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설계행정

설계행정 ❙ 53

17

설계행정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 프로세스 구축

설계처-2726

(2022.08.30.)

1 추 진 목 적

 설계단계에서 시공*·유지관리성 및 위해요소** 등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이 가능한 기초현황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 건설 및 유지관리단계에서 발생될 위해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시공·유지관리성 향상을 도모코자함

* 시공성 저하 사례 (양평∼이천, 2공구) : 공구내 교각 직경이 상이하여

거푸집도 각각 제작필요 → 시공성 저하 ☞ 교각직경 통일시 시공성 향상

교각 직경 2.3m 2.5m 2.6m

개 수 1 1 2

** 위해요소 발생사례 (상주∼영천) : 도로결빙 관리소홀로 미끄럼연쇄 추돌사고

→ 인명피해(사망7, 부상 41명) 발생

☞ 결빙위험지수 도입을 통한 위해(危害)요소 최소화 가능 (설계처-2828, 2020)

2 추 진 경 위

 2009. 2 : 설계감독 Check List 개정

- 감독 Check List(1994년), 설계도서 작성기준(2005년) 통합․개정(163개 항목)

 2011. 6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제정

- Check List : 설계감독 Check List(2009년) 전면 수정보완(326개 항목)

 2014. 8 : 설계 “검측 Check List” 도입

- 검측 Check List(127개 항목)와 일반 Check List(268개 항목) 구분

* 검측 Check List : 설계 단계별 감독원 필수 확인항목

* 일반 Check List : 설계행정 등 설계사, 감독원이 알아야 할 항목

설계과정에서 확인뿐만 아니라

설계성과에 대해 의사결정할 수 있는 기초현황 관리체계 필요

54 ❙ 설계행정

3 설계단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 기초현황관리프로세스  기초현황관리항목선정  기초현황 관리·운영

∙3·3 확인·검증체계

- 설계단계별 : 3단계

- 확인주체별 : 3회

∙시공성,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한기초현황항목발굴

∙일관성 유지를 위해

표준양식 마련

∙관리보고서 작성 후

방침수립시 결재

∙매년 초 업데이트

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o 설계 세부검토보다는 설계단계별 의사결정이 가능한 성과중심으로

기초현황 관리항목 선정

o 기초검증 프로세스 구축 : 3·3 확인·검증 체계

- 설계단계별 : 노선선정, 구조물계획, 성과품 등 3단계

- 검증주체별 : 1차 확인(설계사), 2차 확인(감독), 3차 검증(담당팀장)

구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기존

개선

설계착수 노선계획

VE단계

(자체VE포함) 방침수립

부적합

최적

시공성/유지관리

검증

Feedback 기초현황보고서 첨부

구조물계획

성과품

1차 확인

(설계사)

2차 확인

(노선감독)

3차 검증

(노선팀장)

의사결정이 가능한

성과중심의 검증

※ 기존 체크리스트는 본 방침과 별도로 확인

설계행정

설계행정 ❙ 55

 기초현황 관리항목 선정

o 시공성, 유지관리성 및 위해요소를 고려한 기초현황 항목선정

구분 노선선정 구조물형식 성과품 계

항목수 15 3 6 24

※ 주요착안 사항 : 시공성, 유지관리성, 안전성, 재난관련 사항 등

o 기초확인 관리항목 주요내용 [세부내용-붙임 1]

설 계 단 계 구 분 항목

노 선 선 정(15)

출입시설(IC, 졸음쉼터,휴게소 등) 3

구조물(교량,터널) 7

기하구조 3

재난관리 2

구 조 물 계 획(3) 교량 3

성 과 품(6)

토공 1

교량 4

터널 1

 기초현황 관리·운영 방안

o 기초현황 확인을 위한 항목별 표준양식 마련 [붙임-2]

※예시) 노선-01 출입시설간 간격 2km 미만인 구간 위치

최근설계 해당개소 본과업 해당개소

비고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0.12 0 1 0.2 0 1 대책-별첨

o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보고서 작성 후 보고·결재 [붙임-3]

- (시 기) 노선방침 수립 시 / 교량계획VE 요청 시 / 성과품심의 요청 시

- (보고내용) 사업개요, 기초현황 및 최근노선(2개 이상) 비교 등

※ 필요시 최적판단 사유 및 대책방안 제시

- (결재방법) 팀장급 이상 결재, 단 설계처 모든 팀장에게 협조 시행

o 기초현황 항목 업데이트 실시 : (정기) 매년 초 (상시) 필요시

4 적 용 방 안

 실시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56 ❙ 설계행정

붙 임 자 료(별첨)

붙임 1 기초현황 항목

붙임 2 단계별 기초현황 항목 작성양식

붙임 3 (노선선정 단계) 기초현황 보고서 샘플

붙임 4 기초현황 항목에 대한 대책수립(예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104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878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430
18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3.20 95
18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1_고속도로 건설 관련 부담금 공사부서 인계 방안 file 효선 2025.03.20 42
18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업무 프로세스 file 효선 2025.03.19 40
18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3_안전관리비 현실화를 위한 설계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42
18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4_현장중심의 특정공법 내실화 방안 마련 file 효선 2025.03.19 29
18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효선 2025.03.19 46
18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file 효선 2025.03.19 33
18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6_드론 통합측량 확대방안 file 효선 2025.03.19 61
18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7_건설현장 환경보전비 운영개선(안) file 효선 2025.03.19 30
18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1_PSC거더 및 바닥판 연결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3.19 43
18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2_이동식 크레인 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5.03.19 49
18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3_GFRP 보강근을 활용한 교량 난간 방호벽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9 32
18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4_케이블교량 정착부 내구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5.03.19 207
18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5_교량용 난간방호벽 스트럽 상세 개선 file 효선 2025.03.19 37
18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3-1_주행안전성, 쾌적성 향상 위한 배수성 포장 활성화 방안 file 효선 2025.03.19 34
18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1_고속도로 터널 여굴 및 채움재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42
18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2_터널 폐수처리시설 및 수질 TMS 계상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43
18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3_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7 32
18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1_휴게시설 부지면적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35
18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2_터널형 방음시설 설계표준(안) file 효선 2025.03.17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