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85050 생태연못 및 습지 조성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요약

가. 이 절은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생태연못 및 습지의 조성에 적용한다.

나. 생물서식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습지의 구조는 본 절에 따르며, 기능적 시공은 "85090 생물서식공간 조성"에 따른다.

1.1.2 주요내용

가. 식재기반조성

나. 생태연못 조성

다. 인공습지(수질정화습지) 조성

1.2 관련시방 절

이 절의 공사에 관련된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아래 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1.2.1 21520 터파기

1.2.2 22020 되메우기

1.2.3 23010 얕은기초

1.2.4 23512 지수공

1.2.5 34550 식생호안

1.2.6 81010 부토, 마운딩 및 식재지 면정리

1.2.7 82010 배수시설 설치

1.2.8 82030 관수시설 설치

1.2.9 84010 수목식재

1.2.10 84030 지피 및 초화류 식재

1.2.11 85010 자연친화형 비탈면녹화

1.2.12 85030 생태호안조성

1.2.13 85090 생물서식공간 조성

1.3 적용규준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1.3.2 국내외 표준

가. 한국산업표준(KS)

1) KS K 0922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 - 토공, 기초 및 토류구조물에 요구되는 특성

2) KS K 0925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 - 수로건설에 요구되는 특성

1.3.3 관련도서

가. 설계보고서

1.4 시스템 설명

1.4.1 성능요구사항

가. 현장시공 전에 인근지역의 생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설계도서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나. 생태복원을 위한 예상복구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생태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표준생태계를 선정하여 시공 후에도 계속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시공조건 등은 기록, 보존, 관리하여 추후 연결되는 공사에 적용해야 한다.

1.5 제출물

다음 사항은 “11510 제출물 관리”에 따라 제출하여야 한다.

1.5.1 제품자료

제품자료는 “11510 제출물 관리”에 따라 다음 사항을 추가하여 작성한다.

가. 설계도서에 반영된 주 자재 및 이 들을 고정하기 위한 각종 부자재에 대한 제품자료 및 자재사양, 기술자료 및 시공지침서, 자재생산설비 현황을 감독원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1.5.2 생태연못, 습지 조성계획

시공계획서는 “11511 제출물 종류, 시기 및 부수 등”에 따라 다음 사항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가. 생태연못 및 습지 조성 예정지역 자연현황(지형, 식생, 토양 등) 및 설계도서 검토 결과

나. 현황 실측자료 및 전경사진 등

다. 생태연못 및 습지 조성 목표, 조성 기간, 유지관리방안

라. 도입자재 및 공법에 대한 안정성 및 생태적 특성

마. 습지 및 연못의 수질보전과 수원확보를 위한 수리계획

바. 시공 전후의 우수와 배수체계의 변화 및 공사 중 폭우시의 대책

사. 기존 수로의 변경시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아. 지하수위가 높거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 용출수 처리계획

자. 필요시 감독자와 협의하여 전문가 활용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1.5.3 준공도서

수급인은 공사종료 시 공사기간 및 일정, 식재현황도와 목록, 예상되는 복원생태계의 구조 및 유지관리기록 등 각종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자재

2.1 재료

2.1.1 일반사항

가. 수생태 복원을 위한 재료의 치수 및 품질은 설계도서에 따르되, 별도의 규정이 없을 때는 품질 및 성능이 우수한 최상품으로 하며, 이 경우 수급인은 시공 전에 견본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생태연못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는 그 조성 물질속에 질산염, 인산염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수질악화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재료의 사용을 금한다.

다. 식생의 활착 및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자연형성의 시간경과 과정을 고려하여야 한다.

라. 기성제품은 원칙적으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반입 후 설치하여야 한다.

마. 재료의 가공이나 인공재료에는 중금속 등 환경 위해 요소가 포함되지 않아야 하며, 인체에 해롭지 않고, 수생태계 등 자연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는 물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2.1.2 방수막 및 차수재료

가. 방수막의 재료는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서, 신장율이 200% 이상이어야 한다.

나. 방수막은 50㎏/㎠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다. 차수기능이 일정 차수계수(예를 들어 10-6cm/s)를 보장할 수 있는 방수재를 이용하며 재질, 내구성, 경제성, 땅깎기된 지반의 토양특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라. 방수막 재료는 적절한 접착방법이 확보된 것이어야 하며 생태적으로 건전해야 한다.

마. 지층면 중에서 어떠한 화학변화도 일으켜서는 안되며 물리적 특성 변화가 없어야 한다.

바. U.V 안정성과 내열 내한성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강한 재질이어야 한다.

사. 차수효과를 저감시키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아. 벤토나이트

1) 벤토나이트 매트의 재질은 지하수를 차수하여 지하수 누수방지 목적에 적합한 것이라야 한다. 단, 차수 효과를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자연재를 대체 할 수도 있다.

2) 벤토나이트가루와 현장토를 혼합하여 사용 할 때는 혼합이 잘되도록 파우더 형태로 되어야 하며, 토사의 상태와 종류에 따라 토사 : 벤토나이트가루 비율을 공사시방서 또는 감독자와의 협의에 의해 정한다.

자. 진흙

1) 방수용으로 사용되는 진흙은 투수계수가 10-6cm/s 이하이어야 한다.  투수계수가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기준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2) 방수용으로 쓰이는 진흙은 다짐시험을 하여 최대 건조밀도의 90% 이상을 얻을 수 있는 함수상태에서 시공하여야 한다.

3) 진흙의 포설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한다.

4) 진흙과 벤토나이트 혼합시공 시 로타리나 다른 배합장비를 이용하여 완전히 혼합하며, 공극이 25%이상 함유된 모래 점토에서는 혼합물의 깊이에 특별히 주의하여 다짐을 하면서 설계 깊이까지 혼합이 되었는지 검측하여야 한다.

2.1.3 지오텍스타일(부직포)

가. 여과 성능이 탁월하여 미세립토의 유출을 방지하고 배면의 잔류수를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는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한다.

나. 부직포의 폭은 2.0m 이상으로서  중량 300 g/㎡ 이상으로 시공성과 기계적 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4 생태연못 및 수질정화습지 재료

가. 진흙은 국제토양학회 분류에 의한 입경조성 기준을 적용하고 점성이 강해야 하며, 내부에 유기물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나. 방수 등을 위한 인공재료는 식생 및 수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료로 한다.

다. 벤토나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pH 등 물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중화조치를 해야 한다.

라. 폐사목과 통나무 놓기 호안의 통나무는 수피가 있는 자연목을 활용하고, 가급적 활엽수목을 사용한다.

마. 기타 재료는 "85030 생태호안조성"에 따른다.

2.2 운반, 보관, 취급

2.2.1 보관 및 보호

가. 방수재는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직사광선에 노출되거나 지표면에 직접 닿지 않게 보관한다.

나. 반입된 자재는 습기가 차지 않고, 서늘하고 비에 젖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다. 벤토나이트 제품은 건조한 상태로 운반, 저장하며,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라. 벤토나이트는 목재 등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10cm이상 이격하고 입하 순으로 쌓아 올려 검사나 반출에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보관한다.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현장여건 파악

가. 수생태복원 공사는 우기에 해당하는 6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공사를 시행하여서는 안 되며, 부득이하게 시행하여야 할 경우, 관계기관으로부터의 허가 및 발주처로 부터 승인을 얻어야만 한다.

나. 수생태복원 공사는 식생이 충분히 생육할 수 있도록 홍수기 이전 초봄, 홍수 직후부터 그 다음해 홍수 이전까지 수행하여야 한다.

3.2 작업준비

가. 소음방지 및 오탁방지시설을 설치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나. 설계상에 계획된 식재 이전에 유사한 환경조건에 시험 식재하여 수생식물의 초기정착도, 생육상태, 수질정화능력, 경관향상 효과 등을 검토하여 식재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3.3 공사

3.3.1 식재기반조성

가. 동절기에 습지토양의 결빙방지와 겨울철 수리부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토심은 0.5m를 기본으로 하되, 지하수위나 특정 요인 발생 시 유동성 있도록 한다.

나. 특정 식재 위치의 지형에 따라 저영양매질을 일정 토심 유지하도록 한다.

다. 토양은 실트, 자갈섞인 모래, 점토 및 모래섞인 실트로 구성되며 표토를 집토하여 보관하였다가 활용하도록 한다.

라. 수생식물의 생육과 수질정화 등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인 토양 보조재료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3.3.2 생태연못 조성

가. 터파기 및 기초

1) "21520 터파기", "22020 되메우기" 및 "23010 얕은기초"에 따른다.

2) 터파기로 발생된 토사처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3) 침하 우려가 있는 지반은 기초 설치 전에 안정하게 처리해야 한다.

나. 방수

1) 바닥에 물이 많은 경우 배수작업을 선행하여야 한다.

2) 진흙으로 바닥을 처리할 때에는 입자가 미세하고 점성이 강한 것을 일정한 두께로 포설해야 한다.

3) 방수재를 포설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손상이 없도록 하고 접합부위는 이중으로 접합해야 한다.

4) 자갈을 바닥에 깔 때에는 방수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갈을 포설하기 전에 보호용 재료를 도포해야 하며, 접합부위가 분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바닥면과 호안의 연결부분은 누수를 막기 위해 진흙을 겹쳐 축조한다.

6) 지반의 침하가 우려되는 곳에서는 지반보강용 부직포를 방수층 아래에 포설하여 방수층에서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다. 표면 및 마감처리

1) 연못 주변부에서의 오염원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운딩 처리한다.

라. 급배수시설

1) “83010 배수" 및 "83030 관수"에 따른다.

마. 호안

1) 자연석 쌓기를 할 때는 구조적 안전성 확보 이외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큰 자연석을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2) 기초지반은 견실하게 정리, 다짐하여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조경석 쌓기는 크고 작은 자연석을 서로 조화시켜 쌓되 전체적으로 하부의 돌은 상부의 돌보다 큰 것을 쓰며 석재의 노출면은 미적으로 아름답게 조경 효과가 큰 면이 보이도록 쌓고 자연재해에 유리하도록 서로 맞닿는 면은 잘 맞물려지는 돌을 골라 쌓아야 한다.

4) 쌓기 방법은 자연미와 조경미를 고려하여 가로 쌓기와 세로 쌓기를 병행하여  전체가 조화되게 시공하되 호안공의 구조적 안정성을 감안하여 상하, 좌우의 돌이 서로 안정되게 맞물리어 흔들리거나 무너지지 않게 쌓는다.

5) 조경석은 안전성 있도록 돌과 돌 사이에 뒤채움재로 채워 자연석이 움직이지 않도록 쌓는다.

6) 조경석 쌓기가 완료되면 배면 측에 잡석을 채워 다지며 지면을 고르게 마무리한다.

7) 조경석 쌓기 최상단부는 자연석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감처리 한다.

바. 식재

1) 습지 및 연못에 도입되는 식생은 설계서에 의하되 현지 생태조사와 다른 경우 조사결과를 제시한다.

2) 식물은 정수식물(부들, 창포 등)과 부엽식물(수련, 연 등), 부수식물(개구리밥, 마름 등), 침수식물(붕어말, 미나리마름 등)로 나누어 생태적 요건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3)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하는 물의 깊이가 다르므로 바닥의 높이를 조절해 주거나, 수중화분을 놓아주기도 하며 생육이 왕성한 종은 연못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화분에 식재한다.

4) 경관, 생태적기능, 수질정화기능 등을 고려하여 수생식물을 식재하며, 수생식물에는 (추수식물, 부엽식물, 침수식물, 부유식물 등)이 있다.

5) 수생식물의 종류와 식재 면적은 해당 연못의 목표수질, 관리요구도에 따라 달리 정한다.

6) 지형은 가급적 완만한 구배가 좋으며, 수생식물의 생육을 고려하여 파랑의 영향이 적은 연안대에서는 1:3 구배가 적당하다.

7) 하상의 재료는 사질 또는 점질의 토양이 적합하며, 흙의 길이는 적어도 대형추수식물은 1m, 소형추수식물과 부엽식물, 침수식물은 50~60cm의 토양층을 필요로 한다.

8) 갈대, 줄, 마름 등의 수생식물이 생육하는 수심은 일반적으로 60~90cm 정도이며, 침수식물이 생육하는 수심의 한계는 2.0m까지이다.

9) 수생식물은 일반적으로 0.1~1.5m/s 이내의 수역에서 잘 자란다.

사. 서식처

1) “85090 생물서식공간 조성"에 따른다.

3.3.3 인공습지(수질정화습지) 조성

가. 일반사항

1) 인공습지는 자연습지와 대비되는 것으로 도시의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깊은 연못과 얕은 습지가 조합되어 있는 연못 및 습지 시스템을 말한다.

2)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설치지역의 유역 특성, 토지이용의 특성, 지역사회의 수인가능성(불쾌감, 선호도 등), 비용의 적정성, 유지·관리의 용이성,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시설을 설치한다.

3) 시설을 설치한 후 처리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료채취나 유량측정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물을 배치하는 등 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5) 강우가 설계유량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에 대비하여 우회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6)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시설 유형별로 적절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7)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규모 및 용량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 초기 우수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가) 해당지역의 강우빈도 및 유출수량, 오염도 분석 등을 통하여 설계규모 및 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나) 해당 지역의 강우량을 누적유출고로 환산하여 최소 5밀리미터 이상의 강우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처리 대상 면적은 주요 비점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토지이용면적 등을 대상으로 한다. 다만, 비점오염저감계획에 비점오염저감시설 외의 비점오염저감대책이 포함되어 잇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규모나 용량은 제외할 수 있다.

나. 인공습지 조성

1) 인공습지의 유입구에서 유출구까지의 유로는 최대한 길게 하고, 길이 대 폭의 비율은 2:1이상으로 한다.

2) 다양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인공습지 전체 면적 중 50퍼센트는 얕은 습지(0~0.3미터), 30퍼센트는 깊은 습지(0.3~1.0미터), 20퍼센트는 깊은 못(1~2미터)으로 구성한다.

3) 유입부에서 유출부까지의 경사는 0.5퍼센트 이상 1.0퍼센트 이하의 범위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4) 물이 습지의 표면 전체에 분포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심을 유지하고, 물 이동이 원활하도록 습지의 형상 등을 설계하며, 유량과 수위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5) 습지환경 조성

가) 습지는 생태계의 상호작용 및 먹이사슬로 수질정화가 촉진되도록 정수식물, 침수식물, 부엽식물 등의 수생식물과 조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 소형 어패류 등의 수중생태계를 조성하여야 한다.

나) 습지에는 물이 연중 항상 있도록 유량공급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 생물의 서식 공간을 창출하기 위하여 5종부터 7종까지의 다양한 식물을 심어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라) 부유성 물질이 습지에서 최종 방류되기 전에 하류수역으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출구 부분에 자갈쇄석, 여과망 등을 설치한다.

6) 유입·유출시 안전여부

가) 인공습지의 유입구에서 유출구까지의 유로는 최대한 길게 하며, 길이 대 폭의 비율은 최소한 2:1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나) 강우시 방류하천 또는 수로의 수위증가가 습지 유출수의 원활한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유출부를 설계하는 것이 좋다.

다) 부유성 물질이 습지에서 최종 방류되기 전에 하류수역으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출구 부분에 자갈쇄석, 여과망 등을 설치한다.

7) 인공습지 구조

가) 인공습지의 유입전 처리시설로서 퇴적물을 조절하기위해 유입구에 침강지를 설치한다.

나) 물이 인공습지 표면전체에 분포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심을 유지하고, 물 이동이 원활하도록 습지의 형상 등을 설계하며, 유량과 수위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다) 습지에는 물이 연중 항상 있을 수 있도록 유량공급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라) 인공습지의 전체 표면적은 적어도 배수면적의 1%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지면적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초기 강우에 대응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마) 다양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인공습지 전체 면적 중 50%는 얕은 습지(0~0.3m), 30%는 깊은 습지(0.3~1.0m), 20%는 깊은 못(1~2m)으로 구성한다.

바) 습지 바닥은 내부 유로와 지형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사) 유출전 퇴적물의 재부유를 막기 위해 1~2m 깊이의 소규모 연못(micropool)을 조성한다.

아) 그 밖에 유지관리를 위한 도로, 안전소단과 같은 안전시설이 고려되어야 한다.

8) 식재

가) 인공습지는 생태계의 상호작용 및 먹이사슬로 수질정화가 촉진되도록 정수식물, 침수식물, 부엽식물 등의 수생식물과 조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 소형 어패류 등의 수중생태계를 조성하여야 한다.

나) 가급적 지역 내 수생식물 양묘장으로부터 재배식물을 이식하며, 뿌리를 내리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한다.

다) 생물의 서식 공간을 창출하기 위하여 5종부터 7종가지의 다양한 식물을 심어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라) 인공습지는 다양한 식물종과 함께 조밀한 밀도를 유지해야 한다.

마) 인공습지가 잘 조성되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전 식재조건을 조성하고 해당 습지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에 의해 식재되고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바) 인공습지의 경계수위로부터 바깥쪽까지 최소 8m의 완충지역을 조성하는 것이 좋고, 인근 자연생태 지역으로부터 생태 통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서식처 조성

1) “85090 생물서식공간 조성"에 따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토지주택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7978
공지 한국토지주택공사_방짐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541
공지 한국토지주택공사_지짐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584
37 201206_82530 철강재시설 file 효선 2023.07.24 47
36 201206_82550 합성수지제품 file 효선 2023.07.24 20
35 201206_82570 조경석 file 효선 2023.07.24 195
34 201206_83010 조경구조물 제작 설치 file 효선 2023.07.24 106
33 201206_83030 조경시설물 제작 설치 file 효선 2023.07.24 73
32 201206_83050 수경시설물 제작 설치 file 효선 2023.07.24 150
31 201206_83510 흙포장 file 효선 2023.07.21 104
30 201206_83530 조경블록포장 file 효선 2023.07.21 64
29 201206_83550 조경일체형포장 file 효선 2023.07.21 137
28 201206_83590 조경포장경계 file 효선 2023.07.21 40
27 201206_84010 수목식재 file 효선 2023.07.21 763
26 201206_84030 지피 및 초화류 식재 file 효선 2023.07.20 608
25 201206_84510 식생 및 시설물 유지관리 file 효선 2023.07.11 250
24 201206_85010 자연친화형 비탈면녹화 file 효선 2023.07.11 158
23 201206_85030 생태호안조성 file 효선 2023.07.10 96
» 201206_85050 생태연못 및 습지 조성 file 효선 2023.07.07 138
21 201206_85070 훼손지 복원 file 효선 2023.07.07 109
20 201206_85090 생물서식공간 조성 file 효선 2023.07.07 62
19 2012년LH공사전문시방서_부록1 품질시험 및 검사 기준1편 file 효선 2023.06.29 268
18 2012년LH공사전문시방서_부록1 품질시험 및 검사 기준2편 file 효선 2023.06.29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