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1권_도로계획및기하구조_4편 출입시설_9.입체교차의 조경공사
2021.01.15 15:07
제 4 편 출입시설
제1권 도로 계획 및 기하구조
590
9.1 입체교차의 경관설계
입체교차의 경관설계는 운전자가 쉽게 입체교차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실시한다.
입체교차를 이용하는 운전자 중에는 주변 시설에 익숙한 운전자뿐만 아니라 처음 통행하는
운전자도 본선에서 주행 중 주변 상황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형
설계와 함께 조경설계에도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조경설계로 입체교차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자연 지형, 지장물을 적절히 이용하
거나 노면표시를 하는 등 입체교차의 경관을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를 검토
해야 한다.
9.2 비탈면의 조경
조경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경사 완화를 실시하는 땅깎기 비탈면은 원칙적으로 루프 내부 및 녹지대
에만 실시하지만 입체교차 외측에 대해서도 경사를 완화하여 조경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 경사완화
루프 연결로의 내부와 녹지대 내의 최대 비탈면 경사는 표 9.1의 경사를 표준으로 한다.
<표 9.1> 경사 완화의 최대 비탈면 경사
높이(m) 표 준 값 절대 최대값
0 ~ 1.0 1 : 4 1 : 4.0
1.0 ~ 3.0 1 : 4 1 : 2.0
3.0 ~ 4.5 1 : 3 1 : 1.8
4.5 이상 1 : 2 1 : 1.5
9. 입체교차의 조경공사
제4편 출입시설
591
<그림 9.1> 경사 완화의 최대 비탈면 경사
(2) 등고선
등고선은 현지반의 등고선에 될 수 있는 대로 역행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또 단면의 경사가
표 9.1의 조건에 적합한지 검토하면서 결정한다.
등고선은 반드시 규칙적일 필요는 없으며, 원지반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경관을 조성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림 9.2> 경사 완화(예시)
제1권 도로 계획 및 기하구조
592
(3) 집수거(集水渠)
루프 연결로나 녹지대 내의 집수에는 맹암거를 사용한다.
<그림 9.3> 맹암거 비탈면 단면
(4) 식재 계획
그림 9.4는 관목 및 수목 계획의 예시이다. 비탈면은 조약돌 및 식재부를 제외하고 전면 떼붙
임으로 한다.
식재가 시거의 단축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시선 유도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유의한다.
그리고 현지의 자연초목을 그대로 보존하여 그 지방 특유의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그림 9.4> 시거를 고려한 식재 계획(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