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1_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2024.04.22 17:5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7
9-11 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녹색환경처-3254
(2011. 8. 25)
I 개 요
풍수해 대비 방음시설 전수조사 및 보수결과를 보고하며,
방음벽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제도 및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함.
※사장지시사항 (2011. 7.1)
공용중인 노선의 방음벽에 대하여 지주의 볼트 체결상태, 기초세굴 등
태풍에 대비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보고할 것.
❏ 방음시설 현황
높이 구분 |
계 |
5m미만 |
5~8m |
8m 초과 |
방음터널 |
비고 |
연장(km) |
971 |
798 |
130 |
42 |
1 |
|
개소수 |
3,786 |
3,153 |
488 |
145 |
3 |
|
[높이별 분류] [지역본부별 현황]
5m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높은 방음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도심지역인 경기본부, 충청본부에 50%가량의 시설이 집중되어 있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8
II 전수조사 결과 및 보수 현황
❏ 전수조사 결과 발견된 손상현황
구 분 |
계 |
너트풀림 |
클립이탈 |
캡이탈 |
자재파손 |
기타 |
비고 |
건 수 |
1,597 |
315 |
392 |
371 |
328 |
191 |
|
*기타 : 누음방지재 탈리, 녹 발생 등
단위: 건/km
[손상현황] [기관별 연장당 손상현황]
너트풀림 등 노후화에 따른 단순 손상이 8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km당 보수건수는 시설물이 노후된 경남과 높은방음벽이 집중된 경기가 많은 상황임
❏ 현재까지 보수 실적
너트조임, 방음판 파손, 지주 파손 등 긴급사항 위주의 보완 시행
※ 자재파손 중 기초 균열은 8.31까지 조치 예정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9
III 주요 결함 유형 및 원인
사례 1 건설당시 잘못된 시공
베이스플레이트 홀
너트 규격보다 베이스플레이트 홀
규격이 더 커 너트의 기능 상실 사례
방음판 연결와이어 미시공
내 용 베이스플레이트 제작 오류, 연결와이어 미시공 등
원 인 건설단계 검측절차 소홀, 부속자재의 설계도서 누락
사례 2 방음자재 및 기초부 손상
내 용 충격하중 등에 의한 방음판 파손, 기초부 균열 발생
원 인 고정클립의 손실로 충격하중의 발생, 유지관리 소홀 등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0
사례 3 방음시설 고정 부속자재 탈리
내 용 볼트이완, 고정클립, 캡플레이트 이탈 등
원 인 노후화에 의한 손실이 대부분으로 유지관리시 관심도 부족
사례 4 자재 부식 등 방음시설의 미관 및 장기내구성 저하
내 용 금속계열 부식 및 플라스틱 계열 파손
원 인 염화물 사용에 의한 부식 가속화, 자재의 내구성 부족
※ 전면부 알루미늄 교체, 도색, 부분교체 등 유지보수 시행중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1
IV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문제점
문제점 1 방음판 고정 부속자재 미시공 사례 다수 발생
고정부속자재 : 방음판 연결와이어, 캡플레이트 등
미시공 사유 : 관련 도면 및 시방기준 부재
☞ 건설단계 잘못된 시공의 주요원인으로 작용
문제점 2 방음자재의 지속적인 결함 발생
결함 주요 사례
금속계열 부식 플라스틱 파손 황변 콘크리트 파손
결함 발생 원인
o 일부제품 품질관리 기준 부재 등 (경량 콘크리트 충격하중 등)
o 시험용 자재와 일부 현장반입 자재의 품질 편차 존재
개선방향
o 주요 결함 사례에 대한 품질기준 수립 및 보완 필요
o 품질 미달 자재 사용에 대비 사후 품질 보증제 도입 필요
*붙임 10 : 방음판 결함 발생 사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2
문제점 3 유지관리단계의 관심도 부족
장비 및 인력부족으로 교량배면 접근이 곤란하고,
너트이완 확인 등 점검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내재
☞ 형식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는 주요원인으로 작용
문제점 4 공사시 저급자재의 적용
경제성 위주의 자재적용으로 미관 및 기능저하 발생
☞ 장기공용시 유지보수 비용이 우리공사에 전가되는 문제 발생
※ 방음자재 단가 비교(콘크리트 판넬형 대비)
비관리청사업 진행시 품질관리 절차에 대한 기준 부재
☞ 공급원 승인, 자재 검수 절차 등이 명문화 되어 있지 않음.
강일 택지지구 투명형 파손(2008) 부평자이 구간 부식 발생(200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3
V 개선방안
1 제도적 측면
o 접근이 곤란한 교량구간, 8m이상 방음시설의 점검 강화
o 비관리청 사업 시행 절차 강화를 통한 자재품질 및 미관 향상
방음시설 점검 강화
o 정기점검(1회/연) : 현행 유지
* 정기 점검 : 도보에 의한 육안 점검
o 교량구간 : 구조물 안전점검시 포함 시행
- 정기점검 연 2회, 정밀점검 1회/2년, 정밀안전진단
* 점검 주관부서 : 구조물센터, 점검결과 관리 주관부서 : 녹색환경처
o 8m 이상 방음벽 : 관리등급에 따른 정밀점검 시행
- A등급(공용후 5년 이하) : 공용후 5년째 1회
- B등급(공용후 10년 미만) : 공용후 8년째 1회
- C등급(공용후 10년 이상) : 공용후 10년째부터 2년마다 시행
* 정밀점검 : 빔 리프터 등 접근가능 장비 활용
o 정밀안전진단 : 기초 세굴 등 안전성 저해가 심각하다고 판단 시
o 비관리청 공사 : 정밀점검 수준의 초기점검 시행
비관리청 사업 허가 조건 강화
o 허가조건에 자재 사용 계획 협의, 반입자재 검수 등 품질관리 조항 명기
o 미관이 저하되는 단순 알루미늄, 압출콘크리트 판넬 사용 금지
*붙임 3~4 : 구조물 점검기준, 방음시설 점검기준 및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붙임 5~6 : 방음벽 정밀안전진단 상태평가 기준, 비관리청 공사 절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4
2 시공관리 측면
o 방음판 고정시설 설계 반영을 통한 2차 피해 예방
o 공사시행시 간과하기 쉬운 문제점의 검측절차 및 시방기준 수립
o 너트 풀림 대비 시공 및 유지관리 대책 수립
방음판 고정시설 설계반영
o 방음판 연결와이어, 캡플레이트 설계 명기
☞ 지주 전도시 방음판 탈리로 인한 2차피해 방지
공사단계 검측절차 및 시방서 반영
o 앵커볼트 및 너트 시공, 방음판 고정 부속자재 시공 등
☞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간과하기 쉬운 시공 오류 방지
너트 풀림 대비 시공 및 유지관리 대책 수립
o 공사시 너트 풀림 방지 접착제 시공(도포)
- 교량구간, 높이 8m 이상, 비관리청 사업 대상
* 분해가능용 재료 적용
o 공용중인 구간 너트풀림 확인 라인마킹 시행
- 교량구간, 방음벽 높이 8m 이상
* 제천도로관리소 제안사례 인용
*붙임 7~8 : 방음판 고정시설 표준도, 검측체크리스트 및 공사시방서
*붙임 9 : 너트 풀림 방지용 접착제 단가산출서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5
3 품질관리 측면
o 사전 관리 : 방음판 결함사례 원인분석 및 품질기준 강화 추진
o 사후 관리 : 품질 보증제 시범도입 및 확대 전파 추진
방음자재 품질기준 강화 추진
o 주요결함 대비 품질기준 보완 검토
o 경량골재 방음판 품질기준 마련 등
방음자재 품질 보증제 시범 도입
o 품질보증제 도입으로 사후 품질관리 및 관련업체 책임감 고취
o 광교지구 자재 및 디자인 공모시 시범도입 및 확대전파 검토
구 분 |
투명계열 |
콘크리트 |
금속계열 |
플라스틱계열 |
품질 보증 항목 |
황변, 스크래치 표면오염 |
단부 파손, 변색 |
부식, 오염 |
부식, 파손, 오염, 변색, 변형 |
※ 품질보증제란?
o 약정 기간 동안 계약업체가 자재의 성능 및 품질을 보장하고,
기간내 하자 발생시 해당업체의 책임으로 보수를 시행하는 제도로,
발주자를 보호하고, 자재 품질 향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
o 도입국가 : 덴마크(10년), 독일(20년), 스웨덴(5~8년), 스페인․영국(30년)
*붙임 11 : 방음자재 품질보증제 추진계획
경량골재 파손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6
VI 향후계획
□ 건설사업단 및 유지관리 기관 : 본 방침 적용
□ 방음자재 주요결함에 대한 품질기준 강화(녹색환경처) : 2011. 9~2012. 상반기
□ 광교지구 품질보증제 시범 도입 및 확대전파 검토(녹색환경처) : 2011. 9~12
붙 임 : 1. 기관별 전수조사에 따른 보수 현황
2. 방음시설 주요 결함 및 보수 사례
3. 구조물 점검 기준
4. 방음시설 점검기준 및 유지관리 체크 리스트
5. 방음벽 정밀안전진단 상태평가 기준
6. 비관리청 공사 시행 절차
7. 방음판 고정시설 표준도
8. 방음벽 체크리스트 및 공사시방서
9. 풀림방지용 접착제 도포 단가산출서
10. 방음판 결함 발생 사례
11. 방음자재 품질보증제 도입 추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