인더 적용 도로처

(교통처) 붙임2

1-3 · 지역본부별 교통차단방식 개선 시범사업 추진 도로처

(지역본부) 붙임3

1-4 · 시험시공 추적조사, 품질기준 등 적용방안 수립 포장연구실 붙임4

2-1 · 토공부 기능성 중간층 도입을 위한 연구과제 추진 도로처

포장연구실 붙임5

2-2 · 교면 방수 품질향상 과제추진 구조물처 붙임6

2-4

· 택코팅재 품질기준(PG등급화, 부착력 등) 강화 포장연구실

붙임8

· 덧씌우기공사 전단 및 인장접착강도 증대 대책 포장연구실

도로처

2-6 · 균열안치공법 현장적용 및 추적조사, 표준 공법 化도로처 붙임10

3-1

· 플랜트 인증제 및 구매제도 개선추진 도로처

붙임11

· 플랜트 전담 감리원 지정 및 점검 체크리스트 도로처

3-2 · 배합설계 핸드북 개정, 검토 툴, 전문가 인력충원 도로처

품질시험센터 붙임12

3-3 · 개질바인더 품질관리(소성등급, 저장안정) 시행방안 포장연구실

도로처 붙임13

3-4

· 실시간 품질관리를 위한 장비보급 도로처 붙임14

· 재포장공사 전문가 합동 기술지도점검 계획수립 도로처 붙임14

4-1 · 서울시 성능보증제 도입검토(벤치마킹) 도로처 붙임15

4-2 · 시공보고서 양식보완, 내구수명 추적관리 방안수립 도로처 붙임16

4-3 · 이동식 플랜트활용 등 포장메꿈 품질향상 추진 도로처

첨단기계화센터 붙임17

※ 과제별 세부내용 별첨 자료 참조

 포장담당자 공유 전파

o 내구수명 향상방안 및 현장정밀조사 용역결과 공유(‘22.2월 중)

266 ❙ 포장공

【 붙 임 자 료(별첨) 】

공사설계

개선

 재포장 단면설계(두께산정) 절차 개선 p 2

 이상기후 대비 高등급 바인더 적용 p 4

 교통차단 방식 개선 p 7

 예방적 유지보수 기법 도입 p 8

보수공법

개선

 토공부 기능성 중간층 개념 도입 추진 p 10

 교면 방수 품질향상 추진 p 14

 덧씌우기 예정구간 단면보수 공법개선 p 17

 기존 포장과 부착력 강화 p 19

 종방향 시공조인트 처리 개선 p 21

 반사균열 억제를 위한 신공법 적용 p 22

시공관리

강화

 아스팔트 플랜트 관리강화 p 23

 배합설계 기술향상 p 27

 개질바인더 품질관리 강화 p 30

 시공단계 품질관리 강화 p 32

사후관리

강화

 시공사 책임시공 유도 p 39

 준공 및 하자관리 강화 p 42

 소규모 아스콘 포장메꿈 품질확보 p 4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62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54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67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9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83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34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56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35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34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48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11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86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195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1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04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31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41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24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197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