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Ⅱ현황 및 성과평가

1. 고속도로 현황

2. 그간 성과 및 평가

 

- 11 -

Ⅱ 현황 및 성과평가

1 고속도로 현황

 

■ 시설 현황

◎ 전체 고속도로 연장은 4,767km로 도로 총연장(111,314km)의 약 4.3%에 해당(`19년 기준)

- 고속도로 연장은 `10년 대비 약 1.2배, 연평균 약 2.1% 증가*(`10-`19)하여, OECD 34개 국가들 중 10위 수준

* 3,859km(`10) → 4,193km(`15) → 4,767km(`19)

- 국토면적 당 고속도로 연장(47m/천km2)은 OECD 국가들 중 4위이며 국토계수* 당 고속도로 연장은 12위

* 국토면적과 인구를 반영한 밀도 개념의 가중치 ( 국토면적(㎢)´인구(천명) )

◎ 고속도로 규모를 고려한 연장(해당 구간의 차로수 × 연장, 차로 km) 규모는 22,670으로 `10년 대비 1.3배, 연평균 약 2.4% 증가*(`10-`19)

* 고속도로 차로·km: (`10) 17,929 → (`15) 20,027 → (`19) 22,670

** 차로별 연장(`19): 2차로(0.1%), 4차로(74.7%), 6차로(13.7%), 8차로 이상(11.5%)

< 고속도로 연장 및 차로·km 변동 추이 >

- 12 -

■ 교통 현황

◎ (교통량) 고속도로 일평균교통량(`19)은 4만9천대 수준으로 `10년 대비 8.6%, 연평균 1.4% 증가(`10-`19)

* 일평균교통량(대/일) : (`10) 43,475→ (`15) 48,505→ (`19) 49,281

◎ (주행거리) 고속도로 총 차량주행거리(`19)는 23,468만대·km로 `10년 대비 39.9%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3.8% 증가(`10-`19)

* 차량주행거리(만대·km) : (`10) 16,778→ (`15) 20,215→ (`19) 23,468

- 고속도로 규모를 고려한 연장(차로·km)보다 고속도로 총 차량주행 거리의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상황* 감안시 공급보다 수요가 큰 실정

* 연평균증가율 : 차로·km / 총 차량주행거리 = 2.4% / 3.8%

- 또한, 자동차보유대수의 연평균(`10~19) 증가율은 3.1%로 총 차량주행

거리 증가율(3.8%)보다 낮아, 차량 당 고속도로 이용도 증가 추세

* 자동차보유대수(천대) : (`10) 17,941→ (`15) 20,989→ (`19) 23,677

< 자동차보유대수 및 총 차량주행거리 변동 추이 >

- 13 -

◎ (통행여건) 고속도로 연장의 9.3%(445km) 구간이 혼잡구간*이고, 특히 수도권의 혼잡구간 비율이 높음

* 서비스 수준 E이하에 해당되는 구간

- 고속도로의 혼잡구간 비율은 지방부(2.5%)보다 도시부(15.9%)가 높은 상황이고 그 중 수도권은 34.0%가 혼잡구간으로 교통 정체가 심각

 

< 권역별 혼잡구간(`19) >                                                                                                                             (단위: km)

구분 도시부           지방부
    소계 수도권 부산·울산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4,767 2435 951 396 482 404 201 2,332
양호(A~D) 4,322 2,048 628 381 466 379 194 2,274
혼잡(E~F) 445 387 323 15 16 26 8 58
혼잡 비율 9.3% 15.9% 34.0% 3.9% 3.3% 6.3% 3.7% 2.5%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별표 1〕에 근거한 도시권

■ 투자 현황

◎ `10년 이후 도로부문에 대한 국가재정 투자실적은 `15년까지 증가하다가 `16년부터 감소추세로 전환

* 도로전체 투자실적 : (`10) 7.8조 → (`15) 9.1조 → (`19) 5.9조

고속도로 투자실적 : (`10) 1.5조 → (`15) 2.9조 → (`19) 1.7조

◎고속도로 건설에 10년간(`10∼`19) 총 43.6조 투자 (연평균 4.4조)

- 국고 20.2조원(재정: 13.7조, 민자건설 보조: 6.5조), 한국도로공사 14.1조원,

민자 사업자 9.3조원 투자

 

< 고속도로 건설 투자실적 >                                                                                                                         (단위: 조원)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국가재정(민자) 1.5 (0.3) 1.2 (0.1) 1.8 (0.3) 2.4 (0.8) 2.6 (1.1) 2.9 (1.4) 2.3 (0.9) 2.3 (0.9) 1.5 (0.4) 1.7 (0.3) 20.2 (6.5)
한국도로공사 1.9 1.3 1.2 1.3 1.6 1.7 1.9 1.0 0.7 1.5 14.1
민자사업자 0.2 0.4 0.5 0.7 1.3 2.1 2.1 0.8 0.4 0.8 9.3
3.6 2.9 3.5 4.4 5.5 6.7 6.3 4.1 2.6 4.0 43.6

* ( )는 국고 중 민간투자사업 건설 보조금임

- 14 -

2 그간 성과 및 평가

 

1) 기존 계획의 실적

■ 기존 계획 개요

◎ (연혁) 과거에는 경제사회발전계획 등 종합계획의 한 축에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포함되었으며, `도로정비 기본계획(1998~2010)`부터 고속도로를 포함한 국가도로망에 대한 별도의 계획이 수립

- 이 후 도로법 개정(`14.7월)에 따라 `도로정비기본계획`을 `국가도로망

종합계획`과 하위계획인 `도로건설 관리계획`으로 개편

- 국토교통부장관은 지난 `16년 `도로건설·관리계획` 중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1차 계획(`16~`20년)을 수립·시행

< 기 존 > 

도로정비기본계획 (10년, 관리청)

국가도로망종합계획(10년, 국토부)

< 현 재 >

도로건설 · 관리계획(5년, 관리청)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5년, 국토부) 고속도로

건설(5년)

국도 · 국지도

건설(5년)

고속도로‧국도

관리(5년)

 

◎ 계획별 주요내용

- (도로정비기본계획, `98~`11) 국토공간의 균형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균등한 도로망 구축

- (도로정비기본계획 수정계획, `06~`11) 대도시권 고속순환 기능 강화, 혼잡도로 개선 등을 통해 도로투자 효율성 제고

- 15 -

- (제2차 도로정비기본계획, `11~`20) 전국도로망(7×9)과 수도권 도로망(7×4+3R) 통합하고, 교통수요 관리 등을 통한 녹색성장 지원

-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16~`20) 국가간선도로망의 효율적 확충을 통해 경제성장 지원, 국가균형발전 견인, 미래(통일) 대비

■ 계획대비 추진실적(`21.5. 기준)

◎ (도로정비기본계획) 제2차 계획(`11~`20)의 고속도로 계획연장 2,336.7km 대비 70.3%인 1,641.9km 추진 (준공실적: 279.4km, 착공실적: 1,362.5km)

* 실적/계획 : 재정 1,067.6km / 1,762.4km(60.6%), 민자 574.3km / 574.3km(100.0%)

 

< 제2차 도로정비기본계획(2011-2020) 추진실적 >                                                                              (단위: km, 건, 조원)

구분   국가     민자
    신설   확장    
    준공기준 착공기준 착공기준 착공기준  
연장(Km) 계획 279.4 885.0 598.0 574.3 2,336.7
  추진실적

279.4 (100.0%)

666.5 (75.3%) 121.7 (20.4%) 574.3 (100.0%) 1,641.9 (70.3%)
사업건수(건) 계획 5 17 24 16 62
  추진실적 5 (100.0%) 13 (76.5%) 7 (29.2%) 16 (100.0%) 41(66.1%)

사업비(조원

계획 4.6 35.6 7.8 24.8 72.8
  추진실적 4.6 (100.0%)

26.8 (75.3%)

2.5 (32.1%) 24.8 (100.0%) 58.7 (79.9%)

 주: 1차 도로정비기본계획(`98∼`11)에 포함되어 계속사업으로 진행된 신설 준공기준 연장(420.2km) 제외

◎ (고속도로 건설계획) 제1차 계획(`16~`20)의 고속도로 계획연장 1,235.5km대비 21.4%인 264.7km 추진(신설: 191.7km, 확장: 73.0km)

 

<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16-2020) 추진실적 >                                                                                 (단위: 건, km, 조원)

구분     신설     확장  
    예타통과 예타중 미추진 에타통과 에타중 미추진  
연장(Km) 계획 840.9 840.9 840.9 394.6 394.6 394.6 1,235.5
  추진실적 191.7 18.6 630.6 73.0 43.1 278.5 264.7(21.4%)
사업건수(건) 계획 27 27 27 21 2 21 21
  추진실적 10 1 16 3 3 15 13(27.1%)
사업비(조원) 계획 35.6 35.6 35.6 7.7 7.7 7.7 43.3
  추진실적 9.5 0.8 25.3 1.2 0.9 536 10.7(24.7%)

- 16 -

◎ (국가간선도로망 추진현황) 국가간선도로망(10X10) 7,783㎞의 68%인 5,020㎞(고속도로 외 자동차전용도로 154km 포함) 개통․공용 중

- 사업이 추진 중(예타통과 포함)인 구간 포함시 국가간선도로망은 전체의 85%인 6,248km(고속도로 6,070km, 자동차전용도로 178km) 수준

*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

- 17 -

2) 고속도로 건설의 성과

■ 1 국토 균형발전 촉진

◎ (고속도로 접근성 제고) `19년 기준 30분 이내 고속도로 접근가능 지역이 `10년(63.4%) 대비 10.9%p 증가(74.3%)해 전 국민의 97.3%가 고속도로 서비스 수혜 인구에 해당

`70년(14.3%) `80년(31.5%) `90년(36.1%) `00년(45.6%) `10년(63.4%) `19년(74.3%)

< 전국 시대별 30분 내 고속도로 접근가능 면적 >

◎ (지역간 이동시간 단축) `70년 대비 지역간 평균 이동시간 45% 단축(`19년 기준)으로 국토이용의 효율성 및 형평성이 제고되었고, 주요 도시간 연계성도 강화

* 지역간 평균이동시간: (`70년) 307분→(`10년) 187분→(`15년) 178분→(`19년) 169분

 

< 주요 지역간 이동시간 변화 >                                                                                                                   (단위: 분)

구분   이동   시간   변화   감소율(`70-`19)
  1970 1980 1990 2000 2010 2015 2019  
서울-부산 540 487 450 391 315 302 282 48%
서울-강릉 397 279 267 217 203 180 156 61%
대전-광주 175 139 140 133 128 123 123 31%
대전-부산 184 151 136 134 123 116 104 43%
광주-부산 322 216 207 205 201 186 182 43%

 

 

- 18 -

◎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지원) 고속버스 노선수는 `86년 176개에서 `17년 286개로 62.5% 증가하여 고속버스 이용자 편의 증진

< 고속도로 개통과 고속버스 노선수 및 서비스면적 비율 변화 >

(`86년) (`96년) (`06년) (`17년)

176개, 29.0% 284개, 39.1% 299개, 38.3% 286개, 39.1%

 

2 교통혼잡 완화에 기여

◎ (혼잡구간) 고속도로 건설 등 교통량 분산을 통해 특정구간에 교통량이 집중되는 극심한 혼잡구간(서비스수준 F)의 증가율 둔화

- 혼잡구간(서비스수준 E~F)이 전체연장 중 차지하는 비율은 `11년에 5.9%, `15년 8.0%(2.1%p↑), `19년 9.3%(1.3%p↑)로 증가율 완화

 

< 고속도로 혼잡구간 비율 >                                                                                                                    (단위: km)

구분 `11 `15 `19
전체연장 3,913 4,193 4,767
서비스 수준 E~F 231 334 445
서비스 수준 E~F(수도권) 206 321 323
서비스 수준 E~F(비수도권) 25 13 122
전체연장 대비 비율 5.9% 8.0% 9.3%

- 19 -

◎ (정체잦은구간) `19년 전국 고속도로 정체잦은구간*은 `15년 대비 54%(137km) 감소**했고,

* 정체잦은구간 : 하루 1시간 이상 40km/h 이하, 한 달 8일 이상(평일) 또는 하루

2시간 이상 40km/h 이하, 한 달 4일 이상(주말) 해당

* (`11) 373km→(`15) 252km→(`19)115km, 도로공사 운영 중인 고속도로 기준

- 경부선, 서해안선 등 정체잦은구간에 대한 확장 및 대도시권 순환도로 건설 추진으로 교통소통 개선 도모

 

3 경제성장 기여

◎ (경제효과) 지난 5년간(`15년-`19년) 총 23.7조(재정 : 10.7조, 도공 : 6.8조, 민자 : 6.2조)의 고속도로 투자로 생산유발효과 51.9조원, 부가가치

유발 17.9조원, 고용유발 24.7만명 등 효과 발생

* SOC 1조원 투자시 생산유발 2조1,911억원, 부가가치 7,540억원, 고용유발

10,428명(2018년 한국은행 기준 적용)

◎ (산업 물류활동 지원) 국가 간선도로로서 산업단지(84%), 관광지 (77%) 항만(55%) 등 주요거점시설 연결을 통해 경제활동 지원

- 산업단지는 84%(전체 57개 중 47개), 항만은 55%(전체 42개 중 23개)를 연계하고, KTX 연계 환승도 지원 중

< 주요 거점시설 및 관광지 등 접근지원 >

- 20 -

4 통일대비 기반 마련

◎ 수도권 및 접경지역의 남북축을 중심으로 통일대비 및 유라시아 연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

- 아시아지역의 국제 육상교통 촉진을 위해 추진 중인 아시안하이웨이 (AH)사업의 AH1, AH6노선(한반도 통과)을 적극 반영 검토

* 아시안 하이웨이(AH)는 아시아 국가 상호간 경제 및 사회교류를 증진시켜 지역 소득향상에 기여하고자 계획됨(UNESCAP, 1958)

< 아시안 하이웨이 >

- AH1(경의선)은 민자 노선인 서울-문산 고속도로 개통(35.2km, `20.11)및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추진 중(10.7km, 2019)

* 「4.27 남북정상회담(2018)」 및 「6.28 남북도로협력 분과회담(2018)」을 통해 경의선(개성∼평양), 동해선(고성∼원산) 연결 및 현대화 사업 추진합의

 

5 민간투자 활성화

◎ 고속도로 사업의 민간투자 촉진으로 한정된 재정여건 보완을 통해 사회기반시설 적기 확충 및 경제 활성화 도모

- 수도권제2순환(봉담-송산, 이천-오산, 포천-화도), 광명-서울 고속도로 등 9.8조(`15-`19)의 민간자본 투자 유치

- 21 -
 

< 민자고속도로 추진현황 (`21.5월 기준) >

착공년도 구분 연장(Km) 투자비(억원) 공사기간 시행단계
  인천공항 38.2 17,440 `95~`00 운영(`00.12~, 30년간)
  논산-천안 81.0 17,297 `97~`02  운영(`02.12~, 30년간)
`95~`04 (6건) 대구-부산 82.1 27,477 `01~`06 운영(`06.02~, 30년간)
  서울외곽 36.3 22,792 `01~`07 운영(`06.06~, 30년간)
  부산-울산 47.2 14,777 `01~`08 운영(`08.12~, 30년간)
  서울-춘천 61.4 21,696 `04~`09 운영(`09.08~, 30년간)

 

용인-서울 22.9 15,256 `05~`09 운영(`09.06~, 30년간)
  인천대교 12.3 15,200 `05~`09 운영(`09.10~, 30년간)
  서수원-오산-평택 38.5 16,415 `05~`09 운영(`09.10~, 30년간)
  평택-시흥 42.6 12,871 `08~`13 운영(`13.03~, 30년간)
  수원-광명 27.4 17,376 `11~`16 운영(`16.04~, 30년간)
`05~`15 (13건) 광주~원주 57.0 15,338 `11~`16 운영(`16.11~, 30년간)
  인천~김포 15.3 5,738 `12~`17 운영(`17.01~, 30년간)
  안양~성남 28.9 17,458 `12~`17 운영(`17.03~, 30년간)
  상주~영천 93.9 20,236 `12~`17  운영(`17.06~, 30년간)
  구리~포천 50.6 27,626 `12~`17 운영(`17.06~, 30년간)
  부산신항제2배후 21.9 10,919 `12~`17 운영(`17.09~, 30년간)
  옥산~오창 12.1 3,484 `14~`18  운영(`17.01~, 30년간)
  서울~문산 35.2 20,481 `15~`20  운영(`20.11~, 30년간)

 

봉담-송산 18.3 13,253 `17~`21 운영(`21.04~, 30년간)
  이천-오산 31.2 14,499 `17~`22 건설(`17.03 착공)
`16 이후 (5건) 포천-화도 28.7 14,757 `18~`23 건설(`18.12 착공)
  광명-서울 20.2 19,462 `19~`24 건설(`19.03 착공)
  쳥택-부여-익산 137.7 41,575

`19~`24(1단계)

`29~`34(2단계)

건설(`19.12 1단계 착공)

  소계 1,040.9 423,423    

 

서창-김포 18.3 9,820 60개월 협상단계
  오산-용인 17.2 12,574 60개월 현상단계
적격성 통과 (6건) 평택-시흥 확장 42.6 6,908 60개월 전략환경성 평가 등
  사상-해운대 22.8 23,052 66개월 전략환경성 평가 등
  성남-서초 10.7 5,617 60개월 전략환경성 평가 등
  성남-강남 9.5 6,272 60개월 전략환경성 평가 등

- 22 -

3) 고속도로 건설의 한계

1 국가균형발전 미흡

◎ (접근성 개선 부족) 30분내 고속도로 접근가능 면적은 74.3%(`19)로 확대되었지만 고속도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은 여전히 존재

- 강원 남부·접경지역, 경북 북부지역은 지리ㆍ지형적 제약 등으로 고속도로의 접근성이 낮고, 타 지역으로 이동에 많은 시간 소요

* 영월, 태백 등 강원 남부, 접경지역과 중부선/경부선과 중부내륙선 사이 일부시군의 경우 30분내 접근가능면적이 상대적으로 낮음

- 전국의 균등한 접근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고속도로 사업추진 필요

* 30분내 접근이 어려운 시군구: 강원(7개), 전남(5개), 경북(3개), 경기(3개) 등

< 지역별 30분 내 고속도로 접근가능 면적 비율 >

< 30분 내 고속도로 접근가능면적(`19) >

- 23 -

◎ (남북축 대비 동서축 미흡) 16개 광역시도간 교통축의 우회율을 분석한 결과, 동서축이 남북축에 비해 높아 보완 필요

* 우회율 : 실제이동거리/직선거리 → 전국 평균(1.27)

** 동서축 평균 우회율(1.32) > 남북축 평균 우회율(1.24)

 

< 우회율이 높은 상위 교통축(남북·동서축) >

구분 교통축 우회율 구분 교통축 우회율
  강원-경북 1.40   세종-충남 1.46
  대구-경북 1.40   대전-충남 1.43
  울산-경북 1.37   전북-경남 1.42
남북축 충남-전북 1.36 동서축 대구-울산 1.41
  전북-전남 1.36   울산-경남 1.40
  경북-경남 1.35   전남-경남 1.40
  대전-전북 1.35   인천-경기 1.40

2 대도시권 혼잡완화 한계

◎ (혼잡구간) 고속도로 혼잡구간은 455km(`19)로, `15년 대비 115km 증가하였으며, 특히 도시부의 혼잡구간 증가(94km)가 심화됨

* 고속도로 혼잡구간: (`11) 226km → (`15) 330km → (`19) 445km

** 혼잡구간 증가연장: (도시부) 94km, (지방부) 21km

 

< 혼잡구간 변화 추이 >                                                                                                                                (단위: km)

구분     도시부       지방부
    소계 수도권 부산·울산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2011 226 226 203 19 0 0 54 0
2015 330 293 258 10 16 0 9 37
2019 445 387 323 15 16 26 8 58
`15년대비 증가연장 115 94 65 5 0 26 -1 21

- `19년 기준 권역별 고속도로 연장대비 혼잡구간의 비중은 수도권

(34.0%), 대전권(6.4%) 등 대도시권에 집중

- 24 -

< 권역별 혼잡구간 비율(`19) >                                                                                                                       (단위: km)

구분     도시부       지방부
    소계 수도권 부산·울산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전체 4,767 2,434 951 396 482 404 201 2,333
혼잡구간 445 387 323 15 16 26 8 58
비율 9.3% 15.9% 34.0% 3.8% 3.3% 6.4% 4.0% 2.5%
`15년대비변화 1.3% 2.0% 1.4% 0.2% -0.4% 6.4% -0.2% 0.7%

◎ (정체잦은구간) 지속적인 확장사업 추진 등으로 정체잦은구간은 감소추세이나 수도권의 경우 일부구간의 극심한 정체 지속

 

< 권역별 정체잦은구간 연장(`19) >                                                                                                                   (단위: km)

구분     도시부       지방부
    소계 수도권 부산·울산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2011 373 314 288 15 3 4 4 59
2015 252 225 220 - - - 5 27
2019 115 115 115 - - - - -

 

 

3 고속도로 안전제고 필요

◎ (교통사고 사망자) 지속적인 노력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OECD 가입 국가 중 여전히 하위권 수준

- `18년 기준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수(1.4명)가 OECD 평균(33개국 `18년 1.0명)보다 약 1.4배 더 높음

* 자동차 1만대 당 사망자: 7.4명(`00)→2.6명(`10)→1.4명(`18)

- 전체사망자에서 화물차 관련 사망자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로 화물차 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집중 관리 필요

 

< 화물차 관련 사망자수 비율 >                                                                                                                      (단위: 명)

구분 2015 2017 2019
전체 사망자 수 241 248 206
화물차 사망자수 107 106 96
비율 44.4% 42.7% 46.6%

 

- 25 -

<혼잡구간 중 교통사고 많은 구간(전체)> <혼잡구간 중 교통사고 많은 구간(화물차)>

5 통일대비 기반 마련 미흡

◎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던 서쪽(AH1 노선) 대비 동쪽(AH6)의 사업 추진은 상대적으로 미흡

* 한반도 통과 아시안하이웨이 : AH1 (997km) 부산-대전-서울-개성-평양-신의주

AH6 (1,269km) 부산-울진-강릉-고성-원산-나진

- AH6은 접경지역 연결성 강화를 위해 동해선(삼척-간성)을 간성읍에서 최북단 도시(고성군 현내면)까지 연결 필요

- AH 외에 접경지역을 연결하는 남북축에 대한 추가노선 검토 필요

* 서울-문산연장(추진중), 포천-철원연장(미추진), 서울-연천, 춘천-철원 등

< 접경지역 미착수구간 현황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7127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700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497
80 201812_[고시문]하천설계기준_전면개정 file 효선 2023.03.13 284
79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1편 file 효선 2023.03.13 175
78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2편 file 효선 2023.03.13 132
77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3편 file 효선 2023.03.13 357
76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4편 file 효선 2023.03.13 113
75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5편 file 효선 2023.03.13 205
74 201812_하천설계기준_신구조문대비표_6편 file 효선 2023.03.13 178
73 2021_도로터널+방재시설+설치+및+관리지침+전부개정예규안_신구대비표 file 효선 2022.12.27 205
72 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20220204고시문 [1] file 효선 2022.11.24 157
71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11.24 38
70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1_계획의개요 file 효선 2022.11.24 35
»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2_현황및성과평가 file 효선 2022.11.24 78
68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3_여건변화전망 file 효선 2022.11.24 33
67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4_비전및목표 file 효선 2022.11.24 26
66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5_주요추진내용 file 효선 2022.11.24 87
65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6_투자계획및재원조달 file 효선 2022.11.24 34
64 202201_제2차+고속도로+건설계획원문_07_부록 file 효선 2022.11.23 146
63 제2차+도로관리계획20212025_전문 file 효선 2022.10.20 104
62 도로안전시설+설치+및+관리+지침+일부+개정_신구조문대비표 file 효선 2022.10.20 134
61 도로안전시설+설치+및+관리+지침+일부+개정전문_01 file 효선 2022.10.20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