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5-6_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 방안
2024.06.27 15:42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4
5-6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 방안
설 계 처-2975
(2013. 10. 7)
I 검토목적
□ 하중이나 부재의 형태가 불연속적이며 평면유지의 법칙이 적용
되지 않는 응력교란영역(D영역6)) 설계에는 일반적인 보 이론이
적용되기 어려워, 복잡․조밀한 철근 배근으로 시공성이 저하됨
□ 新설계기술인 스트럿-타이 모델을 도입하여 경제성, 안전성,
및 합리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를 유도하고, 우리 공사
기술 위상 제고 및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기술 축척 도모
Ⅱ 현 설계기준
□ 국내 기준
o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 깊은보의 휨,압축(6.3.4), 전단(7.8.1)에 대하여 비선형 변형률 분포를
고려하거나 스트럿-타이 모델에 따라 설계하여야 한다.
- 브래킷, 내민받침(av/d≤2)에 대한 전단설계(7.9.1)에는 스트럿-
타이모델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 교각 코핑부는 스트럿-타이 모델(2011년 이후) 적용중
o 도로교 설계기준(2012)
- 부재의 응력교란영역의 설계(5.5.5)를 위하여 스트럿-타이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6) D영역(Disturbed region) : 집중하중에 의한 하중 불연속부, 단면이 급변하는 기하학적
불연속부 그리고 보이론의 평면유지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영역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5
□ 국외 기준
구 분 미 국 유 럽
시방기준 AASHTO LRFD 2010 ACI318-08 EuroCode 2
내 용
집중하중 작용점, 비
선형부 등 D영역에
대하여 스트럿-타이
모델 검토
기존 경험식에 의존
하던 깊은보 전단설
계방법을 스트럿-타이
모델로 대체
연속응력부 극한한
계상태, 비선형 변형부
등 스트럿-타이 모델
검토
적용부재
깊은보, 파일캡,
브라켓 및 코벨 등
깊은보, 코벨, 보-기둥
접합부, PSC 정착부,
교각 코핑부 등
깊은보, 내민받침,
파일캡, 코벨 등
Ⅲ 적용방안
【 스트럿-타이 모델 해석 적용 】
□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 타당성
o (기본개념) 응력흐름이 균일하지 않은 응력교란구간(D영역)을
해석․설계하는 트러스 모델
o 스트럿(strut) : 프리즘 모양 또는 부채꼴
모양의 압축응력장을 이상화한 요소
o 타이(tie) : 인장력 전달요소
o 절점영역(nodal zone) : 스트럿과 타이의
힘이 절점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절점의 유한 영역
o (기본원리) 스트럿, 타이 그리고 절점의 강도와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정역학적 시스템으로 휨, 전단, 축력의 모든 하중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여
일관성을 확보함
o (적용성 검토) 교량에서 D영역 부재인 말뚝기초, 코벨, PSC 거더
정착부, PSC 박스거더 정착부에 대하여 구조해석 시행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6
o 부재별 적용도
구분 힘의 흐름도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도
말뚝
기초
코벨
PSC
I거더
정착부
PSCB
정착부
코핑부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7
【 부재별 적용성 검토 】
□ 말뚝기초
o 대상 : T형 교각 기초(6×6m), 말뚝(4×4)
o 검토결과, 기초 주철근량 0.6톤(13%) 감소
기존 설계방법 개선방안
하부 주철근 : 3.506ton
상부 주철근 : 1.111ton
계 : 4.617ton
하부 주철근 : 3.065ton(Δ 13%)
상부 주철근 : 0.952ton(Δ 14%)
계 : 4.017ton (Δ 13%)
□ 코벨
o 대상 : 교대 접속슬래브 헌치
o 검토결과, 코벨 주철근량 0.104톤(12%) 감소
기존 설계방법 개선방안
코벨 주철근 : 0.760ton
수평전단철근 : 0.097ton
계 : 0.857ton
코벨 주철근 : 0.656ton(Δ 14%)
수평전단철근 : 0.097ton( - )
계 : 0.753ton (Δ 12%)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8
□ PSC계열 거더 정착부
o 대상 : PSC거더(L=30m)
o 검토결과, 거더 단부 보강철근 0.155톤(15%) 감소
기존 설계방법 개선방안
수직 전단철근 : 0.302ton
수평 전단철근 : 0.168ton
배면 보강철근 : 0.056ton
계 : 0.526ton
수직 전단철근 : 0.255ton(Δ 16%)
수평 전단철근 : 0.137ton(Δ 18%)
배면 보강철근 : 0.056ton( - )
계 : 0.448ton (Δ 15%)
□ PSC 박스거더 정착부
o 대상 : PSC 박스거더(B=18.2m, H=3.5m)
o 검토결과, 박스 단부 보강철근 3.319톤(19%) 감소
기존 설계방법 개선방안
수직 전단철근 : 6.587ton
수평 전단철근 : 12.251ton
배면 보강철근 : 0.228ton
계 : 19.066ton
수직 전단철근 : 4.875ton(Δ 26%)
수평 전단철근 : 10.644ton(Δ 13%)
배면 보강철근 : 0.228ton( - )
계 : 15.747ton (Δ 17%)
□ 교각 코핑부
o 대상 : T형 교각(설계처-1361, 2011.06)
o 검토결과, 코핑 철근량 0.821톤(11%) 감소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39
【 결론 및 기대효과 】
□ 스트럿-타이 모델 적용은 힘의 흐름에 따른 합리적인 설계로
기존 설계법보다 철근량이 11~17% 절감되어 경제적인 설계
가능
□ 교량별 하중조건, 부재 형상 등의 설계조건과 경제성을 비교
검토 후 설계 적용
□ 현 설계노선 적용시 공사비 약 30억원 절감 예상
o 대 상 : 함양~울산 등 5개 노선
Ⅳ 향후 추진계획
□ 적 용
o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향후 추진 계획
o 설계 Check List 스트럿-타이 모델 검토 항목 신설
o 스트럿-타이 모델 설계 적용을 위한 교육 시행 : 2013. 11월
- 대 상 : 공사 및 설계용역사 직원
붙 임 : 1. 스트럿-타이모델 설계 절차
2. 부재별 검토 결과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40
스트럿-타이 모델 설계 절차
설계대상 영역 선정
깊은 보, 내민받침
PSC 정착부, 교각 코핑부
초기조건 결정 설계하중, 지점조건
유한요소 구조해석
(주응력 흐름 검토)
MIDAS CIVIL, SAP 2000
스트럿-타이 모델 선정
균열양상과 철근의 배근
상황을 고려하여 선정
스트럿과 타이의 필요단
면적이 설계대상영역의
스트럿-타이모델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요소의 최대
허용단면적을 만족하는지
검토 필요
NO 스트럿, 타이
유효강도 검토
YES
NO 절점영역은 스트럿 및
타이의 설계단면력을
전달함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지 검토 필요
(
)
절점영역의
강도 검토
YES
필요철근량 산정
설계도 작성 및 물량산출
붙 임 #1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구조물공사
241
붙 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