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3권 교량

 

교 량

제8편 교량

제8-1편 교량 계획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4편 내진 설계

제8-5편 교량 부대시설물

제8-6편 교량의 확폭

제8-7편 옹벽

제8-8편 가설 구조물

제3권

 

제 8-8 편 가설 구조물

 

제8-8 가설 구조물

877

6.1 일반사항

이중물막이의 설계는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한다.

(1) 굴착측 근입지반의 안정 및 내측 강널말뚝 · 버팀보 · 띠장의 단면은 뒤채움토사 끝단을 지반으로

하는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에 준하여서 설계한다.

(2) 외측의 강널말뚝 및 타이로드 · 띠장은 ʻ6.5 외측 강널말뚝 및 타이로드의 설계ʼ에 규정하는 방법

에 의해서 설계한다.

(3) 유수압이 물막이 전체에 편압으로서 작용하는 하중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1) 여기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이중물막이는 물막이 내부의 배수 및 굴착 시 띠장, 버팀보를

설치하면서 물막이를 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외측의 토압, 수압에 대해서 이중 강널말뚝의

자립성에 의해서 이중으로 저항하는 구조는 아니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중물막이에 대한 계산법은 확립된 것이 없고 현재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에 준하여서 계

산하는 실정이므로 이 기준도 이에 따른 것이다.

(2) 위와 같이 외측에서 작용하는 토압, 수압은 버팀보를 통해서 이중벽 사이에서 평형을 이루지

만 하천의 물막이에서는 유수압에 의해서 편압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물막이

전체가 평면으로 절반이 하천 속에 있고 절반이 육상에 위치한 경우에도 편압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편압에 대한 안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6.2 이중물막이의 폭

이중물막이 폭의 최소치는 2 m로 한다. 단, 편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인정할 폭을 결정

해야 한다.

6. 이중 물막이공의 설계

제2권 교량

878

(가) 최소폭을 2 m로 한 것을 시공 예 등을 참고로 해서 정하였다.

(나) 편압에 대한 안정계산에서는 하상면에서의 편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에 대한 안정, 편압에

의한 활동에 대한 안정 등이 있다. 이들의 안정계산에서는 이중벽 사이가 타이로드로 연

결되어 있는 것을 고려해서 저항모멘트나 활동저항력은 이중벽에서 분담하도록 하는 것

이 좋다. 한쪽 방향의 이중물막이에 의한 저항모멘트 및 활동저항력의 계산방법을 아래

에 제시한다.

(a) 저항모멘트 Mr

Mr = 1/6 γRoHo

3 (6.1)

Ro = 2/3 νo

2(3-νo cos∅) tan∅sin∅ (6.2)

Ho = 1/γ2(Σγihi) = 1/γ2(γ1 h1 + γ2 h2) (6.3)

ν0 = B/Ho (6.4)

여기서, B : 이중물막이의 폭(m)

γi, hi : 뒤채움토사의 단위중량(kN/m3), 두께(m)

∅ : 뒤채움토사의 내부마찰각(도)

<그림 6.1> 뒤채움 토사의 단위중량 및 두께

(b) 활동의 저항력 Rd

Rd = tan∅u · (Σγi hi) · B (6.5)

여기서, ∅u : 하상면의 경우 뒤채움 토사 또는 원지반의 내부마찰각의 최솟값 하상

이 연약하지 않은 점성토(점착력에서 C ≥ 50 kN/m2을 목표로 한다)

의 경우에는 식 6.5와 식 6.6으로 정하는 Rd 중 최소치를 사용한다.

제8-8 가설 구조물

879

Rd = C · B (6.6)

(c) 안정조건

Md · Fs ≤ 2Mr (6.7)

P · Fs ≤ 2Rd (6.8)

여기서, Fs : 안전율(Fs ≥ 1.5)

P : 편압 합력(kN/m)

Md : 편압에 의한 전도모멘트(kN·m/m)

(d) 계산 예

예로서 그림 6.2와 같은 수면상에서 1.5 m 나온 수심 h(m)의 조건으로 유수압에

의한 전도모멘트 Md를 식 6.9로 계산하고 폭과 수심 h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시

하면, 그림 6.3 ~ 그림 6.5와 같이 된다.

유선방향

평 면 도

단 면 도

<그림 6.2> 이중물막이의 계산 예

Md = 10KV2h × (0.6h) (6.9)

여기서, K : 형상계수(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일 때 0.07)

V : 유속(m/sec)

(0.6h) : 유수압의 합력높이(m)

제2권 교량

880

<그림 6.3> B-h-V 관계도 (Φ = 25゚) Fs = 1.5

제8-8 가설 구조물

881

<그림 6.4> B-h-V 관계도(Φ = 25゚) Fs = 1.5

제2권 교량

882

<그림 6.5> B-h-V 관계도(Φ = 30゚) Fs = 1.5

6.3 뒤채움 토사

이중물막이의 뒤채움 토사는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가) 벽체의 강성을 증가시킬 목적과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토압을 가능한 한 경감하려는 목적

으로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기로 했다.

(나) 편압에 대해서 이중물막이의 폭을 결정한 경우에 하상에 연약한 점성토층이 퇴적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사전에 치환하는 등 설계 시 배려가 필요하다.

제8-8 가설 구조물

883

사질토로 치환 연약토

굴착예정면

<그림 6.6> 연약지반에 대한 고려

(다)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는 경우 토질정수는 다음과 같이 한다.

단위체적중량(습윤) γ = 18 kN/m3

단위체적중량(수중) γ = 10 kN/m3

내부마찰각 ∅= 20゚~ 30゚

점착력 C = 0 kN/m2

6.4 내측 강널말뚝, 보팀보, 띠장의 설계

내측의 강널말뚝, 버팀보, 띠장의 설계는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에 준한다.

(가) 내측(굴착측) 강널말뚝의 계산방법은 확립된 것이 없고 현재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에

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물막이를 합리적으로 설계하는 데는 외측에서의 토압, 수압

을 내 · 외측 강널말뚝이 어떻게 전달 · 분담하는가 알고 뒤채움토사에 의한 토압을 알 필

요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다룬 참고문헌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을 고려하는 곳에서는

내측에 대해서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에 준하기로 한다. 그림 6.7에 뒤채움토사의 토압

및 수압을 나타낸다.

H.W.L

L.W.L

하상저면

뒷채움토사

타이로드

버팀보

굴착저면

수동토압

수압

단면결정용토압

<그림 6.7> 뒤채움 토사의 토압 및 수압

제2권 교량

884

(나) 굴착지반의 안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부풀음, 보일링, 양압력 등을 검토하고 하천에

서는 내부로의 침투수를 검토해야 한다.

(다) 물막이 내부의 배수 시에는 굴착 시와 같이 버팀보를 설치해서 배수해야 한다. 이 때문

에 저하된 수위와 버팀보 위치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해야 한다.

(라) 편압에 의하여 이중물막이의 폭을 정한 경우에는 안정상의 문제로 강널말뚝의 연직방향

지지력이 필요한 것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6.5 외측 강널말뚝 및 타이로드의 설계

6.5.1 외측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하중

뒤채움토사 및 하상면보다 하방향의 흙에 의한 토압은 주동토압, 수동토압 모두 Rankine Resal의

계산식에 따른다. 조수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물막이에서는 잔류수압을 고려한다.

(가) 강널말뚝의 단면계산과 근입길이의 계산은 RankineResal의

토압으로 계산하고 흙막

이나 단일물막이의 단면계산에 이용한 토압은 고려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중물막이의

외측 강널말뚝은 버팀보로 지탱되어 있지 않으므로 버팀보 축력의 측정치를 정리해서

얻은 단면계산의 토압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당하다고 생각되므로 이렇게 정한 것이다.

뒷채움토사

타이로드

버팀보

굴착저면

H.W.L

하상저면

L.W.L

외측 강널말뚝

잔류수압

주동토압

수동토압

<그림 6.8> 외측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토압과 수압

(나) 조수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물막이인 경우 잔류수압은 간만의 차를 고려하여 정할 필요

가 있다. 잔류수압은 일반적으로 앞면 수위차(H.W.L과 L.W.L의 수위차)의 2/3로 한다.

제8-8 가설 구조물

885

6.5.2 외측 강널말뚝의 평형깊이 및 가상지지점 구하는 법

외측 강널말뚝에 타이로드 접속점 아래에 작용하는 주동토압 및 잔류수압에 의한 작용 모멘트와 수동

토압에 의한 저항모멘트가 평형상태로 될 때 하상저면 이하의 깊이를 외측 강널말뚝의 평형깊이라 하

고 이때 수동토압 합력의 작용점을 가상지지점으로 한다. 가상지지점의 최대 깊이는 하상저면에서 5

m로 한다.

단일물막이와 같은 방법으로 ʻ5.5.1 평형깊이 및 가상지지점 구하는 법ʼ의 해설을 참조하기

바란다. 외측 강널말뚝의 평형깊이를 그림 6.9에 나타낸다.

하상면 이하의 지반이 연약한 토층일 때에는 주동토압과 잔류수압의 강도합계가 수동토압

강도와 같아지는 위치까지 내려간 곳을 가상지지점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지반이

연약할 경우에는 별도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림 6.9> 외측 강널말뚝의 평형깊이

6.5.3 외측 강널말뚝의 근입길이 계산

외측 강널말뚝의 근입길이는 ʻ6.5.2 외측 강널말뚝의 평형깊이 및 가상지지점 구하는 법ʼ에서 구한 평

형깊이의 1.2배로 한다. 단, 강널말뚝 선단은 최종 굴착저면 이하로 적어도 3 m는 근입시켜야 한다.

단일물막이와 같은 방법이며 물막이 전체의 안정을 고려하여 계산상 필요 없을 지라도 그림

6.10과 같이 적어도 최종 굴착저면 보다 3 m는 근입시키게 했다. 또 굴착측에 많은 양의

침투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외측 강널말뚝을 지수층까지 도달시키거나, 지수층이 적당한

위치라면 침투수량을 줄이는데 충분한 길이만큼 타입해야 한다.

제2권 교량

886

최종굴착저면

하상저면

외측강

널말뚝

3m

<그림 6.10> 외측 강널말뚝의 근입길이

6.5.4 외측 강널말뚝의 단면계산

외측 강널말뚝 단면은 ʻ6.5.1 외측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하중ʼ에 제시한 하중분포를 사용하고, 타이로

드 접속점과 가상지지점을 지점으로 하는 단순보로서 계산한다.

6.5.5 타이로드의 단면계산

타이로드의 단면은 하상저면 위의 뒤채움 토사의 토압과 잔류수압의 합의 1/2을 인장력으로 작용시켜

계산한다. 또한 허용인장력은 안전을 고려 fa · 2/3 로 하는 것이 좋다.

외측 강널말뚝에 작용하는 뒤채움 토사에 의한 토압과 잔류수압은 타이로드와 강널말뚝 근

입부의 수동토압에 의해서 지지되지만 그 비율은 토압의 삼각형분포를 고려하면 후자에 의

한 것이 크다. 따라서 안전측인 것과 계산의 간략화를 고려해서 하상저면 보다 위의 전작용

력의 1/2을 타이로드에 작용시킨다.

6.5.6 타이로드의 수평간격과 설치

타이로드의 수평간격은 내외 강널말뚝 1개당 폭을 고려해서 정한다. 설치위치는 고수위 부근에서 1단

배치를 표준으로 한다.

제8-8 가설 구조물

887

내외 모두 Ⅳ형 이하의 강널말뚝을 사용하는 경우는 강널말뚝 1개당 폭이 0.4 m와 일치하

고 있으므로 수평간격으로 위의 배수를 취하면 좋지만, 타이로드를 촘촘하게 배치하면 뒤채

움토사의 충전에 지장을 주거나, 타이로드에 균등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

로, 수평간격은 1.6 m 정도를 취하는 것이 좋다.

또 굴착측에 Ⅴ형, 외측에 Ⅲ형의 강널말뚝을 사용하는 경우는 폭이 0.5 m, 0.4 m로 각각

다르므로 최소공배수로서 2 m로 하는 것이 좋다.

설치높이는 외측 강널말뚝의 응력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낮게 하는 것이 좋지만,

지수성을 고려하여 위와 같이 정했다. 또 2단 이상의 배치를 하여도 인장력이 하방향 타이

로드에 크게 작용해서 위의 타이로드에 그다지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1단으로 배치하도

록 한다.

6.5.7 타이로드 재질과 단면

타이로드의 재질은 SS400, 최소직경은 25 mm를 원칙으로 하고 단면적은 나사부를 고려하여 유효단

면적으로 한다. 또한 허용인장력은 안전을 고려하여 fsa × 2/3 으로 하는 것이 좋다.

6.5.8 타이로드 설치용 띠장의 계산

띠장의 최대 휨모멘트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M = Tℓ/10 (6.10)

여기서, M : 띠장의 최대 휨모멘트(kN·m)

T : 타이로드의 장력(kN)

ℓ : 타이로드 설치간격(m)

6.5.9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 적용범위

그라운드 앵커는 PC 강재를 인장재로 하여 지반에 주입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인장하중을 분담시키는

영구 및 가설의 계획 · 설계 · 시공 · 시험 · 관리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규정은 토목 · 건축공사 등의 흙 막기, 산사태 억지, 비탈면 안정, 각종 구조물의 보강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영구 및 가설 앵커에 적용된다.

제2권 교량

888

단, 앵커 공사에서는 전문지식, 경험과 숙달된 시공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규정은 그

노하우(know-how)에 대하여 모두 언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수한 전문지식을 가진 기

술자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앵커되는 대상물에 대하여 그때마다 가장 적절한 처리가 실시되

는 것이 중요하며, 이 규정만으로 모든 것을 커버할 수는 없다.

6.5.10 용어의 정의

(1)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

그라운드 앵커의 구성을 그림 6-11에 제시한다.

<그림 6.11> Ground Anchor의 구성

(2) 인장부(Tension Zoin)

인장부는 앵커 두부부터의 인장력을 앵커체에 전달시키는 부분이다.

인장부는 일반적으로 PC강연선 · PC강선 또는 PC강봉 등의 인장재를 주요재로 구성되어 있고,

인장재를 보호하는 sheath도 부속품으로 인장부에 포함시키고 있다.

(3) 앵커 길이(Anchor Length)

앵커 길이는 앵커 전체 길이를 말하며 주로 앵커체 정착 길이와 앵커 자유길이로 되어 있다.

앵커의 기본 개요도를 그림 6.12에 표시한다. 이 그림은 앵커의 기본 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는 토사에 타설되는 soil anchor와 암반에 타설되는 rock anchor로 분류된다.

그라운드 앵커는 인장재의 양쪽 끝 부분을 지반과 구조물에 각각 정착시켜 그 중간부분을 신장

변형에 대하여 자유롭게 하고 이것에 pre-stress를 주는 것이며, 앵커체 · 인장부 · 앵커두부에

의하여 구성되는 구조체의 총칭이다.

제8-8 가설 구조물

889

정착부

지압판

받침블록

<그림 6.12> 앵커의 기본 개요도

(4) 앵커체 정착 길이(fixed anchor length)

앵커체 정착 길이는 앵커체의 길이를 말한다.

앵커체 정착 길이는 설계상 앵커체의 허용인발력 또는 허용인장력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앵커

체 정착 길이는 설계에서 사용하는 앵커 주면의 마찰저항력은 앵커체 주면에 등분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간주할 수 있다. 단, 실제로는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영구 앵커를 비롯

한 중요한 앵커에는 이 점에 관한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앵커체 정착 길이는 총상 3 ~ 10 m가 바람직하지만, 정착 지반이 암반이고 균열이 발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나 하중이 작은 경우 등 조건에 따라서는 3 m이하로 하여도 좋다. 또한, 10 m 이상으로

되는 경우는 전체 정착 길이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앵커 주면의 마찰저항력을 저감해

서 생각하거나 앵커수를 증가하는 등 설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FIP : 앵커체 정착 길이는 통상 3.0 m 이상 10 m 이내로 함.

USA : 앵커체 정착 길이 최저 4.6 m(15 ft) 이상은 모든 토사에 대하여 필요로 한다. 일반적

으로 점성토는 비 점성토의 정착 길이보다 길게 된다.

(5) 앵커 자유 길이(free anchor length)

앵커 자유 길이는 인장재가 관통하고 있는 부분만이며 주변 지반에 대하여 힘의 전달이 되지

않는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앵커 자유 길이는 구조물의 종류나 목적 · 지반 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앵커가 유효하게

작용되기 위해서는 4 m 이상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 자유 길이 부분의 제작방법은 가설용과 영구용이 다르며, 영구용은 강재 부식에 대하여 보다

많은 주의를 하고 있다.

※ FIP : 자유 길이는 최저 4.6 ~ 7.6 m(15 ~ 25 ft)로 해야 한다.

USA : 자유 길이 4.6 m(15 ft) 보다 짧게 하면 안 된다.

제2권 교량

890

6.5.11 앵커의 설계개요

그라운드 앵커의 설계는 다음 항목을 고려하여 실시해야 한다.

(1) 구조계의 안정

(2) 앵커의 인발저항력

(3) 그라우트(grout)와 인장재 사이의 부착력

(4) 안전율

그라운드 앵커는 상기 항목을 고려해서 구조물에 과대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6) 앵커각(anchor incline)

앵커각은 정하여진 기준면에 대한 앵커의 설치각도의 것을 말한다. 앵커각에는 앵커경사각과

앵커수평각이 있다.

앵커각에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앵커경사각과 수직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앵커수평

각이 있다.

앵커경사각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에는 그라우트주입부에 breathing이 생기고, 충분한 부착을 기

대할 수 없을 때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수평면에서 -10゚~ +10゚의 범위는 피해야 한다. 그러

나 다음의 USA 지침의 -5゚~ +5゚와 같이 충분히 주의해서 시공하면 앵커 내력이나 품질에 문제

는 없다(참고문헌 : 토질공학회 그라운드앵커 설계 시공 예, AAW 패널 옹벽공사).

※ FIP : -10゚~ +10゚의 범위로 한다.

USA : -5゚~ +5゚의 범위로 한다.

앵커수평각은 일반적으로는 구조물의 앵커정착면에 수직으로 하나 현장의 상황에 의해서는 각도를

붙이는 경우이다.

<그림 6.13> 앵커각

제8-8 가설 구조물

891

그라운드 앵커를 설계할 경우에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 지반내력을 추정하기 위해 지반

조사, 인발시험 등에 관한 자료를 참고로 해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 설계단계에 있어서 자료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재조사를 실시하든

지, 또는 시공 초기단계에서 개략설계를 설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얻든지 어는

한 가지 방법이 필요하다.

6.5.12 구조계의 안정

구조계의 안정 검토에 필요한 주된 것으로는

(1) 깊은 굴착의 흙막기

(2) 비탈면 안정

(3) 연직 또는 일시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안정 등이 있다.

설계자는 구조계의 안정, 변형을 고려하여 그라운드 앵커의 자유 길이, 앵커 길이, 설계앵커력, 초기

긴장력의 결정을 실시해야 한다.

구조물은 앵커에 의하여 안정시킬 때는 앵커 내력의 검토 외에 지반, 앵커, 구조물의 전체를

포함한 안정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 안정의 검토에는 내적 안정, 외적 안정, group 효과의 검토가 있다. 그라운드 앵커의

자유 길이에 대해서는 인발저항의 감소, 앵커체의 국부 전단파괴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

자유 길이와 최소 피복 두께는 5 m가 일반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6.5.13 깊은 굴착의 흙 막기

흙 막기 벽의 안정에 관한 검토는

(1) 흙 막기 벽의 지지력

(2) 굴착 저면의 안정

(3) 내적 안정

(4) 외적 안정

에 대해서 실시해야 한다.

(1)의 흙 막기 벽의 지지력의 검토는 앵커 인장력의 연직성분에 대해서 실시된다. 통상, 흙 막기

앵커는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기 때문에 그 긴장력의 연직 성분에 대한 지

제2권 교량

892

지력이 부족하면 흙 막기 벽이 침하하고 앵커의 긴장력이 감소해서 흙 막기 벽이 밀려나온다.

이것에 대한 대책으로는 흙 막기 벽의 굴착 저면부터 아랫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에 넣는

다든지 굴착 저면부터의 길이를 길게 한다든지 앵커경사각을 완만하게 한다든지 하는 것

이다.

(2)의 굴착 저면의 안정 검토는 굴착 저면부터 아랫부분의 측압의 균형, heaving, boiling에

관해서 실시된다.

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흙 막기 벽의 굴착 저면부터의 길이를 길게 한다든지, 앵커 위치를

굴착 저면 부분에 접근시킨다든지 앵커 단수를 증가 한다든지 해야 한다.

(3)의 내적 안정의 검토는 뒤쪽 지반이 굴착 저면 아랫부분의 붕괴, 앵커체의 빠져 나옴도 없이

붕괴되는 것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앵커 길이를 길게 하여 안전율을 증가시킨다.

① E.Kranz의 방법

② R.Jelinek, H.Ostermayer의 방법

(4)의 외적 안정의 검토는 앵커체, 흙 막기 벽, 지반 전체의 붕괴에 대한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앵커 길이를 길게 한다.

상기 (1),(2)의 검토에 대해서는 각 기업체의 계산기준이 확립되어 있지만, (3),(4)에 대한 기

존 계산법은 다음과 같다.

① B.B.Broms의 방법

② H.Schmidt의 방법

③ H.G.Locher, Littlejohn의 방법

④ Ostermayer의 방법

⑤ JR(국철)의 방법

⑥ 원호 미끄러짐의 방법

제8-8 가설 구조물

893

6.5.14 가설앵커의 안전율

가설앵커의 안전율은 다음 표 6.1에서 제시하는 값을 만족해야 한다.

<표 6.1> 가설앵커의 안전율

앵 커 분 류 안전율 비고

사용기간 2년 미만 토사 2.0

사용기간 2년 미만 암반 1.5 인발저항에 대한 안전율

사용기간 2년 이상 2.5

사용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는 KDS 11 60 00 (4.2)에 따라 영구앵커로 설계해야 한다.

6.5.15 앵커의 주면마찰저항

앵커의 인발내력의 산정에서는 앵커의 인발시험에 의하여 구하여진 주면마찰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이

상적이지만 시험을 생략해서 개략설계를 할 경우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에 의하며 표 6.2를 사용할 수

있다.

<표 6.2> 지반별 주면마찰저항

지반의 종류 주면마찰저항(MPa)

암 반

경 암 1.0 ~ 2.5

연 암 0.6 ~ 1.5

풍 화 암 0.4 ~ 1.0

암 반 N 치

10 0.1 ~ 0.2

20 0.17 ~ 0.25

30 0.25 ~ 0.35

40 0.35 ~ 0.45

50 0.45 ~ 0.70

자 갈 N 치

10 0.1 ~ 0.14

20 0.18 ~ 0.22

30 0.23 ~ 0.27

40 0.29 ~ 0.35

50 0.30 ~ 0.40

점성토 0.1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6
155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8.갱구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997
154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7.터널 안정성 해석 file 황대장 2021.01.19 1069
153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6.콘크리트 라이닝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2728
152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5.지보 구조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463
151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4.굴착 및 발파패턴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646
150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3.조사 file 황대장 2021.01.19 1038
149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2.계획 file 황대장 2021.01.19 1871
148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9 1293
14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18 867
14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9.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069
14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8.케이슨 지수벽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905
144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7.가설교량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126
»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6.이중 물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946
142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5.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 및 단일물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552
141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4.버팀보방식 H말뚝 흙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455
140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3.재료 file 황대장 2021.01.18 1859
139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920
138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041
13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7편 옹벽_8.특수 옹벽(보강토 옹벽) file 황대장 2021.01.18 2099
13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7편 옹벽_7.기타 설계 · 시공 상의 주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