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5-11_지하박스 구조물 설계 개선방안
2024.10.30 10:37
278 ❙ 구조물공
511
구조물공
지하박스 구조물 설계 개선방안 기술심사처-2695
(2015.11.23)
1 검토목적
최근 도심지 지하공간 활용 등으로 증가 추세인 지하박스 구조물에
대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단면설계 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지하박스 구조물 설치사례
․ 설계 : 동탄지구 경부고속도로 직선화공사,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제물포터널,
서부간선지하도로 등
․ 계획 :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만덕-센텀지하도로(부산시), U-Smart Way(서울시) 등
2 현 설계 실태
□ 지하박스 구조물의 특성
구 분 내 용
특 성
․ 단면 결정하는 주요 하중이 토피하중, 토압, 구조물 자중 등 상시
사하중으로 상부하중 변동요인이 작음
☞ 토피고 3.0m인 경우 상부토피 하중의 크기과 연직하중의 비율이
약 7 : 3이며, 토피가 깊어질수록 연직하중 비율이 높아짐
․ 일반적으로 넓은 폭원(다차로 형태의 박스구조)으로 휨지배 거동
특성을 보이나, 벽체 등 연직부재에는 상대적으로 큰 축력 작용
☞ 계수하중(Pu)은 공칭 축하중 강도(Pn)의 약 10~20% 내외
단 면 형 상
구조물공 ❙ 279
구조물공
□ 슬래브 및 벽체의 설계
o 슬래브 및 좌․우측 벽체는 휨부재 검토, 축력지배인 중앙벽체는
휨․압축부재 검토
구 분 검토조건 검토방법
상 ․하 부 슬 래 브 휨 부 재
‧Mu < ΦMn(휨검토)
‧Vu < ΦVn(전단검토)
좌 ․ 우 측 벽 체 휨 부 재
‧Mu < ΦMn(휨검토)
‧Vu < ΦVn(전단검토)
중 앙 벽 체 (기 둥 ) 휨‧압축부재
‧Mu < ΦMn(휨검토)
‧Pu < ΦPn(축력검토)
‧Vu < ΦVn(전단검토)
※ 관련 기준(콘크리트 구조기준 6.2.2.(5))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로서 계수축력이 0.10fckAg
보다 작은 경우 축력의 영향을 무시하고 휨부재로 취급하여 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3 문 제 점
□ 좌․우측벽체 축력 미고려에 따른 단면 증대 불가피
o 일반적으로 휨에 의한 인장지배 단면은 순수 휨부재 설계시 보
수적인 설계가 가능하며 설계방법 간단
o 반면, 인장지배 영역에서 축강도(ΦPn)와 휨강도(ΦMn)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단면 증대 등 경제성 저하
※ 축강도(P)-휨강도(M) 상관관계
P-M 상관도
압축지배
영역
인장지배
영역
균형단면
(인장지배영역)
·균형편심() 이하의 축력에서는
→ 까지 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280 ❙ 구조물공
4 휨․압축부재 적용성 검토
□ 검토 방법론
o 박스형태의 단면을 갖는 지하차도, 지중 함형라멘 등 적용 사례조사
o 토피고를 변수로 하여 휨․압축부재 설계 시 효과 검증
□ 지하박스 구조물 벽체 휨․압축부재 설계 사례
o 도로시설물 : 서부간선지하도로, 제물포터널 등
구 분 휨부재 설계 휨·압축부재 설계
서부간선
지하도로
1련BOX벽체
(토피고 14.0m) ∙철근량 : 23.5 ton/m ∙철근량 : 20.7 ton/m
2련BOX벽체
(토피고 8.8m) ∙철근량 : 11.1 ton/m ∙철근량 : 10.7 ton/m
제물포터널 지하차도부 ∙벽체두께 : 1.3m ∙철 근 : 8,224ton
∙벽체두께 : 1.1m ∙철 근 : 7,440ton
o 철도 및 지하철 등의 지하박스 구조물은 휨·압축부재 설계 기적용
□ 적용성 검토결과
o 휨·압축부재 설계 시 단면 또는 철근량 축소 가능
o 토피고가 클수록, 지간장이 넓을수록 효과 증대
□ 설계자문 결과
o 자문위원 : 경북대 윤영묵 교수 등 5명
o 주요내용
- 지하박스 구조물 벽체의 휨·압축부재 설계적용 적정
- 벽체와 기둥 판별에 따른 적합한 구조세목 적용 필요
- 우각부 등 응력교란영역에 대한 설계방법 개선 필요
구조물공 ❙ 281
구조물공
5 개선방안
□ 지하박스 구조물 벽체 설계방법 개선
o (적용대상) 지하차도, 지중함형라멘, 암거 등 박스형 단면 벽체
o (기본원칙) 좌·우측 벽체 설계 시 휨·압축부재 설계 및 최신 설계
기준 적용을 통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유도
구 분 현 행 개 선
좌 ․ 우 측
벽 체
∙(축력검토 미시행) ∙Mu < ΦMn(휨검토) ∙Vu < ΦVn(전단검토)
∙Pu < ΦPn(축력검토) ∙Mu < ΦMn(휨검토) ∙Vu < ΦVn(전단검토)
o 휨·압축부재 설계 일반사항
- 단면 설계 전 벽체 또는 기둥 여부 판별 후 단면 특성에 적합한 구조
세목 적용(수평철근, 띠철근 관련 규정 등)
※ 판별조건 : 콘크리트 구조기준 11.2.(1)
․벽체 조건 : Pu ≤ 0.4 x fck x Ag 이고 수직철근량 As ≤ 0.01 x Ag
․기둥 조건 : 벽체 이외의 조건
- 암거 등 벽체 두께가 얇은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 단면만으로
전단에 저항할 수 있도록 계획
- 휨·압축부재 설계 시 균열 등 사용성 검토 시행
- 고정하중 감소 및 활하중 미재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하중
조합 포함
- 하중조합별 모멘트 및 축력을 P-M 상관도에 표기하되, 단면에
불리한 하중조합 선별적 표기
- 상재하중 재하전 측면토압이 크게 발생될 수 있는 지하 복층구조
등 특수한 구조물의 경우 시공단계 안정성 검토 추가
282 ❙ 구조물공
o 최신 설계기준(스트럿-타이모델) 반영
- 적용대상 : 벽체와 슬래브가 접합하는 우각부 등 응력교란 영역
※ 스트럿-타이 모델 (Strut-Tie Model)
스트럿(콘크리트), 타이(철근), 그리고 스트럿과 타이의 단면력을 받침부나 부근의
B영역(*)으로 전달시켜 주는 절점 등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부재 또는 D영역
(**)의 설계를 위한 트러스 모델
(*) B영역(Bernoulli or Beam Region)
보 이론의 평면유지원리가 적용되는 부분
(**) D영역(Disturbed or Discontinuity Region)
집중하중에 의한 하중 불연속 또는 단면이 급변하는 기하학적 불연속부 및 보 이론의
평면유지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영역
- 스트럿-타이 모델 예시【도로교설계기준 한계상태설계법(2015)】
구 분 닫힘모멘트 열림모멘트
내 용
기둥과 보의
깊이가 유사
기둥과 보의
깊이가 크게 다름
작은열림모멘트
(As/bh≤2%)
큰열림모멘트
(As/bh>2%)
구조물공 ❙ 283
구조물공
□ 기대효과
o 보수적인 설계 관행에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로의 전환
o 휨․압축부재 설계시 약 4~10%의 공사비 절감 효과
구 분
토피고1) H=5.0m 토피고 H=3.0m
지하차도 (양방향 4차로) 지중함형라멘 (8.0 x 5.2)
공사비2)
기존 12,043 천원/m 4,811 천원/m
개선 11,509 천원/m 4,410 천원/m
증 감
감 534 천원/m
(감 4.4%)
감 401 천원/m
(감 8.3%)
주1) 구조물 형식별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토피고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토피고가 클수록 휨
모멘트와 축력이 커지므로 휨․압축 부재 설계 시 절감효과가 큼
주2) 공사비는 제잡비를 제외한 직접공사비임
6 적용방안
□ 자체 및 수탁설계VE 검토 노선 : 본 방침 적용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붙 임 : 1. 구조물 형식별 Case-Study 결과 요약
2. 설계자문 주요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