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4.03 수량산출요령

 

4.03 수량산출요령

 

1. 토 공

. 터파기 여유폭 기준

1) 교 량 : 1.0m

2) 암 거 : 0.5m

3) 측 구 : 0.3m

4) 옹 벽 : 0.5m

 

터파기(백호우 1.0m³) : θ = 42.18m³/hr÷1.5 = 28.12m³/hr

토사 물푸기 시간 : 토사수중, 터파기량(m³)÷28.12m³/hr = ( )hr

 

      ② 리핑암

 

착암기 : θ1 = 0.203hr/m3×1.5 = 0.305hr/. 터파기 ()

 

    1) 양단면 평균법 적용

    2) 육상토사(04m)

       [(×)+{(-H1×2)×(-H1×2)}]×½×H1 =

    3) 육상토사(4m이하)

       [{(-H1×2)×(-H1×2)} + {(+1.0×2)×(+1.0×2)}]×½×H2 +

       {(+0.1×2)×(+0.1×2)}×0.1=

       토사구간은 04m, 4m 이상으로 구분하며 4m 이상은 2단 터파기로 산출한다.

       수중터파기 및 용수터파기의 경우도 육상과 동일함

       각 토질별 터파기 경사

 

토 사 : 1:1.0 경사 적용

풍화암 : 1:0.5 경사 적용

발파암 : 지반 하단으로부터 1:0.3 경사 적용

 

    4) 용수터파기

        - SHEET PILE 및 가물막이 등의 설치와 물푸기가 반영된 경우

        - 물이 용출은 되나 지면에 고이지 않는 상태

        - 용출수가 많더라도 물푸기 등으로 용출수를 배제시켜 작업지역에 물이 고이지 않는 상태

          흙깍기 비탈면 또는 원지반이 경사진 곳에서 구조물 기초터파기는 지반이 낮은쪽을 기준으로 기초상단이 1.0m 아래에 위치할 경우 장비의

             운용성을 고려하여 낮은쪽 지반선보다 윗부분은 깍기로 구분하여 수량산출 할 수도 있다.(아래도면참조)

          기초저면 하단의 면고르기용 버림 콘크리트의 두께는 100mm를 표준으로 하되 기초 지지면의 굴곡이 심할 경우

             현장여건에 따라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 뒷채움 : 3장 배수공(5.암거공)의 뒷채움을 따른다.

      (+0.5)×½×(H3-H4) = “X”

    1) APPROACH SLAB 공제 : a

    2) WING WALL 공제 : b

    3) BRACKET 공제 : c

      포장선 이하에 포함되는 구체에 해당한. 세굴방지용 채움재()

         [{(+}+{+-(HG-H5)}×{-(HG-H5)×2}]×½×(HG-H5)-{×× (HG-H5)}=

      세굴방지용 채움이 필요한 경우에 세굴심을 산정하여 세굴폭, 사석 중량 및 직경 등을 계산하여 반영한다.

    1) 확대기초의 경우 : 암구간은 암반선(풍화암)까지만

      무근 콘크리트 : 25-18-15

    2) 파일기초의 경우

      사석채움

  . 유용토()

       지반선 이하의 구체 및 뒷채움의 체적

       A+B=“Y” 수중터파기 (유용토는 토공기준)

       하천부 발생잔토는 유용토에서 제외하며, 필요시 하천관리청과 협의 후 유용한다.

  . 되메우기()

       총터파기량-(“Y”+암채우기량) =

  . 공제토()

    1) 노상 : 뒷채움, 구체, 날개벽 구체 및 외측부

    2) 노체 : 뒷채움, 구체, 날개벽 구체 및 외측부

       모든 공제는 교량 시종점을 기준으로 한다.

  . 줄떼공제()

       교량 시종점에서 연석의 길이만큼 사면을 따라서 지반고까지 이어지는 경사면적으로 산출한다.

  . 물푸기(배수공 기준)

       교각 토공은 필요한 ITEM으로 교대와 동일하게 산출한다.

    1) 암거는 24hr 기준(용수있는경우), 교량은 48hr 기준으로 적용한다.

        - 표준타입에 대한 기준으로 현장여건에 따라 발주처의 승인을 득한 후 반영 가능

    2) 반폭씩 시공시 물푸기 시간 2배 계상한다.

      토사m3

 

집토(B/H 1.0m3) : θ2 = 40.54m3/hr÷1.5 = 27.027m3/hr = 0.037hr/m3

                         θ = θ1 + θ2 = 0.342hr/m3

리핑암 물푸기 시간 : 리핑암 수중, 터파기량(m³)×0.342hr/m3= = ( )hr

 

      발파암

 

착암기 : θ1 = 0.203hr/m3×1.5 = 0.305hr/m3

집토(B/H 1.0m3) : θ2 = 18.68m3/hr÷1.5 = 12.453m3/hr = 0.080hr/m3

                          θ = θ1 + θ2 = 0.385hr/m3

발파암 물푸기 시간 : 발파암 수중, 터파기량(m3)×0.385hr/m3 = ( )hr

 

A. 터파기 물푸기 시간 : + + = ( )hr

B. 거푸집 조립, 철근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 48(24)hr

C.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해체 = (120)hr

  총 물푸기 시간 : A + B + C= ( )hr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3장 거푸집 및 동바리 <3.8> 참조

     , 되메우기 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시 발주처의 승인을 득한 후 반영 가능

. 앞성토

    앞성토 발생시 교량 시종점 기준으로 하여 노체 성토 수량을 계산한다.

. 보호블럭

    1) 육교용(일반용), 하천용으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2) 설치각도는 현장여건과 미관을 고려하여 045° 범위 내에서 조정 설치한다.

    3) 보호블럭설치 양단부에 교면배수시설 연결시에는 배수로(300×150)계획, 미연결시에는 콘크리트 경계석(100×200)으로 마감처리한다.

    4) 보호블럭 기초공은 육상용(지표면)과 하천용(지표에서 1m깊이)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2. 상 부

  . 콘크리트

    1) RC SLAB, RC RAHMEN, PREFLEX(복부, 가로보), 주형교량(S.T BOX, P.S.C BEAM), 교각 : 25-27-150

    2) P.S.C BEAM : 20-40-150

       배수공 콘크리트 강도 사용기준 참조

  . 거푸집 (합판 3)

      벽체 및 상부에 적용한다.

      P.S.C BEAM일 경우

  . 동바리

    1) 목재 4

      쌓기구간 - 원지반 상단에서 산출한다.

      깍기구간 - 원지반 상단에서 산출한다.

    2) 강 관

      쌓기구간 - 원지반 상단에서 산출한다.

      깍기구간 - 원지반 상단에서 산출한다.

    3) 수평연결재(강관) :

        H = 3.5m 초과시 높이 2m마다 설치한다.

    4) 강재(육교용)

      8.0m×4.5m를 표준으로 하며, 폭원 및 높이는 현장여건등을 고려하여 변경할 수 있다.

      라멘교의 SLAB 현장 타설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강재 동바리는 기초 상단으로부터 산출한다.

    5) 데크피니셔용 : 현장여건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반영한다.

      목재, 강관

 

 

 

 

라멘교

 

 

 

 

SLAB

 

 

거더교

 

 

 

빔 교

 

 

  . 신축이음장치(차도용:m)

    1) 중분대 및 방호벽 구간은 제외한다.(누수방지를 위해 신축이음장치를 중분대 및 방호벽에 70mm 연장 적용한다.)

    2) 신축이음장치와 연결되는 난간, 중분대는 덮개(Cover Plate)를 설치한다.

  . 교명주(개소당)

    1) 장대교 및 특수 교량과 같이 조형미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적용한다.

  . 설명판(EA) : 재질 황동주물 또는 석재(오석)

    1) 설치위치 : 난간 또는 콘크리트 방호벽에 부착

    2) 소 교 량 : 중분대 설치시 - 교명판 2, 중분대 미설치시 - 교명판 1

    3) 장 대 교 : 교명판 2, 설명판 2

       교명판과 설명판을 일체화하여 수량 산정

  사. SLAB 양생 및 교면방수()

    1) 방호난간 및 중분대 접지면을 제외한 SLAB 상판 면적으로 산출한다.

       DECK FINISHER 면고르기도 동일(소교량 제외)

       장대교 및 소교량 : 아스팔트 교면포장

       교면 방수 : 교량형식 및 기후여건 등에 따라 적용한다.

 

구 분

교 면 방 수

비 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교. 거더교 및 빔교

도막식 방수

 

 

토피고 없는 라멘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

침투식 방수

 

 

토피고 있는 라멘교, 지중 구조물

아스팔트 방수 또는 쉬트방수

 

 

 

  아. 배수시설

    1) 배수구

      배수구 설치는 수리검토 결과에 의한다.

      육교용과 일반 교량용(하천교)으로 구분한다.

 

육교용 : ITEM별로 수량 산출한다.

일반용 : 집수구(EA), 배수구(m)

 

    2) 교면포장 물빼기공

      설치목적 : 동절기에는 포장층에서 침투한 물이 포장과 슬래브 상판 사이에 체류하게 되어

                       동해를 입게 되거나 반복 교통하중에 의하여 포장의 파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

 

교면포장 보호를 위한 물빼기

신축이음장치를 고려하여 설치

 

  . 낙하물 방지공() : 방호선반(KS F 8016, 안전인증제품 또는 동등 성능이상

      국도횡단 및 교통량이 빈번한 장소에서 시공 시 하부통행자 보호를 위해 낙하물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선반으로 적용하여
          면적()으로 산출한다.

      설치위치 : 도로 철도 횡단구간 및 통행자(차량)가 빈번한 구간

      설치범위 : 교축직각방향 - 수평여유폭 2m + (슬라브폭-거더폭) + 수평여유폭 2m교 축 방 향 - 계획횡단도로(철도) 폭원 + 2m(여유폭) x 2

 

거더교 

 

빔교

 

 

  . 시공 JOINT()

      상부접합면적으로 산출한다.

  . T.B.M설치

      100m 미만 1개소, 100m이상 2개소

  . 콘크리트 타설(펌프카)

      P.S.C R.C Slab, 라멘교 등을 높이별로 015m, 15m 이상으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 무수축 콘크리트 타설

      신축이음 장치부에 타설한다.

      압축강도 : fck = 60MPa

      배합비

         시멘트 : 600kg/m³

         모 래 : 600kg/m³

         자 갈 : 1000kg/m³

  . 난간 및 콘크리트 방호벽

    1) 난간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설계요령“4. 교량용 방호울타리 설치기준에 의거 구분하여 산출한다.

    2) 콘크리트 방호벽은 장대교인 경우 기계 타설을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에 따라 인력 타설로 할 수 있다.

  . 상부 점검로

      강합성형교의 BOX GIRDER 사이에 설치하는 상부 점검로는 교량점검시설 설치 지침서(국토해양부)에 의거하여 설치한다.

  . 스페이셔 설치

    1) 슬래브 및 기초와 벽체용으로 구분 산출한다.

    2) 합판 6회는 제외

  . 강교제작 및 운반

    1) Net 수량

    2) 운반이 가능한 높이, 폭원, 길이, 중량 기준

       높이 H : 4.3m 이하 (차량포함)

       폭원 B : 3.5m 이하 (차량포함)

       길이 L : 17m 이하 (차량포함)

       중량 W : 40ton 이하 (차량포함)

       강판제작 할증수량은 실제손실율에 따라 정산되도록 강판자재비에 할증수량 반영 금지

  교. 강교 도장

    1) 각 공종별로 구분 산출

      내부도장(공장)

      연결판 도장(공장)

      내부볼트 및 연결판 도장(현장)

      외부도장(공장)

      외부포장면도장(공장)

      외부볼트 및 연결판 도장(현장)

      외부도장(현장)

  . 강교 비파괴 검사 [도로교표준시방서(2005) 참조]

      강교 주부재 및 주응력을 받는 2차부재의 용접부는 비파괴 검사(RT, UT, MT)를 하여야 한다.

      방사선 투과검사(RT)

      인장 또는 교번하중을 받는 용접부의 검사는 용접 시, 종점부에 각 2매실시

      현장용접 비파괴 검사

        - 주거더의 플랜지 및 복부판과 강제교각의 보와 기둥의 용접부는 전수검사

        - 강상판 용접에 대해서는 접합부의 시종점을 포함하여 50cm(2)이상을 검사하고 중간부는 100cm1개소의 부분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UT)

      복부판의 수직맞대기 이음부는 복부판 높이의 1/2검사

      복부판의 수평맞대기 이음부는 부분검사로 용접부의 1/4길이에 대해 검사

      압축응력이나 전단응력을 받는 맞대기 이음부는 50% 검사

        - 크로스빔의 상부플랜지와 주거더의 상부플랜지 또는 스트링거의 상부 플랜지와의 맞대기 이음부는 100%검사

        - T이음부나 모서리 이음의 완전용입부 전수검사

      바닥판의 용접길이에 대한 검사

        - , 종점부에서 1매를 검사하고, 십자교차점에서는 사방으로 각 2매씩 검사

      현장용접 비파괴 검사

      - 용접 이음부 전 길이에 대해 실시.(이음부란 단부에서 교차부 또는 교차부에서 교차부를 의미한다.

         자분 탐상 검사(MT)

      SM-520이하인 주거더의 복부판과 플랜지간의 필릿 용접부(3m300mm) 

 

 

  . COVER PLATE(m)

      신축이음장치 부에서 중분대 및 방호벽 둘레로 산출한다.

3. 하부구조

  . 콘크리트() : 25-24-150

      ABUT, PIER(25-27-150적용가능), 교대 날개벽, T형 및 부벽식 옹벽

  . 콘크리트() : 20-18-150

      MASS 콘크리트

  . 콘크리트() : 25-16-150

      버림 콘크리트

  . 거푸집

      수직고 7 m이상인 경우에는 7 m를 초과하는 3 m 증가마다 추가 계산한다.

    1) 합판거푸집

 

 

구 분

내 용

비 고

1

1회 사용후 환수가 불가능한 구조

 

 

3

슬래브, 교대, 교각, 옹벽, 파라펫트, 날개벽, 집수정,

옹벽측구 등 약간 복잡한 구조

 

 

4

측구, 수로, 확대기초(교대, 교각, 옹벽 등) 우물통,

APPROACH SLAB 등 비교적 간단한 구조

 

 

6

MASS콘크리트, 지하매설관의 기초, 호안 및 보호공의

기초 등 극히 간단한 구조

 

 

 

    2) 무늬거푸집, 코팅거푸집

      ① 미관이 요구되는 지역에 적용한다.

    3) 원형거푸집

      ① 목재 3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② 폼타이(Form Tie)사용할 때 횟수는 10회로 한다.

    4) 강재거푸집

      ① 교각은 강재거푸집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목재 거푸집을 사용토록 한다.

      ② 사용횟수

 

구 조 물

횟 수

내 용

간단한 구조

약간 복잡한 구조

복잡한 구조

5060

4050

3040

측구, 수로, 기초

옹벽, 교대, 호안

형고, 곡면 거푸집, 우물통

 

      ③ 잔존율 : 10%

  5) 유로품

 

구 분

횟 수

패 널 류

20

, 드롭헤드, 강관동바리

25

※ ∘ 합판 3, 4회의 경우 유로폼 (20회) 적용성에 대한 비교․검토 후 산출 적용한다.

   ∘ 노출면의 경우 미관을 고려하여 문양 또는 코팅합판 거푸집 적용

 

  마. 철근가공조립

    1) 철근 가공 조립의 구분

       철근가공조립은 공장가공을 원칙으로 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현장가공 및 조립을 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① 공장가공 조립의 구분은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보통가공과 복잡한 가공으로 구분한다.(복잡한 가공은 직경 13mm이하의 철근이 전 철근 중량의 50%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② 현장가공 및 조립의 경우 구분은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 간단 : 중력식 옹벽, 배수관 날개벽 및 면벽, 측구, 다웰바, 일체형 중분대

        - 보통 : 수문, 반중력식 옹벽 및 교대, 강관 말뚝 두부보강, 교량접속 슬래브, 방호벽, 분리형 중분대, 교량상부 슬래브(경험적 설계법 적용 시)

        - 복잡 : 교량 상부 슬래브(강도설계법 적용 시), 라멘교, 우물통, 부벽식 옹벽, 암거, P.S.C BEAM, 역 T형 및 부벽식 교대, P.S.C BOX, 신축이음장치등

                  철근가공조립이 복잡하다고 판단되는 곳

        - 매우 복잡 : 구주식 교대, 교각, 지하철, 터널 등 철근의 가공조립이 매우 복잡하다고 판단되는 곳

    2) 철근의 할증율 (이형철근)

      ① 복잡 구조물 이상의 주요 철근

 

D13이하 : 3%

일반적으로 배력근, 띠철근, 조립철근, 슬래브 철근 등으로 적용되어 손실율이 적게 발생되므로 이형철근 3%를 적용한다.

D1619: 3%

D22이상 : 6%

주로 구조체의 주기능 철근으로 적용되므로 복잡 구조물 이상에서 표준품셈기준 6%를 적용한다.

 

      ② 기타 구조물 : 3%

          , 현장여건상 철근의 수급계획 및 공장가공 적용시 철근의 손실율 저감이 현저하게

             기대된다고 판단될 경우 발주처의 방침을 득하여 모든 구조물에 3% 적용할 수 있다.

    3) 철근인상작업

        - H=30m 미만, H=30m 이상 ton으로 산출

    4) 철근이음

       철근 이음은 겹이음을 원칙으로 하나 현장 여건 및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음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나사식 이음(Coupler) : 철근 직경별 개소로 산출

      용접식 이음 : 철근 직경별 m로 산출

  . SHOE

    1) 교량 형식별로 구분하여 SHOE 형식을 적용한다.

      FIX TONEA

      MOVE TONEA

         SHOE 배치도면 작성 철저 (교량 종평면도에 가동단(MOVE), 고정단방향 표시명기)

  . SHOE 받침 모르타르

    1) 무수축 모르타르 (1:1)

       ※ 교좌장치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부 구조물까지의 작업공간이 40㎝이상이 되도록 받침 모르타르를 설치한다.

  아. 비 계

      ※ 폭원: 1.2m,

         h = 구체높이가 2.0m이상일 경우에 적용한다.(이격거리 유무에 따른 재질 구분)

    1) ABUTMENT

    2) RAHMEN

      ※ 교대, 교각, 쌓기부 및 깍기부는 기초 상단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 여건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슬래브는 비계를 설치하지 않는다.

    3) 옹벽

       ※ 발판(비계다리)은 비계 최상단부에만 설치

    4) 작업발판(비계다리) : 최초 하단에서 2.0m높이에 설치, 추가 1.5m마다 설치

    5) 콘크리트 가로보 하부(작업발판)

  자. 동바리 (H=2.0m이상일 때 적용) (공/㎥)

    1) 교 대    2) 교 각

       교대, 교각, 슬래브는 원지반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여건에 따라 조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 교대, 교각, 높이별 산출 (H=0-7m, H=7m 이상은 3m씩 추가계산)

      ※ 단, 교각에 강재거푸집, 슬립폼 및 클라이밍폼 등 동바리가 필요 없는 특수거푸집 적용시에는 반영하지 않는다.

  차. 콘크리트 양생

      교대, 교각 구조물의 표면적으로 산출한다.

  카. 시공 JOINT

       상․하행 교대 접합부에 설치한다.

  타. DOWEL BAR

    1) APPROACH SLAB용

      ① 교 대 : D25, L=600, C.T.C 400

    2) APPROACH SLAB 줄눈용 스티로폼

        - 교대(또는 벽체)와 접속 슬래브 사이의 포장 균열 억제를 위한 줄눈용 스티로폴의

          두께를 20mm에서 5mm로 축소조정.

  파. STEEL PILE

    1) 품명, 규격별로 산출한다.

    2) 길이별 본수(m)

      ① 항 타 비 : 말뚝길이-0.20m : 실근입깊이(단, 경사항타가 있을 경우에는 -0.25m)

      ② 말뚝이음 : 말뚝길이 15m에서 하며, 이음부 비파괴시험 수량을 반영한다.

      ③ 자 재 비 : (항타수량+0.20m)×1.05 (5%할증) (m)

      ④ 파일항타

    3) 말뚝재하시험

        말뚝재하시험은 압축시험, 인발시험, 횡방향 시험이 있으며, 말뚝재하시험의 방법은 정재하시험 방법과

        동재하 시험 방법이 있으며, 시험 횟수는 지반조건에 큰 변화가 없으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구 분

시험항목 및 방법

시험빈도

비 고

정재하 시험

말뚝250개당 또는 구조물별

1

 

 

동재하 시험

구조물별 말뚝 수 180본 까지

2

 

 

구조물별 말뚝 수 1160본 까지

3

 

 

구조물별 말뚝 수 160본 이상

4

 

 

 

  . 석축 및 돌붙임

    1) 수량산출서상 전개도를 그려서 수량을 산출한다.

    2) 직고 3.0m 단위별로 구분 산출한다.

    3) 물구멍은 2.01개소씩 계상(P.V.C φ50m/m)

  . 정통기초

    1) 정통직경은 외경으로 산출한다.

    2) 2m이상은 비계계상(1LOT 3.0일 때 2.5m만 계상)한다.

    3) 하상정리비 계상한다.

    4) 방청철근, 내황산염 시멘트 : 염해의 우려지역 또는 매립지 등에 잔류염분이 예상되는 지역의 기초 (우레탄계통 사용)

  . 교량용지(점유폭)

    1) 총칙의 기준에 따른다.

  . 점검통로 및 점검용 계단

    1) 설계요령편 교량유지관리용 접근시설에 의거 수량을 산출한다.

 

4. 부 대 공

  . 교량 유지관리용 표지판

    1) 교량 BOX GIRDER 내부경간 표지

      5경간 이상인 콘크리트 및 강상형교와 U형 빔교에 설치한다.

 

설치위치

 

콘크리트 BOX GIRDER: 경간중앙부 BOX 우측 벽체에 부착한다.

강 교 : 경간중앙부 최 근접한 2개의 격벽 (DIAPHRAGM) 상단중앙에 부착한다.

 

표지규격 : 500(250)×250×0.5

재 질

 

        판 넬 : 알미늄판

        문자 및 바탕 : 고휘도 반사지

 

      콘크리트 BOX GIRDER

 

설치높이

설치위치

 

 

      강 교

 

설치높이

설치위치

문 안

 

 

        ) ( ) : GIRDER수가 하나인 경우 생략

        G : GIRDER - 4 : GIRDER

        2 : GIRDER번호(노선시점 기준으로 좌측에서부터 번호부여)

        S : SPAN - 5 : SPAN(교량시점(A1)기준으로부터 번호부여)

        문자획의 굵기 : 20m/m - 글씨체 : 고딕

        색 상 : 바탕(청색), 문자(백색)

        판 넬 : 알루미늄판

        부착방법 : HIL T1 볼트, 점용접, 접착제 (에폭시수지)

    2) 교각번호판 설치

      5경간 이상인 장대교량에 설치한다.

 

하부교각

 

        하천교량 (일반교량) : 코핑부에 설치하되 코핑 하부로부터 0.5m

             코핑이 없는 경우 교각 상단으로부터 1m 아래

        시내 고가차도

 

 

 

H > 10m인 경우 : 교각 중간부에 설치한다.

H 10m인 경우 : 교각 상단으로부터 1m 아래 설치한다.

 

        설치위치

 

우 분리교각 : 교각코핑 측면에 부착한다.

우 일체교각 : 교각코핑 중앙부 양면에 부착한다.

 

        문 안

 

색 상 : 바탕(청색), 문자(백색) 글씨굵기 : 25

판 넬 : 알미늄판 ) ( ) : 외수일 경우

부착방법 : HILTI 볼트

상부난간

 

        설치높이

        설치위치 : 우 지그재그로 배치

        문 안

 

 

색 상 : 바탕(청색), 문자(백색) 글씨굵기 : 20

판 넬 : 알미늄판 ) ( ) : 외수일 경우

부착방법 : HILTI 볼트

 

  . 교량공사 안전 점검비(초기,정기)

    1) 시설물의 안전 점검비는 별도의 안전진단 전문기관에서 수행함을 원칙으로 하여 설계시 반영하여야 한다.

  . P.S.C BEAM SOLE PLATE 산출

    1) P.S.C BEAM 본당 수량산출시 Sole Plate 매입에 따른 수량을 반영하고,

    2) Anchor Bar 수량도 반영할 수 있다.

  . 도면보관함

        각 교량에 설치하며, 결로 방지를 위해 도면함의 내부는 판재마감(t=12 mm이상)하고, 도면함의 바닥면은 콘크리트나

        철재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둔다. 도면함 내부는 습기제거를 위해 습기 제거제를 비치한다. 설치위치는

        BOX인 경우 최우측 경간 BOX 거더 내부(ABUT ), P.S.C BEAM인 경우 BEAM 사이의 ABUT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 기존교량 철거공(철근, 무근 콘크리트 깨기)

       도심지 및 환경공해가 우려되는 경우(인접마을, 축사) 크레샤(압쇄기) 등 소음 및 분진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 가시설

 

종 류

규 격

길이

개수

총길이

단위중량

총중량

H-형강

300×300×10×15

 

 

 

 

 

 

94f/m

tonf

-형강

380×100×10.5×16

(300×90×9×13)

 

 

 

 

54.5f/m

(38.1f/m)

tonf

토류판

1,950×150×100(80)

 

 

 

 

 

 

EARTH ANCHOR

 

 

 

 

 

 

 

 

 

 

 

. 가도공

  1) 순쌓기 구간

      가도 토량 중 80%는 본선에 유용하며, 운반비는 현지여건에 따라 계상한다.

      교량 및 수로용 가도 및 축도는 평수위(M.W.L) 이상의 토량 중 80%는 본선에 유용하며, 운반은 현장 여건에 따라 계상한다.(무대로 운반)

      다짐은 노체다짐으로 시공 한다.

  2) 사토 구간

      본선 또는 가까운 장소에서 발생되는 토석 등으로 가도 및 축도를 쌓고, 철거는 정리 후 사토처리 한다.

      골재원 및 준설가도는 하상정리 후 사토.

  3) 교량가도 및 축도

      일반교량 : 가도 및 축도로 계상한다.

      빔 교 량 : 가도는 양측 (, 하류) 및 축도로 계상한다. 

 

 

 

) 

 

 

< 가 도 > 

 

 

< 축 도 >

 

, 가도 폭원은 장비 및 작업인원의 통행확보와 현지여건에 따라 차등 적용 한다.

   하천내 가도 및 가배수관은 교량가설 기간중에 1/년으로 산출하며 정산 처 리 한다.

가도 및 축도 단위수량은 다음과 같다.

 

쌓기 면적

  가도 : (8.0+11.0)×½×1.0=9.5

  축도 : (4.0+7.0)×½×1.0=5.5

마대 쌓기

  가도 :

  축도 : = 3.6m

가배수관

  하천의 M.W.L에 대한 유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리 검토를 하여 가배수관의 직경 및

  소요 개수를 산정하도록 하며 가배수관의 직경은 800mm이상으로 한다.

가배수관은 전체연장의 부설비 및 철거비를 산출하고 가배수관의 재유용 및 재료비는

  공사기간에 따라서 품셈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5. 옹벽공

  . 배수시설공

    1) DRAIN BOARD설치에 의한 배수

      PVC PIPE (Φ=100 mm) : 옹벽 높이에 관계없이 4.5 m1개소를 설치한다.

      시공성 양호, 배수효과 양호하다. 

 

 

    2) 기존 필터층 설치에 의한 배수

      PVC PIPE(Φ=100mm) : 2 1개소 산출한다.

      부직포(900×L) × 필터층수로 산출한다.

      필터층 설치곤란

 

. 거푸집

 

 

 

 

구 체 : 합판 3, 노출면 코팅 3

기 초 : 합판 4

버 림 : 합판 6

 

  . 가도공

    1) 순쌓기 구간

      가도 토량 중 80%는 본선에 유용하며, 운반비는 현지여건에 따라 계상한다.

      교량 및 수로용 가도 및 축도는 평수위(M.W.L) 이상의 토량 중 80%는 본선에 유용하며,

           운반은 현장 여건에 따라 계상한다.(무대로 운반)

      다짐은 노체다짐으로 시공 한다.

    2) 사토 구간

      본선 또는 가까운 장소에서 발생되는 토석 등으로 가도 및 축도를 쌓고, 철거는 정리 후 사토처리 한다.

      골재원 및 준설가도는 하상정리 후 사토.

    3) 교량가도 및 축도

      일반교량 : 가도 및 축도로 계상한다.

      빔 교 량 : 가도는 양측 (, 하류) 및 축도로 계상한다.

 

)

 

< 가 도 >

 

< 축 도 > 

 

, 가도 폭원은 장비 및 작업인원의 통행확보와 현지여건에 따라 차등 적용 한다.

    하천내 가도 및 가배수관은 교량가설 기간중에 1/년으로 산출하며 정산 처 리 한다.

가도 및 축도 단위수량은 다음과 같다.

 

쌓기 면적

  가도 : (8.0+11.0)×½×1.0=9.5

  축도 : (4.0+7.0)×½×1.0=5.5

마대 쌓기

  가도 :

  축도 : = 3.6m

가배수관

  하천의 M.W.L에 대한 유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리 검토를 하여 가배수관의

  직경 및 소요 개수를 산정하도록 하며 가배수관의 직경은 800mm이상으로 한다.

가배수관은 전체연장의 부설비 및 철거비를 산출하고 가배수관의 재유용 및 재료비는 공사기간에 따라서 품셈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5. 옹벽공

  . 배수시설공

    1) DRAIN BOARD설치에 의한 배수

      PVC PIPE (Φ=100 mm) : 옹벽 높이에 관계없이 4.5 m1개소를 설치한다.

      시공성 양호, 배수효과 양호하다. 

 

 

    2) 기존 필터층 설치에 의한 배수

      PVC PIPE(Φ=100mm) : 2 1개소 산출한다.

      부직포(900×L) × 필터층수로 산출한다.

      필터층 설치곤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17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0
77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2. 비탈면안전공_ 2-02 설계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289
76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2. 비탈면안전공_ 2-03 수량산출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615
75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3. 배수공_목차 이금상 2019.11.13 1362
74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3. 배수공_3-01 수량내역서 file 이금상 2019.11.13 1924
73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3. 배수공_3-02 설계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3375
72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3. 배수공_3-03 수량산출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3979
71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4. 구조물공_목차 이금상 2019.11.13 1940
70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4. 구조물공_4-01 수량내역서 file 이금상 2019.11.13 49427
69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4. 구조물공_4-02 설계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9757
»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4. 구조물공_4-03 수량산출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4794
67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5. 지하차도공_목차 이금상 2019.11.13 1476
66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5. 지하차도공_5-01 수량내역서 file 이금상 2019.11.13 1972
65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5. 지하차도공_5-02 설계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084
64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5. 지하차도공_5-03 수량산출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225
63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6. 터널공_목차 이금상 2019.11.13 1448
62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6. 터널공_6-01 수량내역서 file 이금상 2019.11.13 2346
61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6. 터널공_6-02 설계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150
60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6. 터널공_6-03 수량산출요령 file 이금상 2019.11.13 2119
59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7. 포장공_목차 이금상 2019.11.13 1332
58 201606_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_제 2편_공종별 설계요령_07. 포장공_7-01 수량내역서 file 이금상 2019.11.13 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