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381

6-6 아스팔트포장 수명연장 적용방안 건설계획처-1254

(2009. 4. 9)

Ⅰ. 검토배경

□ 국토해양부에서 시행한 “아스팔트 포장 수명연장 방안”에 대한세부 적용 방법을 검토하여 고품질․장수명의 아스팔트 포장 도입

o 감사지적사항[감사실-2121, 2008.12.04]

- 아스콘 포장 골재관리 등에 대한 품질기준 적용방안 수립

Ⅱ. 검토내용

검 토 항 목 세 부 내 용

골재 품질

기준 강화

- 골재시험 항목 추가 및 개정

․골재입형시험, 모래당량시험 추가

․골재 편장석 정의와 시험에 관한 KS규정 일부 수정

골재 등급제

도 입

- 편장석 비율에 따라 구분

․1등급 : 10% 이하

․2등급 : 20% 이하

․3등급 : 30% 이하

가격 인상

검 토

- 골재 단입도 생산, 입형의 개선, 골재 등급화에

따른 원가 상승

[아스콘 톤당 단가 상승]

․단입도․1등급 : 17% 상승, 4,000원

․단입도․2등급 : 13% 상승, 3,000원

․단입도․3등급 : 9% 상승, 2,000원

도로포장

전문감리

제도 도입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우리 공사(도로교통연구원)의 도로포장 전문가와 실험시설을 이용, 자문감리 시행

품질관리

교 육

- 교육내용 : 배합설계, 석산 및 플랜트 품질관리 요령,시방서 및 품질관리지침, 온도관리,다짐방법, 이음부 처리 등

- 교육대상 : 감독원(감리), 시공사 등

*국토해양부 장관 방침 주요내용

382

Ⅲ. 현 실태 및 문제점

□ 실태조사

o 조사일정

구 분 1차(사업단 자체 조사) 2차(본사확인)

조 사 자 품질환경팀장 등 3명

건설품질팀장 등 3명

(도로교통연구원 합동)

조사기간 2009.2.24~3.6 2009.3.23~25

조사대상

진주-마산 건설사업단 등

6개 기관 48개 현장

춘천-양양 건설사업단

3개 아스콘 공장

o 조사항목

- 기관별 아스팔트 콘크리트 물량

- 조골재 생산현황

․골재 생산설비, 단입도 및 편장석 10% 이하 생산․관리

․골재생산(석산) 공정도 및 죠․콘크라샤 운영 실태

․골재 등급에 따라 생산량 감소 정도

- 아스콘 공장 설비 운영현황

․콜드빈․핫빈 배합설계 적정성

․콜드빈, 유출량, 핫빈 관리 상태

․아스콘 공장 내 시험기구 관리 적정성

o 아스팔트 포장 설계량

구 분 수량(ton)

총 계 4,645,292

11개 국고 건설사업단 4,210,769

6개 지역본부 434,523

383

□ 조사결과

o 아스콘용 골재 생산시설 보완에 따른 공사비 증액 요인 발생

- 파쇄 및 분급 공정 추가, 골재 등급에 따라 약 20~60% 생산량 감소

o「단입도 생산 및 관리」인지 부족

- 단입도란 : 골재를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생산

콘크리트용 골재 19-6m/m

아스콘용(단입도) 골재

19-13m/m 13-6m/m 6m/m 이하

*아스팔트 포장 : 골재간 맞물림과 바인더의 점착력으로 외력(강도)에 저항

o 개정된 편장석시험법에 대한 이해 부족

구 분 개정 전(KS F 2575 : 2000년) 개정 후(KS F 2575 : 2008년)

정 의

5m/m체에 남는 골재 중 두께에

대한 폭의 비 또는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3배 이상인 골재

5m/m체에 남는 골재 중

골재의 최대길이가 최소길이의

3배 이상인 골재

검 토

결 론

편장석 기준 강화

- 개정된 편장석 시험법은 골재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만을

비교하므로 아래의 예시처럼 기준이 강화됨

예 시

두께 : 폭 = 1 : 3, 폭 : 길이 = 1 : 3

L = 3

최소길이 : 최대길이 = 1 : 9

*개정된 편장석 기준 적용 시 : 편장석율 12.4% → 19.6%(증 7.2%)

384

o 석산은 전국적으로 약 300개소 : 대부분 콘크리트용 골재 생산

- 콘크리트용 88%, 건축기초용 9%, 아스콘용 3%

☞ 콘크리트 골재에 비해 물량은 훨씬 적은 반면,입도 및 입형 기준이 까다로워 생산 기피

o 석산마다 일정하지 않은 장비조합으로 골재생산

- 골재 파쇄 시 대부분 죠→콘크라샤 공정 사용

☞ 골재의 입도 및 입형 편차가 매우 큼

o 수도권 지역의 경우, 단입도, 1등급 골재생산 난색 표명

☞ 골재소요량 적어 경제성 낮음

o 아스팔트 플랜트별 콜드빈 저장골재 규격 차이

☞ 콘크리트용 골재를 아스콘용 골재로 사용

o 시험기구 관리 및 배합설계 미흡

☞ 유출량 시험, 핫빈 배합 소홀

□ 검토결론

o 골재 생산업체 적정 생산원가 반영 시

- 조사대상 38개 공장 중 21곳 아스콘용 골재 생산 가능

o 골재 단입도 및 등급제 적용을 위해 생산설비 보완

- 콘 또는 임팩트 크라샤 추가설치

o 제․개정된 시험법에 의거 골재 품질관리 강화

- 배합설계, 품질관리요령 등 기술지원 및 교육

385

Ⅳ. 적용방안

□ 아스팔트 포장용 골재의 품질기준 강화

o 골재입형시험과 모래당량시험 추가

o 골재 편장석 시험 개정

항목 기준치 시험방법 비고

굵은골재

굵은 골재 입형 시험 파쇄면 85% 이상 ASTM 5821 신규

개정 편장석 시험

최대:최소(3:1)

비율 10%이하

KS F 2575 개정

잔골재

모래당량 시험 최소 50% KS F 2340

신규

잔골재 입형 시험 최소 45% KS F 2384

*시험빈도 : 골재원마다, 재질 변화 시, [붙임1, 2] 시험방법 참고

□ 아스콘용 골재 단입도 관리 및 등급제 도입

o 골재 단입도 관리 : 골재를 일정 크기별로 생산

- 굵은 골재 최대치수 Φ25m/m : 25-19, 19-13, 13-6, 6m/m 이하

- 굵은 골재 최대치수 Φ19m/m : 19-13, 13-6 , 6m/m 이하

o 골재 등급제 도입

등급 편장석 국토부 기준 적용(안)

1등급

10%

이하

․4차로 이상의 도로(신설 및 덧씌우기) 고속도로 본선․길어깨

․발주처에서 중요하다고 인정 시 (나들목, 분기점 포함)

2등급

20%

이하

․2차로 이하의 일반국도 국도 이설,

․발주처에서 중요하다고 인정 시 교통우회용 도로(가도)

3등급

30%

이하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농로 등

지방도/군도 이설,

부체도로 등

386

□ 아스팔트 포장 자문감리 시행

o 아스팔트 배합설계 등 시험 및 품질관련 기술자문

☞ 도로교통연구원 기술지원

□ 아스팔트 포장 품질관리 교육실시

o 전문․인증교육 시행 중 : 건설계획처, 도로교통연구원

- 내용 : 배합설계, 석산 및 품질관리요령, 골재물성시험 등

☞ 감독(감리), 시공사 직원 등 교육 참석

Ⅴ. 향후 추진계획

□ 아스콘용 골재의 품질기준 전문시방서 반영

□ 아스콘 포장 시공 및 품질관리 지침 수립

□ 아스팔트 포장 수명연장 적용방안

o 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o 공사 중 노선 :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 총사업비 변경 협의 후 설계 반영

□ 통합점검 시 아스콘 품질관리실태 확인

[붙임 3, 4] 단입도 생산과정 및 체크리스트 참조

[붙임] 1. 시험법 요약

2. 굵은 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KS F 2575)

3. 단입도 생산과정

4. 체크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0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9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5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82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1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03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77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81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56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8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9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23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2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43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26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68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70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52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20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