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17 터널 피난 연 락 갱 설치기준(안)방침설계기13201-3501. 검토목적001.7.6)터널에 설치하는 피난 연 락 갱의 구 난 기준을 검토하여 피난 연 락 갱의 적정한설치규격과 설치간격을 검토 하고자 함.2. 관련규정0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규칙(2000, 건교부)( 비상시설별 설치기준및 정의)ㆍ터널내 재해 발생시 인 접 터널로 사 람이나 자동차 대 피를 위하여피난 연 락갱 설치0 설치기준: 7500 간으로격설치3. 현 적 실태용0 피난 연 락 갱 설치기준수립 :설계기16203795호(93. 12. 6)- 간격 : 750 ㅠ 정도- FA:47m()x 3.50( 높이)--225-0 외국의 터널내 대 형 사고이후 규격 확대 적용 (96 노 르 웨이 화 재 사고등)- 규격: 4.70(폭) × 53 ~ 5.90( 높이)G By Sa5.9005.300|4.7004.문제점ㅇ 구 난 대상및 기준 미 정립으로설계자에 따라 설치규격및 간격이상이시공 예정 피난 연 락 갱 규격 현황|피난 연 락갱{1 대 성 1,5702?4.7×3.5갈 항1,045 |14.7×3.5하도1,55014.7X53고정 21,060147x53고정 31.078147X53상동2,030247X35터널만덕2,307247X54정점상주21,33514.7%53 기준노고산 1975147x5.3oe,노고산 22,197247X53 -서울 외곽 순 환|사패산3,99354.7×5.3수락산2,95034.7×5.3불암산1.68524.7×5.3-226-5. 검토내용가. 피난 연 락 갱의 규격검토1). 외국의 적용 사례가). 일본ㆍ인도 연 락갱: 규격 : 2.8 띠)폭 × 3.001( 높이)ㆍ간격: 7502|ㆍ차량연 락 갱ㆍ구 격 : 4.70폭)(× 3.50( 높이)ㆍ간격: 30002나). 노르웨이ㆍ피난 연 락 갱 : 기준없음ㆍ회차갱 :1.000~-200002다). 스 웨oOo도연 락갱[그ㆍ간격 : 1002ㅁ다). 스위스ㆍ비상 주차대ㆍ간격; 7002-8227-2). 차량별도류폭원및통과 높이(편도 2차선 기준}도 유 폭원 검토자량 죄 외곽 선차량 제 원별 검 결과반 |7,5004,1073,720량 |11,5007,5793,770.84004,7463,205.ay77,6004,756|3,500ayae)8,40047483,100차나으량형 }11,7005,9553,46023차4790 | 1,690 | 1,965 |48001,6901,965-228 -나. 구난 범위에 따른설계 적용 규격(안)toe1안 (중형)2안 (대형)인명인명및 차량a구 난 범위ㆍ비상 차량: 비상 차량(중형소방차,중 형|ㆍ일반 차량견인차,구급)¢ tw Ba:woePRsooo그1.2004.7m(¥)x 3.5 퍼높이}8.000( 폭) × 4.00( 높이) |1.20( 폭) × 2.00( 높이)0 인 명 대피 taFaw)- 성 인 남자 어깨 폭 : 0.4502- 대 피 자이동시점촉안하는 여유 : 0.1m- 벽 면에 접족안하는 여유 : 0.127ㅁ2 xX 2 = 02mW, = 045m× 2 명 + 0.127 + 0.2m = 1.2mo ASS} AASAW?)- 대 형 차량 폭원 : 2.50- 측ot:0.5mWe = 25m + 05m X 2(%4) = 3.5mo $3W449 &AAS: 4590m0 중형비상 차량 통과 최대 높이 : 3.360ㅁ0 대 형 차량도 류 최대 폭원 : 7.5792ㅁㅇ 대형 차량 통과최대 높이 : 3.772ㅁㆍ비상 차량이용으로난ㆍ구 범위확대로ㆍ공사비 저가인명 구난 원활피해 최소화ㆍ구난 제한으로 피해ㆍ비 교적공사비저가: 차량구 난 시. 혼란가중확대 우려ㆍ일반 차량 피해 우려우려ㆍ대 형장비사용 불가로ㆍ방 화 문 인력 개 폐 구조능시공곤란저하:공사비고가-229-다. 장 대 터널 설치(안)구분1안 (단독형)2안 (혼합형) ㆍ1)이이다이aaaLD FF|e- a|DFEeaRFR 설치 방법ㅣ.한 7076 만을 설치ㆍ검토 Types 필요에 따라교대로 설치ㆍ일 관성 있는 설치로 구단및ㆍ효과적인단 활용장단점대피원활ㆍ이용주 체 구 별로 혼란초래시공성우수우려ㆍ시공성 불량라 . 설치간격 검토0 구 난 활 동의이동가능 범위- 구 난용 호 흡 구조구 표준형 5( 형- 구ㅁ난시공구조 소 비 량 50 《/2 17- 구난주행속도0.82ㅁ /560- 구 난가능 시간 = 5 《 ×150( 대구조 중공구조로 환산)+ 50 《/ ㅁ ㅁ = 1501- 구난가능 거 구조 = 15000×60960/27070×0.8201/66ㅇ = 7202… 설치간격 : 7202-230-6. 검토결과가. 설치 규격0 피난 연 락 갱은 비상시 매 연등으로 인한 피 해로부터 운전자와 승 객을우선 피난 시키 구조 위한시설이나소형 설치의 경우는 제한된 구난으로 피해 확대 우려가 있으며대 형 인 경우는 차량 구 난 시 혼란가중 우려및공사 비가 고가로0 비상 차량을이용하여 신속한 인명 구 난이가능 하고, 필요 시 일반ㆍ소형 차량도 구 난이가능한 중형 (&70(폭)(3.50( 높이)으로 설치합이타당 할 것으로 판단됩 . 나 설치 형식|-6이용주체 구 별로 혼란 초래 우려가 있는 혼합 형 보다는 구 난이 원 활 하며시공이용이한 동일한 형식(단 독 형)을 일관성 있게 설치함이 타당. 다. 설치 간격|0 구 난활동이동가능 범위및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설치간격은 750m= Fo) EPS.7. 적용방안ㅇ 검안은토 1.0000이상 모든 티 널에 적용 하며 피난 연 락 갱 문ott고 하여려굴착 단면 결정0 ㅇ 발주 후미 시공 된 터널은 검토안으로 변경 하여 시공0 미 발주및설계 중인 구간은 변경검토안을 적용 하여설계MAB: 1. 외국의설계기준2. 폭원 검토 자료3도 류 검 자료-2831-| 2-17 터널 피난 연 락 갱 설치기준(안)방침설계기13201-3501. 검토목적001.7.6)터널에 설치하는 피난 연 락 갱의 구 난 기준을 검토하여 피난 연 락 갱의 적정한설치규격과 설치간격을 검토 하고자 함.2. 관련규정0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규칙(2000, 건교부)( 비상시설별 설치기준및 정의)ㆍ터널내 재해 발생시 인 접 터널로 사 람이나 자동차 대 피를 위하여피난 연 락갱 설치0 설치기준: 7500 간으로격설치3. 현 적 실태용0 피난 연 락 갱 설치기준수립 :설계기16203795호(93. 12. 6)- 간격 : 750 ㅠ 정도- FA:47m()x 3.50( 높이)--225-0 외국의 터널내 대 형 사고이후 규격 확대 적용 (96 노 르 웨이 화 재 사고등)- 규격: 4.70(폭) × 53 ~ 5.90( 높이)G By Sa5.9005.300|4.7004.문제점ㅇ 구 난 대상및 기준 미 정립으로설계자에 따라 설치규격및 간격이상이시공 예정 피난 연 락 갱 규격 현황|피난 연 락갱{1 대 성 1,5702?4.7×3.5갈 항1,045 |14.7×3.5하도1,55014.7X53고정 21,060147x53고정 31.078147X53상동2,030247X35터널만덕2,307247X54정점상주21,33514.7%53 기준노고산 1975147x5.3oe,노고산 22,197247X53 -서울 외곽 순 환|사패산3,99354.7×5.3수락산2,95034.7×5.3불암산1.68524.7×5.3-226-5. 검토내용가. 피난 연 락 갱의 규격검토1). 외국의 적용 사례가). 일본ㆍ인도 연 락갱: 규격 : 2.8 띠)폭 × 3.001( 높이)ㆍ간격: 7502|ㆍ차량연 락 갱ㆍ구 격 : 4.70폭)(× 3.50( 높이)ㆍ간격: 30002나). 노르웨이ㆍ피난 연 락 갱 : 기준없음ㆍ회차갱 :1.000~-200002다). 스 웨oOo도연 락갱[그ㆍ간격 : 1002ㅁ다). 스위스ㆍ비상 주차대ㆍ간격; 7002-8227-2). 차량별도류폭원및통과 높이(편도 2차선 기준}도 유 폭원 검토자량 죄 외곽 선차량 제 원별 검 결과반 |7,5004,1073,720량 |11,5007,5793,770.84004,7463,205.ay77,6004,756|3,500ayae)8,40047483,100차나으량형 }11,7005,9553,46023차4790 | 1,690 | 1,965 |48001,6901,965-228 -나. 구난 범위에 따른설계 적용 규격(안)toe1안 (중형)2안 (대형)인명인명및 차량a구 난 범위ㆍ비상 차량: 비상 차량(중형소방차,중 형|ㆍ일반 차량견인차,구급)¢ tw Ba:woePRsooo그1.2004.7m(¥)x 3.5 퍼높이}8.000( 폭) × 4.00( 높이) |1.20( 폭) × 2.00( 높이)0 인 명 대피 taFaw)- 성 인 남자 어깨 폭 : 0.4502- 대 피 자이동시점촉안하는 여유 : 0.1m- 벽 면에 접족안하는 여유 : 0.127ㅁ2 xX 2 = 02mW, = 045m× 2 명 + 0.127 + 0.2m = 1.2mo ASS} AASAW?)- 대 형 차량 폭원 : 2.50- 측ot:0.5mWe = 25m + 05m X 2(%4) = 3.5mo $3W449 &AAS: 4590m0 중형비상 차량 통과 최대 높이 : 3.360ㅁ0 대 형 차량도 류 최대 폭원 : 7.5792ㅁㅇ 대형 차량 통과최대 높이 : 3.772ㅁㆍ비상 차량이용으로난ㆍ구 범위확대로ㆍ공사비 저가인명 구난 원활피해 최소화ㆍ구난 제한으로 피해ㆍ비 교적공사비저가: 차량구 난 시. 혼란가중확대 우려ㆍ일반 차량 피해 우려우려ㆍ대 형장비사용 불가로ㆍ방 화 문 인력 개 폐 구조능시공곤란저하:공사비고가-229-다. 장 대 터널 설치(안)구분1안 (단독형)2안 (혼합형) ㆍ1)이이다이aaaLD FF|e- a|DFEeaRFR 설치 방법ㅣ.한 7076 만을 설치ㆍ검토 Types 필요에 따라교대로 설치ㆍ일 관성 있는 설치로 구단및ㆍ효과적인단 활용장단점대피원활ㆍ이용주 체 구 별로 혼란초래시공성우수우려ㆍ시공성 불량라 . 설치간격 검토0 구 난 활 동의이동가능 범위- 구 난용 호 흡 구조구 표준형 5( 형- 구ㅁ난시공구조 소 비 량 50 《/2 17- 구난주행속도0.82ㅁ /560- 구 난가능 시간 = 5 《 ×150( 대구조 중공구조로 환산)+ 50 《/ ㅁ ㅁ = 1501- 구난가능 거 구조 = 15000×60960/27070×0.8201/66ㅇ = 7202… 설치간격 : 7202-230-6. 검토결과가. 설치 규격0 피난 연 락 갱은 비상시 매 연등으로 인한 피 해로부터 운전자와 승 객을우선 피난 시키 구조 위한시설이나소형 설치의 경우는 제한된 구난으로 피해 확대 우려가 있으며대 형 인 경우는 차량 구 난 시 혼란가중 우려및공사 비가 고가로0 비상 차량을이용하여 신속한 인명 구 난이가능 하고, 필요 시 일반ㆍ소형 차량도 구 난이가능한 중형 (&70(폭)(3.50( 높이)으로 설치합이타당 할 것으로 판단됩 . 나 설치 형식|-6이용주체 구 별로 혼란 초래 우려가 있는 혼합 형 보다는 구 난이 원 활 하며시공이용이한 동일한 형식(단 독 형)을 일관성 있게 설치함이 타당. 다. 설치 간격|0 구 난활동이동가능 범위및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설치간격은 750m= Fo) EPS.7. 적용방안ㅇ 검안은토 1.0000이상 모든 티 널에 적용 하며 피난 연 락 갱 문ott고 하여려굴착 단면 결정0 ㅇ 발주 후미 시공 된 터널은 검토안으로 변경 하여 시공0 미 발주및설계 중인 구간은 변경검토안을 적용 하여설계MAB: 1. 외국의설계기준2. 폭원 검토 자료3도 류 검 자료-2831-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43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300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70
5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1_무도장 내후성 강교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3.12.29 988
5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2_콘크리트 포장면연마 적용기준 변경검토 file 효선 2023.12.29 825
5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3_교량 접속슬래브 설치구간 포장균열 억제를 위한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9 1250
5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4_보강토옹벽의 뒷채움 시공기준 검토 file 효선 2023.12.29 1019
5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5_터널 면벽식갱문 날개옹벽 온도철근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790
5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6_터널갱문부 화강석 부착방법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3.12.28 854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7_터널 피난연락갱 설치기준(안) file 효선 2023.12.28 1081
5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8_터널라이닝 보강철근 지지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033
5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9_터널Abut부 철근사용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23
5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0_장대터널 공동구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156
5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1_터널갱구부 라이닝 콘크리트 철근보강(안) file 효선 2023.12.28 916
5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2_장대터널 비상시설용 계단 설치(안) file 효선 2023.12.28 1763
5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3_낙석방지시설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3.12.28 934
5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4_개선형 가드레일 세부 적용방안 수립 file 효선 2023.12.28 1051
5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5_돌망태공 설치단가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92
5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6_비탈면 보호공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3.12.28 832
5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7_부체도로 방호시설 설치형식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002
5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8_연약지반 중앙분리대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19
5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9_가드휀스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3.12.28 941
5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30_터널 세정오수 처리(안) file 효선 2023.12.28 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