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9_BIM설계성과의 체계적관리 및 활용성증대를 위한「목적물기반설계내역서」작성기준
2025.01.16 15:22
설계행정
설계행정 ❙ 69
19
설계행정
BIM 설계 성과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성 증대를
위한 「목적물 기반 설계내역서」 작성기준
설계처-3488
(2022.10.20.)
1 추 진 배 경
o 현재 적용하고 있는 내역서는 비용의 관점에서 작성되어 BIM 기반
목적물의 내역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효율적 활용이 곤란
o BIM 목적물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적용한 내역서 작성으로 설계
및 시공관리 시 활용성을 증대하고자 함
설계내역서 시스템(CBS) 및 작업분류체계(WBS)의 개요
o 현재 설계내역서는 목적물별 공사원가 산정이 아닌 전체 계약에
대한 비용의 효율적 집행 및 정산 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음
- 자재 수급의 원활화(가격폭등 대응, 대량구매 등)를 위해 주요자재를 해당 목적물
내역에서 제외하고 합산하여 통합내역 구성(철근, 골재 등)
-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직접구매를 위해 지급자재 별도 구성(레미콘 등)
- 정산을 위해 목적물 중 일부를 별도내역으로 구성(말뚝, 사토처리 등)
o 작업분류체계(WBS)는 기성 및 공정관리를 위해 시행 중으로, 준공
후 별도 작업을 통해 시스템에 입력하고 있음
- 작업(공종), 위치(방향, 구간 등), 목적물(교대, 기초 등) 기준으로 7단계로 구성
※ (예) 도로(1단계)-구조물공(2단계)-00교(3단계)-00방향(4단계)-하부공(5단계)-교대N(6단계)-하부기초(7단계)
- 설계사별 실시설계 준공 후 약 2주간 집중 물량분개 작업 별도 시행
목적물 중심 내역서 작성 필요성
o 목적물 내역정보 활용을 위한 자료 작성 시 많은 시간 소요
- 목적물별 공사비 산정을 위해 수량산출서를 참조하여 수량을 분개 또는
통합하고 단가를 매칭시키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
- 시공 시 목적물의 변경 또는 기성내역 산정 시 많은 시간 소요
o 실시설계 종료(총사업비 완료) 후 WBS에 맞추어 내역 재산정 및
시스템 입력 업무가 과다하고, 통일된 기준이 없어 활용성 저하
- 설계사별 개별 양식으로 내역분개 후 시스템 입력으로 데이터 활용 곤란
70 ❙ 설계행정
2 개 선 방 안
< 추 진 방 향>
BIM 목적물 중심의 내역서 작성 기준 마련
목적물 내역서 작성 방안 가이드라인 마련 성과품 작성
목적물 중심 내역서 작성 방안 검토
목적물 내역서 개념 정립
o (목적물) BIM 모델링 단위에 대한 표준이 없어 업체별 모델링 단위가
서로 상이 (예 : A사는 교량 전체, B사는 부위별(교대 등) 모델링)
⇒ 현재 시행 중인 WBS 분개작업 업무와의 중첩 등을 고려하여
WBS 레벨 7에 해당하는 목적물로 정의함이 타당
※ (교량공) WBS 레벨 7 예시 : 기초, 벽체, 슬래브, 기둥 등
※ 단 감독원과 협의하여 BIM 수행계획서에 목적물을 달리 정할 수 있음
o (목적물 내역서) BIM 모델링을 통해 산출되는 목적물별 수량에 단가를
결합하여 세부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내역서
- 목적물별 세부 내역 항목들을 열거(지급자재 등 포함)하고, 분류체계별
표준화된 코드(WBS, OBS, CBS) 부여
세부 작성방안 검토
o 분류체계 간 연계
- 향후 BIM 설계 객체별 수량 데이터로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목적물
(WBS 7단계)별로 객체분류체계(OBS)*를 매칭 (분류체계 정의 붙임 1 참조)
※ 객체분류체계(OBS, Object breakdown structure) : 작업단위가 아닌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구조
- 현재 OBS의 공식 국가표준이 없으므로 우리공사 <고속도로 BIM 정보
체계 표준지침서(부속서, 2022.8)> 분류체계(붙임 2)를 시범 적용
※추후국가표준제정시보완적용
설계행정
설계행정 ❙ 71
o 목적물 내역서 작성 예시
- Level 7로 필터링 시 목적물별 비용 집계 금액 확인 가능
공종별 집계금액
(지급자재 등 포함•제외 가능)
- 목적물별(WBS 7레벨) 지급자재비를 포함한 세부 공종을 확인 가능
72 ❙ 설계행정
o 단가코드 연계 테이블
- 우리공사 공종코드(붙임 3)와 조달청 및 국토부 등 유관기관 내역코드간의
연계 테이블 작성
- 코드와 단가연계로 단가 일괄 업데이트 및 코드 변환 시 활용
- 내역서 단가 코드 연계 테이블 작성 예시
o 목적물별 내역 작성
- 표준 내역서(붙임 4)를 활용하여 해당 목적물의 세부 내역항목들을 선택
하고, BIM 산출 수량(또는 계산 수량) 입력
- 단가는 단가 코드 연계 테이블에서 찾아 입력되도록 수식 적용
- 각 목적물별 내역을 집계할 수 있도록 소계 작성 및 필터링 적용
o 공사비 검증
- 지급자재, PS단가 등을 포함하여 작성하되, 지급자재 등이 제외된
비용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직접공사비와 비교 검증
목적물 중심 내역서 작성 가이드라인 마련
목적물 내역서 작성 가이드라인 주요내용 (붙임 5 참조)
o 목적물 내역서 작성 절차 흐름도
o 대상 목적물 선정방안
- 공종별 WBS 분류체계 구성 가이드라인 (구간 선정, 공종 분류 등)
- 중복 배제, 기타 항목 처리방안 등
설계행정
설계행정 ❙ 73
o 내역서 작성 세부 가이드라인
- WBS-CBS-OBS 분류체계 연계, 단가코드 테이블 내역서 연계 방안
- 목적물별 단가 집계 및 필터링 적용 방안
- 지급자재 등 별도집계 및 공사비 검증 방안
- 프리팹 등 신규 목적물 발생 시 작성방안 등
o 기타 목적물 내역서 작성 관련 참고자료
- 국토교통부 작업분류체계(WBS) 가이드라인(목적물 수량 분개 등)
- 표준내역서(전체 공종 공내역서) 및 샘플내역서
- 단가코드 매칭테이블 및 우리공사 표준내역코드
- WBS 전산 입력 가이드라인 등
성과품 작성 및 검토 방안
BIM 시행계획서 검토
o 모델링 단위 등에 대한 BIM 시행계획서 검토 시 목적물(WBS 레벨 7)
부합 여부 확인
목적물 내역서 작성 시기 및 보완
o 성과품 VE 시행 전 작성하여 기존 CBS 내역서와 비교 검증에 활용
하고, 감독원 확인 시행
o 총사업비 협의 완료 이후 단가 및 수량 수정사항 반영
- 조달청 단가 사전 적정성 결과의 내역서 단가코드 테이블 업데이트
- 총사업비 조정 결과 수량 등 조정사항 반영
제출 형식 및 시기
o (형식) 목적물 내역서의 출력량이 방대하고, 출력물의 활용보다는
데이터로서의 활용을 고려하여 엑셀 파일 형태로만 추가 제출
- 공종별, 교량별 별도 탭 또는 별도 파일로 제출 가능
- 기존 CBS 내역서(설계예산서 등)는 기존대로 인쇄본 및 파일 제출
※조달청 협의, 공사발주 등은 기존 내역서로 시행
o (제출시기) 성과품 전산도서 제출 시 포함하여 제출
74 ❙ 설계행정
3 기 대 효 과
BIM 수량 산출 효율성 향상 및 설계오류 최소화
o 설계사별 상이한 모델링 단위를 통일하여 BIM 실적 누적에 따라
활용성 증대 가능
o 내역서 세트에 대한 표준안 및 예시 제공으로 향후 수량 자동화
작성 기반으로 활용하고, 설계 오류 등 검증 가능
설계 내역서 관련 업무 효율성 제고
o 목적물에 따른 물량분개를 미리 시행함으로써 실시설계 준공 후
WBS 시스템 입력에 필요한 추가 업무 최소화
o 목적물에 대한 실적 데이터 누적으로 향후 설계 시 또는 시공 시
목적물 별 공사비 데이터 활용성 증가 및 현황 조사업무 축소
4 적 용 계 획
설계 중 및 향후 설계 노선 : 본 방침 적용
설계행정
설계행정 ❙ 75
붙 임 자 료
붙임 1 건설정보 분류체계별 정의 및 분류체계간 연계
붙임 2 고속도로 분야 BIM 정보체계 표준지침서 분류체계 (별첨)
붙임 3 우리공사 공종별 공종코드 List (별첨)
붙임 4 표준 목적물 내역서 (별첨)
붙임 5 목적물 내역서 작성 가이드라인 (예시 내역서 포함) (별첨)
76 ❙ 설계행정
붙임 1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별 정의 및 분류체계간 연계
□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정의(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국토부)
ㅇ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 : 건설공사의 제반단계에서 발생되는 건설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
ㅇ (작업분류체계, WBS) :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하는 작업을 계층 구조로 세분해 놓은 것
ㅇ (비용분류체계, CBS) :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 또는 서비스
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WBS)의 실제 비용구조
ㅇ (객체분류체계, OBS) : 작업 단위가 아닌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
리하기 위한 객체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구조
- WBS를 구성하는 BIM 모델의 최소부위나, 자재, 부품을 정의
※ 예시) 분야(도로) - 시설(구조물공통) - 요소(기초) - 유형(원형기초)
□ 분류체계간 연계
ㅇ OBS는 WBS, CBS, Pset(객체속성체계) 등과 연계되는 체계로, 각 표준
객체에 작업정보, 내역정보, 속성정보를 매칭시키는 것
- BIM 활용 설계변경/공정관리 시 모델 변경으로 해당 부분의 내역 자동
산출이 가능하도록 모델에 WBS 및 CBS내역을 매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