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제 10 편 포장

제 11 편 안전시설

제 12 편 부대시설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 14 편 방음시설

제 15 편 환경친화적 도로 건설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제 16 편 도로 경관

 

제16편 도로 경관

713

2.1 경관도로의 계획

2.1.1 경관 계획 시 유의사항

도로의 경관 계획에서는 내부 경관과 외부 경관을 같이 고려해야 하지만 도로 연도에 건물

이 조밀하게 붙어있는 가로 경관의 경우 외부 경관보다는 내부 경관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고속국도와 같이 대규모의 토목시설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내부 경관뿐만 아니라 외부

경관에 대해서도 경관 분석·평가를 수행하는데, 외부 경관 평가에서는 바라보는 대상이 시

각적으로 어떤 특징을 갖는가 즉, 규모 · 형태 · 색채 · 감촉 등을 평가하게 된다.

여기서, 경관의 대상 규모가 중요한 요소이며, 규모란 일반적으로 대상의 길이 · 폭원 · 높이

또는 면적 · 부피로써 나타난다. 또한 규모와 깊은 관련이 있는 스케일 개념에 대해서도 유

의해야 하며, 스케일이란 물건 또는 공간의 규모를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서 나타내는 개념

으로서, 비록 같은 크기를 갖는 대상이라 하더라도 스케일은 그것이 설치된 장소의 주위

물건이나 공간과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반드시 스케일이 같아진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대상 상호 간 또는 시점과 대상 간의 관계에서의 휴먼 스케일은 토목시설의 계획,

설계에 있어서도 그것이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이용될 경우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으므로

경관에서는 대상 크기의 절대치보다 오히려 그 크기와 사람 주변 대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스케일 개념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2.1.2 경관 계획 · 설계의 단계

도로의 경관 계획은 도로의 성격에 대응하면서 기능과 조화를 이루는 계획을 수립해야 하

며, 도로를 경관적 성격에 따라 분류한다. 도로의 분류는 지방지역, 도시지역, 관리주체 등

에 따라 구분하며,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특성과의 관련성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같은

고속국도라도 통과지역의 지형이나 토지 이용, 자연환경 등에 따라 경관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대상 도로의 스케일과 지역 특성에 따라 도로 경관의 성격이 규정된다.

2. 경관 계획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14

도로 경관에서는 대상이 되는 사업 전체에 대한 기본방침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각 단계마다 사업 내용을 검토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현황조사 · 분석 ∙ 식생, 토지 이용, 문화재, 유물, 유적 등

노선 선정 ∙ 노선 제시, 환경변화 · 경관변화 예측 ∙ 지형 요소, 식생 요소, 역사 · 사회 요소

선형 계획

∙ 경관, 식생, 생육, 지형조사 등 ∙ 환경 · 경관 현황 분석 ∙ 기하구조 계획 · 분석

기본 계획

∙ 목표 설정, 장소별 · 시설별 기본계획 ∙ 기본계획에 부합되는 경관 계획 ∙ 기능별 · 시설별 경관 계획 : 내 · 외부, 평지, 산지부 등

실시설계 ∙ 대상별 세부설계 ∙ 시설별 세부설계

시공 단계 ∙ 대상별, 시설별 피드백(feed back)

유지 · 관리

<그림 2.1> 도로 경관 계획 · 설계의 추진 절차

도로 경관 설계는 입체적인 선형 계획, 중앙분리대, 장대교량, 터널 갱구, 땅깎기 · 흙쌓기

비탈면, 인터체인지, 휴게소 등의 주요 시설 등에 대하여 체인 경관과 면, 인 경관으로 구분

적용하며, 도로 경관 설계의 적용 분야 및 검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6편 도로 경관

715

<표 2.1> 도로 경관 설계의 적용 분야

적용 분야 검 토 내 용

교량 · 고가교 미관, 통일감, 재료의 조화, 배경의 조화, 랜드마크

터널 이동 경관, 주행자 이동과 경관 변화, 내부 경관

땅깎기 · 흙쌓기 비탈면 녹화이미지, 녹화공법, 기존 수림과 조화

방음벽 재질의 조화, 녹화공법, 녹화 효과

구조물 하부 공간 자연친화적 공간 확보, 이질감 최소화, 경간 분할

지하차도 진ㆍ출입부의 개방감, 이동 경관의 변화, 내부 마감 처리

육교 편의시설(Amenity), 보행자 안전 확보, 지역의 상징성

주변 부대시설 지역의 생태계, 주변 경관 특성, 시각 목표와 조화

재질, 색채 주변 경관과의 조화, 재료의 중량감, 랜드마크

2.1.3 노선 선정과 경관 자원

노선의 개략 검토단계에서는 지역의 개성 있는 경관이 훼손되거나 귀중한 경관 자원이 손실

되는 일이 없도록 노선을 선정해야 한다.

도로 노선에 경관을 고려하여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양호한 경관의 전개를 의도적으로 도로

의 내부 경관에 도입시킬 수 있는 경우, 가능한 한 스토리가 있는 연속 경관이 조성되도록

노선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도로에 도입하여 효과를 발휘하는 경관 대상은 다음과 같다.

<표 2.2> 도로에 도입하는 경관 자원

구 분 세 부 요 소

지형 요소 ∙ 랜드마크가 되는 산악, 산맥, 개방적인 구릉 ∙ 고원, 분지, 평야, 하천, 호수, 해안

식생 요소 ∙ 수림, 높은 수목, 특징적인 수목, 저목림 ∙ 논, 밭, 초지, 지역성을 갖는 식재림, 과수원

역사 · 사회 요소 ∙ 인지도가 높거나 역사적인 건축물 ∙ 취락, 도시, 경관적으로 특징 있는 건축물, 건조물, 지형, 지물

도로 경관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관 대상을 도로에 도입하는 경우, 노선을 경관 대상으로

접근시켜야 하나 어디까지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경관 대상의 특성과 입지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관점에 따라 경관이 펼쳐져 있는 입지의 경우 원경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를 발휘하는 경

우도 있으나 경관 대상에 근접하거나 대상의 중심으로 노선이 통과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

도 있으므로 경관 대상에 따라 적절한 배치를 검토하여 노선 선정을 해야 한다.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16

∙ 지형조건, 경제성, 보전해야 할 경관 자원 등 고려

∙ 양호한 경관 자원의 활용, 랜드마크 인식 변화 등 고려

<그림 2.2> 경관 대상을 고려한 노선 선정

2.1.4 관련 법률에 따른 경관설계

경관설계에 대한 경관심의는 경관법 시행령에 따라 기본설계를 완료하기 전에 경관심의를

마쳐야 하며, 경관법(국토교통부),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문화체육관광부) 및 경관

심의운영지침(국토교통부)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관련 내용이 적합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표 2.3> 사회기반시설 사업의 경관 심의 대상 등(「경관법」 시행령 제18조)

제18조(사회기반시설 사업의 경관 심의 대상 등)

① 법 제26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사업"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을 말한다.<개정 2017. 2. 28.>

1. 법 제26조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도로사업, 철도시설사업 및 도시철도시설사업: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가.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인 사업

나. 지방자치단체가 500억 원 미만의 범위에서 조례로 정하는 총사업비 규모 이상인 사업으로서 해당 지

방자치단체가 발주청(「건설기술 진흥법」 제2조제6호에 따른 발주청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사업

2. 법 제26조제1항제4호에 따른 하천시설사업: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가. 총사업비가 300억 원 이상인 사업

나. 지방자치단체가 300억 원 미만의 범위에서 조례로 정하는 총사업비 규모 이상인 사업으로서 해당 지

방자치단체가 발주청인 사업

3. 법 제26조제1항제5호에 따른 사업 :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총사업비 규모 이상인 사업

②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회기반시설 사업에 대하여 법 제26조제1항에 따라 경관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개정 2014. 5. 22., 2017. 2. 28.>

1. 심의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71조에 따른 기본설계(이하 이 호에서 "기본설계"라 한다)를 완료하기

전에 마칠 것. 다만, 사업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경관위원회에서 기본설계를 완료하기 전에 심의를 마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73조에 따른 실시설계를 완료하기 전에 심의를

마쳐야 한다.

제16편 도로 경관

717

2.2 선형 계획

2.2.1 선형 계획

선형 계획은 도로 내외의 경관을 고려하여 지역의 지형과 주변 환경과도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전원지대와 구릉지 등 지형 변화나 주변 경관 변화가 없는 지역은 단조로운 도로 경관이

되기 쉽지만 광대한 조망은 하나의 경관 자원이 된다.

산간이나 산등성이를 통과하는 노선은 도로 내부 경관보다 외부 경관을 고려한 선형 계획을

수립한다. 외부 경관에 대하여 선형은 지형과 지물에 근접시키고 대규모 비탈면의 발생을

억제하며, 시가지와 중요한 조망지점에서 경관이 보전되도록 한다.

명승지나 자연이 풍부한 지역을 통과하는 곳에서는 설계속도를 낮추거나 터널과 교량 형식

을 검토하는 등 자연의 변형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외부 경관을 보전하도록 한다.

선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노선 선정에서 활용 가능한 경관 대상을 도로 경관에 효과

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경관의 활용과 보전으로, 시점 대상과 장애가 되는 지형 · 지물은 피

하도록 하고, 전망을 저해하는 땅깎기가 나타나지 않도록 선형을 계획한다.

경관 대상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경관 조성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1) 전체적인 지형을 파악하여 지형을 살릴 수 있는 선형을 구상한다.

(2) 상 · 하행선을 분리시켜 중앙분리대를 경관 대상으로 도입한다.

(3) 지형 변화를 최소화하여 지역 경관의 훼손을 줄인다.

(4) 토공량의 발생을 가능한 한 적게 한다.

(5) 비탈면 발생을 최소화하여 지역 경관을 보전토록 한다.

(6) 평면 및 종단선형을 조정하여 지형 변화를 최소화 한다.

<그림 2.3> 지형을 고려한 선형 계획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18

2.2.2 시야(視野)와 시계(視界)

(1) 시야(視野)

시야는 경관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점이 정지되어 있는 정시야(靜視野)와 시점이 이동하는 동

시야(動視野)로 구분되며, 동시야에서는 변별력이 뛰어난 부분은 크기에 변화가 있으며, 자동

차 운전자의 경우 주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변별에 유효한 시야가 협착된다.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는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변화하는 경관을 주시점의 이용에 의하여 포착하고, 무의식중

에 대상이 되는 형태의 특징을 파악하게 되므로 설계속도가 높은 도로에서는 고속 이동 중

시야의 특성이나 주시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공간이 요구된다.

<그림 2.4> 이동 속도에 따른 조망

(2) 시계(視界)

시계는 어느 일정 이상의 거리, 범위 내의 시공간(視空間)의 유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야

는 공간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시계(視界)는 깊이를 갖는 공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안개가 발생한 상태라든가 건물이 조밀하게 들어선 경우에는 시계는 변하지만 시

야는 변화가 없다.

2.2.3 시퀀스(sequence) 경관

경관을 시간의 길이 · 시점의 특성에 따라 분류할 경우, 시퀀스(sequence)경관 · 신(scene)

경관 · 장의 경관 · 변천 경관 등의 형태가 있으며, 도로 계획에 있어서도 각각의 경관에 관

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제16편 도로 경관

719

시퀀스란 연속의 의미이지만 시점을 이동시키면서 차례차례로 변화하는 신(scene)을 계속

적으로 체험하여 갈 경우 일반적으로 시퀀스라 부르며, 대상 그 자체는 변하지 않고 시점의

이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관의 변화이다. 이런 종류의 움직이는 경관을 시퀀스 경관이라

하며, 사람이 걸으면서 또는 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체험하는 경관의 대부분을 시퀀스 경관

이라고 한다.

신(scene)경관은 관광지나 도시의 전망대 위에서 좋은 경치, 멋진 경치라고 말하는 것처럼

고정적인 시점에서 얻을 수 있는 경관이며, 이와 같은 의미에서 표현하는 단어에는 조망

· 전망 · 경치 · 구도 · 투시형태 등이 있는데, 이것은 시퀀스 경관에 비하여 단기간의 현상

이라고 할 수 있다.

장(場)의 경관은 파리는 도시 경관, 나폴리는 해변 경관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복수 · 불특정

시점에서의 조망을 종합한 어떠한 일정 범위 내 조망의 총체를 의미하며, 도로를 통과하면

서 얻게 되는 여러 가지 신(scene)이나 시퀀스 경관의 체험을 종합하여 얻을 수 있다. 신

(scene)경관과 시퀀스 경관의 출현 가능성이 있는 대상(군)의 공간구조(대상 상호 간의 공

간적 관계 방식)에 역점을 둔 경우의 개념이다.

변천 경관은 오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볼 수 있는 대상 그 자체가 변화하여 가는 경관을

말한다. 태양의 이동에 따른 변화, 사계에 의한 경관 변화는 변천 경관에 포함되지 않으며,

변동 요인에 의한 경관 변화로 파악된다. 역사성이 있는 거리의 역사적인 경관의 변화는

변천 경관이라 할 수 있다.

2.2.4 랜드마크(landmark)

랜드마크의 랜드(land)는 원래 바다를 대하는 육지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랜드마크는 항

해 시 길잡이가 되는 육지의 표시이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토지의 표시가 되는 자연물이나

건조물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데 아이덴티티(identity), 스트럭처(structure) 등의 퍼블릭 이

미지를 형성하는 랜드마크는 단순히 눈에 띄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의 의미가 공

유된 대상물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자연물이나 역사적인 건조물 등 토지의 역사

속에서 살아있는 대상물이 랜드마크가 되기 쉬우며, 새로운 인공 구조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랜드마크가 되기도 한다.

랜드마크의 물적 요건에 국한하면, 우선 사방에서 그 존재를 볼 수 있는 주위로부터 독립된

것일 필요가 있다. 즉, 주위와의 상대적 관계에서 랜드마크성이라는 것이 결정된다는 것을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20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벨리스크 모양의 탑이 있어도 주위에 같은 높이의 건물이 나란히

있으면 그 탑이 보여도 랜드마크가 되기 어려우며, 이것은 단순히 높이만의 문제가 아니라

땅(土地)과 그림(圖)의 관계가 어떻게 유지되는가와 관련이 있다.

주위와의 상대적 관계란 단순히 면적으로 종합된 하나의 공간속에서의 관계성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라 도로와 같은 선적 공간(線的 公間)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러한 경우 계

속적으로 이어지는 경관 속에서 그 존재가 독립적인 길잡이로서 인식되는 것을 랜드마크라

고 할 수 있다.

서울의 남산타워와 같이 이미 시인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떠나 상징적으로 지역의 랜드마크

성을 발휘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일본의 후지산은 더욱 큰 스케일의 국토적 차원에서의

랜드마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랜드마크는 단순히 공간적으로 그 성격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미디어의 힘을 빌려 사람들의 이미지 형성에 작용하고 있다. 큰 스케일 경관에

서의 랜드마크는 원래 의미인 길잡이 · 표시로서 역할을 하는 것은 거의 없고, 또한 시간

· 계절 · 기후 등에 좌우되는 것도 없으며, 실제로는 토지 전체의 퍼블릭 이미지에 관련된

요소가 된다.

랜드마크를 경관 계획에서 다룰 경우 기본적으로는 토지의 면적인 경관 계획에서 랜드마크

의 보전이라는 시점, 대상 상호관계성 전체의 계획과 도로의 경관 계획 등에서 랜드마크를

경관 체험에 어떻게 도입시킬까 하는 주로 시점측의 계획이 있다.

도시계획 등 랜드마크를 활용하여 경관 계획을 수행하는 입장에서는 인공물, 자연물의 랜드

마크를 불문하고 시퀀스로서 경관 체험 속에서 어떻게 랜드마크를 효과적으로 도입하는가

하는 것이 주안점이 된다.

일정한 방향, 일정한 구간으로의 이동을 어느 정도 전제로 할 수 있는 예를 들면, 고속국도

· 전망도로 혹은 보도의 계획에서는 전망되는 랜드마크에 서서히 접근하여 다시 멀어질 때

까지 보이는 방향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연구하거나 보일 듯 보이지 않는 듯한 은현(隱

現)기법으로 연출하는 것이 노선 검토 시부터 다양한 계획 차원에서 적용된다. 또한, 고속국

도와 같이 어느 정도 균질한 공간의 연속체에서는 인터체인지, 휴게소 등의 분절적인 요소

를 사인으로서의 랜드마크(식재 등)에 의하여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노선 토

널리티(조화성)를 계속 유지하면서 각 지점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검토가 필요하다.

제16편 도로 경관

721

<그림 2.5> 상징적인 지역 랜드마크

<그림 2.6> 지역을 대표하는 수종을 식재한 인터체인지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22

2.3 교량 계획

2.3.1 교량 경관의 구성 요소

교량은 그 자체의 형태가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하지만, 교량 경관은 일반적으로 교량을

보는 시점의 위치나 주변의 상황 등에 따라서도 많이 좌우되므로 교량 경관의 구성 요소와

상호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량 경관은 대상으로서 존재하는 경관과 시점에 있는 인간의 시지각의 관계로 성립하는

것으로서, 교량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교량 자체 · 주변 경관 · 시점 위치 세 가지로

구분한다.

구성 요소 세 부 요 소

교량 자체 ∙ 시각적 요소 ∙ 형태, 색채, 질감

주변 경관

∙ 주변 · 배후 경관을 포함한 교량 조망 ∙ 전경, 배경, 주변 경관, 배후 경관 ∙ 주변 경관과의 조화ㆍ대비

시점 위치

∙ 시점의 존재에 의하여 교량 경관 성립 ∙ 시각 심리적 현상 변화, 그림과 배경의 배율 ∙ 시점의 높이, 시선의 각도, 교량까지 거리

<표 2.4> 교량 경관의 구성 요소

2.3.2 교량 경관의 설계 절차

교량은 대상지역의 역사적 · 문화적 배경을 갖는 랜드마크로서, 주변 환경을 융합 · 조화시

키는 관점을 갖고 구조적 형식 외에 연도 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설정한

다. 또한, 교량은 장기간에 걸쳐 이용하는 도로 구조물로써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 되어

야 한다.

제16편 도로 경관

723

설계과제 추출

∙ 기능적 측면 ∙ 환경영향 측면

∙ 경관적 측면 ∙ 기술적 측면

·

 조 사

설계테마 확립

∙ 통일방침 검토 ∙ 설계조건 확인

∙ 설계테마 설정

기본구상 입안 · 검토

· 기본구상 입안/평가

기본형상 입안 · 검토

∙ 비교 안 작성/방침설정

∙ 기본형상 비교 안 작성

·

기본형상 결정

∙ 비교 안 평가 및 후보 안 선정 예비설계도서

∙ 후보 안 보완

세부디자인 입안 · 검토

∙ 세부디자인 방침설정 실시설계도서

∙ 세부디자인 비교안 작성

세부디자인 결정

∙ 비교 안 평가 및 후보 안 선정

∙ 선정 안의 치수화

<그림 2.7> 도로 구조물 설계 절차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24

설계단계 분야 검토내용

·

설계과제 추출

기능적 측면

∙ 랜드마크로서 존재감 ∙ 교량의 안전성, 이용자 ․ 관망자 측면 심리적 영향 ∙ 연계되는 지역 내 거리와의 융화성

경관적 측면 ∙ 외부경관 측면에서의 측면 경관, 사경관 ∙ 교량을 통행하는 시점에서의 동선상 경관(Sequence경관)

기술적 측면 ∙ 하천 조건을 고려한 교각설치 가능범위 ∙ 접속도로 조건을 고려한 접속각도 종단경사 등

설계테마 확립

통일방침 검토 ∙ 계획 하천상 교량군의 정비기본방침 반영 ∙ 하천의 테마, 지역별 테마의 검토

설계테마 설정

∙ 계획 하천상(도로상) 교량군의 기본테마 ∙ 지역별, 구간별(상류, 중류, 하류) 교량군 기본테마 ∙ 해당교량의 설계테마 설정

기본구상

입안 · 검토

기본구상 입안 ∙ 디자인 모티브를 근거로 한 교량형식 선정검토 ∙ 랜드마크의 시인성, 보행 교량의 기능, 주변경관 조화

기본구상 평가 ∙ 기본구상에서 입안한 다수 안에 대한 평가 ∙ 측면 형상, 역학적 합리성 측면 반영

기본형상

입안 · 검토

비교 안 작성

방침 설정 ∙ 측면 형상, 리브의 배치, 경사, 곡면형상 등

기본형상

비교 안 작성 ∙ 각 비교 항목에 대한 상세검토

기본형상

결정

비교 안 평가 및

후보 안 설정

∙ 각 비교 항목에 대하여 모든 단계에서 입안하여 비교 안을

평가하여 후보 안 선정

·

세부디자인

입안 · 검토

세부디자인

방침 설정

∙ 일반적 교량시설의 검토와 병행하여 검토 ∙ 발코니, 교량부재단면, 난간디자인, 보차도 분리책, 보도포장

디자인

세부디자인

비교 안 작성 ∙ 교량의 발코니, 아치리브 단면, 난간디자인(안), 분리책(안) 등

세부디자인

결정

비교안 평가 및

후보 안 선정

∙ 발코니, 아치리브 등의 단면선정결과를 평가항목별 제시 ∙ 기타 교량시설의 디자인 결정은 실시설계에서 반영

선정 안의 치수화 ∙ 평면도, 종단면도, 표준단면도 등의 상세 치수화

<표 2.5> 설계단계별 검토내용

제16편 도로 경관

725

2.3.3 교량 경관의 검토

교량 경관 검토에서는 구체적인 교량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교량 계획지점의 가설 조건을

반영하여 비교 가능한 교량 형식을 선정하고, 사례 분석과 경관 스케치를 수행하여 경관

· 구조 · 경제성의 관점에서 상대 비교하여 후보 교량 형식을 선정한다.

<표 2.6> 가설 조건 및 주변 상황 검토

구 분 항 목 검 토 내 용

가설 조건

진 입 로

∙ 접속도로에서 교량 안으로의 완만한 유도 ∙ 아이스톱이 되는 시선유도 요소를 살린 진입로 ∙ 진입부의 시계확보를 위한 경관 계획

교각 설치 조건 ∙ 수위 변화를 고려한 상 · 하부공의 밸런스 유지 ∙ 수환경, 경제성, 구조적 측면을 고려한 저수로 회피

주변 상황

조망 포인트 ∙ 계획도로 지점에서의 시점 포인트 검증 ∙ 주변의 산지와 하천, 호수에 의한 경관변화

경관 검토 시점 ∙ 교량이 가장 아름답게 보여지는 시선입사각 검토 ∙ 자연스러움을 느끼는 시야와 공간적 여유 등

교량 경관 검토는 2단계로 구분하여 비교 가능한 후보 교량 형식을 비교 · 분석하여 상세

검토 대상이 되는 후보 안을 선정하고, 기본적인 디자인을 정리한 후 경간 비율의 구조 ·

연속 경관 · 내부 경관에 대한 상대 비교를 거쳐 최종 후보 교량 형식을 선정한다.

<그림 2.8>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생태축을 확보한 교량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26

<그림 2.9>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랜드마크적 교량

2.3.4 디자인 검토

최종 후보 교량 형식으로 선정된 교량의 주탑, 교각, 교대, 전망 공간 등의 주요 구조물과

난간, 조명 등 부속시설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적용 안을 제시 하여 비교 · 분석을 수행한 후

최종 디자인을 선정한다.

<표 2.7> 최종 교량 형식의 디자인 검토

구분 항 목 세 부 검 토 내 용

주탑

주탑 구조 형태안 선정 지역의 특징, 역학적 구조미, 전체 균형(Balance)

주탑 디자인 형태 선정 자연 경관, 산맥 형성, 심리적 이미지, 역학적 흐름

주탑 디자인의 전개 대상 교량의 테마, 수위 변화의 대응, 이미지 표현

교각

교각 내부 이미지 주탑 디자인과 조화되는 형상, 풍경에 조화되는 형상

교각 외부 이미지

교각 상부의 내부 경관 반영, 환경친화적인 조명 디자인,

생태계를 고려한 조명

수위 변화와 교각 형성 수위변화에 따른 교량비율 영향, 홍수 · 갈수 시의 균형(Balance)

난간

자동차로부터 시계 보도 공간의 안정성과 조망성,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 경관

벽 난간에 의한 수평라인 강조

난간과 저판 폭의 분리 여부

보행자에서의 시계 보행자 안전, 보행자 조망권 확보

기타 조명 디자인, 전망 공간 디자인, 재질, 표면처리, 색상 등

제16편 도로 경관

727

구 분 검 토 내 용 디 자 인

자동차(운전자)

로부터의 시계

주행자동차에서 조망을 확보하고 보행자

가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보도 공간 ∙ 보행 안전도 제고 ∙ 보도 공간 조망권 확보 ∙ 유니버셜 디자인

보행자로부터의

시계

보도 공간, 전체의 여유 확보로

조망권과 심리적 안정감 확보 ∙ 발 밑의 보호 ∙ 어린이의 안전한 높이 확보

<표 2.8> 난간 디자인의 검토

2.4 터널 계획

터널 경관은 도로를 따라 터널로 이동하며 발행하는 심리적 문제와 도로 안전상의 문제가

경관 형성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행 시 새로운 폐쇄 공간을 겪으면서 느끼는

압박감과 긴장감이 발생한다.

따라서, 터널 경관 계획에서는 이러한 심리적 완화와 조명시설, 명순응, 암순응 등 도로 안전

상의 문제를 통합하여 고려해야 한다.

또한, 터널은 주행하면서 일정시간 동안에 동일한 장면을 원경 · 중경 · 근경으로 접근하며,

거리에 따른 차이를 느끼는 특성이 있다.

<표 2.9> 터널의 거리에 따른 지각 내용 변화

거리 구분 지각 내용 변화 비 고

원경 ∙ 도로, 터널, 주변 경관 전체가 일체로 지각 ∙ 터널 전체와 배경과의 관계로 인식

1 km 이상

중경 ∙ 터널과 주변 경관이 상호 관계로 지각 ∙ 구조물의 일부가 전체로 인식

500 m 내외

근경 ∙ 터널 입구부 갱문의 상세한 부분이 지각 ∙ 디테일한 표면의 소재감, 표현

100 m 내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28

2.4.1 계획 방향

터널 경관 계획 시 진입 공간은 도로의 연장선상에서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이용자들의 경관

측면과 교통안전 측면을 고려하여 강한 호기심이나 눈길을 끄는 특징적인 요소의 도입은 운전

자의 시선을 끌어 안전한 주행을 저해하는 장애 요소가 되므로 피하도록 한다.

터널 경관에 지역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입구 부분의 근경에 상징적 형태를 도입하기 보다는

터널로 접근하는 원경 또는 중경에 거점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또한 , 터널 입구는 자동차 주행 시 위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입구 주변의 자연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형태를 계획하며, 주변의 노출 벽면은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2 터널 경관의 설계 절차

터널의 갱구부는 도로 이용자에게 주행상 위화감이나 불안감을 주지 않도록 외부 경관 측면

에서 주변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입구 형식이나 재질, 벽면의 표면 처리 등에 대하여

고려한다.

터널 구조상의 특성을 살려 내부 공간의 압박감 등을 가능한 한 경감하도록 하고, 단면 형상

· 벽면 처리 · 지주 배치 간격 · 형상 · 조명 등에 대하여 고려한다.

설계 테마 설정에 있어서는 터널 내의 자연스런 시선 유도 · 조명 효과와 소음에 대한 소음

흡수방안도 고려되어야 하며, 유지관리와 방재시스템과의 연계성도 검토한다.

특히, 도심 구간에서 대형 공연장이나 주요 민감 시설물에 근접하여 하부로 통과하는 경우

진동과 소음에 대한 대책공법과 시공방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표 2.10> 설계단계별 검토내용

구 분 분 야 검 토 내 용

·

설계 과제 추출

기능적 측면

∙ 조명효과 검토 및 내장 디자인 위치 설정 ∙ 조명효과 제고로 터널 내 양호한 시야 확보 ∙ 터널 벽면의 일관성 있는 미관 조성 ∙ 터널 내부 소음흡수 시설

경관적 측면 ∙ 운전자의 동선상 시점에서 보이도록 내장디자인 계획 ∙ 터널 내 설치기기의 소재인식 명확화

기술적 측면 ∙ 터널구조 측면, 유지관리 측면 과제 ∙ 유지관리 용이성, 터널 내 경관 등

설계 테마 확립 설계 테마 설정 ∙ 터널 내 시선유도, 소음흡수, 조명효과 ∙ 유지관리 용이성, 터널 내 경관 등

기본구상

입안 · 검토

기본구상 입안 ∙ 내장처리공법, 구조형태에 대한 선정 ∙ 직접처리공법, 패널공법 등 공법 검토

제16편 도로 경관

729

<그림 2.10> 지역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터널 갱구

2.4.3 디자인 방안

터널의 계획 시에는 도로의 선형, 산악의 지형, 환경, 지장물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

터널의 위치 선정이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산지부 터널은 자연 경관이 우수한 장소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터널 입구나 수직 옹

벽부 등은 주변 경관에 대한 기능적, 미적인 배려가 디자인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방침으로서 식재의 적극적 도입을 통한 자연의 회복과 조화, 진입 저항을 경감시

키기 위한 자연스런 진입 유도와 명순응 · 암순응 영향 감소, 터널 갱구 주변 전체의 균형

있는 미관을 연출토록 한다.

갱구 형식에 따른 경관 분석은 갱구 주변의 지형과 조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식을 검토

한다.

구 분 분 야 검 토 내 용

·

세부 디자인

입안 · 검토

세부 디자인

방침 설정

∙ 요구되는 기능, 목적, 추가가치 ∙ 기본형상, 수치, 재료 및 시공방법 확정

세부 디자인

비교안 작성

∙ 주재료에 대한 경제성, 시공성, 내구성 등 ∙ 타일형상, 치수, 접착제, 시공방법 등

세부 디자인 결정

비교 안 평가 및

후보 안 선정

∙ 패널 본체의 표준치수, 내화성능, 강도 등 평가 ∙ 타일규격, 색조, 반사율, 광택도, 줄눈면적 등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30

경관 구분 디자인 방침

내부 경관

∙ 주행 중 지역성 및 위치성의 인식 ∙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인식성 확보 ∙ 운전 중 시상 정보를 오해하거나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경이 되는 풍경을 고려하고

일체화될 수 있는 경관 창출 ∙ 지나친 통일성으로 경관이 획일적으로 되지 않도록 변화 시점마다 경관적 변화 유도 ∙ 자연석, 자연 식재 등 주변 재료를 이용하여 자연 조망을 받아들이는 경관 창출 ∙ 시간의 변화와 함께 운치있는 경관 조성 ∙ 연속 터널 계획 시 운전자 시점에서 주행시간에 따른 연속 경관 인식성 고려 ∙ 명암순응을 고려한 터널 갱구 계획 ∙ 원경, 중경, 근경을 고려한 디자인 창출

외부 경관

∙ 수려한 산수를 관망하는 관광객 및 등산객의 시점 인식 ∙ 연도 이용자, 지역 주민들의 시점에서 경관성 배려 ∙ 터널, 교량 등 도로 시설의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횡단 형상 창출

생태계 ∙ 산악지형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 ∙ 기존 서식식생을 식재하여 자연스러운 경관 조성과 생태계 복원

<표 2.11> 경관 구분에 따른 디자인 방침

<그림 2.11> 갱구 형식에 따른 경관 상태

제16편 도로 경관

731

2.4.4 피암터널

피암터널은 산지부에 낙석방지, 비탈면 붕괴방지, 눈사태방지를 목적으로 대규모 땅깎기 구

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터널 입구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터널의 중간부도 주요한

경관대상이 되므로 구조물 전체가 자연경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형상, 디자인, 색채에 대

한 배려를 한다.

터널 입구와 중간 구간의 구조물은 바깥쪽 벽면의 휘도를 억제시켜 눈에 띄지 않게 하고,

계절마다 바뀌는 경관 변화와 조화되도록 한다.

피암터널 상부는 인위적으로 비탈면을 형성하여 천장 상부의 토사가 땅깎기면 상부의 경사

면과 일체가 되는 비탈면으로 계획하여 식재처리를 하여 자연성을 회복시키고, 도입되는 식

생은 기존 식생과 조화되도록 선정한다.

피암터널은 주행하면서 지주 사이로 외부조망이 가능하며 경쾌하면서 동적인 속도감을 강

하게 받는 공간연출이 가능한 형태로 피암터널의 천장을 조금 높게 하고, 터널의 폭을 여유

있게 확보하거나 기둥간격을 넓혀 주어 측방 개구부의 면적을 확대하여 조망권 확보와 채광

량 증가를 도모하도록 한다.

<그림 2.12> 주변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피암터널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32

대규모 땅깎기 피암터널 설치

<그림 2.13> 피암터널 설치에 따른 땅깎기 높이 감소 효과

2.5 비탈면의 경관 계획

2.5.1 비탈면 경관의 특성

도로에서 비탈면이 경관적으로 영향이 큰 것은 비탈면의 크기와 높이, 지대한 비탈면이 연

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며, 절취 비탈면의 연속은 윗부분의 자연지형이나 자연식생과의

불연속에 의하여 경사 어깨부분의 윤곽선이 잘 드러나 보이고, 동일한 비탈면이라도 비탈면

의 입지조건이나 주변 경관과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비탈면은 지형을 변화시키는 도로구조로서, 자연의 부정형 형태를 취하는 주변 지형과 평탄

하게 성형된 경사면 사이에는 시각적 위화감이 발생되며, 비탈면의 규모가 커질수록 위화

감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비탈면과 지형의 시각적 위화감을 완화하는 방안이 고려되

어야 한다.

2.5.2 비탈면 경관 설계

비탈면 경관 계획의 시작은 비탈면의 출현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노선 선정 단계에서 규모

가 큰 비탈면이 발생되는 지역은 우회하거나 선형 설계 단계에서 비탈면 발생이 억제되는

선형을 모색하거나 고저 분리를 검토한다.

도로 구조의 선택단계에서는 땅깎기를 대체하는 터널, 흙쌓기를 대체하는 교량 등을 검토하

여 비탈면과 구조물이 지역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도록 하며, 비탈면의 분할 · 축소

· 기울기의 조화 · 라운딩 · 녹화공법으로 주변과 일체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제16편 도로 경관

733

비탈면의 경관 검토 ∙ 지역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비탈면의 모색

∙ 대규모 비탈면 발생을 피하는 노선선정 ∙ 비탈면 발생, 억제 가능한 형태의 선형 ∙ 비탈면에 대체하는 도로 구조의 선택 ∙ 비탈면을 축소하는 고저분리의 검토

비탈면의 발생 억제

∙ 라운딩, 그레이팅에 의한 비탈면 기울기 완화 ∙ 계곡형태의 조성 검토 ∙ 면 고르기와 암반 비탈면 노출 조성

지형에 조화되는 비탈면

∙ 주변 생태계와 조화되는 식생공의 선택 ∙ 친환경적 사용재료의 검토 ∙ 일정구간 수림화 계획 검토

비탈면의 자연복원과

지역환경 향상

∙ 처리공법 및 녹화공법 검토 ∙ 적용공법의 통일 ∙ 녹지에 따른 보완 ∙ 비탈면 주변 녹지의 확충

비탈면 처리공법

<그림 2.14> 비탈면 경관의 단계별 검토

2.5.3 비탈면 경관 계획 기법

비탈면에 대하여 적절한 식생공의 선택을 검토하여 자연 복원과 지역 경관의 향상을 염두에

두고 수림화를 추진하며, 최종적으로 주변 공간의 녹화를 충실하게 하여 비탈면이 발생하는

공간의 전체적인 경관 향상을 고려한다. 흙구조의 비탈면은 자연 식생의 침입에 의하여 자

연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역 환경과 경관이 보전되게 된다. 그러나 비탈면

형태에 경관적인 훼손이 있으면 문제가 있으므로 식생의 침입이 곤란한 비탈면 발생은 곤란

하므로 비탈면의 조성 검토가 경관 정비의 중요한 과제가 된다.

한편, 비탈면의 경관 계획 기법별 적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34

<그림 2.15> 비탈면 기울기 완화로 시각적 개방감 확보

<그림 2.16> 라운딩에 의한 연속적인 깎기부 출현 완화

<그림 2.17> 비탈면의 암반 경관

제16편 도로 경관

735

<표 2.12> 비탈면의 경관 계획 기법

구 분 적 용 기 법

비탈면의 분할

∙ 폭이 넓은 도로를 방향별로 고저 분리하여 비탈면 발생 축소 ∙ 휴게시설 조성 시 계단식 부지 조성으로 토공량 감소 ∙ 비탈면 끝에 허리쌓기를 병용하여 비탈면 면적 축소 ∙ 고가구조로 하여 교각 부분만 땅깎기 · 흙쌓기 처리

비탈면의

기울기 완화

∙ 경관이 중요시 되는 지역에서는 토공량이 증가하더라도 용지폭을 확보하여 완만한

기울기로 조성 후 식재 반영 ∙ 도로의 종단방향에 급비탈면, 중비탈면, 완비탈면이 연속적으로 조성되면 전후에

급한 기울기의 중비탈면은 실제보다 완만하게 인식 ∙ 소단을 적절히 반영하여 비탈면이 완만하게 인식되도록 조성

라운딩 효과

∙ 비탈면이 접속면과 굴절 없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효과 발생 ∙ 원경에서부터 전망이 좋은 구간, 완만한 구릉지 내에서 효과 상승 ∙ 비탈면 전체에 걸친 전반적 라운딩 실시로 효과 제고

경관 식재

∙ 조성 직후 열악한 환경조건 발생을 고려하여 튼튼하고 성장이 빠르며, 조기 전면피복이

확실한 수종 선정 ∙ 땅깎기면에서는 상반부, 흙쌓기면에서는 하반부 식재가 효과적 ∙ 수목을 부등 간격의 집단형으로 군식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유도 ∙ 다양한 경관 조성으로 인공식재 느낌을 최소화

2.6 출입시설 계획

2.6.1 인터체인지(I.C)

인터체인지는 고속국도 내 · 외부로의 진 · 출입 또는 차로 변경 전이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지역적 지표성을 표현하고 있다. 고속국도와 지역과의 직접적인 접점으로 기능하는 인터체

인지는 각종 산업을 유치하는 면에서도 지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통과교통에 대해서도

이정표 요소를 가진 중요한 시설이므로 인터체인지의 경관 계획은 지역과의 접점이고 고속

국도의 한 구간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인터체인지의 설계방향은 지역의 진 · 출입 관문으로 지역성 표현, 주행차량의 진 · 출입 지

표기능 표현, 기능적이며 미적인 공간조성, 진 · 출입 연결로별 경관과 전체경관의 통일성,

생태적 기능에 두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자연보존과 생태적 측면의 식재뿐만 아니라 지역

의 역사 · 문화 · 전통과 환경을 고려하고, 장소성을 감안한 식재 · 시설물의 조형적 접근방

법도 고려한다.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36

2.6.2 경관 식재의 적용

인터체인지에 요구되는 경관 식재는 시선유도, 완충, 차폐, 경관 조화, 지표, 생활환경 조화

기능을 가진다.

<표 2.13> 경관식재의 기능별 분류

식재기능 적용방법 장소

시선유도기능

진·출입 구간과 같이 원형으로 굽은 선형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진출입 루프 연결로 외측

완충기능

본선 하부를 지나는 교각처럼 구조물이 주는

불안감과 딱딱함을 수목으로 완충시키도록 한다.

교각 차폐지점

차폐기능 시야에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불량 경관을 가려준다. 교각 차폐지점

경관조화기능

도로 개설로 인하여 이질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경우에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루프 연결로 내측

지표기능

지역의 특이한 자연환경, 역사, 전설 등을 소재로

하여 운전자에게 지역성을 쉽게 파악하도록 한다.

인터체인지 입구 분기점

생활환경 조화기능

차량의 소음, 매연, 불빛 등으로 인하여 주변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지점에

식재하여 주민의 생활환경을 보호한다.

주거지역 주변 생활환경 보전지역

2.6.3 인터체인지의 내부 경관 계획

인터체인지 루프 연결로 내부의 비탈면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라운딩이나 그레

이딩을 적용하여 비탈면 접속면을 완화시키고, 완화면 전 구간에 식재를 하여 기존 지형이

나 식생과 조화를 도모해야 한다.

인터체인지는 주변 지역과의 유일한 출입구가 되기 때문에 지역 경관과 기하구조적으로 구

축된 도로의 경관적인 연속성을 확보하고 조화를 갖기 위하여 경관식재가 매우 유용한 방안

이 된다.

또한, 인터체인지의 요금소 주변부는 차량의 정체와 정차, 출발이 거듭되므로 배출가스나

매연의 비산방지를 위하여 밀도 높은 식재가 필요하다.

2.6.4 인터체인지의 외부 경관 계획

고속국도를 주행하는 대부분의 운전자는 이정표보다는 주변 환경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를

제16편 도로 경관

737

파악하게 되므로 고속으로 운전 중인 운전자는 멀리서도 인터체인지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지표로서 높은 나무를 식재하거나 지역성을 살리기 위하여 그 지역

의 특징 있는 수목을 사용하여 강조한다.

연결로 구간은 평면곡선반지름이 작기 때문에 길어깨에 시선유도식재를 하거나 완충을 목

적으로 한 식재를 하며, 주변부에 조화되지 않는 구조물 등이 있는 경우는 차폐식재를 고려

한다. 또한, 요금소의 주차장이나 버스정류장의 도로 주변에 수목을 식재하여 녹음을 증가

시켜 대기오염과 소음발생을 저감하며, 생활환경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관 향상 기능을 도

모한다.

<그림 2.18> 지형 훼손을 최소화한 입체교차시설 설치

2.6.5 인터체인지의 식재 계획

인터체인지 루프 연결로 내에는 지피식물로 전면을 피복하고 연결로를 따라서는 시선유도

· 완충 등의 기능 식재를 하며, 지역 특성을 나타내는 수종이나 식재 형식으로 계획한다.

또한, 합류부에서는 시야 확보를 위해서 키 큰 수목을 식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 계획 시에는 수목의 유지 관리를 고려하며 적설지방은 제설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계획하고, 기존 수림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보존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한다.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38

생태수림대(군락 또는 군식)

생태수림대(군식)

유도식재

지표식재 지표식재

교각차폐식재 유도식재

지표식재

생태수림대(군식)

생태수림대(군식)

방음벽 전·후면 식재

<그림 2.19> 인터체인지 식재 개념도

<그림 2.20> 경관식재를 적용한 훼손지 복원

<그림 2.21> 유출 연결로 접속부

제16편 도로 경관

739

<그림 2.22> 유입 연결로 접속부

2.7 휴게소시설 계획

2.7.1 휴게소 경관 계획의 개념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국도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폐쇄적인 이동공간으로 자동차의 좁은

공간 속에서 장시간 고속주행에 따른 운전자의 심리적, 생리적 긴장감이 높아짐에 따라 주

행 안전성과 쾌적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 구간마다 휴식이 필요하며, 자동차의 안전성 점검과 주유를 위한 수리 · 점검

시설과 주유시설이 확보되어야 한다.

휴게시설은 서비스 지역(service area)과 주차 지역(parking area)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지역에 설치되는 시설은 다음과 같다.

<표 2.14> 휴게시설

구분 설치시설

서비스 지역 ∙ 자동차 : 주차장, 녹지, 화장실, 주유소, 정비시설 등 ∙ 이용자 : 식당, 매점, 편의시설, 체육시설, 녹지, 화장실 등

주차 지역 ∙ 주차장, 녹지, 편의시설 등

테마공원 지역 ∙ 휴게시설, 문화시설, 경관시설, 체육시설 등

휴게시설 계획에서는 뛰어난 경관 자원이나 주변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한다.

예를 들면 바다, 호수, 하천, 산림, 산악, 전원 등의 파노라믹한 경관을 차경으로 이용함으로

써 휴게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40

2.7.2 시설 배치 계획

휴게소는 노선의 성격, 휴게시설의 요구도, 현재 및 장래의 이용 현황 등을 분석하여 계획토

록 하며, 각각 부지의 경관 자원, 환경과의 조화, 침식방지 등도 충분히 고려한다. 그 지역의

기존 수림 · 지형 · 수자원 등은 적극적으로 보존하여 시설 배치 시 이를 감안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선정하고 주변 풍경과의 조화를 꾀하며, 건축시설 및 구조물 등이 자연경관 속에서

위화감을 갖지 않도록 한다.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이나 전망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설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 전망 우수지역, 가용지가 적은 경우

∙ 경사지의 지형을 활용한 계단식 휴게소

∙ 경사면에 휴게소를 설치하여 전·후 접근성 제고

<그림 2.23> 휴게소 배치의 단면 개념

제16편 도로 경관

741

휴게소 내에 시설배치 계획 시에는 사람과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고, 쾌적한 이용과 휴식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 본선과는 구분된 공간이 필요하며,

정적 휴식공간 외에도 레크레이션 기능을 가진 광장이나 운동 공간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휴게 효과를 높인다.

자동차를 위한 서비스 시설은 이용자 동선과 분리 배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는 평면적

분리만이 아니라 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한 수직적 분리를 고려한다.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시설은 주차장에서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고 각기 유기적으로 연결되

는 것이 좋으며, 휴게녹지는 건물의 후면부 보다는 가급적 전면부에 배치하여 이용과 휴게

효과를 높인다.

2.7.3 식재 계획

<표 2.15> 식재 기능 및 적용

식재 기능 적용 방법 장소

유도 ∙ 가 · 감속 구간 유도식재로 시계를 좁혀 운전자에게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식재

진 · 출입부

차폐, 녹음, 방음 ∙ 본선과 휴게소 사이의 분리 녹지대는 차폐, 녹음 및 방음식재,

상록 · 낙엽교목 위주의 식재

본선

분리녹지대

조화 ∙ 주위 공간과 조화되게 식재 ∙ 계절감 부여

건물 주위

녹음 ∙ 자동차 및 이용자를 위한 녹음 기능 제공과 계절감 부여 ∙ 낙엽 · 활엽교목, 독립수

녹지섬 및 보도

차폐, 침입방지,

자연환경조화

∙ 휴게소 부지 내 및 본선으로의 출입을 방지하는 식재 ∙ 지역 특성, 주위 경관과 조화식재 ∙ 경계부 생울타리, 덩굴식물

휴게소 경계부

녹음, 경관 ∙ 이미지 제고를 위한 경관식재 및 녹음식재 ∙ 향토 수종 및 대형 녹음수

휴게 공간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42

<그림 2.24> 풍부한 녹음을 테마 요소로 도입한 휴게소

<그림 2.25> 휴게소 식재 개념도

제16편 도로 경관

743

<그림 2.26> 지역 특성을 반영한 휴게소

<그림 2.27> 주변 풍경과 조화된 휴게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5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5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67
235 고속도로 BIM 데이터작성기준_2020_2장 배수 및 옹벽공사 file 황대장 2021.01.27 776
234 고속도로 BIM 데이터작성기준_2020_1장 토공사 file 황대장 2021.01.27 822
233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터널분야_01도면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78
232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터널분야_00목차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58
231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4부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3851
230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3하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10348
229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2상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74
228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1공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01
227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5부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00
226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4포장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67
225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3배수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32
224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2토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38
223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1공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33
222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0목차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00
221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20 815
220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4.기존 도로의 경관 개선 file 황대장 2021.01.20 793
219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3.경관 설계 절차 file 황대장 2021.01.20 1002
»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2.경관 계획 file 황대장 2021.01.20 871
217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20 866
216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5편 환경친화적 도로건설_4.환경친화적인 도로 노선선정 file 황대장 2021.01.20 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