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3_터널 내부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 검토
2024.04.12 14:39
248
7-3 터널 내부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 검토 설 계 처-1578
(2010. 4. 1)
Ⅰ 검토목적
터널내 폐쇄적 이미지 및 심리적 압박감 최소화 등 주행 안정성
도모를 위한 내장재 등의 미관 및 시선유도 향상방안을 검토함
Ⅱ 관련기준
□ 내장재 설치기준
1000m 미만 |
1000m 이상 |
내오염도장(높이 2m) |
타일(높이 3m) |
* 단, 터널연장에 상관없이 지역문화특성, 현장여건 등을 검토하여 도장
또는 타일을 선택하여 적용가능
□ 내장재 디자인
o 내오염도장 : 60여개 디자인 시연회․평가를 통해 5개안 선정
- 3D 시뮬레이션 결과, 선개념 디자인이 시선유도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
* 터널 내오염도장 적용방안 개선(건설계획처-115, 2008.1.10)
□ 경관설계 추진
o 자연, 지역, 인간이 조화되는 경관설계추진 방안(설계처-2008.2.26)
o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기술심사처, 2008)
o ‘고속도로 경관설계 매뉴얼’(설계처, 2009)
249
Ⅲ 현 실태 및 문제점
□ 내장재 디자인 현장 적용사례
노선 |
타 일 |
내오염도장 |
비고 |
||
터널개소 |
디자인 형식 |
터널개소 |
디자인 형식 |
||
춘천~동홍천 |
1 |
1 |
4 |
1 |
도장 : 개선적용 |
대전~당진 |
- |
- |
7 |
5 |
도장 : 기준적용 |
청원~상주 |
6 |
6 |
1 |
1 |
도장 : 기준적용 |
서천~공주 |
- |
- |
4 |
4 |
도장 : 기준적용 |
일산~퇴계원 |
5 |
5 |
- |
- |
민자 |
봉담~통탄 |
1 |
1 |
- |
- |
“ |
용인~서울 |
10 |
1 |
- |
- |
“ |
춘천~동홍천(타일) 춘천~동홍천(도장)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청원~상주(타일) 일산~퇴계원(타일) 일산~퇴계원(타일)
일산~퇴계원(타일) 봉담~동탄(타일) 용인~서울(타일)
250
□ 경관설계 사례
o 충주~제천
o 상주~영덕
o 삼척~동해
o 인제터널(대안)
□ 문제점
o 내오염도장의 경우, 대부분 선정 디자인(5개) 적용으로 획일화
o 타일의 경우 별도 기준이 없어 현장별 디자인 선정 애로
o 디자인 색상․두께․적용높이 등에 대한 정립 필요
o 시각적 단조로움 해소 등을 위한 디자인 미적용
- 곡선부 시선유도, 일정 거리별 디자인 변화 검토
- 지역특성(산지․하천․특산물․문화재 등)을 감안한 특화 디자인 적용 필요
o 실시설계시 터널내부 디자인에 대한 검토․평가체계 부재
251
Ⅳ 추진현황
□ 추진경위
□ 내장재 디자인 개선(안) 선정
o 디자인 시연회 및 평가 수렴의견
- 디자인 색상수가 적고(3가지 이하) 자연친화적 색상 선호
- 선(단선 또는 복선) 개념의 단순화된 디자인 시선유도 유리
- 디자인선과 변화디자인(포인트)의 조화가 중요(간격, 길이, 크기 등)
․디자인 선 100~150m 마다 변화포인트 20~40m 적용성 확인
․디자인 두께 30cm 선호도 높음(포인트 길이 30m 선호도 높음)
252
o 디자인 개선(안) 8개 선정(내오염도장 또는 타일 선택적 적용)
*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 붙임 #1 참조
□ 전문가 자문
o 자문개요
- 소집자문 : 2010. 3. 19(검토기간 3.9 ~ 3. 19)
- 위 원 : 이화여자대학교 조재경교수 등 9명
o 자문 주요내용 및 조치계획(세부내용 붙임 #2 참조)
주요 자문내용 |
조치계획 |
종합적 경관디자인 계획(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적용 필요 |
다양한 디자인 적용토록 반영 |
색채선정 신중, 단순화된 디자인 적용(복잡성 지양 등) |
경관설계 및 시공중 검토 반영토록 조치 |
향후 설계심사시 디자인 등 심의강화 필요 |
경관위원회 평가반영 등 절차규정 |
진입부․주행부․진출부 등을 구분한 디자인 적용 검토 |
터널구간별 주행특성을 감안한 디자인 검토토록 반영 |
피난연락갱 특화 및 거리표기 검토 |
검토 반영토록 명기 |
검토자료(3D 등) 공유, 향후 참고자료 활용 |
하이포탈상 공유, 활용토록 반영 |
253
Ⅴ 디자인 적용방안
□ 기본방향
o 주행 안정성을 위한 주의환기 및 시인성 확보 디자인
o 터널의 중압감․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쾌적한 디자인
o 주변환경 및 지역적 특성과 조화되는 디자인
o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디자인
□ 디자인 적용방안
① 디자인 색상 및 형식
o 터널의 폐쇄적 특성 감안 자연적․연속적․개방적 색상 적용
- 시선유도 향상을 위해 가능한 중․고채도의 색상 적용
- 짧은터널로 내부가 밝은 경우, 고채도 색상적용이 유리
- 내장재 오염, 조명의 연색성 등을 감안시 노랑색 계열은 시선유도 불리
* 터널내부 강조구간 적용가능 색채 예시(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o 디자인 선의 색상수는 가급적 3가지 이하(2가지 복선의 경우 선호도 높음)
- 사례조사 : 도장 1~3가지 색상, 타일 대부분 2가지 색상(복선) 적용
o 선 개념의 단순한 형식이 시선유도에 유리
- 터널 입출구부, 짧은터널 등은 주행특성을 감안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면․점(문양) 개념의 시선유도 디자인 적용 가능
* 노선별 특화색 부여 검토(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동서방향 : 청색, 남북방향 : 녹색, 순환선 : 노란색 계열(적용 : 중앙분리대)
254
② 디자인(선)의 두께․높이
o 시공사례 조사
- (두께) 도장은 너무 두껍고, 타일은 대부분 50㎝(타일 5장) 적용
- (높이) 도장은 각각 상이하고, 타일은 대부분 중상3)지점 적용
구분 |
적용두께(㎝) |
적용높이(공동구 윗부분) |
비고 |
||||||
20 |
30 |
50 |
50초과 |
중하1) |
중간2) |
중상3) |
상 |
||
현행디자인 |
|
|
|
5 |
1 |
2 |
2 |
|
도장 |
춘천~동홍천 |
1 |
1 |
|
|
1 |
1 |
|
|
도장,타일 |
청원~상주 |
|
|
6 |
|
|
|
6 |
|
타일 |
일산~퇴계원 |
|
|
5 |
|
|
|
5 |
|
“ |
봉담~동탄 |
|
|
1 |
|
|
|
1 |
|
“ |
용인~서울 |
|
|
1 |
|
1 |
|
|
|
“ |
* 중하1)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서 조금 낮은 위치
중간2)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 위치
중상3) : 디자인 중간이 공동구 위 내장재 높이의 중간에서 조금 높은 위치
o 적용 두께
- 디자인은 운전자의 시선유도를 위한 강조구간이며, 그간 검토결과 및
디자인 형식, 내장재 재질 등을 감안하여 일정수준으로 적용
․단선일 경우 : 30㎝ 이내(일반적으로 내오염도장에 적용)
․복선일 경우 : 30 ~ 50㎝(내오염도장 또는 타일[3~5장 수준] 적용)
* 차로수에 비례한 두께 적용이 유리(예 : 4차로 사패산터널 50cm 적용)
* 타일의 경우는 복선조합이 시각적 측면 유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o 적용 높이
- 운전자 눈높이(승용차 1.2m, 대형차 2.5m) 및 시야각, 공동구 높이
상이 등으로 운전자가 인식하는 디자인 높이는 차이가 있음
- 그간 검토 결과와 내장재 단면의 시각적 분절1) 등을 감안한 높이 설정
* 시각적 분절1) : 디자인에서 시설물 조망시 시각적인 답답함을 줄이고 변화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방법
☞ 공동구 높이 감안, 환기방식별(자연, 기계) 적용 높이 구분
255
▣ 자연환기
공동구가 낮아 내장재 전면이 운전자에게 인식되므로
- 내장재 단면(높이)을 황금비2)
(0.4:0.6)로 나누는 높이에 적용
적용높이 예(노면기준 디자인 중심 위치, 좌․우측 동일적용)
․도장 : 25cm(공동구) + 20cm + 200cm×0.6(황금비) = 약 160cm
․타일 : 25cm(공동구) + 20cm + 300cm×0.6(황금비) = 약 220cm
(도 장) (타 일)
* 황금비2) : 고대 미학에서 잉태한 가장 아름답고 조화로운 비(比) 1 : 1.618
(작은 부분과 큰 부분과의 비(比)가 큰 부분과 전체와의 비와 같을 때의 그 양쪽 부분의 비)
▣ 기계환기
공동구가 높아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며, 자연환기와 같이
황금비를 적용할 경우 적용 높이(노면기준 255cm)가 높으므로
- 시각적 조화 등을 감안, 공동구 윗부분 내장재의 2등분지점 적용
적용높이 예(노면기준 디자인 중심 위치, 좌․우측 동일적용)
․우측 : 100cm(공동구) + 20cm + 225cm×0.5 = 약 230cm(기준)
․좌측 : 70cm(공동구) + 20cm + 255cm×0.55 = 약 230cm
(좌 측) (우 측)
256
③ 디자인 변화
o 단조로움 해소를 위한 일정 거리별 디자인 변화(포인트 적용)
- 피난연락갱(대인용․차량용, 간격 250m) 사이 중간지점, 입출구부~피
난연락갱 중간지점에 강조 포인트(30 ~ 40m 수준) 적용
o 장대터널로 지역적 상징성 의미 부여시, 지역 이미지를 상징
(문화재, 특산물 등)하는 단순화된 심볼(Simbol) 반영 검토
- 적용 위치 : 시점부, 중간부, 종점부, 1km 간격 등 선택 적용
o 입출구부는 외부 자연광, 조도순응을 위한 조명 등의 영향을 감
안하여 주변환경 및 갱문과 조화되는 시선유도 디자인 적용 검토
o 곡선구간에는 일정패턴의 시선유도 디자인(갈매기 등) 적용
- 직선부 디자인과 조화되는 단순화된 디자인 적용
o 장대터널 주행시 잔여거리를 정보제공하여 심리적 안정 유도
- 터널방재기준 연장기준 1등급(3km이상) 터널에 우선 적용 검토
☞ 중앙분리대 이정표 참고, 추월선측에 1km간격 잔여거리 표기
디자인, 표지, LED, 방향기호 등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치
* 터널내 감속고려 속도 90km/h 적용시 3km 터널 주행시간 : 120초
④ 피난연락갱 디자인
o 터널내 사고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특화 디자인 적용 검토
- 내장재 디자인 및 터널내 시설물과 조화되는 디자인
* 도장․타일이외의 시설물 설치 등을 통한 디자인 특화 가능
257
⑤ 갱문부 디자인
o 실시설계시 지형적 특성 등을 감안한 다양한 갱문형식 설계반영 중
- 내부방침을 거쳐 갱문형식 결정, 성과품 설계심의시 최종 검토
o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갱문 전면부 디자인 적용 검토
-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참조(붙임 #3)
【춘천~동홍천 갱문디자인(예)】
□ 터널 디자인 평가
o 실시설계중 경관설계 시행시 터널 내장재 등의 디자인을 경관위
원회의 평가대상에 포함하며, 성과품 심의시 검토하여 최종 결정
* 경관위원회(고속도로 경관설계 매뉴얼)
: 설계초기 담당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하여 조망점, 조망대상, 경관테마,
선형계획, 구조물(교량, 터널), 비탈면, 부대시설 등을 평가
o 공사 중에는 주변환경 및 지역적 특성, 설계후 시간적 경과 등을 감
안하여 내부 디자인 평가(방침)를 실시하여 디자인 최종 결정
Ⅴ 검토결론
□ 내장재 디자인 개선(안) 선정
o 디자인(안) 시연회 및 평가를 통해 개선안 8개 선정
- 개선안 및 적용방안 참고,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다양한 디자인 적용
* 3D 시뮬레이션(15개안)을 Hi-Portal상(도로․건설․기술 - 설계 - 설계지원자료 -
설계실무자료집) 방침내용과 함께 공유하여 사업단 등에서 참고토록 조치
258
□ 디자인 적용방안
o 터널의 폐쇄적 특성 감안, 자연적․연속적․개방적 색상 적용
- 중․고채도의 3가지 이하의 색상을 적용하되, 단순한 디자인 적용
- 짧은터널로 내부가 밝은 구간, 고채도 색상적용이 유리
- 내장재 오염, 조명의 연색성 등을 감안 노랑색 계열 가급적 지양
o 디자인 두께는 디자인 형식 및 내장재 재질 등을 감안 탄력적 적용
- 단선일 경우 : 30㎝ 이내(일반적 내오염도장 적용)
- 복선일 경우 : 30 ~ 50㎝(내오염도장 또는 타일[3~5장 수준] 공통)
o 디자인 적용 높이는 환기방식에 따라 구분
- 자연환기 : 내장재 높이를 황금비(위0.4 : 아래0.6)로 구분하는 위치
- 기계환기 : 공동구 윗부분 내장재를 2등분하는 위치
* 내장재 설치 높이가 높은 경우 등 터널여건 및 디자인 특성에 따라 탄력적 적용
o 피난연락갱 사이(또는 출구부~피난연락갱) 중간지점에 단조로움
해소를 위한 강조 포인트(30~40m 수준) 적용
o 연장기준 방재1등급(3km이상) 터널내 거리표기(잔여거리) 적용 검토
o 지역적 상징(심볼)․피난연락갱․주변환경과 조화되는 갱문부
및 입출구부 등에 대한 시인성 향상 디자인 적용 검토
o 실시설계중 경관설계시 경관위원회에서 터널 디자인 평가
- 공사중 현장 특성을 감안한 내부 디자인 평가(방침) 후 디자인 결정
선호도 조사(평가)를 통해 선정한 디자인 및 디자인 적용방안과 ‘디
자인 가이드라인 해설(2008)’, ‘경관설계 매뉴얼(2009)’을 참고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다양한 디자인(형식, 색상, 두께, 높이 등) 적용
259
□ 협조사항(기술심사처)
o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 개발(교량, 터널 ; 2009.7~2010.12)’
연구시, 본 방침 사항에 대한 검토․보완
- 기술심사처의 연구 결과에 따라 본 방침 변경
□ 적용방안
o 설계 중 노선 : 본 기준 적용
o 설계완료 후 미발주 노선 및 공사중 노선 : 공사주관(시행)부서
에서 현장여건 고려 적용여부 판단
붙임 : 1.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2. 전문가 자문결과 및 조치계획
3. 갱문부 디자인 적용방안
4. 진주-마산(확장) 내오염도장 디자인 사례. 끝.
260
붙임 #1
터널 내장재 디자인(안) 평가 결과
□ 디자인 평가 : 팀장 20명(본사 13명, 사업단 7명)
o 15개안 3D 시뮬레이션 시연후 상․중․하 평가
- 디자인선 길이 : 100~150m 적용, 포인트 길이 : 20~40m 적용
- 디자인 두께 : 단선 20~30㎝, 복선 30~50㎝ 적용(순 디자인선의 두께)
- 디자인(중심선) 적용 높이 : 노면기준 2.45m(기계환기)
□ 평가결과
o 복선에 대한 선호도 높음(6개안 선정), 단선 2개안 선정
o 디자인선 길이 100~150m, 포인트 길이 20~40m 적용성 확인
o 디자인 두께 30cm 선호도 높음(포인트 길이 30m 선호도 높음)
o 디자인 적용 높이 : 의견제시 10명중 적정 8명, 높음 2
261
붙임 #2
전문가 자문결과 및 조치계획
□ 자문일시 : 2010. 3. 19
□ 자문방법 : 소집자문 후 의견서 제출
□ 자문위원 : 9명(외부 5명, 내부 4명)
□ 자문의견 및 조치계획
자문위원 |
자문의견 |
조치계획 |
조재경 (이화여대교수) |
향후 설계심사시 디자인 등 심의강화 필요 Bend형 장식패턴에는 문제 없으나, 일률적 모든 터널 기준적용은 재고 요망 색채는 조명과 마감재에 따라 다양한 색감으로 인식, 샘플시연에 의한 색감분석 요망 |
-디자인 경관위원회 평가 반영 -다양한 디자인 적용토록 조치 -경관설계시 디자인 평가반영 시공중에 평가후 최종 선정 |
이상호 (한국디자인기업협회부회장) |
종합적 경관디자인 계획(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기회 배려 -면․점 등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디자인 요소적용, 높이설정, 간격설정 등은 좋음 |
-경관설계 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선정토록 조치 -검토안 적용 |
김충식 (강릉원주대교수) |
진입,주행,진출 등으로 나누어 디자인 제시 필요성 있음 조명의 연색성, 색온도 등을 감안 구분 검토 필요 황금비보다는 주행자의 안전한 주행감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 제시가 필요 터널 잔여거리표시는 도입, 검토 |
-진출입,주행부의 특성을 감안한 디자인 적용 가능도록 조치 -경관설계시 디자인 평가반영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검토안 적용 |
나혜영 (명지전문대교수) |
500m이하 패턴(디자인)이 필요 없음 패턴(디자인)은 가장 단순하게 처리 -화살표 등 복잡한 패턴 지양 -색채와 그래픽 등 장식적 요소 최대한 배제 패턴(디자인) 높이는 황금비보다는 운전자 기준에서 정해야 함 주행거리표시는 필요없다고 봄 |
-500m이하도 가능한 적용 -검토안 적용 (가급적 단순한 디자인 적용)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검토안 적용 |
자문위원 |
자문의견 |
조치계획 |
김현선 (김현선디자인 연구소대표) |
터널등급 및 유형에 따라 차등적용 필요 -연장, 고속/정체, 경사/곡선구간 등 -도장아닌 마감․조명연출방법 고려 피난구 시인성 향상방안 검토 거리표기 그래픽 연구 및 LED도입검토 진출입구간 별도연구 필요 색채에 대한 신중한 검토(시범적용) |
-장기적 검토 필요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진출입부 특화 검토 -검토안 적용 |
박종건 (건설관리처) |
노선별 특화색 적용(가이드라인) 두께 : 단선30cm, 복선 30~50cm -장대터널 입출구부 변단면 적용필요 높이 : 황금비 적용 미적조화 높음 지역적 상징 심볼 : 단순화,색상,크기 규제필요 피난갱 디자인 표준화 필요 |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
유시영 (경기본부) |
디자인 색상은 유지관리(청소 등) 고려 선정, 복잡․다양한 디자인 지양 지역 상징 심볼은 단순화 거리표기 도안 등 표준화 검토 피난갱 표준화, 유지관리 고려한 시설물 설치 디자인 도안 및 실제 적용터널 자료 등 공유 향후 참고자료 활용 필요 |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검토안 적용(표준 별도검토) -검토자료(3D동영상, 평가결과 등) 하이포탈 공유 조치 |
박정희 (구조물처) |
선유형의 디자인 적용 바람직 황금비 적용보다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우선고려 대상 검토 연장 및 구간별(입출구, 증앙) 색상 적용 기준 고려 필요 잔여거리 표기필요(상부거치 LED 형식 등) 피난갱 차별화 필요(내장재 이외 재질가능) |
-검토안 반영 -검토안 적용 (조사,평가 등 결과 반영) -연장/구간별 색상․채도 변화 가능토록 조치 -검토안 반영 -검토안 반영 |
이용구 (기술심사처) |
짧은 터널 위주로 검토되어 장대터널에 대한 추가 검토 필요 방침제목을 터널 내부 시선유도 적용방안으로 변경 필요 |
-짧은터널,장대터널를 구분하여 검토함 -방침제목 수정 |
263
붙임 #3
갱문부 디자인 적용방안
(고속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설)
264
265
붙임 #4
진주-마산(확장) 내오염도장 디자인 사례
□ 진주1터널
일반 주행구간 디자인(두께 20cm+18cm ; 공간 20cm)
강조 포인트 디자인(길이 3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