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7

9-11 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녹색환경처-3254

(2011. 8. 25)

I 개 요

 풍수해 대비 방음시설 전수조사 및 보수결과를 보고하며,

 방음벽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제도 및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함.

※사장지시사항 (2011. 7.1)

공용중인 노선의 방음벽에 대하여 지주의 볼트 체결상태, 기초세굴 등

태풍에 대비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보고할 것.

❏ 방음시설 현황

 

높이

구분

5m미만

5~8m

8m 초과

방음터널

비고

연장(km)

971

798

130

42

1

 

개소수

3,786

3,153

488

145

3

 

 

 

[높이별 분류] [지역본부별 현황]

 5m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높은 방음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도심지역인 경기본부, 충청본부에 50%가량의 시설이 집중되어 있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8

II 전수조사 결과 및 보수 현황

❏ 전수조사 결과 발견된 손상현황

 

 

 

 

구 분

너트풀림

클립이탈

캡이탈

자재파손

기타

비고

건 수

1,597

315

392

371

328

191

 

*기타 : 누음방지재 탈리, 녹 발생 등

단위: 건/km

[손상현황] [기관별 연장당 손상현황]

 너트풀림 등 노후화에 따른 단순 손상이 8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km당 보수건수는 시설물이 노후된 경남과 높은방음벽이 집중된 경기가 많은 상황임

❏ 현재까지 보수 실적

 너트조임, 방음판 파손, 지주 파손 등 긴급사항 위주의 보완 시행

※ 자재파손 중 기초 균열은 8.31까지 조치 예정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29

III 주요 결함 유형 및 원인

사례 1 건설당시 잘못된 시공

베이스플레이트 홀

너트 규격보다 베이스플레이트 홀

규격이 더 커 너트의 기능 상실 사례

방음판 연결와이어 미시공

내 용 베이스플레이트 제작 오류, 연결와이어 미시공 등

원 인 건설단계 검측절차 소홀, 부속자재의 설계도서 누락

사례 2 방음자재 및 기초부 손상

내 용 충격하중 등에 의한 방음판 파손, 기초부 균열 발생

원 인 고정클립의 손실로 충격하중의 발생, 유지관리 소홀 등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0

사례 3 방음시설 고정 부속자재 탈리

내 용 볼트이완, 고정클립, 캡플레이트 이탈 등

원 인 노후화에 의한 손실이 대부분으로 유지관리시 관심도 부족

사례 4 자재 부식 등 방음시설의 미관 및 장기내구성 저하

내 용 금속계열 부식 및 플라스틱 계열 파손

원 인 염화물 사용에 의한 부식 가속화, 자재의 내구성 부족

※ 전면부 알루미늄 교체, 도색, 부분교체 등 유지보수 시행중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1

IV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문제점

문제점 1 방음판 고정 부속자재 미시공 사례 다수 발생

 고정부속자재 : 방음판 연결와이어, 캡플레이트 등

 미시공 사유 : 관련 도면 및 시방기준 부재

☞ 건설단계 잘못된 시공의 주요원인으로 작용

문제점 2 방음자재의 지속적인 결함 발생

 결함 주요 사례

금속계열 부식 플라스틱 파손 황변 콘크리트 파손

 결함 발생 원인

o 일부제품 품질관리 기준 부재 등 (경량 콘크리트 충격하중 등)

o 시험용 자재와 일부 현장반입 자재의 품질 편차 존재

 개선방향

o 주요 결함 사례에 대한 품질기준 수립 및 보완 필요

o 품질 미달 자재 사용에 대비 사후 품질 보증제 도입 필요

*붙임 10 : 방음판 결함 발생 사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2

문제점 3 유지관리단계의 관심도 부족

 장비 및 인력부족으로 교량배면 접근이 곤란하고,

 너트이완 확인 등 점검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내재

☞ 형식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는 주요원인으로 작용

문제점 4 공사시 저급자재의 적용

 경제성 위주의 자재적용으로 미관 및 기능저하 발생

☞ 장기공용시 유지보수 비용이 우리공사에 전가되는 문제 발생

※ 방음자재 단가 비교(콘크리트 판넬형 대비)

 비관리청사업 진행시 품질관리 절차에 대한 기준 부재

☞ 공급원 승인, 자재 검수 절차 등이 명문화 되어 있지 않음.

강일 택지지구 투명형 파손(2008) 부평자이 구간 부식 발생(200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3

V 개선방안

1 제도적 측면

o 접근이 곤란한 교량구간, 8m이상 방음시설의 점검 강화

o 비관리청 사업 시행 절차 강화를 통한 자재품질 및 미관 향상

 방음시설 점검 강화

o 정기점검(1회/연) : 현행 유지

* 정기 점검 : 도보에 의한 육안 점검

o 교량구간 : 구조물 안전점검시 포함 시행

- 정기점검 연 2회, 정밀점검 1회/2년, 정밀안전진단

* 점검 주관부서 : 구조물센터, 점검결과 관리 주관부서 : 녹색환경처

o 8m 이상 방음벽 : 관리등급에 따른 정밀점검 시행

- A등급(공용후 5년 이하) : 공용후 5년째 1회

- B등급(공용후 10년 미만) : 공용후 8년째 1회

- C등급(공용후 10년 이상) : 공용후 10년째부터 2년마다 시행

* 정밀점검 : 빔 리프터 등 접근가능 장비 활용

o 정밀안전진단 : 기초 세굴 등 안전성 저해가 심각하다고 판단 시

o 비관리청 공사 : 정밀점검 수준의 초기점검 시행

 비관리청 사업 허가 조건 강화

o 허가조건에 자재 사용 계획 협의, 반입자재 검수 등 품질관리 조항 명기

o 미관이 저하되는 단순 알루미늄, 압출콘크리트 판넬 사용 금지

*붙임 3~4 : 구조물 점검기준, 방음시설 점검기준 및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붙임 5~6 : 방음벽 정밀안전진단 상태평가 기준, 비관리청 공사 절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4

2 시공관리 측면

o 방음판 고정시설 설계 반영을 통한 2차 피해 예방

o 공사시행시 간과하기 쉬운 문제점의 검측절차 및 시방기준 수립

o 너트 풀림 대비 시공 및 유지관리 대책 수립

 방음판 고정시설 설계반영

o 방음판 연결와이어, 캡플레이트 설계 명기

☞ 지주 전도시 방음판 탈리로 인한 2차피해 방지

 공사단계 검측절차 및 시방서 반영

o 앵커볼트 및 너트 시공, 방음판 고정 부속자재 시공 등

☞ 전수조사 결과 도출된 간과하기 쉬운 시공 오류 방지

 너트 풀림 대비 시공 및 유지관리 대책 수립

o 공사시 너트 풀림 방지 접착제 시공(도포)

- 교량구간, 높이 8m 이상, 비관리청 사업 대상

* 분해가능용 재료 적용

o 공용중인 구간 너트풀림 확인 라인마킹 시행

- 교량구간, 방음벽 높이 8m 이상

* 제천도로관리소 제안사례 인용

*붙임 7~8 : 방음판 고정시설 표준도, 검측체크리스트 및 공사시방서

*붙임 9 : 너트 풀림 방지용 접착제 단가산출서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5

3 품질관리 측면

o 사전 관리 : 방음판 결함사례 원인분석 및 품질기준 강화 추진

o 사후 관리 : 품질 보증제 시범도입 및 확대 전파 추진

 방음자재 품질기준 강화 추진

o 주요결함 대비 품질기준 보완 검토

o 경량골재 방음판 품질기준 마련 등

 방음자재 품질 보증제 시범 도입

o 품질보증제 도입으로 사후 품질관리 및 관련업체 책임감 고취

o 광교지구 자재 및 디자인 공모시 시범도입 및 확대전파 검토

 

 

 

 

구 분

투명계열

콘크리트

금속계열

플라스틱계열

품질 보증 항목

황변, 스크래치

표면오염

단부 파손,

변색

부식, 오염

부식, 파손, 오염,

변색, 변형

※ 품질보증제란?

o 약정 기간 동안 계약업체가 자재의 성능 및 품질을 보장하고,

기간내 하자 발생시 해당업체의 책임으로 보수를 시행하는 제도로,

발주자를 보호하고, 자재 품질 향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

o 도입국가 : 덴마크(10년), 독일(20년), 스웨덴(5~8년), 스페인․영국(30년)

*붙임 11 : 방음자재 품질보증제 추진계획

경량골재 파손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36

VI 향후계획

□ 건설사업단 및 유지관리 기관 : 본 방침 적용

□ 방음자재 주요결함에 대한 품질기준 강화(녹색환경처) : 2011. 9~2012. 상반기

□ 광교지구 품질보증제 시범 도입 및 확대전파 검토(녹색환경처) : 2011. 9~12

붙 임 : 1. 기관별 전수조사에 따른 보수 현황

2. 방음시설 주요 결함 및 보수 사례

3. 구조물 점검 기준

4. 방음시설 점검기준 및 유지관리 체크 리스트

5. 방음벽 정밀안전진단 상태평가 기준

6. 비관리청 공사 시행 절차

7. 방음판 고정시설 표준도

8. 방음벽 체크리스트 및 공사시방서

9. 풀림방지용 접착제 도포 단가산출서

10. 방음판 결함 발생 사례

11. 방음자재 품질보증제 도입 추진계획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1
11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_Hi-Quality 건설현장 검측제도 개선 file 효선 2024.04.24 966
11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3_고속도로 건설현장 교량 하부 공간 효율적 관리 방안 file 효선 2024.04.24 1054
11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4_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 결과 file 효선 2024.04.24 833
11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5_공용 중인 노선의 신축이음부 충격음 저감 대책 file 효선 2024.04.24 933
11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6_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4.24 1829
11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7_에너지 저소비형 절전형 항온항습기 도입 방안 file 효선 2024.04.24 979
11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8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file 효선 2024.04.24 1192
11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9_신재생에너지 투자대상의 기준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4.22 808
11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0_오수처리시설 관리실 시설 기준 file 효선 2024.04.22 940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1_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4.04.22 1294
11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2_건축 설계기준 개선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168
11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3_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 방안 file 효선 2024.04.22 913
11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4_효율적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영업소 사무실 평면 개선계획 file 효선 2024.04.22 864
11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5_점멸식 속도제한표지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4.22 999
11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6_톨게이트 점검사다리 개선 file 효선 2024.04.22 939
11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7_고속도로 건설구간 자생수목 및 비옥토 활용 관리방안 개선(안) file 효선 2024.04.22 1050
11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8_고속도로 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865
11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9_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터널 운영관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2 1075
11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0_장대터널 중앙감시반 모니터 형식 개선 file 효선 2024.04.22 1108
11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1_Hi-Green Building 실행계획 변경(안)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