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개요
2021.01.19 10:29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4권 터널
터 널
제 9 편 터널
제 9-1 편 터널 본체
제 9-2 편 터널 환기
제 9-3 편 터널 조명
제 9-4 편 터널 방재
제4권
제 9-1 편 터널 본체
제9-1편 터널 본체
3
1.1 적용범위
이 편은 고속국도 터널 건설에 관한 일반적 기준 및 설계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 편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다른 관련 기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이 편은 고속국도 터널의 설계에 적용하는 공통적이며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며, 최근
의 도로터널 건설에서 안정성 · 시공성 ·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NATM이 주로 설계
· 시공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터널 표준단면 · 암반분류 ·지보 구조설계 등의 내용은 이
를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터널 공법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경사
갱 · 연직갱 설계부분은 터널설계기준(국토교통부, 2007년) 등의 관련 자료를 참조한다.
또한 이 편에서 주요 대상으로 한 터널 규모는 2차로 단면이며, 3차로 이상의 단면을 갖는
터널이나 연직갱 등의 설계도 이에 준할 수는 있지만 지반 상태가 특이하거나 대규모 단층파
쇄대 또는 일반적인 규모 이상의 큰 용수를 수반하는 팽창성 지반 등에서는 원지반의 특수성
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별도의 유사 규정 및 관련 설계기준 · 시방서 등에 따라 설계하는
것으로 한다.
1.2 용어의 정의
터널공사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가동률(operation rate) : 기계식 굴착장비에서 장비 유지 및 커터 교체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외한 전체 시간에 대한 장비의 가동시간 비율
∙ 강섬유보강 숏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 : 숏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보완
1. 개요
[KDS 27 10 05 터널설계 개요]
제4권 터널
4
하기 위하여 강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하는 숏크리트
∙ 개방형 쉴드 TBM : 터널 굴진면과 맞닿는 커터헤드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
는 쉴드 TBM
∙ 경사 : 층리면, 단층면, 절리면 등의 지질 불연속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최대로 기울어진
각도를 말하며, 경사방향은 주향과 항상 직교하게 나타나며, 진북을 기준으로 측정
∙ 계측 :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 주변 구조물 및 각 지보재의 변위 및 응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그 행위
∙ 교통환기력 : 터널을 주행하는 차량의 피스톤 효과에 따라 발생하는 환기력
∙ 굴진면(또는 막장면) : 터널굴착 방향에 대한 굴착면을 말하며, 거의 연직에 가까운 것이
대부분임. 굴진면 후방의 20 ~ 30 m 구간의 굴착 작업이 주체적으로 실시되는 영역을 굴
착부(막장부)라고도 함
∙ 굴진율(advance rate) : 기계식 굴착장비의 단위시간당 굴진장을 의미하며, 단위시간의
계산 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모두 고려
∙ 굴착공법 : 굴진면 또는 터널굴착 방향의 굴착 계획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단면굴착공법
· 분할굴착공법 · 선진도갱굴착공법 등이 있음
∙ 굴착방법 : 굴진면의 지반을 굴착하는 수단을 말하며, 인력굴착 · 기계굴착 · 파쇄굴착 · 발
파굴착방법 등이 있음
∙ 기계굴착 : 브레이커(핸드 · 소형 · 대형) · 굴착기 · 전단면 터널굴착기계(TBM) 등을 이용
하여 터널을 굴착하는 방식이며, 전단면 터널굴착은 주로 연암 이상의 암반에서 전단면을
굴착하는 open TBM 방식과 토사 또는 복합지반에서 전단면을 굴착하는 쉴드(shield)
TBM 방식이 있음
∙ 기본부 조명 : 터널 전체에 걸쳐 원칙적으로 조명기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조명하는
것으로, 터널 외부로부터 터널에 진입한 운전자가 입구부 조명구간을 통과하여 정상적 시
각 상태에 도달한 후의 조명
∙ 기본 수준면 : 물높이를 측량할 때, 기준이 되는 높이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간조의
평균 수면
∙ 내공 변위량 : 터널굴착으로 발생하는 터널 내공의 변화량으로 통상 내공단면의 축소량을
양(+)의 값으로 함
∙ 뇌관 : 폭약 또는 화약을 기폭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폭약 또는 첨장약이 장전된 관체
제9-1편 터널 본체
5
∙ 다단발파 : 발파 시 진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시간차를 둔 뇌관 또는 발파기를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발파하는 방법
∙ 단면확폭부 : 일반구간보다 단면이 확폭 변화된 단면 구간
∙ 단차 : 뇌관의 폭파시간 간격
∙ 단층 : 지각의 응력에 의하여 생긴 일정 규모 이상의 전단파괴면에서 양측에 상대적으로
어긋남을 가지는 선상 또는 대상의 부분
∙ 대피로 : 터널 내 화재 발생 시 안전지역으로 대피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터널과
평행한 별도의 서비스 터널이나 경사갱 및 연직갱 등을 말함
∙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 지구중심기준의 지심좌표계(geocentric
coordinate system)로 표현됨. 각 국가 간의 좌표에 관한 정보일치성을 고려하여 현재
범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군사용 표준으로 채택하여 1996년
7월 1일 이후부터 사용
∙ 동상방지층 : 노상의 동결에 따른 동상 피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동결깊이만큼의 노상을 동
상방지 재료로 치환하는 층
∙ 동적해석법 : 지반 및 구조물의 거동을 동적으로 산정하는 해석법으로, 가속도의 시간이력
을 사용하는 시간이력 응답해석법과 응답스펙트럼에 기초한 설계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해
석법이 있음
∙ 디스크 커터(disk cutter) : TBM 등 각종 기계굴착기에 부착되는 원반형의 커터로 회전력
과 압축력에 의하여 암반을 압쇄시켜 굴착
∙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 기지국이 필요 없는 정밀 위성위치확
인시스템으로 이미 알고 있는 기지점 좌표를 이용하여 기존 GPS의 오차를 보정한 신호를
받는 GPS
∙ 뜬 돌(부석) : 낙석의 위험이 있는 암편
∙ 랜덤 볼트(random bolt) : 지반의 취약한 부분만을 보강하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설치하는
록볼트
∙ 록볼트(rock bolt) : 굴착암반면의 안정 보강을 위하여 삽입하는 볼트이며, 암반을 일체화
함으로써 원지반의 안정을 위하여 설치. 록볼트의 정착방식에는 선단정착방식, 전면정착방
식 및 병용방식이 있음
∙ 록볼트 인발시험 : 록볼트의 인발 내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제4권 터널
6
∙ 록볼트 축력 : 지반에 설치된 록볼트에 발생하는 축방향 하중
∙ 마모도(abrasivity) : 커터의 마모 비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단위 절삭부피당 커터의
무게감소량
∙ 물리탐사 : 물리적 수단에 의하여 지질이나 암체의 종류, 성상 및 구조를 조사하는 방법으
로서, 탄성파탐사, 전기탐사, 중력탐사, 자기탐사, 전자탐사 및 방사능탐사 등이 있음
∙ 미기압파(micro pressure wave) : 열차의 터널 진입으로 인하여 발생된 압축파가 터널을
따라 열차진행 방향으로 전파되어 출구에서 급격히 방출 팽창됨으로써 생성되는 큰 음압레
벨의 충격파(impulsive wave)
∙ 밀폐형 쉴드 TBM : 격벽을 갖고 있으며, 굴진면과 격벽 사이의 챔버(chamber) 내를 버
력, 토사 또는 이수로 채우고, 버력, 토사 또는 이수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압력을 유지시
켜 굴진면의 안정을 도모하는 구조의 쉴드 TBM
∙ 바닥부 : 터널 단면의 바닥 부분
∙ 발진터널 : TBM의 초기 굴진 시 TBM 본체의 발진을 위한 터널로서, 발파굴착 또는 기계
굴착 등에 의하여 굴착하며, 일반적으로 TBM 본체 길이 정도의 공간이 필요
∙ 발파공 : 발파 시에 화약을 장전하기 위해서 천공하는 구멍
∙ 발파굴착 : 착암기나 점보드릴 등 천공 장비에 의하여 천공된 공에 화약을 장약함으로써
그 폭발력을 이용하여 암반을 굴착하는 방법
∙ 배연(smoke exhaust) :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류를 화재지점으로부터 외부로 배
출하는 것
∙ 버력 : 터널 굴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암석덩어리, 암석조각, 토사 등의 총칭
∙ 벤치(bench) : 터널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굴착하는 경우에 분할면
∙ 벤치길이 : 분할 굴착 시 상부 굴진면과 하부 굴진면 간의 터널 축방향 이격거리
∙ 변형 여유량 : 굴착에 따른 지반 변형이 있더라도 계획 내공단면이 확보될 수 있도록 미리
예상되는 지반변형량 만큼 여유를 두어 굴착하는 내공 반지름 방향의 여유량
∙ 보조 지보재 : 굴착시 지반의 지지능력을 보완해주는 지보재로서 주지보재를 제외한 지보
재의 총칭
∙ 불연속면(discontinuities in rock mass) : 모든 암반 내에 존재하는 절리 · 퇴적암에 존
재하는 층리, 변성암에 존재하는 엽리, 대규모 지질구조와 관련된 단층과 파쇄대 등 암반에
서 나타나는 모든 연약면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
제9-1편 터널 본체
7
∙ 비상전원 : 상시전원(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는 전력
공급원)이 사고나 고장에 의하여 공급되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공급원
∙ 비상조명 : 화재 등 사고로 인한 갑작스런 정전 시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예비 조명
∙ 섬유보강숏크리트(fiber reinforced shotcrete) : 숏크리트의 역학적인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강(steel) 또는 기타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하는 숏크리트
∙ 세그먼트(segments) : 터널, 특히 쉴드TBM 터널공법에 사용되는 라이닝을 구성하는 단위
조각으로, 재질에 따라 강판을 용접한 강제 세그먼트, 철근콘크리트제의 콘크리트 세그먼
트, 주조에 의하여 제조된 주철 세그먼트 및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단면에 지벨이 붙은 강판
을 배치한 합성 세그먼트 등이 있음
∙ 숏크리트(shotcrete) :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가압시켜 노즐로부터 뿜어내어 소정의 위치
에 부착시켜 시공(타설)하는 콘크리트
∙ 수격압(water hammering pressure) : 펌프의 급작스러운 가동 및 정지, 밸브의 급작스
러운 개폐 등에 의하여 관내 수류가 급작스러운 변화를 일으켜 발생하는 압력
∙ 쉴드 TBM(shield TBM) : 주변 지반을 지지할 수 있는 보호강관(shield)이 부착되어 있는
TBM
∙ 스킵(skip) : 연직갱을 통하여 버력 등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운반 용구
∙ 스프링 라인(spring line) : 터널의 상반 아치의 시작선 또는 터널 단면 중 최대폭을 형성
하는 점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선
∙ 습곡(fold) : 화성암․변성암․퇴적암에서 변형 전 평면에 가까운 면들이 변형에 의하여 물결
처럼 굽어 있는 지층 구조
∙ 시설한계 : 터널 이용 목적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간적 한계이며, 시설한계 내에는
시설물을 설치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음
∙ 시스템 록볼트(system rock bolt) : 일정한 간격과 길이로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록볼트
설치 형식
∙ 신호기 : 운행 중인 차량이나 열차에 통행의 우선권 등 포괄적인 지시를 하는 장치
∙ 안전영역(safety zone) : 터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정한 터널 주변의 영역으
로서, 각 영역별로 터널 안전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규제하는 영역
∙ RMR(Rock Mass Rating) 분류 : Bieniawski가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분류방법이며, 암석
제4권 터널
8
강도 · RQD · 불연속면 간격 · 불연속면 상태 · 지하수 상태 · 불연속면의 상대적 방향 등을
반영하여 암반상태를 분류하는 방법
∙ RQD(Rock Quality Designation) : 시추 코아 중 100 mm 이상 되는 코아편 길이의 합
을 전체 시추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값으로서, 암질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한
다. 이때 코아의 직경은 NX규격 이상이어야 함
∙ 압입깊이(penetration depth) : 기계식 굴착장비에서 사용되는 커터가 1회 진행할 때 암
석 내부로 압입되는 깊이를 의미하며, 추력과 회전력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 비에너지양
을 산정할 때 사용
∙ 압착성 지반 : 시간의존성 전단변위를 나타내는 성질을 가지는 지반으로 스퀴징 록
(squeezing rock)을 의미
∙ 애추(talus) : 식생피복이 되어 있지 않은 급한 기울기의 비탈면 아래에 풍화작용 및 중력작
용에 의하여 암편이 낙하함으로써 군집 형성된 돌무더기의 퇴적물
∙ 어깨(shoulder): 터널의 천단과 스프링 라인의 중간점(사이 구간)
∙ 언더피닝(underpinning) : 기존 구조물이나 기초를 변경 혹은 확대하거나 인접 공사 등으
로 보완이 필요한 경우 기존 구조물을 보강 또는 지지하는 공법
∙ 여굴 : 터널굴착공사에서 계획한 굴착면보다 더 넓게 굴착된 것
∙ 엽리 : 변성암에 나타나는 지질구조로 암석이 재결정 작용을 받아 같은 광물이 판상으로
또는 일정한 띠를 이루며 형성된 지질 구조
∙ open TBM : 무지보 상태에서 기기전면에 장착된 커터의 회전과 주변 암반으로부터 추진
력을 얻어 터널 전단면을 절삭 또는 파쇄하여 굴진하는 터널굴착기
∙ 외판(skin plate) : 쉴드 TBM에서 굴진장치․세그먼트 조립장치 등을 감싸고 있는 원통형의 판
∙ 용출수 : 터널의 굴착면으로부터 용출되는 지하수
∙ 응답변위법 : 표층지반의 전단진동에 따른 변위를 지반 속에 위치한 터널에 입력함에 따라
터널의 변형과 응력을 산정하는 내진설계의 한 방법을 말하며, 지진 시 지층지반의 변위는
일반적으로 수평변위를 대상으로 하고, 응답스펙트럼에서 계산식으로 구하는 방법과 유한
요소법 등의 진동모델에서 진동파형을 입력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음
∙ 이렉터(erector) : 쉴드 TBM의 구성요소로 세그먼트를 들어 올려 링으로 조립하는 데 사
용하는 장치
∙ 이수식(슬러리) 쉴드 TBM : 이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굴진면의 안정을 유지하며, 이수
제9-1편 터널 본체
9
의 순환에 의하여 굴착토의 액상 수송을 시행하는 방식의 쉴드 TBM
∙ 이완영역 : 터널굴착으로 인하여 터널 주변의 지반응력이 재분배되어 다소 느슨한 상태로
되는 범위
∙ 인력굴착 : 삽 · 곡괭이 또는 픽햄머 · 핸드브레이커 등의 소형장비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굴
착하는 방법
∙ 인버트(invert) : 터널 단면의 바닥 부분을 통칭하며, 원형 터널의 경우 바닥부 90° 구간의
원호부분, 마제형 및 난형 터널의 경우 터널 하반의 바닥 부분을 지칭한다. 인버트의 형상
에 따라 곡선형 인버트와 직선형 인버트로 분류하며, 인버트 부분의 콘크리트라이닝 타설
유무에 따라 폐합형 콘크리트라이닝과 비폐합형 콘크리트라이닝으로 분류함
∙ 일상계측 : 일상적인 시공관리를 위하여 실시하는 계측으로서, 지표침하 · 천단침하 · 내공
변위 측정 등이 포함된 계측
∙ 입구부 조명 : 운전자가 터널 진입 후 터널 내부의 조명에 순응하지 못하여 암흑으로 보이
는 일시적인 현상을 경감하기 위하여 터널 입구부에 설치한 조명설비
∙ 자가발전설비 : 외부 전원의 정전에 대비하여 전기 수용자가 별도로 설치한 발전전원설비
∙ 장대터널 : 터널의 연장이 1,000 m 이상인 터널
∙ 잭 스트로크 : 쉴드 TBM의 추진과 세그먼트의 조립을 위한 잭의 유효 길이
∙ 전기탐사 : 물리탐사법의 일종으로 지반전류의 물리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전위 · 비저
항을 측정하며, 지반구조 ․ 지하수 등을 조사하는 방법
∙ 절리 : 암반에 존재하는 비교적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불연속면으로서 상대적 변위가 단층
에 비하여 크지 않거나 거의 없는 것을 말하며, 이 성인은 암석 자체에 의한 것과 외력에
의한 것이 있음.
∙ 접속부 : 단면의 형태 및 규모가 같거나 다른 터널이 서로 접속되는 구간
∙ 정밀계측 : 정밀한 지반거동 측정을 위하여 실시하는 계측으로서 계측 항목이 일상계측보
다 많고 주로 종합적인 지반거동 평가와 설계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수행
∙ 제연(smoke control) : 화재 시 연기 및 열기류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것
∙ 종류식 환기방식 : 터널의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교통환기력 및 자연환기력을 보충하는 환
기용 송풍기의 분류효과에 의한 승압력을 발생시켜 소요 환기량을 확보하게 하는 방식
∙ 주지보재 : 굴착 후 시공하는 지보재로서 보조 지보재 및 콘크리트 라이닝을 제외한 지보재
의 총칭이며, 강지보재 · 숏크리트 · 록볼트 등으로 구성
제4권 터널
10
∙ 주향 : 불연속면(층리면, 단층면, 절리면 등)과 수평면의 교선방향을 진북방향 기준으로 측
정한 방위
∙ 지구물리검층 : 지질 단면 또는 시추공에 대하여 조사를 할 때 암석의 지질학적 내용과
물리적 성질을 기록하는 일
∙ 지반 : 건설공사에 관련한 지구의 표층부분이며, 구조물의 기초나 굴착 등의 대상이 되는
부분
∙ 지반 조건(ground condition) : 터널 주변 지반의 지형 · 지질 · 수리 · 수문 조건 등
∙ 지보재 : 굴착 시 또는 굴착 후에 터널의 안정 및 시공의 안전을 위하여 지반을 지지, 보강
또는 피복하는 부재 또는 그 총칭
∙ 지보패턴 : 터널굴진면의 지반 상태와 터널 천단부 및 그 상부의 지반 상태 ·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터널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미리 설정해 놓은 지보 형태를 말하며, 터널굴착 후
조기에 설치하여 터널의 안정을 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숏크리트 · 록볼트 · 강지보공과
보조공법 등을 조합한 것
∙ 지중변위 : 터널 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굴착면 주변 지반의 변위로서 터널 반지름 방향
의 변위
∙ 지중침하 : 터널을 굴착할 때 인접 지반은 침하를 일으키며, 터널 천장부를 기점으로 하여
지표로 갈수록 각 지층의 침하량은 깊이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때의 깊이별 침하
∙ 지표침하 : 터널굴착으로 인하여 지표면이 침하되는 형상을 말하며, 지표침하는 터널의 종
단 및 횡단방향으로 여러 곳에 침하판을 설치하여 터널굴착 시 변화되지 않는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인 침하량을 측정
∙ 지하 매설물 : 지표 하부에 묻혀있는 인공구조물로서 지장물이라고도 함
∙ 질소산화물(NOx) : 엔진 내에서 연료의 연소 시 고온에 의하여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열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
∙ 천단침하 : 터널 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터널 천장의 연직방향 침하를 말하며, 기준점에
대한 하향방향의 절대 침하량을 양(+)의 천단 침하량으로 정의
∙ 천장부(crown) : 터널의 천단을 포함한 좌우 어깨 사이의 구간
∙ 초기응력 : 굴착 전에 원지반이 가지고 있는 응력
∙ 추력(thrust force) : 커터헤드의 굴착면으로의 추진력
∙ 추가볼트 : 설계된 지보패턴에 추가하여 시공되는 록볼트
제9-1편 터널 본체
11
∙ 출구부 조명 : 운전자가 주간에 터널 출구부를 보았을 때 출구부가 밝은 배경이 되어 식별이
곤란하므로 출구 부근에 있는 물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터널 출구부를 밝게 하는 조명설비
∙ 측벽부(wall) : 터널 어깨 하부로부터 바닥부에 이르는 구간
∙ 측선 : 계측을 위하여 설정한 측점 사이의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가상의 선
∙ 층리 : 퇴적암이 생성될 때 퇴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퇴적물 속에 생기는 층을 이루는 구조
∙ 카피커터(copy cutter) : 곡선부에서 쉴드 TBM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내측곡선 부분에
서 곡선 반지름 방향으로 확대 굴착하기 위하여 쉴드 TBM 커터헤드의 측면에 설치한 커터
∙ 커터(cutter) : TBM의 커터헤드에 토사 또는 암반의 굴착을 위하여 부착하는 금속으로 디
스크커터 · 커터비트 · 카피커터 등이 있음
∙ 커터비트(cutter bit) : 쉴드 TBM의 커터헤드에 부착하는 칼날형의 고정식 비트로 본체와
팁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로 크롬몰리브덴강, 니켈크롬몰리브덴강 등의 내마모강으로 만든
본체의 끝부분에 텅스텐, 코발트, 카본으로 만든 초경합금인 팁을 용접하여 사용
∙ 커터숍(cutter shop) : TBM 작업 시, 특히 암반부 굴착 시 다량 소요되는 예비 커터를
보관하며, 커터를 정비하는 창고
∙ 커터슬리트(cutter slit) : 쉴드굴착 시 굴착토를 커터헤드의 회전에 따라 쉴드기 안으로
끌어 담는 역할을 하는 부분
∙ 커터헤드(cutter head) : TBM의 맨 앞부분에 배열 장착되는 디스크커터 또는 커터비트
등 각종 커터를 부착하여 회전 · 굴착하는 부분
∙ 케이지(cage) : 연직갱을 통하여 버력이나 작업원 등을 운반 시 사용하는 바구니 형상의
운반 용구
∙ 콘크리트 라이닝(concrete lining) : 터널의 가장 내측에 시공되는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
트의 부재
∙ K형 세그먼트 : 쉴드 TBM 작업에서 세그먼트 조립 시 마지막으로 끼워 넣는 세그먼트
∙ Q-시스템 : 바톤(Barton) 등이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분류의 하나이며, RQD · 절리군 수
· 불연속면 거칠기 · 불연속면면 변화정도 · 지하수에 의한 감소계수․ 응력감소계수 등을
반영하여 암반을 분류하는 방법
∙ 테이퍼링(taper ring) : 곡선부의 시공 및 선형수정에 사용하는 테이퍼 처리한 링을 말한
다. 특히, 폭이 좁은 판상은 테이퍼 플레이트 링(taper plate ring)이라 함
∙ 테이퍼량 : 테이퍼링에 있어서 최대폭과 최소폭과의 차이
제4권 터널
12
∙ 테일 보이드(tail void) : 세그먼트로 형성된 링의 외경과 쉴드 TBM 외판의 바깥 직경사이
의 원통형의 공극. 즉, 테일 스킨 플레이트의 두께와 테일 클리어런스의 두께의 합
∙ 테일 스킨 플레이트(tail skin plate) : 쉴드 TBM 테일부의 외판(skin plate)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외판보다 약간 두꺼움
∙ 테일 실(tail seal) : 쉴드 TBM의 외판 내경과 세그먼트 간의 틈이 생기는데 이곳으로 지하
수의 유입 또는 뒤채움 주입재의 역류를 막기 위하여 쉴드 TBM 후단에 부착하는 부재
∙ 테일 클리어런스(tail clearance) : 테일 스킨 플레이트의 내면과 세그먼트 외면 사이의
간격
∙ 토압식 쉴드 TBM : 회전 커터헤드로 굴착․교반한 토사를 굴진면과 격벽사이에 충만시켜
쉴드 TBM의 추진력에 의하여 굴착토를 가압함으로써 굴진면 전체에 작용시켜 굴진면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스크류컨베이어 등으로 배토하는 쉴드 TBM
∙ 토피 : 터널 천장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연직높이(두께)
∙ 특수지반 : 팽창성 지반, 함수미고결 지반 등을 말함
∙ 틈새 : 불연속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벌어진 거리
∙ TBM(Tunnel Boring Machine) : 소규모 굴착장비나 발파방법에 의하지 않고 굴착에서
버력처리까지 기계화 · 시스템화되어 있는 대규모 굴착기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open
TBM과 쉴드 TBM으로 구분
∙ TCR(Total Core Recovery) : 전체 시추 길이에 대하여 회수된 코아의 길이 비를 백분율
로 표시한 값
∙ 파쇄굴착 : 유압가스 · 팽창성 모르타르 · 특수저폭속화약 등을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시켜
굴착하는 방법
∙ 팽창성 지반 : 터널굴착에서 팽창으로 인하여 문제를 일으키기 쉬운 지반으로서, 제3기층
의 열수 변질을 받은 화산분출물, 팽창성 이암 및 온천 여토 등을 말함
∙ 편압 : 터널의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지반 압력
∙ 표준지보패턴 : 지반의 등급에 따라 미리 표준화한 지보 패턴을 지칭
∙ 필러(pillar) : 굴착면 사이에 남아 있는 기둥이나 벽모양의 지반
∙ 함수미고결지반 : 신생대 3기말부터 제4기에 형성된 퇴적물 · 암석의 풍화대 ․ 파쇄대 등의
미고결 또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고결도가 낮은 지반
∙ 허용편차 : 변형 여유량에 시공상 피할 수 없는 오차를 합한 값
제9-1편 터널 본체
13
∙ 환기설비 : 터널 내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신선공기를 유입 또는 급기하거나 오염공기
를 배출하기 위한 설비
∙ 회전력(torque) : 커터헤드를 회전시키는 힘의 크기
∙ 후드부 : 쉴드강관의 일부로 선단부에 있어서 굴진면의 안전을 유지하고 작업공간의 확보
와 안전을 꾀하기 위하여 정상부를 보호하는 부분
1.3 참조 법규 및 관련 기준
터널 건설 시 준수해야 하는 관련 법규 및 기준을 모두 검토하여 해당 내용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계해
야 한다. 조사 대상이 되는 주된 법규 및 관련 기준 등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오염 방지 및 환경보전 관련 : 대기환경보전법, 자연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 소음 · 진동관리법, 수질환경보전
법, 해양오염방지법, 수도법, 하수도법, 광업법, 지하수법, 철도건설법, 폐기물관리법 및 건
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토양환경보전법, 환경정책기본법, 환경 · 교통 ․ 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등
(2) 재해방지 관련 : 사방사업법, 택지개발촉진법, 농어업재해대책법, 자연재해대책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등
(3) 국토개발 관련 : 국토기본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4) 하천 관련 : 하천법,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온천법 등
(5) 도시계획 관련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 등
(6) 도로 및 교통 관련 : 도로법, 철도건설법, 도시철도법 등
(7) 군사 관련 : 군사기밀보호법,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등
(8) 문화재 관련 : 문화재보호법 등
제4권 터널
14
(9) 안전보건 관련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건설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
법, 철도안전법,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등
(10) 위험물 관련 : 총포 · 도검 · 화약류 등 단속법 등
(11) 관련 기준 및 지침 : 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 및 유지관리지침, 도로설계기준, 도로안전시
설 설치 및 관리지침, 도로포장설계 시공지침,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지침, 도로터널 조명
시설 설계기준, 시설물 유지관리지침,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토목공사 설계기준,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등
(12) 관련 시방서 :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건설공사 비탈면 표준시방서,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
서,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