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48

7-3 터널 내부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 검토 설 계 처-1578

(2010. 4. 1)

Ⅰ 검토목적

터널내 폐쇄적 이미지 및 심리적 압박감 최소화 등 주행 안정성

도모를 위한 내장재 등의 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을 검토함

Ⅱ 관련기준

□ 내장재 설치기준

 

1000m 미만

1000m 이상

내오염도장(높이 2m)

타일(높이 3m)

 

 

* 단, 터널연장에 상관없이 지역문화특성, 현장여건 등을 검토하여 도장

또는 타일을 선택하여 적용가능

□ 내장재 디자인

o 내오염도장 : 60여개 디자인 시연회․평가를 통해 5개안 선정

- 3D 시뮬레이션 결과, 선개념 디자인이 시선유도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

* 터널 내오염도장 적용방안 개선(건설계획처-115, 2008.1.10)

□ 경관설계 추진

o 자연, 지역, 인간이 조화되는 경관설계추진 방안(설계처-2008.2.26)

o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기술심사처, 2008)

o ‘고속도로 경관설계 매뉴얼’(설계처, 2009)

249

Ⅲ 현 실태 및 문제점

□ 내장재 디자인 현장 적용사례

 

노선

타 일

내오염도장

비고

터널개소

디자인 형식

터널개소

디자인 형식

춘천~동홍천

1

1

4

1

도장 : 개선적용

대전~당진

-

-

7

5

도장 : 기준적용

청원~상주

6

6

1

1

도장 : 기준적용

서천~공주

-

-

4

4

도장 : 기준적용

일산~퇴계원

5

5

-

-

민자

봉담~통탄

1

1

-

-

용인~서울

10

1

-

-

 

 

춘천~동홍천(타일) 춘천~동홍천(도장)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일산~퇴계원(타일) 일산~퇴계원(타일)

일산~퇴계원(타일) 봉담~동탄(타일) 용인~서울(타일)

250

□ 경관설계 사례

o 충주~제천

o 상주~영덕

o 삼척~동해

o 인제터널(대안)

□ 문제점

o 내오염도장의 경우, 대부분 선정 디자인(5개) 적용으로 획일화

o 타일의 경우 별도 기준이 없어 현장별 디자인 선정 애로

o 디자인 색상․두께․적용높이 등에 대한 정립 필요

o 시각적 단조로움 해소 등을 위한 디자인 미적용

- 곡선부 시선유도, 일정 거리별 디자인 변화 검토

- 지역특성(산지․하천․특산물․문화재 등)을 감안한 특화 디자인 적용 필요

o 실시설계시 터널내부 디자인에 대한 검토․평가체계 부재

251

Ⅳ 추진현황

□ 추진경위

 

 

 

 

□ 내장재 디자인 개선(안) 선정

o 디자인 시연회 및 평가 수렴의견

- 디자인 색상수가 적고(3가지 이하) 자연친화적 색상 선호

- 선(단선 또는 복선) 개념의 단순화된 디자인 시선유도 유리

- 디자인선과 변화디자인(포인트)의 조화가 중요(간격, 길이, 크기 등)

․디자인 선 100~150m 마다 변화포인트 20~40m 적용성 확인

․디자인 두께 30cm 선호도 높음(포인트 길이 30m 선호도 높음)

252

o 디자인 개선(안) 8개 선정(내오염도장 또는 타일 선택적 적용)

*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 붙임 #1 참조

□ 전문가 자문

o 자문개요

- 소집자문 : 2010. 3. 19(검토기간 3.9 ~ 3. 19)

- 위 원 : 이화여자대학교 조재경교수 등 9명

o 자문 주요내용 및 조치계획(세부내용 붙임 #2 참조)

 

주요 자문내용

조치계획

종합적 경관디자인 계획(컨셉) 맞는 다양한 디자인 적용 필요

다양한 디자인 적용토록

반영

색채선정 신중, 단순화된 디자인 적용(복잡성 지양 등)

경관설계 및 시공중 검토 반영토록 조치

향후 설계심사시 디자인 등 심의강화 필

경관위원회 평가반영 등 절차규정

진입부주행부진출부 등을 구분한

디자인 적용 검토

터널구간별 주행특성을 감안한 디자인 검토토록 반영

피난연락갱 특화 및 거리표기 검

검토 반영토록 명기

검토자료(3D ) 공유, 향후 참고자료 활용

하이포탈상 공유, 활용토록 반영

 

 

253

Ⅴ 디자인 적용방안

□ 기본방향

o 주행 안정성을 위한 주의환기 및 시인성 확보 디자인

o 터널의 중압감․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쾌적한 디자인

o 주변환경 및 지역적 특성과 조화되는 디자인

o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디자인

□ 디자인 적용방안

① 디자인 색상 및 형식

o 터널의 폐쇄적 특성 감안 자연적․연속적․개방적 색상 적용

- 시선유도 향상을 위해 가능한 중․고채도의 색상 적용

- 짧은터널로 내부가 밝은 경우, 고채도 색상적용이 유리

- 내장재 오염, 조명의 연색성 등을 감안시 노랑색 계열은 시선유도 불리

* 터널내부 강조구간 적용가능 색채 예시(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o 디자인 선의 색상수는 가급적 3가지 이하(2가지 복선의 경우 선호도 높음)

- 사례조사 : 도장 1~3가지 색상, 타일 대부분 2가지 색상(복선) 적용

o 선 개념의 단순한 형식이 시선유도에 유리

- 터널 입출구부, 짧은터널 등은 주행특성을 감안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면․점(문양) 개념의 시선유도 디자인 적용 가능

* 노선별 특화색 부여 검토(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동서방향 : 청색, 남북방향 : 녹색, 순환선 : 노란색 계열(적용 : 중앙분리대)

254

② 디자인(선)의 두께․높이

o 시공사례 조사

- (두께) 도장은 너무 두껍고, 타일은 대부분 50㎝(타일 5장) 적용

- (높이) 도장은 각각 상이하고, 타일은 대부분 중상3)지점 적용

 

구분

적용두께()

적용높이(공동구 윗부분)

비고

20

30

50

50초과

중하1)

중간2)

중상3)

현행디자인

 

 

 

5

1

2

2

 

도장

춘천~동홍천

1

1

 

 

1

1

 

 

도장,타일

청원~상주

 

 

6

 

 

 

6

 

타일

일산~퇴계원

 

 

5

 

 

 

5

 

봉담~동탄

 

 

1

 

 

 

1

 

용인~서울

 

 

1

 

1

 

 

 

 

 

* 중하1)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서 조금 낮은 위치

중간2)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 위치

중상3)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서 조금 높은 위치

o 적용 두께

- 디자인은 운전자의 시선유도를 위한 강조구간이며, 그간 검토결과 및

디자인 형식, 내장재 재질 등을 감안하여 일정수준으로 적용

․단선일 경우 : 30㎝ 이내(일반적으로 내오염도장에 적용)

․복선일 경우 : 30 ~ 50㎝(내오염도장 또는 타일[3~5장 수준] 적용)

* 차로수에 비례한 두께 적용이 유리(예 : 4차로 사패산터널 50cm 적용)

* 타일의 경우는 복선조합이 시각적 측면 유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o 적용 높이

- 운전자 눈높이(승용차 1.2m, 대형차 2.5m) 및 시야각, 공동구 높이

상이 등으로 운전자가 인식하는 디자인 높이는 차이가 있음

- 그간 검토 결과와 내장재 단면의 시각적 분절1) 등을 감안한 높이 설정

* 시각적 분절1) : 디자인에서 시설물 조망시 시각적인 답답함을 줄이고 변화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방법

☞ 공동구 높이 감안, 환기방식별(자연, 기계) 적용 높이 구분

255

▣ 자연환기

공동구가 낮아 내장재 전면이 운전자에게 인식되므로

- 내장재 단면(높이)을 황금비2)

(0.4:0.6)로 나누는 높이에 적용

적용높이 예(노면기준 디자인 중심 위치, 좌․우측 동일적용)

․도장 : 25cm(공동구) + 20cm + 200cm×0.6(황금비) = 약 160cm

․타일 : 25cm(공동구) + 20cm + 300cm×0.6(황금비) = 약 220cm

(도 장) (타 일)

* 황금비2) : 고대 미학에서 잉태한 가장 아름답고 조화로운 비(比) 1 : 1.618

(작은 부분과 큰 부분과의 비(比)가 큰 부분과 전체와의 비와 같을 때의 그 양쪽 부분의 비)

▣ 기계환기

공동구가 높아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며, 자연환기와 같이

황금비를 적용할 경우 적용 높이(노면기준 255cm)가 높으므로

- 시각적 조화 등을 감안, 공동구 윗부분 내장재의 2등분지점 적용

적용높이 예(노면기준 디자인 중심 위치, 좌․우측 동일적용)

․우측 : 100cm(공동구) + 20cm + 225cm×0.5 = 약 230cm(기준)

․좌측 : 70cm(공동구) + 20cm + 255cm×0.55 = 약 230cm

(좌 측) (우 측)

256

③ 디자인 변화

o 단조로움 해소를 위한 일정 거리별 디자인 변화(포인트 적용)

- 피난연락갱(대인용․차량용, 간격 250m) 사이 중간지점, 입출구부~피

난연락갱 중간지점에 강조 포인트(30 ~ 40m 수준) 적용

o 장대터널로 지역적 상징성 의미 부여시, 지역 이미지를 상징

(문화재, 특산물 등)하는 단순화된 심볼(Simbol) 반영 검토

- 적용 위치 : 시점부, 중간부, 종점부, 1km 간격 등 선택 적용

o 입출구부는 외부 자연광, 조도순응을 위한 조명 등의 영향을 감

안하여 주변환경 및 갱문과 조화되는 시선유도 디자인 적용 검토

o 곡선구간에는 일정패턴의 시선유도 디자인(갈매기 등) 적용

- 직선부 디자인과 조화되는 단순화된 디자인 적용

o 장대터널 주행시 잔여거리를 정보제공하여 심리적 안정 유도

- 터널방재기준 연장기준 1등급(3km이상) 터널에 우선 적용 검토

☞ 중앙분리대 이정표 참고, 추월선측에 1km간격 잔여거리 표기

디자인, 표지, LED, 방향기호 등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치

* 터널내 감속고려 속도 90km/h 적용시 3km 터널 주행시간 : 120초

④ 피난연락갱 디자인

o 터널내 사고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특화 디자인 적용 검토

- 내장재 디자인 및 터널내 시설물과 조화되는 디자인

* 도장․타일이외의 시설물 설치 등을 통한 디자인 특화 가능

257

⑤ 갱문부 디자인

o 실시설계시 지형적 특성 등을 감안한 다양한 갱문형식 설계반영 중

- 내부방침을 거쳐 갱문형식 결정, 성과품 설계심의시 최종 검토

o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갱문 전면부 디자인 적용 검토

-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참조(붙임 #3)

【춘천~동홍천 갱문디자인(예)】

□ 터널 디자인 평가

o 실시설계중 경관설계 시행시 터널 내장재 등의 디자인을 경관위

원회의 평가대상에 포함하며, 성과품 심의시 검토하여 최종 결정

* 경관위원회(고속도로 경관설계 매뉴얼)

: 설계초기 담당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하여 조망점, 조망대상, 경관테마,

선형계획, 구조물(교량, 터널), 비탈면, 부대시설 등을 평가

o 공사 중에는 주변환경 및 지역적 특성, 설계후 시간적 경과 등을 감

안하여 내부 디자인 평가(방침)를 실시하여 디자인 최종 결정

Ⅴ 검토결론

□ 내장재 디자인 개선(안) 선정

o 디자인(안) 시연회 및 평가를 통해 개선안 8개 선정

- 개선안 및 적용방안 참고,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다양한 디자인 적용

* 3D 시뮬레이션(15개안)을 Hi-Portal상(도로․건설․기술 - 설계 - 설계지원자료 -

설계실무자료집) 방침내용과 함께 공유하여 사업단 등에서 참고토록 조치

258

□ 디자인 적용방안

o 터널의 폐쇄적 특성 감안, 자연적․연속적․개방적 색상 적용

- 중․고채도의 3가지 이하의 색상을 적용하되, 단순한 디자인 적용

- 짧은터널로 내부가 밝은 구간, 고채도 색상적용이 유리

- 내장재 오염, 조명의 연색성 등을 감안 노랑색 계열 가급적 지양

o 디자인 두께는 디자인 형식 및 내장재 재질 등을 감안 탄력적 적용

- 단선일 경우 : 30㎝ 이내(일반적 내오염도장 적용)

- 복선일 경우 : 30 ~ 50㎝(내오염도장 또는 타일[3~5장 수준] 공통)

o 디자인 적용 높이는 환기방식에 따라 구분

- 자연환기 : 내장재 높이를 황금비(위0.4 : 아래0.6)로 구분하는 위치

- 기계환기 : 공동구 윗부분 내장재를 2등분하는 위치

* 내장재 설치 높이가 높은 경우 등 터널여건 및 디자인 특성에 따라 탄력적 적용

o 피난연락갱 사이(또는 출구부~피난연락갱) 중간지점에 단조로움

해소를 위한 강조 포인트(30~40m 수준) 적용

o 연장기준 방재1등급(3km이상) 터널내 거리표기(잔여거리) 적용 검토

o 지역적 상징(심볼)․피난연락갱․주변환경과 조화되는 갱문부

및 입출구부 등에 대한 시인성 향상 디자인 적용 검토

o 실시설계중 경관설계시 경관위원회에서 터널 디자인 평가

- 공사중 현장 특성을 감안한 내부 디자인 평가(방침) 후 디자인 결정

선호도 조사(평가)를 통해 선정한 디자인 및 디자인 적용방안과 ‘디

자인 가이드라인 해설(2008)’, ‘경관설계 매뉴얼(2009)’을 참고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다양한 디자인(형식, 색상, 두께, 높이 등) 적용

259

□ 협조사항(기술심사처)

o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 개발(교량, 터널 ; 2009.7~2010.12)’

연구시, 본 방침 사항에 대한 검토․보완

- 기술심사처의 연구 결과에 따라 본 방침 변경

□ 적용방안

o 설계 중 노선 : 본 기준 적용

o 설계완료 후 미발주 노선 및 공사중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

에서 현장여건 고려 적용여부 판단

붙임 : 1.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2. 전문가 자문결과 및 조치계획

3. 갱문부 디자인 적용방안

4. 진주-마산(확장) 내오염도장 디자인 사례. 끝.

260

붙임 #1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 디자인 평가 : 팀장 20명(본사 13명, 사업단 7명)

o 15개안 3D 시뮬레이션 시연후 상․중․하 평가

- 디자인선 길이 : 100~150m 적용, 포인트 길이 : 20~40m 적용

- 디자인 두께 : 단선 20~30㎝, 복선 30~50㎝ 적용(순 디자인선의 두께)

- 디자인(중심선) 적용 높이 : 노면기준 2.45m(기계환기)

□ 평가결과

o 복선에 대한 선호도 높음(6개안 선정), 단선 2개안 선정

o 디자인선 길이 100~150m, 포인트 길이 20~40m 적용성 확인

o 디자인 두께 30cm 선호도 높음(포인트 길이 30m 선호도 높음)

o 디자인 적용 높이 : 의견제시 10명중 적정 8명, 높음 2

261

붙임 #2

전문가 자문결과 및 조치계획

□ 자문일시 : 2010. 3. 19

□ 자문방법 : 소집자문 후 의견서 제출

□ 자문위원 : 9명(외부 5명, 내부 4명)

□ 자문의견 및 조치계획

 

자문위원

자문의견

조치계획

조재경

(이화여대교수)

향후 설계심사시 디자인 등 심의강화 필요

Bend형 장식패턴에는 문제 없으나, 일률적 모든 터널 기준적용은 재고 요망

채는 조명과 마감재에 따라 다양한 색감으로 인식, 샘플시연에 의한 색감분석 요망

-디자인 경관위원회 평가 반영

-다양한 디자인 적용토록 조

 

-경관설계시 디자인 평가반영

시공중에 평가후 최종 선정

이상호

(한국디자인기업협회부회장)

종합적 경관디자인 계획(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기회 배려

-점 등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디자인 요소적용, 높이설정, 간격설정 등은 좋음

-경관설계 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선정토록 조치

 

-검토안 적용

 

김충식

(강릉원주대교수)

진입,주행,진출 등으로 나누어 디자인 제시 필요성 있음

조명의 연색성, 색온도 등을 감안 구분 검토 필요

황금비보다는 주행자의 안전한 주행감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 제시가 필요

터널 잔여거리표시는 도입, 검토

-진출입,주행부의 특성을 감안한 디자인 적용 가능도록 조치

-경관설계시 디자인 평가반영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검토안 적용

나혜영

(명지전문대교수)

500m이하 패턴(디자인)이 필요 없음

패턴(디자인)은 가장 단순하게 처리

-화살표 등 복잡한 패턴 지양

-색채와 그래픽 등 장식적 요소 최대한 배제

패턴(디자인) 높이는 황금비보다는 운전자 기준에서 정해야 함

주행거리표시는 필요없다고 봄

-500m이하도 가능한 적용

-검토안 적용

(가급적 단순한 디자인 적용)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검토안 적용

 

 

 

 

 

자문위원

자문의견

조치계획

김현선

(김현선디자인

연구소대표)

터널등급 및 유형에 따라 차등적용 필요

-연장, 고속/정체, 경사/곡선구간 등

-도장아닌 마감조명연출방법 고려

피난구 시인성 향상방안 검토

거리표기 그래픽 연구 및 LED도입검토

진출입구간 별도연구 필요

색채에 대한 신중한 검토(시범적용)

-장기적 검토 필요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진출입부 특화 검토

-검토안 적용

박종건

(건설관리처)

노선별 특화색 적용(가이드라인)

두께 : 단선30cm, 복선 30~50cm

-장대터널 입출구부 변단면 적용필요

높이 : 황금비 적용 미적조화 높음

지역적 상징 심볼 : 단순화,색상,크기 규제필요

피난갱 디자인 표준화 필요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유시영

(경기본부)

디자인 색상은 유지관리(청소 등) 고려 선정,

복잡다양한 디자인 지양

지역 상징 심볼은 단순화

거리표기 도안 등 표준화 검토

피난갱 표준화, 유지관리 고려한 시설물 설치

디자인 도안 및 실제 적용터널 자료 등 공유 향후 참고자료 활용 필요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검토자료(3D동영상, 평가결과 ) 하이포탈 공유 조치

박정희

(구조물처)

선유형의 디자인 적용 바람직

황금비 적용보다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우선고려 대상 검토

연장 및 구간별(입출구, 증앙) 색상 적용 기준 고려 필요

잔여거리 표기필요(상부거치 LED 형식 등)

피난갱 차별화 필요(내장재 이외 재질가능)

-검토안 반영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연장/구간별 색상채도 변화 가능토록 조치

-검토안 반영

-검토안 반영

이용구

(기술심사처)

짧은 터널 위주로 검토되어 장대터널에 대한 추가 검토 필요

방침제목을 터널 내부 시선유도 적용방안으로 변경 필요

-짧은터널,장대터널를 구분하여 검토함

-방침제목 수정

 

263

붙임 #3

갱문부 디자인 적용방안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264

265

붙임 #4

진주-마산(확장) 내오염도장 디자인 사례

□ 진주1터널

일반 주행구간 디자인(두께 20cm+18cm ; 공간 20cm)

강조 포인트 디자인(길이 30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5
115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4-2_영업소 아일랜드 차로부 배수처리 개선 file 효선 2024.04.12 844
115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4-3_노출환경등급에 따른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 배합변경 file 효선 2024.04.12 1797
115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4-4_터널 입출구 개구부 배수경사 개선시행 file 효선 2024.04.12 873
115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4-5_지중파형강판 구조물 안정성 및 유지관리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04.12 844
115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5-1_실리콘계 주입줄눈재 품질시험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4.12 821
115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5-2_임시휴게소 주차장 포장 시행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889
114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5-3_알칼리 골재 반응성 확인을 위한 골재시험 빈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984
114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1_바지선 설계적용방안 개선 file 효선 2024.04.12 982
114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2_강교도장 설계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883
114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3_PSC빔 계열 교량 중간격벽 개선 file 효선 2024.04.12 1020
114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4_교량 슬라브 단부 철근배근 개선 file 효선 2024.04.12 1010
114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5_확장공사구간 기존교량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합동관리방안 file 효선 2024.04.12 1182
114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6_분절식 신축이음장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4.12 1084
114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7_박스형식 교량내부 조명확보 방안 file 효선 2024.04.12 871
114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8_압축부재의 최소 축방향 철근량 적용(안) file 효선 2024.04.12 1276
114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9_구조물의 예방적 유지관리를 위한 제설염화물 피해 최소화 방안 file 효선 2024.04.12 864
113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10_교대 날개벽 설계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04.12 1028
113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1_터널개착부 방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4.12 1068
113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2_천공장비(점보드릴) 전기공급 기준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4.12 910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3_터널 내부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