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KCS 21 00 00

 

KCS 21 00 00 가설공사

 

 

 

 

 

가설공사

KCS 21 70 15 : 2022

 

 

 

낙하물재해 방지시설

 

2022223일 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1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건설기준 연혁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가설공사, 건축공사,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의 낙하물재해 방지시설에 해당되는 부분을 통합 정비하여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연혁은 다음과 같다.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제정

제정

(2002.5)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지하철, 항만, 터널 및 교량 등의 가설공사에 대한 시공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립

개정

(2006.12)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개정 및 설계편 제정

개정

(2014.8)

KCS 21 70 15 : 2016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정비함

제정

(2016.6)

KCS 21 70 15 : 2016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수정

(2018.7)

KCS 21 70 15 : 2019

관련 법 개정사항 반영 및 시공기준 추가

개정

(2019.4)

KCS 21 70 15 : 2022

최근 개정 법령 반영 및 기준 간 상충해소를 위한 가설기준 전체 정비

개정

(2022.2)

 

 

 

 

 

 

 

제 정 : 2016630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 한국건설가설협회

개 정 : 2022223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작성기관 : 한국건설가설협회

 

 

 

목 차

 

 

 

1. 일반사항 1

1.1 적용 범위 1

1.2 참고 기준 1

1.3 용어의 정의 1

2. 자재 1

2.1 낙하물 방지망 1

 

2.2 방호 선반 2

2.3 수직 보호망 2

3. 시공 2

3.1 낙하물 방지망 2

3.2 방호 선반 3

3.3 수직 보호망 3

3.4 낙하물 투하설비 4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건설공사를 함에 있어 낙하물에 의하여 근로자, 통행인 및 통행차량 등에 위험을 끼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낙하물재해 방지시설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낙하물재해 방지시설은 추락재해 방지시설과 구분되며, 낙하물 방지망, 방호 선반 및 수직 보호망 등이 있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1.2.2 관련 기준

KS F 8002 강관비계용 부재

KS F 8016 방호 선반

KS F 8081 수직 보호망

KS F 8082 추락 방호망

KS F 8083 낙하물 방지망

 

1.3 용어의 정의

낙하물 방지망 : 바닥, 도로, 통로 및 비계 등에서 자재,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에 수평면과 20° 이상 30° 이하로 설치하는 망

낙하물 투하설비 : 높이 3m 이상인 장소에서 낙하물을 안전하게 던져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해 설치되는 설비

방호 선반 : 상부에서 작업도중 자재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 안전 통로 출입구 상부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 대신 설치하는 목재 또는 금속 판재

수직 보호망 : 가설구조물의 바깥면에 설치하여 낙하물 및 먼지의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보호망

 

2. 자재

 

2.1 낙하물 방지망

(1) 낙하물 방지망은 KS F 8083 또는 KS F 8082에서 정한 그물코 크기가 20mm 이하의 추락 방호망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 낙하물 방지망에 사용되는 강관은 KS F 8002 또는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2 방호 선반

(1) 방호 선반은 KS F 8016 또는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3 수직 보호망

(1) 수직 보호망은 KS F 8081에서 정하는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수직 보호망은 다음에 해당되는 것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수직 보호망의 망 또는 금속고리 부분이 파손된 것

보수가 불가능한 것

(3) 긴결재는 사용기간 동안 바람과 같이 반복되는 외력에도 풀리지 않아야 하고, 긴결재로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경우는 동절기에도 끊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3. 시공

 

3.1 낙하물 방지망

 

3.1.1 시공

(1) 낙하물 방지망의 내민길이는 비계 또는 구조체의 외측에서 수평거리 2m 이상으로 하고, 수평면과의 경사각도는 20°이상 30°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추락방지 겸용의 경우에는 KCS 21 70 10의 시공방법에 따른다.

(2)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높이는 10m 이내 또는 3개 층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3) 낙하물 방지망과 비계 또는 구조체와의 간격은 250mm 이하이어야 한다.

(4) 벽체와 비계 사이는 망 등을 설치하여 폐쇄한다. 외부공사를 위하여 벽과의 사이를 완전히 폐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낙하물 방지망 하부에 걸침띠를 설치하고, 벽과의 간격을 250mm 이하로 한다.

(5) 낙하물 방지망의 이음은 150mm 이상의 겹침을 두어 망과 망 사이에 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1.2 현장 품질관리

(1) 낙하물 방지망은 설치 후 3개월 이내마다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망에 대한 인장강도 시험을 하며, 강도손실이 초기 인장강도의 30이상인 경우에는 폐기하여야 한다.

(2) 망 주위에서 용접작업을 할 경우에는 용접불꽃이 튀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작업이 끝나면 망의 손상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3) 망에 적재되어 있는 낙하물 등은 즉시 제거하고, 망은 항상 깨끗이 유지관리 하여야 한다.

 

3.2 방호 선반

(1) 낙하물에 의한 위험요소가 있는 주출입구 및 리프트 출입구 상부 등에는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에 적합한 방호 선반을 설치하여야 한다.

(2) 근로자, 보행자 및 차량 등의 통행이 빈번한 곳의 첫 단은 낙하물 방지망 대신에 방호 선반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방호 선반은 틈새가 없어야 하며, 풍압, 진동 및 충격 등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모든 지지재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4) 방호 선반의 설치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10m 이내이어야 한다.

(5) 방호 선반의 내민길이는 구조체의 최외측에서 수평거리 2m 이상으로 하고 수평면과의 경사각도는 20°이상 30°이하 정도로 설치한다. 다만,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호 선반의 끝단에 수평면으로부터 높이 0.6m 이상의 방호벽을 설치하여야 한다.

(6) 방호 선반의 하중 및 낙하물에 의해 비계 또는 구조체가 전도되지 않도록 벽 연결재 등을 사용하여 충분히 보강하여야 하며, 비계에 설치된 방호 선반 지지재의 연결부분에도 벽 연결재 등을 사용하여 충분히 보강하여야 한다.

(7) 방호 선반 하부 및 양 옆에는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한다.

 

3.3 수직 보호망

 

3.3.1 시공

(1) 작업장소에서 외부로 물체가 낙하 또는 비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연성 또는 방염가공한 합성섬유망을 비계 외측에 비계기둥과 띠장 간격에 맞추어 제작설치하고,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2) 수직 보호망을 구조체에 고정할 경우에는 350mm 이하의 간격으로 긴결하여야 한다.

(3) 수직 보호망의 지지재는 수평간격 1.85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KDS 21 00 00에 따라 구조계산 및 시공상세도를 작성한 경우에는 시공상세도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4) 수직 보호망의 고정 긴결재는 인장강도 981N 이상으로서 방청처리된 것이어야 하며, 긴결방법은 사용기간 동안 강풍 등 반복되는 외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긴결재로 케이블타이와 같은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절기에도 끊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5) 수직 보호망을 부착한 후에 강풍이 예상될 때에는 벽 연결재 등으로 보강하거나, 작업이 중지되는 부분은 일부를 해체하여야 한다.

(6) 수직 보호망의 설치나 이음은 수직 보호망의 금속 고리 구멍이나 테두리 부분에서 하여야 하며, 모든 금속 고리 구멍에 대하여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7) 수직 보호망을 설치하여야 할 단부나 모서리 등에는 그 치수에 맞는 수직 보호망을 이용하여 틈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8) 수직 보호망과 같이 통기성이 작은 망은 예상 최대 풍압력과 비계의 내력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3.3.2 현장 품질관리

(1) 수직 보호망이 사용되는 기간에는 다음 항에 따라 검사하고, 필요시에는 교체하여야 한다.

수직 보호망은 설치 후 3개월 이내마다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이 때, 망에 마모가 진행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즉시 교체 또는 보수·보강을 하여야 한다.

연결재의 상태는 1개월마다 정기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악천후 시는 수직 보호망, 지지재 등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수직 보호망 근처에서 용접작업을 할 경우는 용접불꽃 또는 용단파편에 의한 망의 손상이 없는지 검사한다.

재료의 반입 등으로 수직 보호망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작업종료 후 즉시 복원하여야 한다.

(2) 수직 보호망의 보관은 다음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통풍이 잘되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한다.

사용기간, 사용횟수 등의 사용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한다.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용접불꽃 등으로 망이 손상된 부분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망을 이용하여 보수한다.

 

3.4 낙하물 투하설비

(1) 높이가 3m 이상인 장소로부터 물체를 투하하는 경우 물체의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투하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투하설비와 구조물과의 연결은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하여야 한다.

(3) 이음부는 충분히 겹치도록 설치하여 쓰레기 등의 낙하물이 이음부에서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투하설비 최하부에는 표지판 및 울타리를 설치하여 관계자 이외에 출입을 금지하여야 한다.

 

집필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백승환

한국건설가설협회

이준성

가설안전이엔씨

서경도

종로산업안전

장덕배

동양미래대학교

 

 

 

국가건설기준센터 및 건설기준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이영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경인

고려대학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석환

싸이러스주식회사기술연구소

김기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성오

()한국비계기술원

김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대성

()한국건설안전협회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성군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김희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수원

한국건설안전협회

류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남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훈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상문

다인과파트너

이승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성현

()예원구조컨설팅

이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만

수원과학대학교

주영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광길

에스폼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석

제이슨이엔씨 구조기술사사무소

허원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현섭

한국안전보건공단

 

 

차정운

극동엔지니어링

 

 

최지선

한국도로협회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동규

한국수자원공사

이종섭

고려대학교

김희대

세광종합기술단

이희상

한국도로공사

문준식

경북대학교

최경학

한국도로공사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소관부처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유병수

기술혁신과

양성모

기술혁신과

백세영

기술혁신과

 

 

 

(분야별 가나다순)

 

 

 

 

 

KCS 21 70 15 : 2022

낙하물재해 방지시설

 

2022223일 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작성기관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031-910-0444 E-mail:kcsc@kict.re.kr

http://www.kcsc.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557 2022_KCS 21 50 05_가시설+설계기준_거푸집 및 동바리공사 일반사항_08 file 효선 2022.09.28 2165
556 2022_KCS 21 50 10_가시설+설계기준_초고층·고주탑 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_09 file 효선 2022.09.28 1630
555 2022_KCS 21 50 15_가시설+설계기준_노출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0 file 효선 2022.09.28 1493
554 2022_KCS 21 50 20_가시설+설계기준_기타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1 file 효선 2022.09.28 1703
553 2022_KCS 21 60 05_가시설+설계기준_비계공사 일반사항_12 file 효선 2022.09.28 2021
552 2022_KCS 21 60 10_가시설+설계기준_비계_13 file 효선 2022.09.28 3686
551 2022_KCS 21 60 15_가시설+설계기준_작업발판 및 통로_14 file 효선 2022.09.28 2113
550 2022_KCS 21 70 05_가시설+설계기준_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_15 file 효선 2022.09.28 1701
549 2022_KCS 21 70 10_가시설+설계기준_추락재해 방지시설_16 file 효선 2022.09.28 2157
» 2022_KCS 21 70 15_가시설+설계기준_낙하물재해 방지시설_17 file 효선 2022.09.28 1974
547 20220223_가시설+설계기준KDS+및+가설공사+표준시방서KCS+개정_고시 file 효선 2022.09.28 1724
546 2022_KDS 21 10 00 가시설물 설계 일반사항_01 file 효선 2022.09.28 2024
545 2022_KDS 21 30 0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_02 file 효선 2022.09.28 6788
544 2022_KDS 21 45 00 가설교량 및 노면복공_설계기준_03 file 효선 2022.09.28 2051
543 2022_KDS 21 50 00 거푸집 및 동바리_설계기준_04 file 효선 2022.09.28 5733
542 2022_KDS 21 60 00 비계 및 안전시설물설계기준_05 file 효선 2022.09.28 2723
541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9.28 1825
540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1_총칙 file 효선 2022.09.28 2179
539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2_특징과유형 file 효선 2022.09.28 2123
538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3_계획및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9.28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