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37

9-4 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결과 건 설 처-2670

(2011. 6. 17)

I 목 적

나들목 접속부 교차형식중 평면교차로의 문제점인 잦은 교통사고,

신호지체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회전교차로 적용성

을 검토하여 녹색 도로교통 기반을 조성코자 함

II 추진경위

□ 2009. 4 :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국가경쟁력위원회)

ㅇ 교통소통, 공해 및 에너지 절감효과가 높은 회전교차로 설치확대

□ 2009.11 : 회전교차로 건설 시범사업 진행(행안부)

ㅇ 시범사업 : ’10~’12년간 172억원, 123개소

※ 현재 국토부에서 연구용역 시범대상을 2011년 7월까지 선정예정

□ 2010.12 : 회전교차로설계지침 제정(국토부)

※ 회전교차로와 교통서클 비교

☞ 교통서클(로터리) : 자동차 문화시대 초기에 교통체증 원인으로 평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38

III 관련기준

□ 회전교차로 설계지침[2010.12(국토부)]

ㅇ 교차로 전체 통과교통량

 

구 분

회전교차로 교통량 적용기준[/]

비 고

소 형

1차로형

2차로형

적용기준

12,000미만

20,000미만

32,000미만

 

잠정 ()

12,000미만

17,000미만

27,000미만

기준교통량의 85%

 

 

ㅇ 회전교차로 전환기준

▣ 좌회전 차량비율 : 30%미만

▣ 접근로 설계속도 : 70Km/h이하

▣ 교차로 종단경사 : 3%이하

▣ 진입로 차로당 첨두시간 교통량

⇒ 약 125∼450대/시

ㅇ 적용금지 : 가변차로, 신호연동제 구간, 편도 3차로 이상

□ 기 대 효 과

ㅇ 회전교차로의 경우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교차상충이

없으며, 교차로 지체도가 감소하여 교통 지·정체 미발생

▣ 3지 교차로

구 분 교차 합류 분류 계

평 면 3 3 3 9

회 전 - 3 3 6

▣ 4지 교차로

구 분 교차 합류 분류 계

평 면 16 8 8 32

회 전 - 4 4 8

※ 회전교차로 도입후 년간 사고발생 감소비율 : 대인 73%, 대물 32%

⇒ NCHRP, Morden Roundabout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1998)

ㅇ 교차로에서의 연료소모 및 대기오염 배출량 감소 및 신호

교차로 유지관리비 절감가능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39

IV 문 제 점

□ 단일로에서의 교통사고는 과거 10년간 약 53%의 감소를 보였으나,

교차로구간은 약 2배 증가하여 교통사고에 취약

ㅇ 전국 교통사고 발생현황(2009년도)

▣ 2009년 교통사고현황

ㅇ 발생건수 : 232천건

ㅇ 사망자 : 5,833명

ㅇ 부상자 : 1,498,344명

ㅇ 사망자 지표

⇒ 2.9명/만대

※ OECD(32개국)중 28위

※ 관련근거 : 교통사고 통계분석[도로교통공단(2001∼2010)]

□ 전체 교통사고중 교차로에서 발생한 사고가 45%로서, 교통사고 취약

구간인 동 구간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임

ㅇ 교차로구간 잦은 신호위반 및 과속에 의한 충돌사고가 대부분인

점을 감안할 때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필요

 

 

 

구 분

교통사고 발생현황[단위 : 천건]

비 고

교 차 로

단 일 로

기 타

2009

232

104(45%)

123(53%)

5(2%)

 

ㅇ 또한, 교차로구간에서 발생한 사상자수는 약 20%로서 회전차량과

직진차량 교차상충에 의한 사고라 판단됨

 

 

 

구 분

단위

추 돌

충 돌 사 고

보행자

단 독

기 타

측 면

정 면

사고유형

천건

232

56(24%)

91(39%)

11(5%)

30(13%)

11(5%)

33(14%)

사 망 자

5,833

806

1,024

465

2,047

1,240

251

부 상 자

천명

1,498

702

286

37

141

52

280

※ 교차로구간 사고발생 : 측면충돌 발생구간으로 가정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0

V 적용방안

검토대상 회전교차로 타당성 검토

□ 회전교차로 적용가능 나들목 현황

 

구 분

교차로

형 식

교차로

형 태

편 도

차로수

접근로

총교통량

차로당

첨두시교통량

연동제

운영여부

비 고

남장수

평면

3

1

7,299

389

×

 

지리산

5,395

253

 

청 송

6,614

182

 

 

 

□ 회전교차로 적용시 서비스 수준분석

 

구 분

접근교통량

(pcu/h)

평면교차시

회전교차시

비 고

A’

B’

A’

B’

남장수

2015

787

9.4

A

6.4

A

1차로형

2024

1,031

9.7

6.6

 

지리산

2015

567

7.9

A

6.4

A

1차로형

2024

762

8.2

6.6

 

청 송

2015

548

16.5

B

8.4

A

1차로형

2024

513

16.4

8.4

 

 

 

※ A’ : 차량당 제어지체(초/pcu), B’ : 서비스수준 [분석프로그램 : SIDRA]

타당성분석 남장수 나들목[담양∼함양 4공구]

□ 계획목표년도 접근로 총교통량은 7,299대/일로서 회전교차로 설치

가 가능하나, 연결로 선형불량으로 회전교차로 설치에 제약발생

ㅇ 회전교차로 설치시 절토부 발생 및 통로암거 연장에 따른 공사비

과다증액[추가 공사비 4.5억원 소요]으로 타당성 부족

▣ 당초 연결로 평면선형 : 52m

▣ 회전교차로 설치시 평면선형 : 100m

▣ 회전교차로 설치에 따른 문제점

ㅇ 회전교차로 설치시 접근로 연장축 방향이 회전교차로

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교통운영측면에서 불리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1

타당성분석 지리산 나들목[담양∼함양 5공구]

□ 계획목표년도 접근로 총교통량은 5,395대/일로서 회전교차로 설치

가 가능하나, 나들목 접속부가 영업소와 근접하여 회전교차로 적용

을 위해서는 교차로 위치변경 필요

ㅇ 회전교차로 적용시 지장물 편입 및 종단개량에 따른 추가 성토로

민원 및 공사비 과다증액 등의 사유로 타당성 부족

※ 교차로 위치변경시 약 400m 교차로 이설필요[약 15억원 소요]

군도이설

교차로이설

교차로(당초)

타당성분석 청송 나들목[상주∼영덕 13공구]

□ 계획목표년도 접근로 총교통량은 6,614대/일로서 회전교차로 설치

가 가능하며, 나들목 접속부 편입면적 축소(245m2)로 공사비 절감

및 교통사고 감소 등 설치 타당성 확보

ㅇ 회전교차로 설치시 사업비 절감효과 : 약 6천만원(용지비 포함)

평면교차로 설치 개요도 회전교차로 설치 개요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2

VI 검토결론

□ 청송나들목 회전교차로 시범적용으로 상시 교통사고 취약구간인

교차로구간의 문제점 해소로 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

ㅇ 교차상충 등 교통사고 유발요인 개선으로 교차로 안전성

증대를 통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

※ 회전교차로 위치, 회전부 설계속도, 폭원 등은 현장여건에 따라 변경가능

□ 교통사고·지체감소, 에너지 절감 및 오염배출감소로 연간 약

4.2억원의 비용절감 가능

 

구 분

년 간 편 익 발 생(단위 : 백만원/개소)

비고

교통사고

통행시간

운행비용

대기오염

온실가스

청송I/C

417

254

82.4

49.9

27.1

3.6

 

 

 

※ 회전교차로 적용에 따른 년간 CO2 절감량 : 24ton/년

□ 행 정 사 항

ㅇ 나들목 형식변경에 따른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변경심의 추진

- 비관리청사업시행허가등 관련 지자체 사전협의 시행(건설사업단)

ㅇ 청송나들목 회전교차로 시범적용후 향후 국토부에서 추진예정인 시범

사업 모니터링 결과와 연계하여 효과분석 시행

※ [붙 임] : 1. 회전교차로 편익비용 검토. 1부

2. 회전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 1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3

회전교차로 편익비용 검토

□ 교통사고 감소편익

ㅇ 교통사고 발생현황

 

 

 

구 분

교통사고 발생건수[단위 : ]

인명피해[단위 : ]

비 고

교차로

단일로

기타

사망

부상

2008

215,822

94,821

115,938

5,063

5,870

338,962

 

ㅇ 사고발생 건당 손해비용

[단위 : 천원]

 

구 분

순평균비용

행 정 비 용

비 고

교통경찰

보험회사

물 적 피 해

1,175

1,041

52

82

 

인 적

피 해

15,234

13,912

755

566

 

사 망

449,996

448,308

907

780

 

부 상

5,144

3,830

752

563

 

 

 

※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도로교통공단(’09)], 교통사고 통계[경찰청(’09)]

ㅇ 년간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비용손실

- 전체 비용손실 금액

[단위 : 백만원/년]

 

구 분

발생건수

물 적

피 해

인 적 피 해

비 고

(평균)

사 망

부 상

비용손실

215,822

4,638,687

253,591

2,641,476

1,743,620

(21.5백만원)

 

 

- 교차로 당 교통사고 비용손실 : 360백만원/년

※ 21.5백만원/건×94,821건/년÷5662개소=360백만원/년·개소

ㅇ 회전교차로 적용시 년간 비용손실 감소 : △254백만원/개소

- 물적피해 : △6백만원/개소 - 인적피해 : △248백만원/개소

※ 회전교차로 도입후 년간 사고발생 감소비율 : 대인 73%, 대물 32%

⇒ NCHRP, Morden Roundabout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1998, p25)

붙 임 #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4

□ 통행시간 감소편익

ㅇ 원단위 환산

2011년 4월 기준 16,758 75,242 14,351

ㅇ 산정결과

 

구 분

총 통행시간()

편익

(백만원)

비 고

평면(A)

회전(B)

증감(A-B)

2015

11,156.8

7,296.1

3,860.7

68.9

 

2016

11,751.8

7,763.1

3,988.7

71.9

 

2017

12,346.7

8,230.1

4,116.7

74.9

 

2018

12,941.7

8,697.1

4,244.7

77.9

 

2019

13,536.7

9,164.1

4,372.6

80.9

 

2020

14,131.7

9,631.1

4,500.6

83.9

 

2021

14,726.7

10,098.1

4,628.6

86.9

 

2022

15,321.6

10,565.1

4,756.6

89.9

 

2023

15,916.6

11,032.1

4,884.6

92.9

 

2024

16,511.6

11,499.1

5,012.5

95.9

 

-

824.0

 

 

 

ㅇ 년 평균 통행시간 감소편익 : 82.4백만원/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5

□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

※ 운행비용 : 감가상각비, 임금, 보험료와 변동비(연료비 및 엔진오일 등)

ㅇ 원단위 환산(2011년 기준)

 

 

 

 

구 분

속도별 차량운행 비용(단위 : /Km)

비 고

승용차

소형버스

대형버스

소형트럭

중형트럭

대형트럭

40km/h

232.25

435.61

354.07

242.55

363.29

433.82

 

50km/h

210.96

379.09

318.14

229.59

344.67

398.78

 

ㅇ 산정결과

 

 

 

 

구 분

차량운행비용(백만원)

편익

(백만원)

비 고

평면(A)

회전(B)

증감(A-B)

2015

792.0

749.5

42.5

42.5

 

2016

820.8

776.6

44.2

44.2

 

2017

849.6

803.7

45.8

45.8

 

2018

878.3

830.8

47.5

47.5

 

2019

907.1

858.0

49.1

49.1

 

2020

935.8

885.1

50.8

50.8

 

2021

964.6

912.2

52.4

52.4

 

2022

993.3

939.3

54.1

54.1

 

2023

1,022.1

966.4

55.7

55.7

 

2024

1,050.9

993.5

57.4

57.4

 

-

499.4

 

ㅇ 년 평균 통행시간 감소편익 : 49.9백만원/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6

□ 대기오염 감소편익

ㅇ 원단위 환산(2011년 기준)

 

 

 

 

구 분

대기오염 비용 (단위 : /km)

비 고

승용차

소형버스

중형버스

대형버스

소형트럭

중형트럭

대형트럭

40km/h

12.57

18.67

62.13

221.89

23.22

108.68

296.75

 

50km/h

9.88

17.12

54.48

201.38

20.79

94.94

270.43

 

ㅇ 산정결과

 

구 분

대기오염비용(백만원)

편익

(백만원)

비 고

평 면(A)

회 전(B)

증 감(A-B)

2015

187.1

160.9

26.2

26.2

 

2016

194.5

168.1

26.4

26.4

 

2017

201.9

175.3

26.6

26.6

 

2018

209.3

182.5

26.8

26.8

 

2019

216.7

189.7

27.0

27.0

 

2020

224.1

196.9

27.2

27.2

 

2021

231.5

204.1

27.4

27.4

 

2022

238.9

211.3

27.6

27.6

 

2023

246.3

218.5

27.7

27.7

 

2024

253.7

225.7

27.9

27.9

 

-

270.6

 

 

 

ㅇ 년 평균 통행시간 감소편익 : 27.1백만원/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7

□ 온실가스 절감편익(CO2)

ㅇ 국내 차종별 CO2 배출계수 산정식

ㅇ 산정결과

 

구 분

CO2 배출량(ton)

편익

(백만원)

비 고

평면(A)

회전(B)

증감(A-B)

2015

272.0

254.7

17.3

3.0

 

2016

283.4

265.2

18.1

3.1

 

2017

294.8

275.8

19.0

3.3

 

2018

306.1

286.4

19.8

3.4

 

2019

317.5

296.9

20.6

3.5

 

2020

328.9

307.5

21.4

3.7

 

2021

340.3

318.1

22.2

3.8

 

2022

351.7

328.7

23.0

4.0

 

2023

363.1

339.2

23.8

4.1

 

2024

374.5

349.8

24.6

4.2

 

 

36.2

 

 

 

계 36.2

ㅇ 년 평균 통행시간 감소편익 : 3.6백만원/년

□ 총 편익발생 현황

 

 

 

 

구 분

년 간 편 익 발 생(단위 : 백만원/)

비고

교통사고

통행시간

운행비용

대기오염

온실가스

남 장 수

417

254

82.4

49.9

27.1

3.6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648

붙 임 #2

회전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

□ 분 석 결 과

※ A’ : 차량당 제어지체(초/pcu), B’ : 서비스수준 [분석프로그램 : SIDRA]

□ 서비스수준 적용기준

ㅇ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도로용량편람(2005, 국토해양부)]

 

 

 

 

구 분

서 비 스 수 준

비고

A

B

C

D

E

F

FF

FFF

차량 당 제어지체

15초 미만

30

미만

50

미만

75

미만

100

미만

220

미만

340

미만

340

미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11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_Hi-Quality 건설현장 검측제도 개선 file 효선 2024.04.24 963
11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3_고속도로 건설현장 교량 하부 공간 효율적 관리 방안 file 효선 2024.04.24 1049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4_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 결과 file 효선 2024.04.24 828
11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5_공용 중인 노선의 신축이음부 충격음 저감 대책 file 효선 2024.04.24 931
11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6_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4.24 1829
11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7_에너지 저소비형 절전형 항온항습기 도입 방안 file 효선 2024.04.24 977
11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8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file 효선 2024.04.24 1185
11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9_신재생에너지 투자대상의 기준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4.22 806
11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0_오수처리시설 관리실 시설 기준 file 효선 2024.04.22 935
11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1_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4.04.22 1294
11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2_건축 설계기준 개선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164
11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3_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 방안 file 효선 2024.04.22 913
11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4_효율적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영업소 사무실 평면 개선계획 file 효선 2024.04.22 861
11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5_점멸식 속도제한표지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4.22 993
11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6_톨게이트 점검사다리 개선 file 효선 2024.04.22 938
11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7_고속도로 건설구간 자생수목 및 비옥토 활용 관리방안 개선(안) file 효선 2024.04.22 1044
11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8_고속도로 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865
11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9_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터널 운영관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2 1073
11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0_장대터널 중앙감시반 모니터 형식 개선 file 효선 2024.04.22 1104
11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1_Hi-Green Building 실행계획 변경(안)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