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6-2 길어깨 포장 개선방안

설 계 처-1085

(2008. 4. 21)

 

 1. 검토목적

교통지정체 예상구간의 길어깨 활용 제고

긴급피난차량 이용에 따른 길어깨포장 파손방지

절토부 길어깨구간 주행안전성 및 시공성 확보

 

 

2. 설계기준

길어깨포장 관련 기준

 

구 분

교통량

포장두께

기 타

국내

도로포장설계

시공지침

(국토해양부, ’06)

-주행차로의 2.4%,

본선과 동일방법으로

두께산정

-아스팔트:510cm

-콘크리트:두께 15cm

 

-

도로설계편람

(국토해양부, ’00)

-주행차로의 2.4%,

본선 설계방법과 동일

 

 

 

-국도는 길어깨폭이

좁으므로 본선과 동일

하게 시공

-교통량 미고려시 SN

2.5기준

-기존도로 공용결과

본선보다 길어깨

파손이 많아 개선

필요

 

도로설계요령

(도로공사, ’02)

-

-아스팔트포장 :

SN=2.53.5(또는

TA=1520cm),

표층 7.5cm이상

-콘크리트포장 :

두께 15cm이상

-

해외

미 국

(미연방도로청)

-아스팔트포장 :

Mainline Traffic

220% 적용

-콘크리트 포장 :

Mainline Traffic

210% 적용

-Full Depth

-Standard Thickness

Minnesota

South Dakota 경우

: 아스팔트 7.5cm

 

-각 주별로 길어깨

포장 적용기준 다양

 

 

 

 

일본

(도로공단)

-

-TA= 1520cm

 

-표층에 고기능포장의

아스팔트 포장을 원칙

 

우리공사 적용기준

길어깨 포장단면도로기17113-5049(‘90.8)

- 아스콘 포장 : 기층 7.5cm, 콘크리트 포장 : 콘크리트슬래브 15cm

길어깨 보강포장설계이16210-584(‘97.11)

- 본선포장과 동일한 단면으로 다음 구간에 적용

진출RAMP는 감속차로부터 접속도로까지 우측 길어깨

진입Loop RAMP연결로 곡선부(R<100m구간) : 완화곡선구간까지 포함

예각부 60m : 영업소광장과 본선 접속부 등

 

 

L형측구 및 횡단경사 기준

L형측구

 

 

 

 

횡단경사 기준(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00 국토해양부)

- 아스팔트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 길어깨 형식 : 4%

- 차도면과의 경사차

지방지역의 적설한랭지역을 제외한 기타지역 및 연결로

: 차도면과 경사차 8%이하

길어깨 폭이 좁은 구간 : 차도면과 동일한 경사로 설치

본선 최대편경사가 6%인 경우 : 경사차 7%

 

3. 길어깨포장 현 이용실태

상시지정체 발생구간은 길어깨를 차로화하여 운용

길어깨 이용구간

경부선, 서울외곽선 등 본선 구간 5개노선 11개소

연결로 구간 9개노선 29개소

상습지정체가 발생되는 구간은 대부분 대도시권역에 위치

 

 

 

 

 

 

 

 

 

 

 

4. 문제점

길어깨포장의 설계기준과 적용기준 상이

지정체유형 예측 곤란으로 유출입시설 일부구간 상시지정체 발생

공용중에 지정체 발생구간의 길어깨 보강포장시 안전관리 등으로

비용이 과다 투입되고, 공사로 인한 이용객 불편 초래

긴급차량의 갓길이용에 따른 기층파손으로 주행안전성 불리 및 미관 불량

 

 

 

절토부에 L형측구가 포함된 길어깨 횡단복합경사로 비상차량 주행

안전성 불리

 

순 포장폭원이 1.5m에 불과하여 포장다짐 불량 등 시공성 저하

 

 

5. 개선방안

길어깨구간 포장재료 개선

설계법 검토

- 도로포장설계지침 및 도로설계편람(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행차로의 2.4% 교통량 적용시

포장단면 과다(현 포장두께의 약 2)

노선별로 포장두께 상이

긴급차량 이용공간으로 적정한 일정두께만을 확보함이 바람직

- 도로설계요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노상SN(2.53.5)치 적용시

: 적정 품질 및 주행성제고를 위해 평균SN(3.0) 값을 적용하여 검토

길어깨 포장재료를 현 기준(기층 7.5cm)으로 적용시

1) SN2=7.5×0.11=0.825

2) SN3(보조기층)

SN2*=7.5×0.11=0.825

 SN3*=0.825+37.5×0.051=2.7375 SN3 SN3*=2.7375 “NG

 

소요SN을 만족키 위해서는 현 포장단면 증가 필요

 

SN3

두께산정

적용두께

비고

3.0

(3.0 - 0.825) / 0.051 = 42.65cm

SN3* = 0.825 + 43 × 0.051 = 3.018

43

SN3<SN3*=3.018

OK

 

기층 7.5cm 적용시 보조기층 37.5cm43cm(5.5cm)로 변경 필요

 

 

길어깨 포장재료를 표층 7.5cm로 적용시

1) SN2=7.5×0.157=1.18

2) SN3(보조기층)

SN2*=7.5×0.157=1.18

SN3*=1.18+37.5×0.051=3.0925 SN3SN3*=3.0925 “OK

포장재료만 표층으로 변경시 관련기준에 만족

TA설계법은 현재 이용치 않음을 고려 검토대상에서 제외

 

 

 

적용방안

- 길어깨구간 포장재료 변경 : 기층 7.5cm 표층 7.5cm

 

 

 

 

길어깨 보강포장 구간 확대

교통변수를 통한 지정체구간 요인분석

- 수요교통량 산정시 적용되는 설계시간계수인 K30” factor 검토

통하여 분석(적정차로수 산정위한 설계시간계수 연구, ’07.12 기획실 조사팀)

 

설계시간계수(K)

개 요 : 연평균 일교통량(AADT)에 대한 설계시간교통량(DHV) 비율

현 적용기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

일반적인 30번째 시간교통량을 설계시간교통량으로 산정

K30 : 지방지역 1218%, 도시지역 812%

도로용량편람(국토해양부)

교통량 상시조사 자료(도로교통량 통계연보)를 활용토록 제시

K30 : 지방지역 15(1218)%, 도시지역 9(711)%

 

 

 

“K30” factor 검토결과

: 대도시권 8%이하, 기타지역 10%이상의 경향을 보임

 

K30 factor 크다 : 대상도로의 시간대별 교통량 변화가 심함

K30 factor 작다 : 시간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고른 교통량 분포로

혼잡시간이 길어 상시지정체 현상 유발

 

 

 

K30” factor 노선별 세부 분석내용

 

 

 

 

 

 

- K30 factor가 작은 대도시권역은 유출부에서 일시적인 교통량 화에

 의해서도 상습지정체 발생 우려 : 지정체발생에 대한 대책강구 필요

설계시 적정한 교통분석을 통해 최적의 차로수를 산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적용되는 분석인자의 현실적인 도출한계를 고려

유출부에 대해서는 길어깨 보강구간을 추가연장하여 필요시 효과

적인 차로운영이 가능토록 반영함이 바람직

유입부는 근본적인 시설개량 등 구조개선 필요로 적용 제외

 

세부적용성 검토

 

구분

길어깨보강 선반영시(1)

별도로 길어깨보강 시행시(2)

비고

단점

초기공사비 측면 경제성 다소 불리

지정체발생시 최소의 조치(차선

조정)로 지정체해소 가능

민원발생 최소화

초기공사비측면 유리

별도 공사시 공사비 과다투입

및 이용객 불편 초래

지속적인 민원발생 예상

 

공사비

(/m)

57,719

(57,659)

115,378

철거비 및 안전관리비 포함

 

검토

의견

최소의 선 투자(길어깨 포장단면 개선)지정체해소 효과

극대화 및 경제성제고, 길어깨 활용도를 제고토록 “1으로

추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 보강포장 확대 대상지역 : 수도권 및 광역도시 지역

 

 

- 활용방안 : 향후 필요시 길어깨 차로화가 가능토록 추진

- 대상구간 : 출입시설 유출부

보강연장 2km(예각부 30m 끝단에서부터 : 본선구간)

 

길어깨 보강구간 길이 산정 : 지정체 현황자료(교통처) 참조

 

노 선

위치

지정체 발생현황

비 고

평균길이(km)

발생빈도(/)

경인선

부천IC

1

12

 

가좌IC

4.5

20

 

도화IC

0.5

10

 

영동선

서창Jct

3.5

15

 

경부선

금호Jct

0.05

20

 

양산Jct

3

20

 

검토

의견

지정체 발생개소별 차이로 획일적인 길이설정에 한계가 있으나,

효과적인 도로횡단 활용을 통한 원활한 교통소통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평균연장 2km 적용

길어깨 보강구간 길이 산정 : 지정체 현황자료(교통처) 참조

 

 

L형측구 설치단면 및 길어깨 횡단경사 개선

추진방향

L형측구 설치단면 및 길어깨 횡단경사 개선

 

L형 저판삭제를 통한 시공성 및 주행안전성 확보

적용성 검토

(단위: mm)

 

 

 

 

 

절토부 길어깨 조정 횡단경사

 

본선

횡단경사(%)

길어깨 횡단경사(%)

비 고

L형측구 저판 포함시

L형측구 저판 제외시

-4+3

-4

-5

 

-5

-5

-6

 

-6

-6

-7

 

+6

-1

-2

 

+5

-2

-3

 

+4

-3

-4

 

 

 

 

 

 

 

성토부와 접속처리 : 접속구간길이 6.00m 적용

접속 설치길이 : Ls = (B․△i)/q

- Ls : 편경사의 설치길이(m)

- B : 기준에서 편경사가 설치되는 곳까지의 폭(m) 2.5m

- i : 횡단경사 값의 변화량(%/100) 1/100

- q : 편경사 접속설치율(m/m) 1/250

 

 

 

 

세부내용

단면 상세도

 

 

 

 

구조적 안정성

 

구 분

전도에 대한 안정성

활동에 대한 안정성

비 고

L2

측구

- S.F = Mr/Mo 2.0

0.337/0.156 = 2.1602.0

O.K

- S.F = (Pv×0.6)/PH 1.5

(1.239×0.6)/0.39 = 1.9061.5 O.K

저판폭

: 0.605m

L3

측구

- S.F = Mr/Mo 2.0

2.984/1.10 = 2.7132.0

O.K

- S.F = (Pv×0.6)/PH 1.5

(3.718×0.6)/1.434 =1.5561.5

O.K

저판폭

: 1.200m

 

배수처리능력

길어깨 횡단경사 조정으로 현행의 배수처리능력 수준(초기집수정

설치위치, 집수정간격) 유지 가능

 

경제성 : 현행보다 4% 예산절감

 

 

 

시험시공현장 효과분석 결과

대상구간 : 중부내륙선 여주JCT충주IC구간(’02. 12준공)

공용기간 : ’03’07(5)

현장조사결과(’08. 3) : 배수, 현장운용측면 등 문제없음

 

 

 

6. 검토결론

길어깨구간 포장재질에 대해서는 현 기준에 만족하고, 포장내구성

확보 등을 위해 표층재(밀입도, 7.5cm)로 변경

수도권 및 광역도시지역 유입부에서는 일시적인 교통량 변화에

의한 상습지정체가 예상되므로 설계시 길어깨를 본선과 동일단면

으로 반영

시공성 및 긴급차량의 주행안전성 확보를 위해 L형측구 저판을 삭제

하여 길어깨포장 시공폭원 확대적용

 

7. 적용방안

설계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18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3_간이 진출입시설 및 지주보호시설 단부 노출 구간 개선방안 효선 2025.03.17 108
18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4_주택사업자 방음시설 화재 안전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5.03.17 81
18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1_IoT 통신망 기반 비상회차시설 제어시스템 구축방안 file 효선 2025.03.17 54
18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6-2_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정보호 동·식물 보전방안 개선 file 효선 2025.03.17 58
18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Ⅰ_2023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file 효선 2025.03.17 141
18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3년) file 효선 2025.03.17 296
18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7 431
18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_안전활동 및 현장 직업특성을 반영한 공사기간 산정 세부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7 188
18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2_설계단계 건설엔지니어링 업무 안전관련 법령 의무사항 이행방안 file 효선 2025.01.17 177
18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3_작업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가시설물 적정 비용 반영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68
18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4_안전비용의 적정 집행을 위한 「현장상주 안전보조원」설계적용 검토 file 효선 2025.01.17 203
18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5_설계단계 중장기 탄소저감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6 172
18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6_출입시설구간 도로구역결정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59
18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7_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file 효선 2025.01.16 164
18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8_특정공법 설계 및 사후 평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249
18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9_BIM설계성과의 체계적관리 및 활용성증대를 위한「목적물기반설계내역서」작성기준 file 효선 2025.01.16 191
17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0_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92
17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1_고속도로 신설 및 확장구간 MMS 표준자료 구축체계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2_레미콘 현장 배치플랜트(BP) 안전관리 및 공사비 현실화 file 효선 2025.01.16 220
17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3_「이행보증보험제도」 도입을 통한 주택사업자 소음대책 규제 혁신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