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6-6_아스팔트포장 수명연장 적용방안
2024.03.06 17:27
381
6-6 아스팔트포장 수명연장 적용방안 건설계획처-1254
(2009. 4. 9)
Ⅰ. 검토배경
□ 국토해양부에서 시행한 “아스팔트 포장 수명연장 방안”에 대한세부 적용 방법을 검토하여 고품질․장수명의 아스팔트 포장 도입
o 감사지적사항[감사실-2121, 2008.12.04]
- 아스콘 포장 골재관리 등에 대한 품질기준 적용방안 수립
Ⅱ. 검토내용
검 토 항 목 세 부 내 용
골재 품질
기준 강화
- 골재시험 항목 추가 및 개정
․골재입형시험, 모래당량시험 추가
․골재 편장석 정의와 시험에 관한 KS규정 일부 수정
골재 등급제
도 입
- 편장석 비율에 따라 구분
․1등급 : 10% 이하
․2등급 : 20% 이하
․3등급 : 30% 이하
가격 인상
검 토
- 골재 단입도 생산, 입형의 개선, 골재 등급화에
따른 원가 상승
[아스콘 톤당 단가 상승]
․단입도․1등급 : 17% 상승, 4,000원
․단입도․2등급 : 13% 상승, 3,000원
․단입도․3등급 : 9% 상승, 2,000원
도로포장
전문감리
제도 도입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우리 공사(도로교통연구원)의 도로포장 전문가와 실험시설을 이용, 자문감리 시행
품질관리
교 육
- 교육내용 : 배합설계, 석산 및 플랜트 품질관리 요령,시방서 및 품질관리지침, 온도관리,다짐방법, 이음부 처리 등
- 교육대상 : 감독원(감리), 시공사 등
*국토해양부 장관 방침 주요내용
382
Ⅲ. 현 실태 및 문제점
□ 실태조사
o 조사일정
구 분 1차(사업단 자체 조사) 2차(본사확인)
조 사 자 품질환경팀장 등 3명
건설품질팀장 등 3명
(도로교통연구원 합동)
조사기간 2009.2.24~3.6 2009.3.23~25
조사대상
진주-마산 건설사업단 등
6개 기관 48개 현장
춘천-양양 건설사업단
3개 아스콘 공장
o 조사항목
- 기관별 아스팔트 콘크리트 물량
- 조골재 생산현황
․골재 생산설비, 단입도 및 편장석 10% 이하 생산․관리
․골재생산(석산) 공정도 및 죠․콘크라샤 운영 실태
․골재 등급에 따라 생산량 감소 정도
- 아스콘 공장 설비 운영현황
․콜드빈․핫빈 배합설계 적정성
․콜드빈, 유출량, 핫빈 관리 상태
․아스콘 공장 내 시험기구 관리 적정성
o 아스팔트 포장 설계량
구 분 수량(ton)
총 계 4,645,292
11개 국고 건설사업단 4,210,769
6개 지역본부 434,523
383
□ 조사결과
o 아스콘용 골재 생산시설 보완에 따른 공사비 증액 요인 발생
- 파쇄 및 분급 공정 추가, 골재 등급에 따라 약 20~60% 생산량 감소
o「단입도 생산 및 관리」인지 부족
- 단입도란 : 골재를 일정한 크기별로 분리생산
콘크리트용 골재 19-6m/m
아스콘용(단입도) 골재
19-13m/m 13-6m/m 6m/m 이하
*아스팔트 포장 : 골재간 맞물림과 바인더의 점착력으로 외력(강도)에 저항
o 개정된 편장석시험법에 대한 이해 부족
구 분 개정 전(KS F 2575 : 2000년) 개정 후(KS F 2575 : 2008년)
정 의
5m/m체에 남는 골재 중 두께에
대한 폭의 비 또는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3배 이상인 골재
5m/m체에 남는 골재 중
골재의 최대길이가 최소길이의
3배 이상인 골재
검 토
결 론
편장석 기준 강화
- 개정된 편장석 시험법은 골재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만을
비교하므로 아래의 예시처럼 기준이 강화됨
예 시
두께 : 폭 = 1 : 3, 폭 : 길이 = 1 : 3
L = 3
최소길이 : 최대길이 = 1 : 9
*개정된 편장석 기준 적용 시 : 편장석율 12.4% → 19.6%(증 7.2%)
384
o 석산은 전국적으로 약 300개소 : 대부분 콘크리트용 골재 생산
- 콘크리트용 88%, 건축기초용 9%, 아스콘용 3%
☞ 콘크리트 골재에 비해 물량은 훨씬 적은 반면,입도 및 입형 기준이 까다로워 생산 기피
o 석산마다 일정하지 않은 장비조합으로 골재생산
- 골재 파쇄 시 대부분 죠→콘크라샤 공정 사용
☞ 골재의 입도 및 입형 편차가 매우 큼
o 수도권 지역의 경우, 단입도, 1등급 골재생산 난색 표명
☞ 골재소요량 적어 경제성 낮음
o 아스팔트 플랜트별 콜드빈 저장골재 규격 차이
☞ 콘크리트용 골재를 아스콘용 골재로 사용
o 시험기구 관리 및 배합설계 미흡
☞ 유출량 시험, 핫빈 배합 소홀
□ 검토결론
o 골재 생산업체 적정 생산원가 반영 시
- 조사대상 38개 공장 중 21곳 아스콘용 골재 생산 가능
o 골재 단입도 및 등급제 적용을 위해 생산설비 보완
- 콘 또는 임팩트 크라샤 추가설치
o 제․개정된 시험법에 의거 골재 품질관리 강화
- 배합설계, 품질관리요령 등 기술지원 및 교육
385
Ⅳ. 적용방안
□ 아스팔트 포장용 골재의 품질기준 강화
o 골재입형시험과 모래당량시험 추가
o 골재 편장석 시험 개정
항목 기준치 시험방법 비고
굵은골재
굵은 골재 입형 시험 파쇄면 85% 이상 ASTM 5821 신규
개정 편장석 시험
최대:최소(3:1)
비율 10%이하
KS F 2575 개정
잔골재
모래당량 시험 최소 50% KS F 2340
신규
잔골재 입형 시험 최소 45% KS F 2384
*시험빈도 : 골재원마다, 재질 변화 시, [붙임1, 2] 시험방법 참고
□ 아스콘용 골재 단입도 관리 및 등급제 도입
o 골재 단입도 관리 : 골재를 일정 크기별로 생산
- 굵은 골재 최대치수 Φ25m/m : 25-19, 19-13, 13-6, 6m/m 이하
- 굵은 골재 최대치수 Φ19m/m : 19-13, 13-6 , 6m/m 이하
o 골재 등급제 도입
등급 편장석 국토부 기준 적용(안)
1등급
10%
이하
․4차로 이상의 도로(신설 및 덧씌우기) 고속도로 본선․길어깨
․발주처에서 중요하다고 인정 시 (나들목, 분기점 포함)
2등급
20%
이하
․2차로 이하의 일반국도 국도 이설,
․발주처에서 중요하다고 인정 시 교통우회용 도로(가도)
3등급
30%
이하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농로 등
지방도/군도 이설,
부체도로 등
386
□ 아스팔트 포장 자문감리 시행
o 아스팔트 배합설계 등 시험 및 품질관련 기술자문
☞ 도로교통연구원 기술지원
□ 아스팔트 포장 품질관리 교육실시
o 전문․인증교육 시행 중 : 건설계획처, 도로교통연구원
- 내용 : 배합설계, 석산 및 품질관리요령, 골재물성시험 등
☞ 감독(감리), 시공사 직원 등 교육 참석
Ⅴ. 향후 추진계획
□ 아스콘용 골재의 품질기준 전문시방서 반영
□ 아스콘 포장 시공 및 품질관리 지침 수립
□ 아스팔트 포장 수명연장 적용방안
o 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o 공사 중 노선 :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 총사업비 변경 협의 후 설계 반영
□ 통합점검 시 아스콘 품질관리실태 확인
[붙임 3, 4] 단입도 생산과정 및 체크리스트 참조
[붙임] 1. 시험법 요약
2. 굵은 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KS F 2575)
3. 단입도 생산과정
4.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