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1512_평면교차로 설계지침 (국토교통부, 2015.12)_6장_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2019.11.14 18:31
160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제 6 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6.1 교차로 형태의 개선
가. 평면교차로의 개선시 횡단보도와 정지선의 위치를 교차로 중심방향
으로 이동시켜 정지선사이의 거리를 최소화 한다.
나. 평면교차로의 접속은 직각이 되어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도류화
와 자동차유도표시, 노면표시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경로를
명확히 한다.
【해설】
6.1.1 세갈래교차로의 개선
가. T형 교차로
<그림 6.1>에 나타낸 개선 전의 교차로는 모서리의 곡선반경이 크기 때문에
C유입부의 횡단보도와 정지선의 위치가 교차로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우회전 자동차의 속도가 높아져 C도로의 횡단보행자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가 있으며, 교차로 내의 자동차 유도표시가 없으므로 교차로에서 주행자동
차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어 있다. 이 교차로 설계의 주요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모서리의 곡선반경을 작게 하여 C유입부의 횡단보도와 정지선 위치를 교
차로의 중심방향으로 조정
② 동시에 AC유입부에 좌회전 전용차로를 설치
③ B유입부의 우회전 차로 확폭 및 유도표시를 하여 정지선을 중심방향으로
이동
④ 횡단보행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B유입부의 횡단보도를 A유입부로 이동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61
이 결과 개선 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한 T형 교차로가 되는 동시
에 횡단보행거리가 크게 짧아져 교차로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기 존
B A
C
개 선
B A
C
<그림 6.1> 교차로의 개선 예
나. Y형 교차로
<그림 6.2>에 나타낸 교차로는 2개의 도로가 예각으로 교차하고 있어서 정
162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지선간 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신호가 바뀔 때 교차로에 진입한 자동차가 교
차로를 벗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교차로 통과시
자동차 속도가 높아지게 되어 추돌이나 좌회전 자동차와 직진 자동차 사이의
사고 위험성이 높고 교차로 내의 자동차 유도표시와 노면표시가 없어 교통류가
불안전하게 되어 있다.
① A유입부의 정지선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정지선간 거리를 짧게 함과 동시
에 좌회전 전용차로를 설치하여 신호현시를 3현시로 한다.
② 교통섬을 설치함으로써 B와 C유입부의 정지선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③ C유입부의 교차각을 개선함으로써 각 도로의 주종관계를 명확히 한다. 동
시에 교차로 내에 도류표시를 하여 교차로의 면적을 대폭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 존
부도로
주도로 A
C
B
개 선
주도로
부도로
C A
B
<그림 6.2> Y형 교차로의 개선 예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63
6.1.2 엇갈림 교차로의 개선
엇갈림 교차로는 교차로의 구조를 변경하여 십자형 교차로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상의 변경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명확한 자동차 유도선을 설치
하고 교통규제를 실시하여 신호현시를 개선함으로써 T자형이나 십자형과 같은
교통류가 되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기 존
개 선
<그림 6.3> 엇갈림 교차의 개선
164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6.1.3 여러갈래 교차로의 개선
여러갈래 교차로라 함은 다섯갈래 이상의 도로가 평면으로 만나는 것으로,
이러한 교차로의 설계와 교통운용은 세갈래(T형)나 네갈래(十자형)에 비하여
매우 복잡해져서 교통정체나 교통사고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
므로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개선한다.
가. 선형의 개선
기존의 여러갈래 교차로를 네갈래 이하의 교차로로 하는 것은 교차로의 근본
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선은 하나 이상의 도로를 그 교차로 부분에
서 폐쇄하고 교차로 이외의 도로구간에 접속시키는 것이 된다.
<그림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교차로에는 간선도로에 3개 이상의 도
로가 접속되어 다섯갈래 교차로로 되어 있었다. 더구나 간선도로 자체도 굽어
있어서 원활한 자동차 소통 및 안전상 문제가 있다. 이는 간선도로의 굴곡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섯갈래 교차를 세갈래교차로 변경하여 교통의 흐름을 단순
화함으로써 교차로의 신호현시도 크게 단순화된다. 이와 같이 교차로의 구조를
개선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① 폐쇄된 도로를 이용하는 자동차들이 다른 경로를 통하여 목적하는 방향으
로 갈 수 있도록 한다.
② 부가로 접속위치를 교차로 외부로 변경할 경우에는 그 부가로에 출입하는
자동차가 교차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이설하는 동시에 필요한
교통규제에 대한 검토를 한다.
나. 교차로 분할
신설도로를 기존 도로에 그대로 접속시키면 교차로가 매우 크게 되기 쉽다.
그 결과 <그림 6.5>와 같이 여러갈래 교차로가 되면 지체와 사고의 문제가 발
생하기 쉬운 것이다.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65
기 존
개 선
단순진출입로
접속도로의 제거
일방통행로
자전거, 보행자
전용도로
<그림 6.4> 교차로의 선형 개선
이 교차로는 면적이 매우 큰 여섯 갈래 교차로로 되어 있으며 교차로 내에
도류표시도 없어서 많은 문제가 있다. 이는 먼저 교차로를 2개로 분할하면서
동시에 교통섬을 설치하고 노면표시를 하여 2개의 네갈래교차로로 변경한다.
이러한 개선에서는 개선 후의 교통처리에 대하여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예
166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컨대, 2개의 교차로간 거리가 짧으므로 교통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현시의
설정이 필요하다.
기 존
개 선
<그림 6.5> 교차로 분할
6.2 도류화
가. 평면으로 교차하거나 접속하는 구간에서는 필요에 따라 회전차로, 변
속차로, 교통섬 등의 도류화시설을 설치한다.
나.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로가 필요한 경우에는 직진차로와 분리하여 이
를 설치한다.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67
【해설】
도류화는 자동차와 보행자를 안전하고 질서 있게 이동시킬 목적으로 교통섬,
노면표시 등을 이용하여 상충하는 교통류를 분리시키거나 규제하여 명확한 통행
경로를 지시해주는 것을 말한다. 적절한 도류화는 용량을 증대시키며, 안전성을
높여주며, 쾌적성을 향상시켜 운전자에게 확신을 심어준다. 그러나 지나친 도류
화는 혼동을 일으키기가 쉽고 운영상태가 나빠질 수 있으며, 부적절한 도류화는
나쁜 효과를 나타내어 설치하지 않은 것보다 못할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6.2.1 도류화의 목적
① 두 개 이상의 자동차 경로가 교차하지 않도록 통행경로를 제공한다.
② 자동차가 합류, 분류 및 교차하는 위치와 각도를 조정한다.
③ 교차로 면적을 줄임으로써 자동차간의 상충면적을 줄인다.
④ 자동차가 진행해야 할 경로를 명확히 제공한다.
⑤ 높은 속도의 주 이동류에게 통행우선권을 제공한다.
⑥ 보행자 안전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⑦ 분리된 회전차로는 회전자동차의 대기장소를 제공한다.
⑧ 교통제어시설을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⑨ 불합리한 교통류의 진행을 금지 또는 지정된 방향으로 통제한다.
⑩ 자동차의 통행속도를 안전한 정도로 통제한다.
비도류화 교차로 도류화된 교차로
<그림 6.6> 도류화 설계
168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6.2.2 기본 원칙
도류화된 교차로 설계는 통상 설계자동차의 종류, 교차도로의 폭, 예상 교통
량 및 용량, 보행자 수, 자동차 속도, 버스정류장 위치, 교통제어시설의 종류와
위치 등의 요소에 의해서 지배되며, 도로부지나 지형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에
의해서 경제적으로 타당성 있는 도류화의 범위가 결정된다.
교차로를 도류화시킬 때는 기본적인 원칙을 따라야 하나, 그렇다고 다른 여
건을 감안한 전체적인 설계특성을 무시하면서 이를 적용시켜서는 안 된다. 또
한 독특한 조건 하에 설계원칙이 적용될 때는 이를 수정할 수도 있으나 이때
그에 따른 결과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은 기본 원칙을 무시
하면 위험성을 내포한 설계가 되기 쉬우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평면교차로에서
의 도류화설계를 위한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 운전자가 한번에 두가지 이상의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한다.
② 운전자에게 90도 이상 회전하거나 갑작스럽고 급격한 배향곡선 등의 부자
연스런 경로를 주어서는 안 된다.
③ 운전자가 적절한 시인성과 인지성을 갖도록 시인성이 나쁜 시설물을 설치
해서는 안 된다. 교통섬은 눈에 잘 띄도록 해야 하므로 교통섬 외곽 연석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보완시설을 하며, 교통섬 내에 시인성을 떨어뜨리
는 식수 등을 하여서는 안 된다
④ 회전자동차의 대기장소는 직진교통으로부터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⑤ 교통제어시설은 도류화의 일부분으로서 이를 고려하여 교통섬을 설계한다.
⑥ 설계를 단순화하고 운전자의 혼돈을 막기 위해서 횡단 또는 상충지점을 분
리시킬 것인지 혹은 밀집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⑦ 필요 이상의 교통섬을 설치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원칙적으로 도류화가
필요하다 하더라도 좁은 면적에서는 이를 설치하지 않는다.
⑧ 교통섬은 운행경로를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한다.
⑨ 곡선부는 적절한 곡선반경과 폭을 갖도록 한다.
⑩ 속도와 경로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접근로의 단부를 처리한다.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69
6.3 세부 시행기법
평면교차로 개선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금지된 방향의 진로를 막는다.
나. 자동차의 주행경로를 명확히 한다.
다. 바람직한 자동차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라. 상충지점을 분리한다.
마. 교통류는 직각으로 교차하고 예각으로 합류토록 한다.
바. 주 교통을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사. 기하구조와 교통관제방법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아. 서로 다른 교통류는 분리한다.
자.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의 대피장소를 제공한다.
【해설】
가. 금지된 방향의 진로를 막는다.
교통섬, 분리대, 접속각의 조정 및 작은 곡선의 모퉁이 처리 등을 이용하여
불법 좌회전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통행을 제한 또는 금지시킴으로써 교통안
전과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이런 방법이 주로 적용되는 것은 위계기능의
차이가 많이 나는 도로의 접속(연결로 포함), 여러갈래 교차로의 효율적인 운
영, 일방통행로 등의 처리에 많이 이용되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나. 주행경로를 명확히 한다.
교차로의 형태 및 기하구조, 접근로의 선형, 교통섬, 노면표시 등을 복합적으
로 활용하여 자동차의 주행경로를 명확히 한다. 이는 서로 다른 교통류를 분리
시키며 안전성과 용량증대를 도모한다. 좋은 자동차 경로란 운전자의 기대치와
관계되는 것으로, 회전하려는 자동차의 운전자는 차로변경을 예상하며, 직진 자
동차의 운전자는 직진차로로 계속 주행하는 것을 기대하게 되며, 어느 누구도
170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①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주도로
와 부도로간의 좌회전을 금지
시켜, 불법 좌회전에 의한 교통
사고와 교통혼잡을 예방한다.
중앙분리대 설치
② 접속도로의 접속각 조정과 접
속부에 작은 곡선을 설치하여
우회전만 가능토록 함으로써
불법 좌회전을 예방한다.
중앙분리대 설치
③ 분리대의 도류화와 접속도로의
조정으로 정상적인 통행은 방
해하지 않고 위험한 불법회전
을 예방한다.
④ 교통섬을 설치하여 인접 교차
로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
록 바람직하지 않은 횡단과 좌
회전을 금지시킨다.
(파선은 허용되지 않는 방향)
(파선은 허용되지 않는 방향)
<그림 6.7> 금지된 방향의 진로를 막는 예
갑작스러운 차로변경을 예상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행경로를 자연스럽게 유도
하는 도류화는 운전자의 기대치를 보완하는 것이 된다.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71
별도의 회전차로는 회전하려는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시선유도가 되도록 하여
야 하며 직진하려는 자동차가 진입하도록 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모든 교통류
를 도류화 시키기 위하여 지나치게 많은 교통섬을 사용하는 것으로 잘못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명확한 주행경로는 회전 교통량이 많은 곳, 주도로의
방향이 굽은 곳, 사각 교차로, 여러갈래 교차로 등과 같이 통행 특성이나 기하
구조가 독특한 교차로에서 유의한다.
① 직진 자동차가 잘못하여 좌회전
차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며
접근로의 선형, 도류시설물, 차선
등이 잘 조화되어 적절한 자동차
경로를 나타내도록 한다.
② 교통섬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통행
경로를 적절하게 정해 주도록 한
다. 자동차가 잘못 진입하기 쉬우
며(일방통행 등) 많은 교통량을
처리해야 되는 곳에서 특히 중요
하다.
<그림 6.8> 주행경로를 명확히 한 예
다. 바람직한 자동차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자동차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많은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
고 높은 속도를 유지하도록 선형을 좋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높은 속도를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바람직한 속도를 유지토록 하는
것은 교차로의 위치와 형식뿐만 아니라 교통관제도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된다. 일반적으로 많은 교통량과 높은 속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주도로와 주도
172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로에서 회전하는 이동류는 높은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시정지로
제어되는 부도로와 보행자 통행이 많은 교차로에서는 낮은 속도를 유지토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선형과 도류화에 의한 감속을
유도시켜 낮은 속도로 일시정지
표지까지 접근시킴으로써 일시
정지를 하지 않는 주도로상으로
안전하게 좌회전하도록 하며,
주도로에서 접속도로로는 높은
속도로 우회전하도록 한다.
②접근로 및 좌회전 테이퍼의 설계
는 안전하고 쾌적한 감속을 할
수 있고 운전자의 기대치에도 부
응하도록 한다. 길고 완만한 접근
로의 테이퍼는 좋으나 좌회전 테
이퍼는 회전자동차의 유도와 직
진 자동차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
하여 너무 길지 않게 한다.
③보행자와의 상충이 많은 곳에
서 우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회
전부는 작은 모서리를 사용하
며, 많은 교통을 처리해야 하는
곳은 높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
도록 큰 곡선반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림 6.9> 바람직한 자동차 속도를 유지하는 예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73
라. 가능한 상충지점은 분리한다.
회전차로의 설치, 교통섬의 설치, 접근로의 조정과 같은 도류화 기법은 모두
상충지점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상충에 대하여 운전자가 차례대로 인
지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충지점의 분리는 시간적 요소와 인지, 반응경
로 등의 주행특성에 초점을 주어져야 하므로 상충의 분리를 위한 설계는 속도
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다. 특히 지방지역 교차로에서 고규격 도류화의 안전문
제는 상충지점 사이의 불충분한 거리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①별도의 좌회전 차로는 회전
하기 위하여 감속하는 분류
자동차와 관계된 추돌상충
과 교차로 내의 교차상충을
분리한다.
②고규격의 우회전 도류로는
분류상충과 교차로 내에서
다른 회전자동차와의 교차
상충으로부터 우회전 상충
을 분리시키며, 분리대는 정
면충돌 상충으로부터 분리
한다.
③접근로와 교차로를 접근관리
(출입통제)하여 적절한 간격
을 유지하는 것은 가로망을
따라 상충지점을 분리한다.
<그림 6.10> 상충지점의 분리 예
174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마. 교통류는 직각으로 교차하고 예각으로 합류토록 한다.
교통류의 교차와 합류는 접근로의 기하구조, 교통관제, 주행속도 등을 반영하
여야 하며, 실질적인 상충의 가능성과 심각한 상충을 모두 최소화시킬 수 있어
야 한다. 도류화 및 선형설계는 교차하는 자동차의 흐름을 가능한 한 직각에
가깝게 되도록 하며, 합류되는 곳에서는 합류되는 도로의 선형이 작은 각을 이
루도록 한다. 이는 상충면적과 교차시간을 줄이며, 상대속도를 최소화시켜 교차
교통류의 상대속도와 상대위치에 대한 판단을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①직각으로 교차하는 거리(dr)는
사각으로 교차하는 거리(ds)보다
짧게 되어, 직각교차는 교차로의
상충에 노출되는 시간과 거리를
최소화시킨다.
dr ds
②사각교차로는 접근로에 접근하
는 운전자의 가시각을 방해하며
어색하게 만든다. 특히 그림과
같은 경우는 운전자의 가시선이
자동차 내부에서도 방해를 받게
되어 더욱 나쁜 경우가 된다.
③예각으로 합류되는 도로를 권장
하는 데, 이는 합류각이 작아지면
충격에너지가 적어지므로 치명적
인 사고와 상충이 줄어들고 짧은
차두간격을 이용할 수 있어 교통
소통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림 6.11> 교통류의 교차 예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75
바. 주 교통을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교통은 높은 도로용량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운
전자의 기대치가 높게 되므로 교차로의 기하구조와 교통관제는 주교통을 우선
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주교통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접근로의
모양과 기하구조는 명확히 되어야 하며, 특히 노선이 굽은 교차로, 회전교통이
많은 곳, 여러갈래 교차로와 같이 비정상적인 특성을 갖는 교차로에서 중요하다.
또한 적절한 기하구조의 변경과 도류화는 교통운영을 보완하는 데 매우 효과적
이다.
①주교통측의 선형을 변경시킴으로써
회전교통량을 직진의 통과교통으로
변화시키고, 적은 교통량의 방향을
종으로 하여 회전교통으로 한다.
주교통
부교통
②모든 접근로를 완전히 도류화하며
주도로상의 직진교통을 우선 처리한
다. 좌회전 차로를 분리시키고 우회
전 도류로를 설치하여 직진 자동차
를 포함한 상충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접근도로에서의 교차로 모습을
통행 우선권과 일치시킨다.
③교차로 접근로의 차로 배치는 직진교
통과 회전교통의 비율에 따라 설치한
다. 좌회전 교통량이 매우 많은 경우
에는 2차로의 좌회전 차로를 설치한다.
<그림 6.12> 주교통을 우선적으로 처리한 예
176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사. 기하구조와 교통관제방법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교차로의 기하구조와 교통관제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잘된 도류화 설
계는 교통관제에 대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교차로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며 신호기, 표지판, 정지선 및 노면표시 등의 차로배치는
모든 접근로에서 신호등 표시를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정지제어도 접근하
는 교차로 설계시는 정지의 필요성을 증진시키고 교차하는 도로의 양측으로 시
거선이 확보되어야 한다.
① 신호교차로에서 분리된 좌회전 차로
의 사용은 신호주기의 변동을 줌으
로써 그 효과를 크게 증진시킨다. 이
는 시간별로 변화하는 교통패턴을
반영시키는 운영의 조정을 쉽게 하
며, 대향차로의 좌회전을 안전하게
하는 데도 유리하다.
② 교통섬은 정지표지나 양보표지를 위
한 적합한 장소를 제공할 뿐만 아니
라 정지선에 위한 운전자의 시거 내
에 있도록 한다. 우회전 차로를 설치
하는 것은 우회전을 하기 위하여 대
기하는 자동차들로 인하여 생기는
불필요한 지체를 없앤다.
<그림 6.13> 기하구조와 교통관제
아. 서로 다른 교통류는 분리한다.
동일한 교통류 내에서 교통사고의 가장 큰 요인이 되는 것은 자동차간의 속
도 차이로서 그 발생빈도로 보아 교차로에서 자동차간 속도 차이가 가장 중요
하다. 모든 회전자동차들은 주행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위하여 감속을 하게 된다.
제6장 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177
특히 좌회전 자동차는 신호를 지키거나 대향차로의 차두간격이 충분하게 될
때를 기다리기 위하여 감속해야만 한다.
따라서 높은 속도를 갖는 직진 자동차와 회전을 위해 감속 및 정지를 하는
교통류를 분리함으로써 추돌 상충을 줄여 교차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통과
자동차가 전방의 회전자동차에 의하여 방해를 받지 않고 진행할 수 있으므로
교차로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① 높은 속도를 갖는 지방지역에서는 고속 추돌사고의 잠재성을 줄이기 위하
여 회전교통량에 관계없이 별도의 좌․우회전 차로를 설치함으로써 직진
(통과)자동차와 회전을 위한 감속 또는 대기 자동차를 분리시켜야 한다.
② 낮은 속도의 지방지역 도로나 도시지역 가로에서의 좌회전 차로는 직진
자동차와 대기 자동차를 분리시킴으로써 직진 자동차와 충돌 없이 좌회전
교통류가 좌회전 신호를 기다리거나 대향차로의 차두간격을 선택할 수 있
도록 한다.
<그림 6.14> 교통류 분리
자.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대피장소를 제공한다.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등은 자동차와의 상충에 매우 취약하며 치명적이므로
이들을 위한 대피장소 등의 시설물은 대단히 중요한 시설물이 된다.
178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교통섬, 분리대 등의 도류시설물은 자동차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상충에
취약한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최대의 시설물이다.
①큰 곡선반경을 가지며 도류화 되지
않은 우회전은 교차로 면적을 증대시
키고 보행자가 상충에 크게 노출된다.
돌출된 교통섬은 보행자의 피난장소
를 제공하며 횡단을 위해 자동차와의
상충되는 노출시간을 최소화한다.
②넓은 간선도로의 돌출된 중앙분리대
도류시설은 횡단보행자에게 중간 피
난처를 제공하며 횡단에 대한 총 노
출시간을 줄이며, 보행자가 한번에 한
방향 교통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
다. 특히 일반인보다 횡단에 많은 시
간이 소요되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매
우 중요하다.
③단로부 횡단보도의 돌출된 보도는 횡
단시간을 단축시켜 보행횡단을 촉진
시키며 병렬 주차 자동차를 보호한다
(이러한 특별한 구간에서의 처리는 낮
은 속도의 가로에만 적용해야 하며,
단로부의 보행자를 운전자에게 경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도포장
주차대
주차대 주차대
주차대
<그림 6.15>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대피장소
참 고 문 헌 179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2015)
∙국토교통부,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2014)
∙국토교통부,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2015)
∙국토교통부, 도로설계기준(2012)
∙건설교통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2013)
∙국토교통부, 국도의 노선계획․설계지침(2012)
∙국토교통부, 도로용량편람(2013)
∙국토교통부, 도로설계편람(2012)
∙건설교통부, 교통안전연차보고서(2002)
∙행정자치부령,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안전시설실무편람(경찰청, 2012)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 2011)
∙교통안전표지 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 2011)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1999, 2000, 2001, 2002)
∙U.S. DOT FHWA, Roundabout : An Informational Guide(2000)
∙AASHTO,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2001)
∙TRB, Access Management Manual(2003)
∙미국 아이오와 주, Design Manual(1998)
∙미국 애리조나 주, Roadway Design Guidelines(1996)
∙미국 오하이오 주, Location and Design Manual(1997)
180 평면교차로 설계 지침
∙캐나다, Design Manual(1995)
∙독일, RAS-K-1(1988)
∙France SETRA, The Design of Interurban Intersections on Major
Roads(At-Grade Intersection)
∙일본 (社) 交通工學硏究會, 改訂平面交差の計畵と設計基礎編(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