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KCS 21 00 00

 

KCS 21 00 00 가설공사

 

 

 

 

 

가설공사

KCS 21 70 10 : 2022

 

 

 

추락재해 방지시설

 

2022223일 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1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건설기준 연혁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가설공사, 건축공사,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의 추락재해 방지시설에 해당되는 부분을 통합 정비하여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연혁은 다음과 같다.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제정

제정

(2002.5)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지하철, 항만, 터널 및 교량 등의 가설공사에 대한 시공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립

개정

(2006.12)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개정 및 설계편 제정

개정

(2014.8)

KCS 21 70 10 : 2016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정비함

제정

(2016.6)

KCS 21 70 10 : 2016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수정

(2018.7)

KCS 21 70 10 : 2019

관련 법 개정사항 반영 및 시공기준 추가

개정

(2019.4)

KCS 21 70 10 : 2022

최근 개정 법령 반영 및 기준 간 상충해소를 위한 가설기준 전체 정비

개정

(2022.2)

 

 

 

 

 

 

 

제 정 : 2016630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 한국건설가설협회

개 정 : 2022223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작성기관 : 한국건설가설협회

 

 

 

목 차

 

 

 

1. 일반사항 1

1.1 적용 범위 1

1.2 참고 기준 1

1.3 용어의 정의 1

2. 자재 2

2.1 추락 방호망 2

2.2 안전난간 2

2.3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2

2.4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3

2.5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3

2.6 수직형 추락방망 3

3. 시공 3

3.1 추락 방호망 3

3.2 안전난간 5

3.3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5

3.4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6

3.5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6

3.6 수직형 추락방망 6

3.7 안전대 부착설비 7

3.8 접근방지책 7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건설현장 등의 고소작업 장소에서 추락으로 인한 근로자에 위험을 끼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추락재해 방지시설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추락재해방지 표준안전작업지침

 

1.2.2 관련 기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F 8002 강관비계용 부재

KS F 8011 이동식 강관 비계용 부재

KS F 8013 조임 철물

KS F 8017 안전 난간 기둥

KS F 8018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KS F 8019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KS F 8082 추락 방호망

 

1.3 용어의 정의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 근로자 또는 장비 등이 바닥 등에 뚫린 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판재 또는 철판망

발끝막이판(toe board) : 근로자의 발이 미끄러짐이나, 작업 시 발생하는 잔재, 공구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발판이나 통로 및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판재

수직형 추락방망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위험장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는 방망

안전난간 : 추락의 우려가 있는 통로, 작업발판의 가장자리, 개구부 주변 등의 장소에 임시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수평난간대와 난간기둥 등으로 구성된 안전시설

안전대 부착설비 :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2m 이상의 장소에서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시킨 경우 안전대를 안전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설비

추락 방호망 : 고소작업 중 근로자의 추락 및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보호망. 다만, 낙하물방지 겸용 방호망은 그물코 크기가 20mm 이하일 것

 

2. 자재

 

2.1 추락 방호망

(1) 추락 방호망은 KS F 8082에서 정하는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테두리로프를 섬유로프가 아닌 와이어 로프로 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15kN 이상이어야 한다.

(2) 추락 방호망을 지지하는 각 지지부의 재료는 다음의 낙하시험에 적합하여야 한다. 현장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일부 구간을 시험하여 전체 재료의 적합성을 결정한다.

철골구조물 내부 등과 같이 클램프나 전용철물 등으로 추락 방호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지점으로부터 10m 이상의 높이에서 시멘트 2포대(80kg)를 포개어 묶은 중량물을 추락 방호망의 중앙부에 낙하한 후 클램프 또는 전용철물의 손상이나 파괴 등이 없어야 한다.

건축물이나 구조물 외부 등과 같이 내민보 형상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추락 방호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대 1개를 벽체 등의 구조물에 고정한 후 내민 끝단부의 달기 또는 테두리로프 결속 위치에 로프를 체결하고 로프의 끝단에 과 같은 중량물을 묶은 다음 중량물을 10m 이상 자유낙하 시킨 후 지지대가 꺾이거나 지지대 고정부의 탈락 등의 이상이 없어야 한다. 또한 지지대 2개를 고정한 후 각각의 지지대 내민 길이 중앙부를 로프로 서로 연결한 후 이 로프의 중앙에도 과 같은 중량물을 10m 이상 자유낙하 시킨 후 이상이 없어야 한다.

 

2.2 안전난간

(1) 안전난간 기둥은 KS F 8017 또는 방호장치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은 KS F 8011 또는 방호장치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수평난간대로 쓰이는 강관은 KS F 8002 또는 방호장치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4) 난간지주와 난간대의 접합에 사용되는 클램프는 KS F 8013 또는 방호장치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 발끝막이판의 높이는 바닥에서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2.3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1) 개구부 수평보호덮개는 상부판과 스토퍼로 구성된다.

(2) 개구부 수평보호덮개로 사용되는 목재의 재질은 옹이, 갈라짐, 홈 등 결점이 없는 곧은 것이어야 한다.

(3) 상부판으로 사용되는 합판은 두께가 12mm 이상이어야 하며, 스토퍼로 사용되는 목재의 경우에는 단면이 45mm × 45mm 이상이어야 한다.

(4) 강재를 사용하여 개구부 수평보호덮개를 제작할 경우 다음 표 2.3-1의 규격과 동등 이상의 기계적 성질을 갖는 것을 사용하며, 스토퍼로 형강을 사용할 수 있다.

 

 

강재 종류

재료

상부판

스토퍼

철근

KS D 3504

지름 10mm 이상의 격자모양

지름 10mm 이상

형강

KS D 3503

40mm×40mm×5mm

40mm×40mm×5mm

 

 

2.4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1)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은 KS F 8019 에 적합하여야 한다.

 

2.5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1)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은 KS F 8018 또는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 난간틀에 사용되는 발끝막이판 용도의 하부난간재 높이는 바닥에서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2.6 수직형 추락방망

(1) 수직형 추락방망은 KS F 8084에서 정하는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추락 방호망

 

3.1.1 시공

(1) 설치 높이는 그림 3.1-1 과 같이 작업면으로부터 추락 방호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H)를 말하며 10m를 초과해서는 아니 된다. 특히, 작업면이 지붕 위 또는 경사진 부분 같은 곳은 가능한 작업면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설치 형태는 그림 3.1-1과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고 추락망호망의 중앙부 처짐(S)은 추락 방호망의 짧은 변 길이(N)12% 18%가 되어야 한다.

(3) 추락 방호망의 길이 및 나비가 3m를 넘는 것은 3m 이내마다 같은 간격으로 테두리로프와 지지점을 달기로프로 결속하여야 한다.

(4) (3)에도 불구하고 내민보 형상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추락 방호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대(A)간의 수평 간격(L)을 제조자가 제시하는 간격 이내로 하여야 한다. 또한 추락 방호망의 짧은 변 길이(N)가 되는 내민 길이(B)3m 이상이 되어야 한다.

(5) 근로자가 추락 방호망에 추락시 추락 방호망의 늘어짐에 의해 바닥면 또는 돌출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하고 추락 방호망 위에는 돌출부나 지지파이프, 철선 등과 같은 걸림대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6) 추락 방호망과 이를 지지하는 구조체 사이의 간격은 100mm 이하이어야 한다.

(7) 추락 방호망의 이음은 0.75m 이상의 겹침을 두어 망과 망 사이에 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1.2 현장 품질관리

(1) 최초 설치된 추락 방호망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발생한 후에는 성능확인 검사를 하여야 한다.

(2) 추락 방호망에 장비, 도구 및 건설 폐기물 등이 떨어졌을 경우에는 즉시 제거하여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 추락 방호망의 검사는 설치 후 1년 이내에 최초로 하고, 그 이후로 6개월 이내마다 1회씩 정기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망사에 대한 인장강도 시험을 하며, 강도 손실이 초기 인장강도의 30이상인 경우에는 폐기하여야 한다.

(4) 인체 또는 인체 상당의 낙하물에 의한 충격을 받은 추락 방호망은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즉시 교체하여야 한다.

(5) 추락 방호망은 자외선, 기름, 유해가스가 없는 건조한 곳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6) 추락 방호망은 열기와 가까운 곳에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3.2 안전난간

(1) 근로자가 추락할 우려가 있는 통로, 작업발판의 가장자리, 개구부 주변, 경사로 등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2) 비계에 설치하는 안전난간은 비계기둥의 안쪽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안전난간의 각 부재는 탈락,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4)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통로의 표면(이하 바닥면 등이라 한다)으로부터 0.9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5) 상부 난간대의 높이를 1.2m이하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1.2m를 초과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0.6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설치된 난간기둥 간의 간격이 0.25m 이하인 경우에는 중간난간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6)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0mm 이상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의 단순 이동통로와 같이 낙하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거나, 안전난간 하부에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거나 안전난간에 수직으로 보호망을 설치하여 낙하물에 의한 위험을 방호하기 위한 조치를 한 경우 또는 작업장소 하부에 근로자의 출입금지구역 표시 및 접근차단시설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끝막이판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설치한 보호망은 KS F 8083에서 정한 성능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7)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8)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는 난간길이 전체를 통하여 바닥면과 평행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계단에서는 바닥면을 계단의 투영 경사면으로 한다.

(9) 난간기둥의 설치간격은 수평거리 2.0m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를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10) 안전난간을 안전대의 로프, 지지로프, 서포트, 벽 연결, 비계, 작업발판 등의 지지점 또는 자재운반용 걸이로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11) 안전난간에 자재 등을 기대두거나, 난간대를 밟고 승강하지 않아야 한다.

(12) 안전난간에는 근로자의 작업복이 걸려 찢어지거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가 외부로 향하거나, 매립형 또는 돌출부에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13) 상부 난간대와 중간 난간대로 철제 벤딩이나 플라스틱 벤딩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3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1) 수평개구부에는 12mm 합판과 45mm × 45mm 각재 또는 동등 이상의 자재를 이용하거나, 슬래브 철근을 연장하여 배근하고 개구부 수평보호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차도 및 운송로 등에 위치한 수평보호덮개는 해당 현장에서 가장 큰 운송수단의 2배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수평보호덮개는 근로자, 장비 등의 2배 이상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 수평보호덮개는 바람, 장비 및 근로자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5) 개구부 단변 크기가 200mm 이상인 곳에는 수평보호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상부판은 개구부를 덮었을 경우 개구부에 밀착된 스토퍼로부터 100mm 이상을 본 구조체에 걸쳐져 있어야 한다. 다만 벽체와 인접하는 등 걸침 폭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이에 상당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7)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근간격을 100mm 이하의 격자모양으로 한다.

(8)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 근로자가 개구부 덮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9) 스토퍼는 개구부에 2면 이상을 밀착시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0) 위험표지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어두운 곳에서도 눈에 띌 수 있는 형광페인트 등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11) 자재 등을 개구부에 덮어놓거나, 자재 등으로 개구부가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2) 개구부 주변은 정리정돈을 철저히 하여야 하며, 주변에서 작업할 때에는 안전대를 착용하여야 한다.

 

3.4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1) 출입구 바닥은 평평하게 하여야 한다.

(2)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 측면에는 안전난간 및 위험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여닫이문일 경우에는 여닫이 방향을 건물 내측으로 하여야 한다.

(4) 리프트 승강구 안전문의 기둥은 구조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3.5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

(1) 난간대는 2단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난간틀의 아래에는 100mm 이상의 발끝막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통로의 표면으로부터 0.9m 이상 1.5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3) 중간 난간대는 순 간격이 0.45m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에는 위험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5) 난간틀에 자재 등을 기대어 두지 않아야 한다.

 

3.6 수직형 추락방망

(1)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 등에는 수직형 추락방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앵커, 버클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 달기로프 등 연결부를 이용하여 벽체 등의 수직(높이)방향으로 0.75m 이내마다 고정하여야 한다.

(4) 바닥에는 길이방향으로 3m 이내마다 고정하여야 한다.

(5) 양끝을 240kg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겨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6) 수직방향으로 1.5m 이상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발코니 치켜올림부가 300mm 이상인 경우에는 1.2m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7) 수직형 추락방망은 설치 후 인장력이 자연 감소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버클 등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인장력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8) 수직형 추락방망은 용접작업 등으로 인해 불티 또는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을 금지하여야 한다.

 

3.7 안전대 부착설비

(1)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2m 이상의 장소에서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시킨 경우 안전대를 안전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부착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부착설비에는 건립 중인 구조체, 전용철물, 지지로프 등으로 할 수 있다.

(3) 높이 1.2m 이상, 수평방향 7m 이내의 간격으로 강관(지름 : 48.6mm, 두께 : 2.4mm) 등을 사용하여 안전대걸이를 설치하고, 인장강도 14,700N 이상인 안전대걸이용 로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장소(추락 시 물체에 충돌할 수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안전대 로프 길이의 2배 이상의 높이에 있는 구조물 등에 부착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안전대의 로프를 지지하는 부착설비의 위치는 반드시 벨트의 위치보다 높아야 한다.

(6) 한줄의 지지로프를 이용하는 근로자의 수는 1인으로 하여야 한다.

(7) 안전난간을 지지로프의 지지대로 이용하여서는 안 된다.

 

3.8 접근방지책

(1) 지하구조물 터파기 부위, 공사용 장비의 작업구간 등 출입통제가 필요한 장소에는 수직방향 0.45 ~ 0.6m, 0.9 ~ 1.2m 위치, 수평방향 1.85m 이내의 간격으로 강관(지름 : 48.6mm, 두께 : 2.4mm) 등을 사용하여 접근방지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집필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백승환

한국건설가설협회

이준성

가설안전이엔씨

서경도

종로산업안전

장덕배

동양미래대학교

 

 

 

국가건설기준센터 및 건설기준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이영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경인

고려대학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석환

싸이러스주식회사기술연구소

김기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성오

()한국비계기술원

김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대성

()한국건설안전협회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성군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김희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수원

한국건설안전협회

류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남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훈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상문

다인과파트너

이승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성현

()예원구조컨설팅

이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만

수원과학대학교

주영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광길

에스폼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석

제이슨이엔씨 구조기술사사무소

허원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현섭

한국안전보건공단

 

 

차정운

극동엔지니어링

 

 

최지선

한국도로협회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동규

한국수자원공사

이종섭

고려대학교

김희대

세광종합기술단

이희상

한국도로공사

문준식

경북대학교

최경학

한국도로공사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소관부처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유병수

기술혁신과

양성모

기술혁신과

백세영

기술혁신과

 

 

 

(분야별 가나다순)

 

 

 

 

KCS 21 70 10 : 2022

추락재해 방지시설

 

2022223일 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작성기관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031-910-0444 E-mail:kcsc@kict.re.kr

http://www.kcsc.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6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557 2022_KCS 21 50 05_가시설+설계기준_거푸집 및 동바리공사 일반사항_08 file 효선 2022.09.28 2166
556 2022_KCS 21 50 10_가시설+설계기준_초고층·고주탑 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_09 file 효선 2022.09.28 1636
555 2022_KCS 21 50 15_가시설+설계기준_노출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0 file 효선 2022.09.28 1493
554 2022_KCS 21 50 20_가시설+설계기준_기타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1 file 효선 2022.09.28 1703
553 2022_KCS 21 60 05_가시설+설계기준_비계공사 일반사항_12 file 효선 2022.09.28 2021
552 2022_KCS 21 60 10_가시설+설계기준_비계_13 file 효선 2022.09.28 3686
551 2022_KCS 21 60 15_가시설+설계기준_작업발판 및 통로_14 file 효선 2022.09.28 2115
550 2022_KCS 21 70 05_가시설+설계기준_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_15 file 효선 2022.09.28 1701
» 2022_KCS 21 70 10_가시설+설계기준_추락재해 방지시설_16 file 효선 2022.09.28 2158
548 2022_KCS 21 70 15_가시설+설계기준_낙하물재해 방지시설_17 file 효선 2022.09.28 1974
547 20220223_가시설+설계기준KDS+및+가설공사+표준시방서KCS+개정_고시 file 효선 2022.09.28 1724
546 2022_KDS 21 10 00 가시설물 설계 일반사항_01 file 효선 2022.09.28 2025
545 2022_KDS 21 30 0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_02 file 효선 2022.09.28 6790
544 2022_KDS 21 45 00 가설교량 및 노면복공_설계기준_03 file 효선 2022.09.28 2053
543 2022_KDS 21 50 00 거푸집 및 동바리_설계기준_04 file 효선 2022.09.28 5734
542 2022_KDS 21 60 00 비계 및 안전시설물설계기준_05 file 효선 2022.09.28 2723
541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9.28 1826
540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1_총칙 file 효선 2022.09.28 2181
539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2_특징과유형 file 효선 2022.09.28 2123
538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3_계획및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9.28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