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1 BIM 적용절차 개요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3 성과품 관리

제 2 장

BIM 적용절차 및 기준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24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25

2.1 BIM 적용절차 개요

BIM 적용절차는 건설사업의 발주에서부터 성과품 납품관리에 이르는 기본적 공통 BIM 적용절차와 각 주체별 수행 내용을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제시된 각 단계의 절차는 특정 사업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림 2 >> 단계별, 주체별 공통 BIM 적용절차

2.1 BIM 적용절차 개요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26

표 2 >> 단계별, 주체별 BIM관련 자료

적용 단계 번호

주체별 작성 자료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 수급인

BIM 발주

① • BIM 요구정의서

• BIM 요구정의서

• BIM 과업지시서

• 입찰안내서 및 기타 보고서

양식 등

• (제안) BIM 수행계획서

• 기타 입찰에 필요한 서류

④ • 사업계약서 • (최종) BIM 수행계획서

BIM 모델 작성 및

성과품 제출

• BIM 필수성과품 (BIM 모델, 외부데이

터, 연관데이터, 보고서, IFC 파일 등)

• 기타 선택성과품

BIM

성과품 관리

• BIM 필수성과품 (BIM 모델,외부데이

터, 연관데이터, 보고서, IFC 파일 등)

• 기타 선택성과품

(1) BIM 발주 단계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

⊁⊁ BIM 발주 단계에서는 BIM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 구성, 대상 사업의 BIM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여 BIM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발주자는 BIM 요구정의서, BIM 과업지시서, 입찰안내서를 작성하여 입찰서류에 포함하여 발주 공고를 한다.

⊁⊁ 발주자는 수급인으로부터 작성 및 제출된 BIM 수행계획서(BEP)와 기타 입찰 서류를 검토하고 적합한 절차에 따라 수급인을 선정한다.

⊁⊁ 발주자는 BIM기반의 사업기획, 발주·계약, 설계·시공단계의 원가·일정·품질 관리 등 건설사업 관리의 효율성·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사업관리자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급적 사업 초기단계부터 건설사업관리자를 두는 것을 권고한다. 특히, 설계-시공 통합형 사업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를 통한 사업관리를 강력히 권고한다.

수급인

⊁⊁ 수급인은 입찰참여시 발주자의 BIM 요구정의서에 따라 BIM 수행계획서 (BEP) 및 기타 입찰 서류 등을 작성 및 제출하며, BIM 사업 계약시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의 보완 요청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27

2.1 BIM 적용절차 개요

(2) BIM 모델 작성 및 성과품 제출 단계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

⊁⊁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본 기본지침의 ‘2.2.10 품질검토’에 따라 수급인이 제출한 성과품을 검수하며, 필요시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수급인

⊁⊁ 수급인은 BIM 수행계획서에 따라, ‘2.2.8 BIM 기술 환경 확보’에서 정의하는 기술 환경(BIM도구, BIM 공유자원 등)을 준비하고, 이후 ‘2.2.9 모델 작성 기준’에 따라 BIM 모델 및 성과품을 작성한다.

⊁⊁ BIM 성과품 제출 이전에 자체 품질검토를 수행하고, ‘2.2.11 성과품 관리’에 따라 성과품을 준비하여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에게 제출한다.

(3) BIM 성과품의 관리 및 후속단계 활용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

⊁⊁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기본지침의 ‘2.3 성과품 관리’에 따라 성과품을 관리하고, 설계 및 시공단계 활용 등 후속단계 활용을 위한 세부 절차 및 방법 등을 제시해야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28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2.1 BIM 조직 구성

(1) BIM 업무조직 구성

기관별 역할

⊁⊁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 수급인(설계사, 시공사 등) 등은 BIM 업무조직을 구성하여 BIM업무의 역할을 정의한다.

⊁⊁ 발주자는 BIM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BIM 사업 관련 전문 지식 및 경험 등을 보유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할 수 있다.

기관별 BIM 적용 업무조직 기능의 편성

⊁⊁ 각 기관은 본 기본지침의 ‘2.2.1의 (2) BIM 적용 업무역량의 확보 및 관리’에 따라 BIM업무 적용 범위를 고려하여 필요한 분야 및 역할별로 적정 인원수를 편성하며, BIM사업을 총괄할 수 있는 전담 BIM 관리자를 지정하여야 한다.

⊁⊁다만 기관의 규모 및 사업의 특성에 따라 전담, 통합, 겸임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기관별 BIM 적용 업무조직의 역량

⊁⊁ 기관별 BIM 적용 업무조직은 지침의 이해와 수행 역량을 보유한 인원으로 지정하며, 필요시 BIM 적용 업무수행 역량 평가기준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업무별 역할분담의 정의

⊁⊁ 기관은 모델요소의 작성 등 단계별 세부 수행업무의 역할을 정의하고, 각각의 역할을 업무 조직 기능별로 지정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29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 BIM 적용 업무역량의 확보 및 관리

업무역량의 확보

⊁⊁ 기관은 BIM 업무조직이 필요한 업무역량, 즉 업무능력(자격, 지식, 경험 등)과 업무자원(인원수, 업무환경, 도구성능 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이를 위하여 교육 훈련 등의 자체 교육 프로그램 또는 공인된 기관의 위탁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관리한다.

업무역량의 관리

⊁⊁ 기관은 BIM 업무조직의 업무역량이 필요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수행 역량 평가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 BIM 적용 주체별 역할 및 책임

발주자

⊁⊁ 발주자는 건설사업의 총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하여 BIM 발주 및 수행에 관련된 계획, 시행, 관리 및 조정의 역할을 담당한다.

⊁⊁ 발주자는 BIM 사업의 사업관리를 담당하고, 납품되는 BIM 성과품의 품질검토를 수행해야한다. 필요시 수급인에게 검토사항을 통보해야 한다.

⊁⊁발주자는 BIM 수행업무의 일부를 건설사업관리용역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 다만, 민간사업, 지자체 사업 등의 공공사업과 관련 인허가 업무가 필요한 사항은 이를 발주자의 범위에 포함한다.

건설사업관리자

⊁⊁ 건설사업관리자는 건설사업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기획 단계 참여가 어려운 경우에는 BIM 발주 단계의 BIM 수행계획서의 평가 및 선정 과정부터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권고한다.

⊁⊁ 발주단계에 건설사업관리자 참여가 곤란한 경우, BIM 사업 규모, 특성 등에 따라 본 기본지침의 ‘2.2.1 조직 구성’ 단계부터 참여하여 BIM 사업 계획 수립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그 다음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30

단계인 BIM사업 계약단계 이후에 참여토록 하는 경우에는 BIM 건설사업관리의 효율성과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 건설사업관리자는 발주자로부터 BIM 수행업무에 대한 권한의 일부를 위임받으며, 위임된 사항에 대한 BIM 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 건설사업관리자는 사업기간 동안 계약된 범위 내에서 ‘BIM 수행계획서’에 근거하여 BIM 사업의 계획, 관리, 조정, 검토 및 승인하는 등 BIM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수급인(설계사)

⊁⊁ 설계사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BIM 데이터를 작성, 활용, 검토 및 납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설계사는 기본지침에 따라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BIM 데이터를 작성하며, 발주자가 승인한 ‘BIM 수행계획서’에 따라 BIM 데이터를 활용한다.

⊁⊁ 설계사는 BIM 성과품을 발주자에게 납품한다. 이 때, 설계사는 최종 BIM 성과품 납품 전 건설 사업관리자에게 사전 검토 및 승인을 득해야 한다.

⊁⊁ 설계사는 BIM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고,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 활용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확보한다.

수급인(시공사)

⊁⊁ 시공사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시공단계 BIM 데이터를 작성하고, 공사계획 및 시공 운영에 활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발주자가 설계단계의 BIM 성과품을 제공한 경우 시공사는 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며, 시공사는 시공단계의 세부적인 BIM 적용 계획을 ‘BIM 수행계획서’에 반영하여 발주자에게 제출하고 검토 및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시공사는 일련의 품질검토 과정을 거쳐 BIM 성과품을 발주자에게 납품한다. 이 때, 최종 BIM 성과품 납품 전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에게 사전 검토 및 승인을 득해야 한다.

⊁⊁ 시공사는 BIM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고 준공 시 납품하는 BIM 데이터가 발주자 요구사항에 따라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축한다.

수급인(유지관리사)

⊁⊁ 유지관리사는 제출된 준공 성과품을 활용하여 유지관리 단계의 BIM 적용계획을 수립하고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 진단 등 통상의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31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2.2 BIM 사업계획수립

(1) 사업계획 수립의 대상

⊁⊁ 공공 및 민간 발주처가 건설사업에 BIM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BIM 적용을 위한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2) 사업계획의 검토

⊁⊁ 대상 사업의 종류, 규모, 기간 등의 특성에 따라 BIM 적용대상(단계, 시설, 공종 등), 적용 목적(용도, 수준 등) 등을 검토한다. 검토 후 기본지침의 ‘2.2 단계별 세부적용방법’을 참조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3) 사업계획 내용 수립

⊁⊁ 기관에서 수행하는 사업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황분석(업무, 기술, 정책 등)과 방향설정(비전, 목표, 전략 등)을 통하여 실행계획(단계, 범위, 방법, 절차 등)을 수립한다.

(4) 사업계획의 관리

⊁⊁ 수립된 계획은 BIM 적용 이후 추진현황, 효과 및 주변 환경의 변화 등을 확인하여 지속적으로 실효성이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사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32

2.2.3 발주자 BIM 요구사항 정의

(1) 발주자 BIM 요구사항

⊁⊁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BIM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활용방안, 활용전략 및 BIM 데이터 구축 등에 대한 발주자 BIM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 이에 따라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수급인이 BIM 수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BIM 적용 지침을 참조하여 BIM 수행계획 항목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2) BIM 사업 발주 방식

개요

⊁⊁ 기본·실시설계, 사업관리 및 공사 발주의 주요 절차는 발주기관의 해당 규정을 근거로 하며, 발주방식별 세부절차는 기본지침을 참고하여 구성한다.

⊁⊁ 다만, 사업 규모 및 형태, 수행주체에 따른 세부절차는 BIM 발주계획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설계·시공 통합형 발주 방식

설계와 시공을 일괄 발주하는 방식으로,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 기본설계 기술제안입찰 및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

본 방식은 설계 및 시공에 대하여 시공사가 BIM 사업 발주에 참여하여, 설계사와 시공사가 계약을 하는 방식으로, 발주자는 BIM 수행계획을 적절히 이행할 수 있는 시공사·설계사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BIM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방식 본 방식은 시공 효율성 검토 등을 통한 공사비 절감, 생애주기비용 개선, 공기단축 및 공사관리 방안과 그 밖의 발주자 요구에 따라 수급인이 BIM 적용방안을 담은 기본설계 기술제안서를 제출하며, 발주자는 제출된 기본설계 기술제안서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수급인을 선정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33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시공책임형 사업관리 방식

본 방식은 발주자가 BIM 사업 조율, 조직간 협력 및 관리 등을 대행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한다. 발주자는 건설사업관리자가 수행하는 BIM 역할과 업무범위를 명확히 정의하여야 하며, 사업 참여자간 책임의 범위가 상충하지 않도록 한다.

설계·시공 분리발주방식

⊁⊁ 설계와 시공을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과업지시서, 요구정의서에 BIM 과업을 포함한다. 발주자는 설계와 시공 단계에 대한 건설사업관리자를 통합 또는 분리 선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2.2.4 BIM 사업 공고

(1) BIM 발주문서 작성

⊁⊁ 발주자는 BIM 요구사항을 확정한 후, BIM 발주문서를 작성한다. 여기서 BIM 발주문서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입찰안내서, BIM 과업지시서(BIM 요구정의서, BIM 수행계획서 양식 등 포함) 등으로 구성되며 발주자는 이 중 필요한 종류의 문서를 선택하여 작성한다. 수행대상이나 활용목적에 따라 서류를 추가할 수 있다.

⊁⊁ 발주자는 특수한 시설의 BIM 설계나 본 지침에 정의되지 않은 BIM 설계기준과 관련하여서는 관련 사업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별도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BIM 요구정의서’에 이를 명시해야 한다.

(2) 발주 공고

⊁⊁발주자는 공고준비 과정에서 작성된 사항들에 대해 최종 검토 후 공고 내용을 확정한다.

⊁⊁ 발주자는 공고서류에 기본 사업발주관련 서류와 함께 BIM 과업지시서, BIM 요구정의서, 적용지침(Level 2-1) 및 실무요령(Level 2-2), 참조문서 등을 첨부하여 공고한다.

⊁⊁발주자는 BIM 발주 공고를 위해 해당기관 또는 조달청의 발주시스템을 활용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34

2.2.5 BIM 수행계획서 (BEP)

⊁⊁ 건설 사업에 BIM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사업 초기에 수행 주체는 공통의 BIM 사업 수행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초기에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참여자에 대한 교육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BIM 사업실행계획의 수립은 다음 절차를 포함한다.

• 사업의 BIM 적용 관련 목표 및 활용의 정의

• BIM 적용 절차 지원을 위한 기술 환경, 그 외 사업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추가 재원 및 서비스 정의

• 사업 단계별 수행 주체의 BIM 모델 개발, 유지관리 및 협업 관련 역할 및 책임의 정의

• BIM 적용 과업을 포함한 적합한 사업실행 절차의 설계

• 정보교환 단계별 BIM 정보항목 및 상세수준의 개발

⊁⊁ BIM 수행계획서는 본 기본지침에서 제시된 BIM사업수행 절차, 표준, 협업 등의 내용을 포함하며, BIM 수행계획서 내에 아래의 최소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1) BIM 기술 환경 확보 계획 수립

⊁⊁ 수급인은 BIM 발주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BIM 도구, 장비, 협업 및 디지털 정보관리 체계 등의 BIM 기술 환경 확보 계획을 BIM 수행계획서 내에 명확히 제시한다.

(2) BIM 협업 계획 수립

⊁⊁ 수급인은 발주자의 적용지침에 근거하여 BIM 모델 작성의 쟁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기적인 회의 계획, 협업 방식, 협업 절차, 정보관리 방안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BIM 수행계획서 내에 제시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35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3) 파일교환 요구사항

⊁⊁ 수급인은 BIM 수행계획서 내에 BIM 모델 교환, 모델 병합, 모델 가시화 관련 파일 시스템, BIM 모델 갱신 및 간섭 검토, 일정 및 빈도수, 간섭 검토를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 및 절차, BIM 협업 모델 기반의 도면 생성 절차 등의 최소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 해당 요구사항은 프로젝트 규모, BIM 활용 등에 따라 계약 단계에서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와 수급인 사이에 상호 합의하여 결정한다.

(4) 보안 및 저작권

보안

⊁⊁ BIM 사업 관련 주체 또는 외부 요인 등에 의해 데이터 손상, 바이러스 감염 및 데이터의 오용 또는 의도적인 훼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BIM 데이터 보안계획을 마련해야한다.

⊁⊁ 수급인은 적용지침에 근거하여 파일교환, 유지관리 및 보관 시 데이터 손실, 훼손을 예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하며, 서버에 저장한 BIM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백업해야한다.

저작권 및 소유권

⊁⊁ BIM 모델 및 성과품에 대한 저작권, 소유권 등은 지적재산권 관련 규정을 따른다. 성과품을 제공받는 자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BIM 모델의 활용 및 지적재산권 또는 사용 권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BIM 모델 및 성과품의 권리사항이 규정되어 있으면 그 내용을 제시한다.

⊁⊁ 수급인은 BIM 성과품에 대한 저작권 및 소유권을 BIM 수행계획서에 명확히 제시해야하며, BIM 성과품의 저작권은 발주 기관의 규정을 따른다.

⊁⊁ 발주자는 최소한 ‘2.2.11 성과품 제출 납품 기준’에서 정의한 성과품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으며, BIM 성과품의 소유권은 발주자와 수급인 사이의 상호 협의를 통하여 결정하여 계약서에 명시한다.

⊁⊁ 다만, BIM 사업 수행을 통해 파생된 데이터, 특허, 신기술, 기술노하우 등의 저작권은 수급인이 소유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36

2.2.6 평가 및 선정

⊁⊁ 발주자는 발주기관의 자체 평가방법 및 기준에 근거하여 BIM 활용목적 및 발주대상에 적합한 평가기준을 마련한다.

⊁⊁ 평가기준 마련 시, BIM 부문 평가의 세부항목으로 BIM 수행계획의 적정성, BIM 수행조직의 능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IM 수행계획서 등을 평가할 경우, 발주문서에 명시된 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 BIM 데이터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활용할 수 있다.

⊁⊁ 발주자는 낙찰자 선정 시 평가 자료로 입찰서류에 포함된 BIM 수행계획서 및 BIM 관련 도서를 활용하며, 평가기준에 따라 BIM 수행실적 관련 서류를 추가적으로 참고 할 수 있다.

⊁⊁ 발주자는 BIM 평가기준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최종 낙찰자를 선정한다.

2.2.7 계약

⊁⊁ 수급인은 BIM 수행계획서의 최종내용을 확정하여 정해진 기일 내에 제출하고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이를 검토하여 승인한다. 필요시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BIM 수행계획서의 보완을 요청 할 수 있다.

⊁⊁ 수급인은 발주자가 요구하는 BIM 설계 범위 및 방법 등을 준용하여 설계를 수행하며, 수급인은 설계 적용범위에 따라 상세한 설계방법을 자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를 발주자에게 제안하여 승인을 득한 후 적용한다.

⊁⊁ BIM 모델의 오류에 따른 책임은 수급인에게 있으며, 발주자는 사업 종료 후에도 일정기간동안 이와 관련 유지 보수를 요구할 수 있다. 다만, 수급인이 발주자의 BIM 요구정의서 등에 따라 BIM 데이터를 작성하고, 품질검토 단계에서 BIM 모델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발주자는 사업 종료 후 유지보수를 요구할 경우 관련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최종 계약은 입찰안내서에 명시한 계약방식을 따른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37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2.8 BIM 기술 환경 확보

(1) BIM 도구의 확보

기본사항

⊁⊁ 업무조직의 역할에 따라 각각 필요한 BIM 저작 소프트웨어, BIM 응용 소프트웨어 및 이를 무리 없이 작동시킬 수 있는 업무용 장비를 확보한다. 조직 및 팀을 구성하는 경우 작업자 별로 필수 BIM 도구를 구비해야한다. 이는 발주자와 협의하여 수행계획서 내에 장비 확보 및 활용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BIM 저작도구의 확보

⊁⊁ 시설물 모델의 작성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은 BIM 저작도구를 확보한다. BIM 저작도구는 국제건설정보표준(ISO16739, IFC)을 지원하는 도구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다만 적용되는 사업과 관련된 BIM 표준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와 협의하여 관련 저작도구를 선정한다.

3차원 모델 저작도구의 확보

⊁⊁ 특정 BIM 모델의 작성업무에 적합한 저작도구를 선정하지 못한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임의의 3차원 모델 저작도구를 확보한다. 이때 BIM 적용 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의 변환, 활용 및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BIM 응용도구의 확보

⊁⊁ 업무조직의 역할에 따라 용도별로 BIM 모델 활용에 필요한 도구를 확보한다. 발주처는 국제 건설정보표준(ISO16739, IFC)을 지원하는 도구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다만 적용되는 사업과 관련된 BIM 표준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와 협의하여 관련 응용도구를 선정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38

적합한 장비의 확보

⊁⊁ 각종 BIM 도구를 사용하고, 사업의 규모와 업무용도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기능과 성능의 사양이 확보된 업무용 장비(모니터, 데스크탑, 프린터(공유가능) 등)를 작업 규모에 맞춰 구비하여야 한다.

⊁⊁ 조직 내부 또는 외부 프로젝트 파트너와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작업 공간 및 소통 도구를 구비해야 하며, 협업 플랫폼을 구성하는 경우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임대하거나 자체 서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때, 해당 내용은 공통정보관리환경(CDE)에 포함하여 계획한다.

(2) BIM 적용을 위한 적정 도구 선정

기본사항

⊁⊁ BIM 적용을 위한 적정 도구 선정 시, 적용 대상 분야, 적용 목표 설정, 적용 범위 등이 사전에 고려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숙련도, 프로젝트 예산 규모,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발주자 요구사항에 반영하며, 수행계획서 내에 소프트웨어 도입 및 활용 계획을 작성한다.

적정 BIM 도구 선정

⊁⊁ 수급인은 BIM 모델 구축 시 저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데이터 가공이나 업무별 적용 시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는 시행지침의 세부 내용과 기준을 검증할 수 있는 자체 검토 S/W를 마련해야 한다.

⊁⊁ 수급인은 BIM 모델 확인을 위해서 뷰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거나 모델의 자체 품질검토 및 업무 활용을 위한 응용 S/W를 선정하는 등 적용대상 및 목적에 따라 최적의 BIM 도구를 선정한다.

⊁⊁ 발주자가 자체 뷰어 S/W를 마련하지 못한 경우 수급인은 제출되는 BIM 성과품을 발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뷰어 S/W를 제공해야 한다

BIM 도구 간 호환성

⊁⊁ BIM 프로젝트의 특성 상 최초 구축된 BIM 모델이 다양한 공정, 단계 등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개방형 표준 기반으로 호환성이 확보된 도구를 선정해야 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39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3) BIM 협업체계의 확보

BIM 모델 공유환경의 활용

⊁⊁ 발주자(건설사업관리자)와 수급인은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 및 혼선이 없도록 공동으로 수집,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확보하여야 하며, 여기에는 협업, 승인절차, 버전 및 이력관리, 보안 등의 기능이 포함된다.

정보 분류체계 적용

⊁⊁ 협업 기반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건설정보 분류체계, 작업분류체계(WBS), 객체분류체계(OBS) 등 프로젝트 구성원 간에 사전 협의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정보를 구축한다.

(4) BIM 적용 업무지원 시스템 확보 및 연계

공통정보관리환경(CDE)의 확보 및 사용

⊁⊁공통정보관리환경은 ISO19650-1과 2를 준용하는 CDE체계를 따를 수 있도록 한다.

⊁⊁ 기관은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 및 혼선이 없도록 공동으로 수집,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확보하여야 하며, 여기에는 협업, 승인절차, 버전 및 이력 관리, 보안 등의 기능이 포함된다.

⊁⊁ 만일 기관에 이를 위한 시스템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제시하며,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료정보의 수집, 관리 및 배포 방법을 모색하여 제시한다.

내부 유관 시스템의 BIM 적용

⊁⊁ 기관 내부에서 사업관리, 자료관리, 유지관리 등 유관 시스템에 BIM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 유관 시스템에 BIM 정보체계를 반영한 BIM 모델 제공 등의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한다. 기관에 해당 시스템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상세 계획을 수행계획서에 반영해야한다.

외부 유관 시스템 제공정보의 활용

⊁⊁ 기관 외부의 국가나 공공기관 유관 시스템 등에서 BIM 적용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정보의 취득 방법과 절차를 마련하여 활용한다. 외부 유관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 상세 계획을 수행계획서에 반영해야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0

2.2.9 모델 작성 기준

(1) 일반사항

⊁⊁ BIM 모델은 작성목표에 따라 필요한 내용의 범위에서 작성하며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하며, 세부적인 사항은 BIM 성과품의 작성, 납품 및 활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을 참조한다.

* 시행지침은 ’21년 상반기 중 마련·배포 예정

(2) 모델링 필수 요구사항

단위 및 축척

⊁⊁ BIM 모델에 적용할 단위는 미터(m) 또는 밀리미터(mm)를 사용하며, 프로젝트 내에서 치수 표기방법은 한 가지 형식으로 통일하여 표기해야 한다.

⊁⊁도면의 축척은 ‘시행지침’의 ‘모델 작성 기준’을 따른다.

좌표계 및 표고

⊁⊁ BIM 모델에 적용할 좌표계와 표고를 정해야 하며, 국내 건설의 경우 통상적으로 UTM84-52S 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Grid)로 지정하여 작업한다.

치수

⊁⊁ BIM 모델의 치수는 실제 치수와 부합하게 작성한다. BIM 객체의 치수는 실제와 다르게 임의로 조정하지 않는다. 단, 오차가 허용되는 경우 허용오차를 제시한다.

색상

⊁⊁ 공종, 부위 등 시설물의 구성요소를 색상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식별하고자 하는 경우 그 기준을 제시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41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지형

⊁⊁ 지형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 내 국토정보플랫폼(map.ngii.go.kr)에서 배포하는 수치지형도 (Digital Topographic Map)를 활용한다. 단, 국토정보플랫폼에 지형 자료가 없는 경우 발주처에서 제공하는 GIS데이터 또는 측량심사가 완료된 드론 측량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3) 모델링 기본 절차

BIM 모델 작성 목표 수립

⊁⊁ 시행지침의 ‘단계별/주체별 BIM 적용계획 수립’ 및 ‘모델 작성 기준’의 요건에 따라 목표를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기초자료 확보

⊁⊁ BIM 모델의 작성에 반영하여야 할 기초자료가 있는 경우 미리 확보한다.

⊁⊁ 사업 진행에 앞서 미리 확보되어야 하는 기초자료에는 타당성분석 데이터, 시방서, 관련 라이브러리 및 작업 템플릿 등이 이에 해당된다.

BIM 모델 형상 작성

⊁⊁시행지침의 ‘모델 작성 기준’ 요건에 따라 형상을 입력하고 확인한다.

⊁⊁ BIM 모델 형상 작성 간에 저작도구의 기능적 한계 및 오류가 발생한 경우 비상대처방안을 마련한다.

⊁⊁ BIM 모델 형상 작성 간 합의된 내용은 수행 결과보고서 내에 기입하며, 발주자의 승인을 거쳐 기록으로 남긴다.

BIM 모델 속성 작성

⊁⊁시행지침의 ‘모델 작성 기준’의 요건에 따라 속성을 입력하고 확인한다.

⊁⊁ BIM 모델 속성은 필수입력 속성과 선택입력 속성으로 구분하고, 저작도구 내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명시되어야 하며, 저작도구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정의 속성으로 입력하고 수행계획서 내에 명시하여야 하며, 속성입력 방식과 내용에 대해서는 발주자와 사전에 협의되어야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2

(4) 모델 작성 범위 및 내용

사업시설 모델의 구성

⊁⊁ 사업시설 모델은 하나 또는 다수 단위시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단위시설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업의 특성에 따라 단위시설물, 건축물, 공사구간 등에 의하여 구분한다.

단위시설별 BIM 모델의 작성

⊁⊁ BIM 모델은 단위시설별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필요한 경우 대상 시설의 규모나 복잡성 등에 따라 세부시설이나 공간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공종분야별 BIM 모델의 작성

⊁⊁ 시설단위별 모델은 전문분야별로 구분하여 수량산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BIM 모델을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사업이나 업무의 특성에 따라 예외가 필요한 경우는 내용을 제시한다.

⊁⊁ 시설단위별 모델은 시공단계의 공정 및 공사비 관리를 위해 BIM 객체분류체계가 마련되기 전까지 작업분류체계(WBS)에 근거하여 작성한다.

모델의 통합관리 및 활용

⊁⊁ 시설, 단위 및 공종 모델이 분리된 파일로 작성된 경우 좌표체계의 연동 등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기타

⊁⊁기타 모델구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이 있는 경우 내용을 제시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43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5) BIM 상세수준

BIM 상세수준

⊁⊁ BIM 상세수준은 기본적으로 기본지침에서 제시하는 모델상세수준 명세를 따른다. 다만, 자체 모델상세수준에 대한 기준이 있는 경우 해당 지침을 따르고, 수행계획서 내에 그 수용사항을 명기해야 한다. 이는 발주자와 수급인 간의 BIM 상세 수준에 대한 합의된 공통 기준으로 활용된다.

상세수준 구분

⊁⊁ BIM 상세수준은 형상정보의 상세수준과 속성정보의 상세수준 등으로 나뉜다. 하나의 시설은 단계별로 시설 전체에 동일한 정보 상세수준을 적용함을 기본으로 한다. 단, 업무목표에 따라 활용용도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부분적으로 정보 상세수준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6) BIM 라이브러리(이하 ‘라이브러리’라 함) 개발 및 활용

라이브러리의 종류

⊁⊁ 라이브러리는 저작도구 내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사용자가 추가·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정의 라이브러리’로 구분된다.

라이브러리의 개발

⊁⊁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의 특성 및 발주자 요구사항에 맞춰 신규로 제작하거나, 기 구축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를 수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기본 형상 및 속성을 정의해 놓아 쉽게수정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라이브러리를 원형 라이브러리라고 한다. 라이브러리 개발시 현재 공개된 다음의 라이브러리 공유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분야 라이브러리 공유 시스템

토목분야 라이브러리 • 건설사업정보포털시스템 내 ‘토목시설 BIM 라이브러리’

건축분야 라이브러리 • KBIMS 성과공개 포털 내 ‘KBIMS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 개발 시 기본 속성이나 분류체계를 적용하며, 파라메트릭 (매개변수) 기법을 도입하여 단일 라이브러리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제작하도록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4

라이브러리의 활용

⊁⊁라이브러리는 모델구축 및 도면산출 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 라이브러리는 매개변수를 조작하여 다양한 형상을 쉽게 제작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수량 산출, 도면화, 상세도면 추출, 속성정보 입력 및 출력 등에 활용한다.

라이브러리의 제출

⊁⊁ 라이브러리가 사업 성과물로 명시되었을 경우, 수급인은 사업 종료 시 타 성과물과 함께 제출한다.

(7) 도면작성 기준

⊁⊁ 시설, 공종, 공사구간 등 작성 대상을 필요에 따라 나누어 작성한다. 도면작성 기준은 ‘시행 지침’과 발주처가 제시한 ‘적용지침’에서 제시한 기준을 준용하여야 하며, 전자설계도서 작성·납품지침을 참조할 수 있다.

작성 대상범위

⊁⊁ 발주자는 과업지시서 또는 입찰안내서 등에 도면 작성 대상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제시한다.

사전 준비조건

⊁⊁ 해당 BIM 모델을 작성하기 전에 준비되어야 할 사전 준비조건 (작업환경, 작업기간, BIM기술환경 등)을 제시한다.

작성 요구사항

⊁⊁작성 대상별로 도면을 작성하기 위한 요건을 제시한다.

⊁⊁ 도면이 필요한 경우, ‘적용지침’ 이나 ‘전자 설계도서 작성·납품 지침’에 따라 작성한다.

⊁⊁ 도면 작성시 BIM 모델로부터 도면 추출이 가능한 BIM S/W를 활용하여 도면 정보(기본도면)를 생성한다. 다만 도면작성이 어려운 경우 보조도면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BIM으로부터 추출된 도면을 사용하며, 임의의 수정 및 가공을 지양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45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위치 및 위상 기준

⊁⊁ 과업지시서 또는 입찰안내서 등에 객체의 경계기준, 시작점과 끝점, 공간의 소속·면적 등 기하학적 기준을 제시한다.

형상 표현기준

⊁⊁ 크기, 색상, 재질 등 물리적으로 보이는 형상의 표현방법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적용하는 정보요구수준과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 형상 표현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속성 입력기준

⊁⊁ 발주자는 BIM 활용 목표 및 범위 등을 사전에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속성정보 입력기준을 과업지시서 또는 입찰안내서 등에 제시한다. 입력할 속성의 목록과 함께 필수입력 속성과 선택입력 속성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 필요에 따라 발주자는 BIM 저작도구 내 속성입력 방법에 대해 ‘적용지침’에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요구기준

⊁⊁발주자는 기타 제한사항, 준수사항, 품질요건 등 도면작성을 위한 요구기준을 제시한다.

(8) BIM 모델의 관련 기술정보 연계 기준

⊁⊁ 별도의 파일이나 시스템에 의한 각종 기술정보를 BIM 모델과 연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기술정보의 연계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한다.

⊁⊁ BIM 모델을 관련 기술정보와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 활용을 위하여 관련 기술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6

(9) 수량산출 작성 기준

일반사항

⊁⊁ BIM 모델로부터 추출한 수량 기초데이터는 (개략, 개산)견적이나, 공사비 산정을 위한 근거로 활용된다.

⊁⊁ 수량산출을 위해 부재명, 규격,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산출 내용, 수량산출 방법 및 형식을 포함하는 추출 절차 등을 계획하여야 하며 “BIM 수행계획서”에 포함시킨다.

수량산출 원칙

⊁⊁ 수량산출을 위한 기초데이터는 BIM 도구로부터 추출되어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의 가공이나 수정을 지양한다. BIM 도구로부터 추출된 수량 기초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BIM 객체 간 간섭검토 등의 BIM 데이터 품질검토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수량산출 대상

⊁⊁ 수량 기초데이터 산출 대상은 BIM 모델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면적, 체적, 길이, 무게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시설, 단위 부재 객체 등이다.

모델의 종류 수량 기초데이터 산출 대상

공간

• 면적(체적)산정 기준의 공간 BIM 데이터

단위 부재

• 최소 작성 대상의 BIM 데이터(길이, 면적, 체적, 무게 등)

기타

• 수량산출의 대상으로 BIM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대상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 반영

⊁⊁ 참여주체 간 수량산출정보의 교환 및 공유기반 마련을 위해 BIM에서 생성된 수량 기초데이터는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체계’에 적용하여 원가관리,

공사관리, 기성관리 등에 활용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47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2.10 품질검토

(1) BIM 데이터 품질검토 원칙

일반사항

⊁⊁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도면, 물량, 정보 등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BIM 데이터 품질 검토가 적절한 방법과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품질검토 항목은 발주자 요구사항에 제시되어야 하며, 수급인은 발주자 요구사항에 따른 BIM 데이터 품질검토 계획을 BIM 수행계획서 내에 명시한다.

⊁⊁ 품질검토 수행 후 결과보고서 작성시 업무용 장비 명세, 검토 도구 버전, BIM 모델 파일명, 품질검토 수행절차 등 품질검토 수행 환경에 대해 상세히 기입하고, 검토자와 관계없이 동일한 검토결과가 도출되어야 한다.

물리적 품질

⊁⊁ 객체간의 직접적인 충돌이나 여유 공간의 충분한 확보 여부를 의미한다. 이때, 허용오차가 있는 경우 오차 값을 제시한다.

논리적 품질

⊁⊁법규, 발주자 설계요구사항 등을 포함한 설계요구조건의 만족여부를 의미한다.

속성데이터 품질

⊁⊁작업수행시 필요한 BIM 모델 속성 값의 존재 여부 및 정확성을 의미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48

(2) BIM 데이터(성과품) 품질검토 기준

성과품 구성의 적절성

⊁⊁ 발주자는 BIM 모델, 보고서, 관련 자료 등 성과품 구성의 충족요건을 발주자 요구사항으로 제시한다. 발주자는 수급인이 납품한 성과물의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크리스트를 구비하여 성과품 구성의 적절성을 판단한다.

성과품 모델의 형식

⊁⊁ 폴더체계, 파일명, 포맷, 버전 등의 충족요건을 대상으로 제시하며, 수급인은 이에 대해 수행 결과를 결과보고서 내에 명시한다. 원본파일 외에 PDF, IFC 등으로 변환된 성과품이 있는 경우, 변환 과정, 변환 도구 및 변환기 명세 등을 결과보고서 내에 명시한다.

성과품 제출조건

⊁⊁ 미디어 제작, 바이러스 감염여부 등의 충족요건을 대상으로 제시한다. 성과품 제출 시 프로젝트의 수행 및 업체 선정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불필요한 정보는 제거하여야 한다.

성과품 제출 시 용량 최적화 과정을 통해 파일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제출한다.

성과품 품질검토

⊁⊁ 성과품의 품질검토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물리적 데이터 품질, 논리적 데이터 품질, 속성데이터 품질 등의 검증이 가능한 BIM 품질검토 S/W를 활용할 수 있다. BIM 품질 검토 S/W를 활용하는 경우, 발주자의 승인을 득해야 하며 상세 분석내용을 결과 보고서내에 명시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49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2.2.11 BIM 성과품 제출납품기준

(1) BIM 성과품의 대상

일반사항

⊁⊁성과품의 제출납품을 위한 방법 등 일반사항을 제시한다.

성과품의 대상 및 포맷

⊁⊁ BIM 성과품 파일의 종류와 포맷을 제시한다. BIM 모델은 IFC포맷, 원본포맷, 그리고 사용한 연계 콘텐츠를 기본으로 포함한다. 보고서에는 변경된 모든 버전의 BIM 수행계획서,

BIM 결과보고서, 간섭 검토보고서 등을 기본으로 포함한다.

(2) BIM 성과품 제출 원칙

BIM 성과품 제출 기본 원칙

⊁⊁ 제출되는 BIM 성과품은 전면설계 및 전면시공 방식에 따라 산출된 성과품을 말하며, BIM모델이 기본적으로 제출되고, 이로부터 추출 및 가공된 BIM 성과품 파일을 제출해야 한다.

⊁⊁ 각 성과품 목록은 필수목록과 선택목록으로 구분하며, 필수목록은 제출 필수 파일이며, 선택목록은 발주처 자체적으로 마련한 성과품 목록이다.

⊁⊁ BIM 모델은 원본 데이터와 함께 발주자의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IFC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출하며, 보조도면은 별도로 PDF로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소프트웨어 미비 등의 문제로 발주자가 요구하는 경우 기본도면도 BIM 모델로부터 추출하여 PDF로 제출할 수 있다.

BIM 성과품 폴더명 구조

⊁⊁ BIM 성과품 폴더명 구조는 발주자가 제시한 성과품 폴더 구조를 따르도록 한다. 기본적인 사항은 성과품 작성 및 납품 지침에서 제시한 폴더명 구조를

참조하여 작성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50

BIM 성과품 파일명 구조

⊁⊁ BIM 성과품 파일명 구조는 발주자가 제시한 성과품 파일명 규칙을 따른다. 기본적인 사항은 성과품 작성 및 납품 지침에서 제시한 파일명 구조를 참조하여 작성한다. 파일명에 포함되는 속성의 종류와 각각의 표현방법을 제시한다. 이때 파일명 부여 사례를 제시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3) BIM 성과품의 납품 기준

BIM 성과품의 제출납품방법

⊁⊁ 해당 사업의 발주자가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제출납품 방식을 제시한다. 건축행정시스템인 세움터를 통해 인허가를 위한 BIM 성과품 납품과 건설사업 정보 시스템 (CALS)을 통해 제출하는 경우, 관련 사용자 매뉴얼을 숙지하고 절차에 맞춰 성과품을 납품한다.

BIM 성과품의 제출납품요건

⊁⊁ 성과품 제출납품 시 충족되어야 할 조건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바이러스 점검,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및 파일크기 최소화, 연결된 파일의 제출, 압축사항 등을 포함한다.

(4) BIM 성과품 목록 기준

일반사항

⊁⊁ 발주자는 과업지시서 또는 입찰안내서 등에 납품을 요구하는 BIM 성과품 목록을 명시해야 하며, 성과품 목록은 필수 성과품 목록과 선택 성과품 목록으로 구분한다.

필수 성과품 목록

⊁⊁ 프로젝트 성과 검증을 위해 필수로 제출되어야 하는 성과품 목록을 의미하며, 관련 보고서, 모델 파일 등이 포함된다.

⊁⊁ 관련 보고서의 예시로는 BIM 수행계획서, BIM 결과 보고서 등이 있으며, 발주자가 입찰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51

안내서 등에 명시한 경우, 분석 보고서, 수량산출 보고서 등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

⊁⊁ BIM 모델 파일의 경우, 도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파일이 이에 해당되며, 발주자가 입찰안내서 등에 명시한 경우, IFC 파일, 분석 모델 등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

선택 성과품 목록

⊁⊁ 선택 성과품의 경우, 발주자가 입찰안내서 등에서 명시하지 않은 모든 성과품이 이에 해당된다. 선택 성과품이 필요한 경우 동영상, CG(Computer Graphics) 이미지, 추가 분

석 모델, 3D 프린팅 모형 등을 추가 제출할 수 있다.

구분 정의 종류 성과품명

필수

성과품

• 프로젝트 성과 검증을 위해 필수로 제출

되어야 하는 보고서

관련 보고서

• BIM 수행계획서

• BIM 결과 보고서

• 간섭검토 보고서

• 분야별 분석 보고서

• 수량산출 보고서

• …

• 도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원본 모델

파일

모델 파일

• 원본 파일

• IFC 파일

• 분석 모델 파일

• …

선택

성과품

• 발주자가 입찰안내서 등에서 명시하지

않은 모든 성과품

추가 성과품

• 동영상

• CG 이미지

• 추가 분석 모델

• 3D 프린팅 모형

• …

(5) 사업수행 이전 단계의 BIM 성과품 및 모델 활용

⊁⊁ 사업수행 이전 단계에서 BIM 성과품이 작성된 경우 해당 성과품을 최대한 활용한다. 이를 위해 해당 BIM 성과품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 타당성을 판단하고 계획을 세워 활용한다.

BIM 모델은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변경 요인 발생 시 이를 반영하여 관리한다.

2.2 단계별 세부 적용 방법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52

2.3 성과품 관리

2.3.1 BIM 성과품 관리기준

⊁⊁ 제출되는 BIM 성과품은 발주처 자체의 적절한 제도적, 기술적 관리체계(절차, 방법, 보안 등)를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 BIM 성과품은 발주처 프로젝트별로 별도의 납품 폴더 구조를 가져야 하며, BIM 모델을 관리하는 성과품 파일 서버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파일 및 데이터를 별도 관리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관련 BIM 성과품은 발주처별 자체 관리 절차, 보안 계획 등에 따라 관리 되어야 한다.

2.3.2 BIM 성과품 관리 시스템 마련

(1) BIM 성과품 관리 시스템 개요

⊁⊁ 설계 및 시공단계 종료 후 최종 발주처에 납품된 BIM 성과품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BIM 데이터를 추출 및 가공하여 BIM 관련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있어야 한다.

(2) BIM 성과품 관리 시스템 마련 및 운영

⊁⊁ 각 발주처는 납품된 BIM 성과품 일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자체 BIM 성과품 관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존 성과품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며, 자체 BIM 성과품 관리 시스템 마련계획을 수립하고 예산 및 인력(조직)을 확보하여 조기에 구축 및 운영해야 한다.

2

BIM 적용절차 및 기준

53

2.3.3 BIM 성과품의 후속단계 활용

(1) BIM 성과품 활용계획 마련

⊁⊁ BIM 성과품은 설계(As-Designed)데이터 및 준공(As-Built)데이터 자체로 각 후속단계에 연결되고 이관되어 적절히 활용되도록 해야 하며, 설계는 시공단계 및 유지관리 단계로의 직접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BIM 성과품 활용계획을 자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2) BIM 성과품의 후속단계 연계 및 활용

⊁⊁ BIM 설계 성과품 : BIM 설계 성과품은 시공단계의 시공계획 수립, 시공관리,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등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 의도와 관련된 정보가 설계 성과품에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 성과품은 후속단계로의 활용 수준을 추적 및 관리되어야 한다.

⊁⊁ BIM 준공 성과품 : BIM 준공 성과품은 유지관리, 보수보강 등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준공 성과품 내에는 유지관리 관련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준공 성과품은 후속단계로의 활용 수준을 추적 및 관리해야 한다.

2.3.4 BIM 성과품 후속 활용

(1) BIM 모델 및 성과품 후속 활용 기준

⊁⊁ 건설사업의 각 단계별 참여주체는 BIM 모델 및 성과품을 사업의 후속 단계 또는 다른 사업에 연계 활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며, 관리절차 및 후속 활용 절차를 마련한다. BIM 활용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 경우, 유관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BIM 정보체계 반영 및 BIM 모델 제공 등을 위한 절차도 제시한다.

2.3 성과품 관리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54

(2) BIM 성과품 후속 활용을 위한 관리

⊁⊁ BIM 모델 및 성과품 관리자는 BIM 성과품 관리 및 후속 활용 절차에 따라 성과품이 손상 또는 손실되지 않도록 하며, 유지관리 업무 또는 타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연계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3) BIM 성과품 후속 활용을 위한 절차

⊁⊁ 관리자는 BIM 모델 및 성과품 관리 및 후속 활용을 지원하는 시스템 활용을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 사용자는 타 사업 및 선행 단계의 BIM 모델 및 성과품을 파악하고 재활용 여부 및 방법 등을 검토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497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7_찌꺼기처리시설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8.17 1755
496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8_분뇨처리시설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8.17 1519
495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9_일반관리시설및설계시고려사항 file 효선 2022.08.17 2031
494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17 1569
493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1_제도개요 file 효선 2022.08.17 1740
492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2_사업수행능력평가 file 효선 2022.08.17 2156
491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3_기술인평가서평가 file 효선 2022.08.17 1754
490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4_기술제안서평가 file 효선 2022.08.16 1534
489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5_평가위원회운영특별규정 file 효선 2022.08.16 1612
488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16 2460
487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1_총론 file 효선 2022.08.16 1595
»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2_BIM적용절차및기준 file 효선 2022.08.16 1658
485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3_BIM주요표준의적용 file 효선 2022.08.16 1782
484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4_BIM협업체계 file 효선 2022.08.16 1526
483 202109_출렁다리+안전관리+매뉴얼 file 효선 2022.08.16 1937
482 20212025_국토교통부_고시_제2021-1125호_제2차+도로관리계획 file 효선 2022.08.09 2302
481 210924국토교통부고시제20211109호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 file 효선 2022.08.09 1366
480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09 1866
479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1_계획의개요 file 효선 2022.08.09 2218
478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2_추진현황및평가 file 효선 2022.08.09 1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