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2025.01.16 10:34
214 ❙ 구조물공
48
구조물공
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품질환경처-887
(2022.03.29.)
1 추 진 목 적
QPI* 등 내·외부 점검(평가)시 집중 관리 대상인 균열 취약 구조물에 대한
현장 관리의식을 제고하고,
*균열관련 평가배점 : 사업단 4.86점(5.4%), 본부 4.59점(5.1%) [90점 만점 기준]
매스 콘크리트에 대한 온도균열지수 및 품질관리방안 등을 제시하여
취약 구조물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코자 함
※ 매스콘크리트 정의(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8장)
-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의 경우 : 두께 0.8m 이상
- ‶ 하단이 구속된 벽체의 경우 : 두께 0.5m 이상
2 추 진 경 위
2004. 12 : 현장타설 콘크리트 암거의 수축이음 적용지침 (기술관리실)
▶ 수축이음의 단면 결손율 25% 이상, 수평철근 결손율 60% 이상 처리
2012. 3 : 매스콘크리트 설계방안 검토 (설계처-814)
▶ 매스콘크리트 온도균열에 대한 감사원 지적사항(2010. 12.) 검토
▶ 기존실적 평가 활용을 위한 기초, 기둥 기준 부재 선정
▶ 교대벽체 균열제어를 위해 수평철근량 0.18%(배력철근 간격 100mm
내외) 이상 배치, 수축이음 6m내외(단면 결손율 35% 이상) 설치
2017. 3 :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방안 검토 (설계처-671)
▶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관련 우리공사 지침 적용(도로교 규정과 상이)
▶ 간격을 조밀하게, 수평철근량 0.18%이상 배근
구조물공 ❙ 215
구조물공
3 시방기준 검토
균열제어 검토 방법
온도균열지수에 의한 평가 기존실적에 의한 평가
▶ 임의 재령의 콘크리트 인장강도와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 비
온도균열지수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
콘크리트 쪼갬인장강도
▶ 낮은 옹벽 등 중요성이 적은 구조물
▶ 경험적으로 균열 발생이 적고, 기능상
문제가 없는 구조물
▶ 수 많은 시공경험상 유해한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적에 의해
증명되는 구조물
o 온도균열 발생 검토는 온도균열지수에 의한 평가 원칙
o 구조물의 중요도, 환경조건 등에 대응할수 있도록 선정
※ 온도균열지수-균열발생확률
구 분 온도균열지수(Icr) 균열발생확률
균열 발생을
방지하여야 할 경우
1.5 이상 5%미만
균열 발생을
제한할 경우
1.2이상~1.5미
만
5~20%
유해한 균열 발생을
제한할 경우
0.7이상~1.2미
만
20~85%
온도응력해석
o 임의 재령에서 온도응력해석은 유한요소해석* 등 정밀한 방법 사용
* 프로그램(MIDAS-CIVIL 등) 해석이 필요하며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과다
소요 (교각당 3일 정도 소요)
o 유한요소 해석시 요소분할의 정도, 해석영역, 경계조건의 설정, 구속체 및
피구속체의 물성값 선택 등에 주의
☞ 기존 실적 평가를 최대한 활용하여 설계 및 시공 효율성 제고 필요
216 ❙ 구조물공
4 균열관리방안
교각 ․ 교대 기초, 기둥
기준부재 선정 (설계처-184호, 2012.3.16.)
구 분 부재 치수(m) 강도(MPa) 비고
독립 확대기초 12.0×12.0×3.5 27
연속 확대기초 26.0×6.6×2.0 27
원형기둥 φ3.0 40
o 기준 부재보다 작은 부재 : 기존실적평가(수화열 해석 없이 시행)
o 기준 부재보다 큰 부재 : 온도균열지수평가(수화열 해석 시행)
온도균열지수 평가
구조물의 유해한 균열발생 제한을 위해 온도균열지수 기준 0.7 반영
※ 매스콘크리트 연구(2011년) 자료 활용: 해석상 0.7이하 구조물도 균열 미발생
☞ 추후 평가 데이터 수집·검토를 통해 표준기준부재 재선정시 활용
o 온도균열지수 업무 흐름
o 온도균열지수 활용
- 대상 부재가 기평가 부재보다 작고 평가조건이 완화*된 경우 기평가
온도균열지수 결과 적용 가능
* 강도, 단위시멘트량, 타설시기 등 타설시 수화열 증감요소
ì
검토완료
(현행대로 시행)
* 분할타설 검토시 온도균열
제어조건 및 타설량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 판단
기준부재 이상시
온도균열지수 평가
é
î
분할타설* 검토후
온도균열지수 재평가
è
파이프 쿨링 등
추가대책 마련
평가 결과
0.7 미만
평가 결과
0.7 이상
재평가 결과
0.7 이상
재평가 결과
0.7 미만
구조물공 ❙ 217
구조물공
교대 벽체
이음* 설치를 통한 균열제어
* 수축이음 :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단면 감소 부분을 만들어 균열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음(수축줄눈, 균열유발이음, 균열유발줄눈)
수평시공이음 : 타설시 작업성이나 온도균열 제어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수평의 시공이음
o (수축이음) 교좌장치 위치를 고려하여 6m 내외 설치(흉벽 포함)
o (수평시공이음) 수화열을 고려하여 필요시 2개소 설치(3단계 타설)
구 분 교대벽체 흉벽 비 고
타설방법 필요시 2단 타설 1단 타설
기준 이하 교대벽체는
1단 타설
※ 타설 예시도
시공이음 및 수축이음 분할타설
2단타설
1단타설
흉벽
교대
벽체
철근 배치를 통한 균열제어
o 온도‧수축(수평)철근량 및 간격
- 철근량 0.18% 이상, 간격 100mm 내외 배치(공사기준 준용)
배근도(0.18% 이상) 철근량 계산
D16
@100
D16
@100
2.200
- As,req = 0.0018hs = 0.0018 × 2,200 × 1,000
= 3,960mm2
- As,used : D16@100-2ea = 3,972mm2
※ 동일한 철근량을 사용하는 경우 철근
간격을 조밀하게 하는 것이 유리
218 ❙ 구조물공
암거 및 라멘교
라멘교의 경우 하단이 구속된 벽체 구조물로, 암거와 구조적으로 유
사하므로 동일한 균열제어방안 적용
수축이음* 설치를 통한 균열제어
* 국가건설기준 표준시방서中매스콘크리트(KCS 14 20 42)
- (온도균열의 제어) 벽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수축이음을 설치하는 균열 발생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이를 검토하여야 함
o (설치간격) 6m 내외 균등 배분 설치
o (단면결손) 단면 결손율은 35% 이상(시방서 개정 25%→35% 상향)
- 단면 결손율을 얻을 수 없을 때는 내부 중앙부 PVC 파이프 또는 균
열유도판 등 매립
- 상부슬래브의 수축이음은 결손율 없이 줄문(면귀)만으로 구성
4 추 진 계 획
온도균열지수 평가 결과 공유
건설사업단
≫
품질환경처
≫
건설사업단
- 온도균열지수 평가 실적 및
계획 작성(금년타설물량)
- 각 사업단별 자료
취합 후 공유
- 온도균열지수평가
시행여부 판단
o 온도균열지수 평가 대상 작성 후 본사 제출(4월 29일限, #붙임 양식5)
o 공유 자료를 통해 온도지수평가(수화열 해석) 생략 여부 검토
o 도로통합플랫폼內 ‘온도균열지수평가 공유방’ 개설시 등록
잠정 기준 조정 및 표준기준부재 재산정 활용
o 온도균열지수 평가결과 - 실제 균열 발생 여부간 상관성 검토
구조물공 ❙ 219
구조물공
붙 임 자 료(별첨)
붙임 1 매스콘크리트 설계방안 검토(설계처, 2012. 3.)
붙임 2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 설계방안 검토(설계처, 2017. 3.)
붙임 3 현장타설 암거의 수축이음 적용지침(기술관리실, 2004. 12.)
붙임 4 매스콘크리트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연구(도교원, 2011)
붙임 5 온도균열지수 평가 실적 및 계획(양식)
인이 어렵고, 기초나 교대의 경우에는 되메우기로 인해 확인이 어려우므로, 신설공사 현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