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 총칙

 

 

 

1. 총 칙

 

1.1 정의

     본 지침은 도로의 동상방지층 설치기준을 규정한 것으로, 흙쌓기 및 땅깎기구간

     모두를 포함한다. 본 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및 「도로설계기준」에 따른다.

 

【해 설】

도로의 동상은 수분, 토질, 기온 특성 모두가 동상이 발생할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도로 동상방지층 설치기준은 이러한 모든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지침은 「도로법」 8조에서 정한 각종 도로에 적용되는 동상방지층 설치기준에 대한

것이다. 다만, 경계조건이 토공구간과 매우 상이한 구조물 접속부, 구조물 상부 및 자전거도로,

보도 등은 본 지침을 적용하지 않으며, 암반구간은 「암반구간 포장설계 지침」을 따른다.

 

입상보조기층을 설치하지 않는 동상방지층의 경우 동상방지기능 이외에 배수기능,

필터기능, 요철정형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본 지침은 동상방지기능에 국한한

동상방지층 설치기준에 대한 것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있어서 동상방지층을 생략할

경우에는, 배수 및 시공성을 위하여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필터층은 노상으로 침투된

용출수의 배수 및 노상의 요철에 따른 조정층의 역할을 한다.

 

1.2 용어의 정의

     본 지침에 사용된 다음의 용어는 문맥상으로 보아 다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다음과 같다.

 

•동상방지층

  노상토에 동상우려가 있는 경우 보조기층에서 노상의 동결 깊이까지 동상에 민감하지 않은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여 노상의 동결을 막고자 시공하는 층을 말한다.

•노상

  포장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 중에서 포장의 밑면으로부터 약 1m 깊이부분을 말하며, 노체 위에

  축조되는 것으로 노면의 교통하중을 널리 분산시켜 노체에 하중의 영향을 작게 하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기층

  기층과 노상 사이에 설치하며 기층에 가해지는 교통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층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보조기층은 지지력이 큰 양질의 골재를 두껍게 사용하는 구조층이다.

•필터층

  침투된 지하수의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층을 말하며, 입상재료나 안정처리 층으로

  할 수 있다.

•기층

  표층을 지지하고 보조기층의 요철을 보정하며, 교통하중 및 충격을 적당히 분산, 경감하여

  이것을 보조기층 및 노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포장층이다.

•암반요철 조정층

  암반의 요철을 보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로 상면 정형층을 형성하는 층으로써, 하중에

  의한 암반 반사응력을 흡수한다.

•ΔBDI(%) (동상방지층 구조적 평가 모형, ΔBase Damage Index(%))

 

1. 총 칙

   포장 하부의 처짐량 비를 이용하여 전체 포장체에서의 동상방지층 유무에 따른 구조적

   효과의 비를 나타낸다.

•0.08㎜ 통과율

  입도분석시 체의 크기가 74m인 표준체를 통과하는 흙의 중량비율을 나타낸다.

•동상민감도

  포장 하부의 노상토가 겨울철 동결과정에서 부피팽창에 의한 융기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성적 지표이다.

•비동상성

  동상민감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향을 의미한다.

•동상성

  동상민감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향을 의미한다.

•동상수위높이차

  최대동결깊이로부터 동절기 동결이 우려되는 기간에 예상되는 지하수위까지의 깊이 차이를

  의미한다.

•조립토

  조립질(입경 74m 이상)이 50% 이상인 흙을 말한다.

•입도분석

  골재 또는 흙의 입도를 조사하는 시험으로 입경 75m 이상은 체분석, 그 이하는

  침강분석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흙쌓기

  토공사에서 흙을 쌓아 올리는 것으로 다른 곳의 흙을 운반하여 지반 위에 쌓는 부분이다.

•땅깎기

  토공사에서 흙을 깎아 기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노체

  도로의 구조상 흙쌓기 단면을 구분할 때 노상의 아래 부분으로 원지반까지의 흙쌓기부를

  의미한다.

•동결지수

  동결 계절 동안의 누가 온도·일에 대한 시간 곡선상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로 나타낸다.

•설계동결지수

  설계 시 사용되는 동결지수이다.

•동결기간

  동결 계절 동안의 누가 온도·일에 대한 시간 곡선상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보이는 기간이다.

•동결깊이

  도로의 노면에서 지중의 얼음이 결정되는 가장 깊은 곳까지의 깊이이다.

•최대동결깊이

  설계기간 동안 어느 장소에 대하여 연중 도로의 노면에서 지중의 얼음이 결정되는 가장

  깊은 곳까지의 최대 깊이이다.

•설계동결깊이

  설계에 사용되는 동결깊이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62126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8051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66005
227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유지보수공사_12장 file 황대장 2021.01.08 6030
226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칠공사_11장 file 황대장 2021.01.08 6819
225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창호 및 유리공사_10장 file 황대장 2021.01.08 5807
224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미장공사_9장 file 황대장 2021.01.08 6572
223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금속공사_8장 file 황대장 2021.01.08 6029
222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지붕 및 홈통공사_7장 file 황대장 2021.01.08 5221
221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방수공사_6장 file 황대장 2021.01.08 6665
220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수장공사_5장 file 황대장 2021.01.08 6225
219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목공사_4장 file 황대장 2021.01.08 5361
218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타일공사_3장 file 황대장 2021.01.08 5526
217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조적공사_2장 file 황대장 2021.01.08 5223
216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건축부문_철골공사_1장 file 황대장 2021.01.08 6509
215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측량_9장 file 황대장 2021.01.08 6922
214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지반조사_8장 file 황대장 2021.01.08 5531
213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항만공사_7장 file 황대장 2021.01.08 5919
212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관부설 및 접합공사_6장 file 황대장 2021.01.08 7468
211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강구조공사_5장 file 황대장 2021.01.08 5662
210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궤도공사_4장 file 황대장 2021.01.07 5498
209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터널공사_3장 file 황대장 2021.01.07 5701
208 2021_건설공사_표준품셈_토목부문_하천공사_2장 file 황대장 2021.01.07 5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