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20 Ho] ALA ANTS HySs0:( '05. 4. 18)LS4지반을 개 착 식으로 굴착하는 경우에안전성 확보와 주변 구조물의 피 해를 방지하기 위해설치하는 흙막이가시설의설계시 적용되는 일부 조건 들이 명확한 기준 없이 사용되고 있어, 적정 하게 사용할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시 코자함 .※ 관련근거( 감사 구조 12108-30001, 2004. 1. 2)흙막이가시설에 대한 명확한설계기준 정립이 필요2. 현 실태및 문제점가. Ho]AAAWaAAASBy-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건설교통부, 2003. 2)- 서울 지하철건설공사설계기준(서울 특별시지하철 건설 본부, 2004. 8)-도로설계 요령(한국도로공사 2001.12) 나문제점BVABESTA및 부 산-언양 간 확장공사 구간설계 현황 조사결과.-가시설상 단부에 작용 하는 것으로가 정 하는 지표면 상 재하중의 경우 주변조건 고려요소에 대한 명확한 적용기준이 없어 상 재하중이상이( 4=1.0~ㅁ 하게3.0 100/ 0적용되고있음.- 흙막이 벽체설계시 적용되는 토압(삼 각 형 토압 , 경험 토압등)은 굴착 단계와굴착및 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토압 분포가 다 르 므로 시공 단계로별적정한 토압 분포를 적용 하여 종 합 적인 검토 후설계 하여야 하나, 토압 적용을 위한 세부 적인 적용기준이 없음- 흙막이가시설의 지지구조체가 지반 앵커 정착 방식 인 경우 앵커의 자 유장과정착 장 산정기준이 현장 별로서로 상이함3. 검토 내용가. 흙막이가시설의설계 흐름도[.9 |---| 저자 스레 랬이sve }--|__==그 떼어고-1 해 19}사하기ae 때iesaus ae sesxsvae|-[p Sg: Raperss eeUES 5Tiareaged aaa 때saga ae디다ag |-사걸도 지반at ae eazieaya ae |- aanae I근원 pola dababby be alae가상 지 저 정의 계산;|[- |ANdFEO wes tea단 먼 결정 용도 압 계산;t-Renilne Rel 두 "Peck St‘ "HESeaewee eeenya seen ea-}-[293999-20I-& FowlUS Fesete 22222 2bfeatsB(lo% B=)Hxsto 2HwTloisRlowp Alrigis ietsBRETRER fe BRAA ECSE BRlo wy | Se kieTe Kee BERRke dobteleis lek Rick | SSK SRG kere Erk | beeT BERERL kEHBB Me BeEWR Akek | SVE bk SloRHy bem | HS bREL AloRt ecg. | RHE leh$k RURAL cheELAlR|ovele USFGRERERES) @Bhtek Tle $k Reis:Se ESET | FF Blawor lows Fewavinte EeiyKR ‘ee SORE SERRER | ekeeervese eren eve | PRE PEER C7) bh | Te ante bleh «neeean ovede“RE bun aces anes | FE bee abae besoRiek KR BDRieR themes | RRR$(ACT)loRtk bl | icwor-e FR SloRRReeebh+tk £2z- BR AbbRR kick btBE $82 Bb blo tk |te BARE bred AbrBAK RAE LAS Aken-|BA bem FAR HR loRe-|BESEPeeAe7|ay BoB BBE BR peSy BE weu- super | veRbR pawpa bean cave|PRET PS Ree Ree |Abe BER BBA HRAlob’ab ao oo bm Rina:.|PF SER BOE Wek RRA- |FAL tloR BS ole lofe-BE 977$3 Scke|SE SR ERE BRE GLSE eae bPRic BB Ab bRK ‘A|BTSA BER Kee ea-|Ri bike alee BRi- | Steke ARK(RRS)울보따 04000올 볼풀 502eh BELRIc-“ekw/juoI'T SLielete -fle 77BE Fla Skebh& 검토결론가. 지표면 상재하중- 지 표면에 1.0 1008/ ㅁ의 상 재하중 적용.「- 자동차, 중 구조및 건축물등이 근 접 하는 경우 별도의 적절한 값 적용.- 건설 용 중 구조( 크레인등)의 작업 하중은 필요에 따라 검토하여 적용.= 자 하철설계기준 (2004. 8.) 적용 나토압1) 굴착 단계별 토압- 굴착 단계별 토압, 근입 깊이 결정및 aa 널 말뚝의; 단면 계산에는 흙의 내부 마찰 각과 점 착 력이 적정 하게 고려되어안정 측 인 삼각형 토압(Rankine-Resal) #]-2-,2) 굴착및 지지구조 설치 완료 후의 토압- 굴착및 지지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벽 체 변 위에 따라 토압 aes발생 하여 벽 체 하단부 토압이 감소 되며 펙 (0000이 제안한 형태와 비슷한토압 분포를이루게 되므로 장 기초안정 해석은 경험 토압 (0600 적용.3)안정성 검토및 부재 단면 검토 시 두가지 경우의 해석을 모두 병행한후그 결과를 종 합 하여설계수행=도로설계 요령 (2001.12),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 2.) 적용 다. 자 유 장및 정착 장1) 자 유 장- 지지구조체가 지반 앵커 인 경우 정착 부는가상 활동 파괴 면 밖에 위치 하여야하며, 자유 장은가상 활동 면으로부터 150 또는 01541( 굴착 깊이)를 더한가 중 큰 값을 적용하되 최소 450이상이어야 함 .2) 정착 장:- 앵커의 정착장([,)은설계 정착 력으로부터 산출 되는 앵의커 정착 (장 ㅠ)과 인장 재의 부착 장(…) 중 큰 값 적용.- 토사 충 인 경우 최소 정착 장은 4.50이상이어야 함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 2) 적용5. 적용방안가.설계 완료 후미 발주및설계 중 노선 : 본 기준 적용나.공사 시행중 노선 :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붙임 : 흙막이가시설세부설계기준 1 부 .2005. 4AE판콕 드르 ㄴ 090AoA처CORPORATION aq 9M-21 daAAW-3. HU] Ss aA 3.1- 측벽 말뚝( 엄 지 말뚝) 3.2토류판 3.3떠 장 (0210 … 3.4버 팀보 (9600 3.5사보강재 3.6지반 앵커(82001 400100 3.7 기타검토사항1, 적용범위MISAMs] TABS ASHE BP SAA및 주변 지반의안정을 확보 하기 위해설 하는치흙 막이 중 측벽 말뚝(엄 말뚝)지가시설 a계에 적용한 다.지하 매설물에 대한 관리 사항은 지하 매설물 HSS S Rea1995. 5)을 기준으로한다.( 표 17가시설벽체공법선정흐름도)¢지하 조구 웅의 계피)제 조 견의 톤시부지, 지반, 주변 조건, 실적 자료글 착 공번의 선정(벽 체 지지방범)ea4 aul sensaa)neau.aeaua보ere조 공의법 ire검도베 수 공에범 아튼 주의번 영하던가가xo.He lsau egvesSawa PEAYeade tue( 인장, 근 용 려 , 변형, 지지구조 아려)2184 8 (rebound) Bt토류 벅의 번현이의한Fang eeueNo eerves2.설계일반2.1 단면설계법가시설구조물의설계는 허용 응력설계법을 적용 함을 원칙으로한다. aaaPoeee Perry)AREER EE Teaeee단면가경MUG ees?ease* 지반정수의 결정Coy aaTene rae weaa se na}-[ESRFAGagaPELLETEEE 구조가a4가상 지지 정의 계산aol FEET Weal ea단면 걸 정웅 토압 계산a Rankin e Real SOPec mea포니Has Reed aa|BSUS228중 2.2.1 하중의 종류ㆍ고정 하중ㆍ활 하중ㆍ충 격 하중 ㆍ*ㆍ토압및 수압ㆍ기타 하중2.2. 하중의 조합하중의 조 합은 아래표를 기준으로하되각가설부재에 작용 하는 하중 조건을 면밀히검토하여추가 하중을 조 합 할수 있다.측벽 파일버 팀보|떠장하중의 종류근입장 | 지지력단면단면단면고정하중ㅇㅇㅇ활하중ㅇㅇㅇ충격ㅇㅇ토압및 수압ㅇㅇㅇㅇ2.2.3 고정 하중재료의 중량은 개 개의 경우에 따라 다르고설계시 큰 영향이 있어가능한 실 하중을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정하기 어 려 우므로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2.1.2 장에서 규정 하는 고정 하중을 사용 하기로한다.2.2.4 활 하중*ㆍ지표면상재하중- 지 표면에 1.0 1006/ ㅁ의 상 재하중 적용- 자동차, 중 구조및 건축물등이 흙 막이에 근 접 하는 경우 별도의 적절한값 적용. (자동차 하중은 ㅁ 8 하중 사용)- 건설 용 중 구조( 크레인등)의 자중및 작업 하중을 필요에 따라 검토하여 적용225 SABES활하중에 의한 충 격을 고려하여 충 격 계수는 지간에 관계 없이 03으로한다.226토압(1)흙 막이 벽체설계시 적용 토압-가설흙막이 벅에서 굴착단계별 ,근입 깊이 결정및 자 립 식 널 말뚝의 ㅣ yaa단면 계산- 흙막이 벽체설계 굴착 단계별{Rankine Resel)검토 시- 굴착및 버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경 토험 압후의 장 기초안정 해석(Peck)-안정성 검토및 단면 검토 시 두가지 경우의 해석을 모두병 행한후 그 결과를 종 합 하여설계수행(2) 삼각형 토압Rankine-Resal9] 9}.1SaEevase"수 동 토압 (8,|SEEM (P)P,=(at vi): tan “(as +-$)P,=(atyh) + tan (45° --¢)+2C- tan(4s +2)20: tan(45* --$)0 : 지 표면 상에서의 상 재하중 (100ㅁ ”,/ : 흙의 단위 체 적 중량 (600/ㅁ ”)1 : 지표면에서 임의 점 까지의 깊이(40, 《 : 흙의 내부 마찰 각(ㆍ)( : 흙의 점 착 력 (00ㅁ/0(3) 경험 토압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토압은 실 측 자료및 최 악의 조건등을 고려하여 260의 제안 식을 구조 본 적으로 적용한 다.사질 토 지반에서의 200 토압 분포ens차 수 성 BAer Sel강( 널 말뚝, 지중 연속 벅 , 주 열 식 말뚝)Foor..ifseaH-_--F#| aPalpeaiz P, = 0.65K,¥H+ Kw,P,’ = 0.65K,v'H+K,w,Py= have Ky FEEDALF(1- sino)/(1+ sing],《 : 흙의 내부 마찰각 ("), 1: 흙의 습 윤 단위 중량 (600[ㅁ/) ': 흙의 수 중 단위 중량 (004/ㅁ 1?), va: $9 EASA (tont/m, 7 : 굴착 깊이로서공사용 측구 하단 까지 포함(0): 지표면과 재하중(6006/),1 : 지하 수 면의 높이 (0)점성토 지반에서의 200 토압 분포,20.4의 경우K, 60.4의 경우나00씨arsheepox 스 , : 토압 계수 =1- 까 끝 음), ~: 체감를 (10, (: 흙의 점 착 력 60070 1 : 흙의 습 윤 단위 중량 (6006/0),4 : 지표면과 재하중 (00/ㅁㅎ다층지반에서의 토압 분포보이 미 니 내 구조- a, hy, 1및 16는 760 토압의 기준에 따라 결정- 지반이 여러로 충으로 구성된 경우의 토압(5., ,8, 『ㅁPa = AK yXVqrh), Pa = aKg*terh, Pag = a(Kgrt rhs)(4). 암반 지반에의서 토압암반 지반의 토압 분포 적용은 현장조사등을 시행 하여 불 연속 면 방향성과 경사각의 임계 파 괴 면을 확인한 후 책임 구조기술자의 판단에의해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적용한다227수압 * 굴착 배면 지반의 수 위는 굴착 as, 지반의 특성및 흙 막이 벽 종 류에따라 변 하므로 시공 조건을 감안하여 흙 막이 벽 체에 작용 하는 수 압을설계에 반영한 다. * 토사 지반에 작용 하는 수 압은 흙 막이 벽 체가 불 투 수 충에이상 적으로 관입된경우와 관입 되지 못한 경우등의 시공 상태와 굴착 배면 토 층의 투 수 계수가다른 경우등의 지층 조건을 고려하려 합리적으로 적용 하여야한다. * 암반 지반에 작용 하는 수압은 암반의 투 수 성이 작은 경우와 투 수 성이큰 경우 또는 암반 내에 파쇄 대가 발 달 하는 경우등을 조사 하여 합리적으로 적용한 다.23aq).& 231 허용 응력의 증가 계수영구 구조물구분가시설기물시도중공시공 완료후허용 응력증가 계수151.251.023.2 AD및 콘크리트의 허 응력 용콘크리트 철은구푼허용흰 압축 응력| 허용 휠 인장 응력| 허용 압축응력허 응력용Sea = 0.40 fx |fan = 0.50F,fa = 0.40 f,※"도로교설계기준 해설2003"중 2.2.2.4장 참조2.3.3 강재의 허용 응력ㆍ흙 막이용가설강재의 허용 응력및 강 널 말뚝의 허용 응력은 “구조물 구조 설초 계 기준 해설 2003" 7.7.3장을 따른다.ㆍ가 설 흙막이 구조물에서 강재의허용 응력은 영 구 구조물에 대한 허용응력 보다 50% 큰 값을 사용 하며신 강재가 아닌 구 강재를 사용 하는 경우 부재의 재 사용이나 단면의 감소에 따른 허용 응력 저하를 고려한 다.*공사 기간이 2 년 미만인 경우에는가설기물로 간 주 하여설계 하고, 2년이상인 경우에는 영구 구조물로 간 주 하여설계한다.2.3.4 목 재의 허 응력용토류 판에 사용 되는 목 재의허용응력은 “구조물 기초설계기준해설2003" 7.7.3 장을 따른다.2.3.5 구조등의 유 효좌 굴 길이구조용 강재의 허용 응력 계산시기 둥의 유 효 좌 굴 길이는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2003" 3.3.2 장을 따른다.3. Hos Aa3.1 측벽말뚝. 327 지반 지지력 _ 검토0 허용지지력최대 축방향력은 말뚝의 허용지지력 내에 들어야한다.… 최대 축방향력 (0) = 주 형 보 접지의 반력+ 버 팀보 지점의 반력+ 주형 보 지지보 자중 + 떠 장의 자중 + 파 일의 자중+ 앵커의 수직분력+ 부 마찰력(필요 시)@ 허용지지력 산정- 말뚝 재하시험을 하지 않는 정 역학적 공식으로 계산 하며, 필요한 a우 시 항 타에의해동역학적 공식으로확인한다.- 정 역학적공식에 의한극한 지지력으로부터허용지지력 산정시안전율은 2.0이상을적용한 다.- 측벽 말뚝배면흙이 배수등의 원인으로침하할 우려가 있는경우부 마찰력을 측벽 파 일의 축 하중에가 산 하여검토한다.- 최대 축방향력에 춤 막이 앵커의 수 직 분 력이 포함 되는 경우에는 허용지지력 산정시 흙막이앵커의 수평 분력및버 팀보의 반력에 의한 마찰력을 고려한다.- 천공 말뚝의 마찰력또는부착력은 말뚝의 재질또는뒷채움 재등에의해결정 된다. 3.1.2 말뚝의 근입 깊이 검토ㆍ흙막이 말뚝의 근입 깊이는 평 형 깊이의 12 배로 하며 150를 만 족 하지않을 때는 1.5 퍼로한다. 단 , 평 형 깊이는 아 래 표 중 큰 값을 적용한 다.「굴착 완료 시의 계산최하단 버팀 설치 직 전의 계산‘SHEA EIOIOLAGM ARSxeganaYP28 깊 미가상 지지인ado,가 지승 지점ㆍ암반을 지지층으로 하는 경우는 1.00이상으로하여선단폐쇄효과가 발생 하도록한다.ㆍ엄 지 말뚝에 작용 하는 주 동 토압의 작 응 폭은 굴착저면 상부는 말뚝의간격, 굴착 저면 하부는 플랜지 폭으로 하며, 수동 토압의 작용 폭은 아래 표에 준 하되 특별한 경우 책임 구조기술자의 판단에 따른다.7사질토제) 30ㆍ]. 30는제)10N(10"지반의 상태로지)88)N)4N(4ik|토압의 작용 폭(까 일 간격이하)| 플랜지 폭의 3 배 | 플랜지 폭의 2 배 | 플랜지의 폭3.1.3측벽 말뚝의 구조ㆍ버 팀 보 설치 위치를 탄성 지점으로 하는 연속 보로 계산한다.ㆍ관용 계산시 지증가상 지지점의 위치- 굴착도중 : 굴착 저 면 아래 0.50로 하되 연약 지반인 경우에는 그이상으로한다.- 굴착 완료 후 : 평형 근입장을 계산하여 수동 토압 합 력의 작용 점으로한다.* 배 면 지반 침하량및 부등 침 하 경사각은 측벽 파 일의 수 평 변 위를이용하여 검토한다.3.1.4굴착 저 면의안정성1) 지반 음 구조 (0360008)- 점성토 지반은 융기에 대한 검토를한다.- 지반 융기에 대한안정성 검토는 하중-지반 지지력에 의한 방법과 모멘트 평 형에 의한 방법에의하며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의 제 7 장에 따라 검한다.토2) 파이핑 (2008)- 사질 지반에서 차 수 성 흙 막이를 설치할 때는 파이 핑에 대한 검토를한다.- 파이 핑에 대한안정성 검토는한계 동 수 경사 방법및 테 르 자 구조(16028811) 방법에의하며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 2003"의 제 7장에 따라 검토한다,3.2 EB Fp Mt구분 | ㆍ내용Ed|ㆍ토 류 벽에 작용 하토는압 적용ㆍ=ㄴ- 옷5계산 지간] 구조 -(《: 계산 지간 , ㄴ 측벽 파 일 중 심간격, 6: 플랜지 폭)목 재 토 류판 |ㆍ= | 쁘 씩 ,브 16 = 긍 ㅠ 63(0: 토 /압 《, ; 허용 응력,회b: ERB (10cm)응력| * 모멘트 : Marasage MicsAE(2: 단면계수)ㆍ전단 :력 5=- 뚝은ㆍ전 응력:단= 음(ㅠ,3.3 a}(Wale)ㆍ떠 장은버 팀 보또는앵커위치를지점으로하는 3 경간연속 보 또는단 순 보로가 정 하고, 떠장위치에서의엄 지 말뚝지점 반력을 집중 하중으로간 주 하여 계산한다.ㆍ* 굴착및 해체 단계의 떠장설계에쓰이는하중은 각단계에있어 서의최대하중으로한다.ㆍ떠 장의길이및연 직 간격은하중크기, 흙 막이 벽체 부재의 강도,강성및 작업 성등을 고려하여충분히안전 하도록 결정한 다.* 떠 장은이음으로 일체 화 시키고,이것이 곤란한 경우 다음 엄 지 말뚝 까지 떠 장을 연장하여 내 민 보가 생 구조지 않도록한다.* 버 팀 보 위치에서 떠 장의 횡 변위를 구하고, 그 변 위가 버 팀 보 축 력에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ㆍ버 팀 보와 연결 되는 떠 장 부 위는 5666 아로 보강한다.3.4 버 팀 보 (6600* 버 팀 보는 압축 재로서 좌 굴 되지 않도록 충분한 단면과 강 성을가져야한다.ㆍ버 팀 보 위에는 원 칙 적으로 재하해서는안되며 버 팀보 위에 부득이재하 시에는축 력과 횡이 작용 하는 단면으로설계 하여야한다.* 버팀 보에는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나 부 득이하게이음을 하는 경우에는 보강을 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다.이음의 위치는 띠등으로 구속 된 부 근 (1.00이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흙막이 벽 체의 변 위를 역 제 하고 띠 장과 Hepo}yalo] Ware 위하여초 구조 지 압 력을도 입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세장비(는 100이하이어야 하며, 현장여건 상 좌 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구속이 불가능한 경우 라도 120을 초과 할수 없다.ㆍ좌굴 길이 산정방법구분좌 글 길이ㆍ말뚝의Tee? | aaesa eda wane a수 평 방향| 없는 경우 | 꾸이(《)를 고정 점 간 거 리로 함 .( 약 축 방 |향수 평 방향 |ㆍ1571 15;및 207; 중 큰 것을구속이 | 고정점 간 거 리로 하며이 값이 전장있는 경우 ㅣ 《을 넘을 경우 /로 합 .3.5 사 보강재의설계ㆍ사 보 장 재는 버팀 보의 수 평 간격을 넓게 하거나, 모서리의 떠 장 하중의발 침 또는 떠 장을 보강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 다.ㆍ사 보강재의 접 합 부는 활 동에 대하여 충분한 내 력이 있는 구조로 하여야한다.ㆍ사 보 장재를 버 팀 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좌 , 우 대 칭으로 하여버팀 보에 편 심하중에 의한 흰 모멘트가 생 구조지 않도록한다.회ㆍ사 보강재는 떠 장과 45* 각도로대 칭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한다.ㆍ사 보강재는 축 력을 받는 압축 재로설계한다.*ㆍ사 보강재를 설치하는 떠 장은 수 평 력에 대하여 밀리지 않도록 보강한다.사 보강재에 작용 하는 축 력 4= 스낭\~- 금-3.6 지반 앵커 (80001 40000 3.6.1일반 사항.ㆍ지반 앵커는 구조의물 규모, 형상, 지반 조건및 환경 조건에 적합한 것을선정 하고,설계 하중에 대하여 인 발 저항력을 갖도록설계한다.ㆍ지반 앵커는 흙 막이의 구조, 앵커의 치수등을 고려해서 소요 정착 력이얻어 지도록설계 하여야한다.ㆍ지반 앵커는 양호한 지반에 정착 하는 것으로 하고, 그 길이및 배치는토질 조건, 시공 조건, 환경 조건, 지하 매설 물의 유무, 홈 막이 벽의 응력,변위및 구조계의안정등을 고려하여 결정한 다.ㆍ지반 앵커의 초 구조 긴 장 력은 지반조건, 흙 막이 벽의 규모, 설치 기간및시공방법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을 설정한다.ㆍ좌 대및 지 압 판은설계 정착 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유해한변형이 생 구조지않도록한다.3.6.2설계 순서(2 주어진 지반및 하중 조건을 검토 하고시공성을 고려하여 앵커배치계획을 수립한다.@ 1개의 앵커에가 해 지는 외 력을 계산한다.@안전을율 고려하여앵커1개당극한 인 발저항력을 구하고앵커 체의설계를 실시한 다, @ 흙 막이의 경우 구조체 전체의안정성 검토를 실시한 다. (6 앵커 두부, 인장 부 , 좌대등의 세부설계를 실시한 다. (@ 변 위 량 , 초 구조인장력등 구조물과 관련된 기타세부를설계한다.3.6.3 앵커의 허용 정착력(ㅜ,)*설계 정착 력 (10)은 허용 정착 력(L,)이하이어야한다.ㆍ허용 정착 력(10은 허용인발 력(1,)과 허용인장력 (1,) 중 작은 값을 사용한 다.BAYHSMM(Tag)앵커의 종류사용 기간 ㅣ 극한인 발 력([,에 대한안전율 「임시앵커2년 미만15.상시2년:영구앵커|= !이채제L_지진시2 년이상15 ~ 20ㆍ허용인장력(1.0은 인장 재 극한 하중([.0및 인장 재 항 복 하중 (,)에 대하여 아래 표의 값 중에서 작은 값을 사용한 다.gnaen | 18 | Waa seas | 인장 재 항 하중복YAN SH | aa | “rd matey | (te) wate}UMAGA |2 년 미만0.65 Tus0.80 Tysa3 ant 상aliaPe0.60 Tus0.751, Tys지진 시 |2 년이상0.75 Tus0.90 Tys*커앵 체 단위 면적에 작용 하는 지반과의 주 면 마찰 저항(ㅠ)은 구조 본 시험을토대로 구하는 것이 원 칙이나, 시험에의하지 않을 경우 책임 구조기술자의판단에의해 아래 표를 참고 하여 정할수 있다.지반의종류ta (kgf/em’)Ta암10 ~ 25암+a암6~ 15=화암4 = 1G101.0 ~ 20:2017 ~ 25+4충N3025 = 35:403.5~ 455045~ 701010~ 142018~ 22모aq€N30 ㆍ23-27402.9~ 35503.0~ 40점정토1.0xC(=44} e})3.6.4 BAS] Yh} (L,)* 앵커의 정착 장([/)은설계 정착 력으로부터산출되는앵커의 정착장(…)과 인장재의 부착장 (…) 중 큰 값을 적용한 다.ㆍ토사 충 인 경우 최소 정착 장은 4.5ㅁ0이상으로한다.ㆍ정착 장 검토에 있어 진행성 파 괴에 대한 검토를 생 략 할수 있는경우는 정착장이 .100이 내 인 경우로한다.[구포앵커의 정착장 (ㅠㅠ)인장 개의 부착장Gi.Regis※도 그누Tea eaTy: BABAR (keh7, :설계 정착 (0688력산출식 | 『, :안전율 (=18) 7 : 인장 재의 사용 본 수72, : 양 커 체의 지름(00)0, : 인장 재의 지름(07)ㅠ, : 앵커 체와 지반의ㅠ, : 주 입 재와 인장 재의주변 마찰 저항 ((【[/073)허용 부착응력 0686/003)ㆍ주 입 재와 인장 재의 허용 부착 응력 (ㅠㅠ)지반의 종류 | 단 구조 허용 부착 응력 68007 | 장 구조 허용 부착응력(66003)&사47암반7103.6.5 앵커의 자 유 장ㆍ버 팀 구조체가 지반 앵커 인 경우 정착 부는 벽 체로부터가상 활 동 파 괴 면밖에 위치 하여야 하며 자 유 장은가상 활 동 면으로부터 150 또는0.715301(= 굴착 깊이)를 더한 값 중 큰 값을 적용하되 최소 450이상으로한다.ㆍ앵커 체가설계 정착 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양호한 지반에 위치 하도록지반 조건,동상등의 구조 상 조건,구조조건등을 고려하여 앵커자유 장을 결정한 다.3.66 9A Se 빛 정착 위치 ㆍ앵커 축력및 연 직 벽에 ,,shoesBAS) Bat 91a) oe | 2,= 스.-60668*설계자 유장) (앵커 지점에서 파 괴 면ㆍ연 직 벽에 작용 하는 축력까지의 거 리)+(0.1511 또는 1.50값 중 큰 a)Vo=R)tandㆍ최 상단 앵커 체의 최소 토 피 고ㆍ앵커의 수 평 력 (최대- 토사 충 : 5.00이상지반 반력)- 신선한 암반 충 : 150이상ㆍ6 : 앵커의 설치 각도ㆍ앵커 체 간이격 거리- 수직 방향 : 3.50(= 양 커 체 지름)이상- 수 방향평 : 4.00(= 양 커 체 지름)이상3.6.7 기타 검토사항;* 굴착 현장에인 접 하여주변건물이 존 재하는경우에는구조물의 침하(부등및 균등침 하)에 대하여안정성검토를 수행한다.5. 계측5.1 계 측의 목적설계 당시에 지반 정보를 얻 구조 위해 현장의 대표지점에서 지반조사를시행 하나이는한계가 있으므로 상세한 정보는 시공 기간 중에 확인한ㆍ글착공사시 지반및 인 접 구조물의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한다.*계측결과에 의한설계의 수정및 보강을 시행한다.:ㆍ축적된. 자료를 통하여 차 후설계에 반영 하여, 흙막이 구조물 건설에 있어서합리성을 확보한다.5.2 계측 계획가. 계 측 계획 수 럽 시 일반 사항1) 개 착 구간 계 측 계획수립시의 일반적 검토 항목a-"주변도로망과 악인접 구조물 특성 |ㆍ인 접 건물의 배치및 노 후 상태 파악ㆍ인 접 건 몰의 토질 특성 파악ㆍ구조물 형의태 특성과 악구조물 특성|ㆍ지반 지지주 체의 특성ㆍ연적자및 인위적 현상의 상 호 관계:|+ 광 역적 지질 특성지질, 토질 특성 、|* 해당 지역의 지지구조 반 층 생성과 발 달과정암반및 토질의 공학적 특성부재및베 대구조의 거동 득성PRM시ㆍ공 순서및 시공eee시간: Iㆍ시공성및 취약 요소의 파악ㆍ작 동 원리및 설치 구조법계 측구조의 특성ㆍ측정 법 위및 측정 오차ㆍ정측 방법및 경제성ㆍ운영 시스템의 호환성및 내구성2) 지반조사항목ㆍ기존 지반조사자료와 현장여건이상이 할 경우아래표와 같은조사를 필요로한다.지질구성지 답사지질지질 분포 상황링 조사,ㆍ보0사 운 딩,비중, 입도 분석easy | adenㆍ토질 시험의 물 리 시험ㆍ액 소성한계.eae | Batesㆍ일축 압축시험, 콘 관입 시험 아자이가도 |" 전만 장도ㆍ삼 축 압축, 베 인 횡방향 시험반ㆍ접착력, 마찰가ㆍ직접전단 시험, 표준 관입 시험:강도증가게수전단 특성 |ㆍ흡 수 팽창에 의한: 삼 축 압축 시험강도저하도ㆍ압 지수축압 밀 득 성 |ㆍ이선 행 압 밀 하중:ㆍ암피 조밀 메타시험 ates압밀계수 측정- 일축,삼축 압축시험ㆍ굉 방향 재하시험Se| eRㆍ표준 관입 시험, 사 운 딩 ,콘 관입 시험ㆍ주동토압게수60 압 밀 시험토 알|ㆍ정지토압 게 수| augaa등: 수 동토압 계수ㆍ전 응력 계 , 수 암 파쇄 시험극 수압공극 수압 ㅣㆍ공공극 수압 측정ae tt |oe유향, 유속 측정 구조ㆍ수질 분석ek- 브 링 조사,사운 딩 지로 구게, 분포 상황 | sea태 수 층의 조사 | .ㆍ투머 수계수* 입도 분석,실 내 투 수 시험나. 시스에템 대한 검토사항계 측 빈도 |ㆍ계 축 항 목 별로 시공 진행도및 변화 속도등을 검토 후 결정Aa oi | 45 ws 2a So Ba aE|처리시스템ㅣㆍ측정 구조,컴퓨터종류, 용량, 통신 방법등의 검토Ae aA* 담당자 선정, 시스템 구축, 계 측 관리 조 직에 대한 장 기초인체제 확립다. 계측구조 배치에 대한 검토사항 1내에 계측 목적과의 부함성ㆍ계 측 목적및 해석 상부 합 하는 장소 선정과 배치 간격,수량및 심도 검토ㆍ선 행 부분 또는가장 취약 하다고 판단 되는 부분 검토시공사항ㅣㆍ시공과정에 대한 합리성 검토ㆍ지반 조건및 주변 여건을 고려한 검토전체 판리및ㅣ ㆍ한계 구조가 부담 할수 있는 영역 검토집중 관리ㆍ주 계 측 단면및 보조 계측 단면의 선정계 구조 보수|:가 설 물 , 중 구조등에 의한계 측구조의 손상 여부 검토neㆍ장 기간 계 측 하는 경우 계 측구조의 유지 관리 방법 검토라 . 계 측 위치 선정 시 검토사항계 측 위치 선정 시 경제성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흙막이 구조물및 배면지반의 거 동을 대표 할수 있는 최소한의 점을 선정 하여 최대 효과를 얻도록한다.(2 원 위치 시험등에의해서 지반 조건이 충분히 파악되어 있는 곳(또는 비교적 단 순 하고 대표적인 지반상태를 갖는 지점)(0설계와 시공 면에서 흙막이 구조물을 대 표 할수 있는 장소(0 중요구조물이 인 접 하여 있는 곳@ 우 선 적으로 굴착공사가 진행될 곳© 흙막이 구조물이나 지반에 특수한 조건이 있어공사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지반상태및 재료가 변경 되는 지점)© BFP] Be Jt(2 하 천 주위등 지수하의 분포가 다 량이고 수 위의 상승, 하 강이 빈번한 곳(8) 계 측이용이하고 계 측구조의 훼 손이 적은 곳( 구조 설치와 측정이용이한 지점)(9과다한 변 위가 우려 되는 지점53 계측 항목가. 일반 사항ㆍ계 측 항 목은 터파기 규모 또는 지반 조건등에 따라서 달 라 지구조 때문에구체적인 계 측 결과의 활용 목적, 평가 수 법을 명 확 하게 수립한 후 필요한계 측 항 목을 선정 하여야한다.나. 흙막이공사에 따른 현장 계 측 항목, 사용계 구조및 측정목적토압토압계© 49] ASAls} aS) via구안 | 수압 | sept | sags)Fa +4, Wee,벽 면 수 압의 관련성 파악aq[PRA]Sas,(0) 변 형이 허용치이 내 인가?Rl박이고quanaaa) + Reto}Tea49]| (9 토 ae압, 수압, 벅 체 변 형의 관계누수(0 응력 분포를 구해설계시변 계형계산 된 응력과 비교MATES | gag |ㆍ주변 지반 균열 | gam sage uae빅 체안정성 확보버 팀보, |축력, 신축 ,량 ㅣ하신 중축계계 ㅣ age평 성탄aaa7@ 버팀 보, 어 스 앵커의 토압 어 스 앵커온도번 위계 ㅣㆍ블 트의 조임분담 역할을 분명히 함 .esa | 상태@ H8Se3H9] ulm eaegaya[Asa] mere ae [0 seeped ae zeei aseeal aoe 윗 suresa경사 계 |ㆍ파이 핑 , 히 빙 | @ 배면, 흙 막이빅, 굴착저면aeraenEdewa al프- 먼배 지역의 | 실 측과 허용번 위 량의 비교 주변 지반east oneae] 지 SNe북 Be중변 위 계| ,은 5lo 글 착/베 수에 따른 dae어이 | 아 구조 | 조이은 | cease) ae sop및 침하 범위 파악aaaaaol Gageqa 24 | asa | zaes ae [O8 aed58 aes경계티도시가스(0) 굴착 내가스 Shee] itera[ABI발생OQ 지반 개량등에 의한 주변확인수 질 오염지역의 수 질오염확인5.4 계측빈도i설치 즉시 . ㅣㆍ1 회 / 일 (1 일간)지하 수 위계 |ㆍ공사 진행중 ㅣㆍ1 희 / 일 "ㆍ초 구조치 선정* 공 완료사후 ㅣ ㆍ2 희 / 주 "ㆍ우 천이 후 3 일 간 연속 측정ㆍ설치즉시 ㅣㆍ3 회 / 일 (2 일간) |ㆍ초 구조치 선정하중 계 ㅣ ㆍ공사진행중 ㅣㆍ1희 /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 완료사후 ㅣㆍ2 회/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3 회/ 일ㆍ초 구조치 선정변 위 계 |ㆍ공 진행사 중 ㅣ *1 희 /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사 완료 후 ㅣㆍ2 회 /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1 회 / 일 (3 일 간) |ㆍ초 구조치 선정지중 경사 계 |ㆍ공 진행사 중 |ㆍ1 회/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사 완료 후 |ㆍ2 회 /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1 회/ 일 (일간)건물 경사 계 |ㆍ공사 진행 s | rayaㆍ초 구조치 선정ㆍ공 완료사후 ㅣㆍ2희 / 주'ㆍ설치즉시 ㅣㆍ1 희 / 일 (3 일 간)지 표 침 하 계 |ㆍ공 진행 사 Ss | sig"ㆍ초 구조치 선정Lㆍ공사 완료후 ㅣㆍ2 회/ 주 '주)ㆍ공사 중은 굴착공사를의미함 .ㆍ상 구조 측정 빈도는 경우에 따라(계측분석 반에 승인을 득한+) 조정, 수행할수 있다.ㆍ) 표시된 빈도는 외 부 하중및 지반 거동 변화 시 추가 측정을 실시하며:공사가 중 단 된. 경우 측정 빈도를 재조정한다.ㆍ지하 수 위계, 지중 경사 계 , 건물 경사 계, 지 표침 하 계(특히, 센서)는 =착 전에 설치하여야 하고, 하중 계와 변 위 계는가시설강재시공시설치한다.5.5 계 측 관리 기준가. 절 대 치 관리 1) 일반 사항ㆍ이 구조 법의가장 큰 문 제는설계 치에 대한 관리 기준치의 결정 방법과계 측 결과 치가 관리 기준치를 초과 했을 때의 대 처 방안이다ㆍ관리 기준치설정 방법- 1 차 관리 기준치:설계 서에 나타난 각각 허용 차의 80%으로 설정 함.'- 2차 관리 기준치:설계 서에 나타난 각각 허용 치의 100%으로 설정 함 .ㆍ측정 결과 치가 관리 기준치에도달하면 계 측 빈도를 높이는등의 감시 체계를 강화 하고, 측정치가 계 속적인 증가 양상을 보일경우에는공사를중 단 하고 그 발생 원인을 파악 하여이에 따른 대책을 강 구 하여야한다.ㆍ이 구조 범은이상 발 견 시 대이웅늦어 질 우려가 있으므로 굴착 심도가얄은 토 류 구조물에 적 함 하다. 2) 계측 관리의 기본적 개념 0 1 단계 : 측정치 = 1 차 관리 기준치 = 토 류 구조물이안전함 . (2 2 단계 : 1 차 관리 기준치( 측정치 = 2차 관리 기준치= 다음 단계 굴착 시 예의 주 시 함. @ 3 단계 : 2차 관리 기준치(측정치=공사 중지및 토 류 구조물안정에 대한전면 검토가 요구 되며 , 굴착 깊이의 변경이나 지보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3) 계측 결과 치 관리 기준예압계@ 토 류의빅 변형ㆍ1/300,설계 치이하 |ㆍ지중 경사계(@ 버 팀 보 축력, 옹 력 ㅣㆍ(장 + 단 /2이하 |ㆍ하중계, 변 위 계@) 버 팀 보의 평면도ㆍ1/100이하Gaga et _|Gear cia _| tea주변 지반의 침해…1/500-1/200'@ 주변 매설물ㆍ관리 담당 자와 협의 | " 구조 프 저하게주변시설물 |(상ㆍ하수,도시가스관)@ 지하철ㆍ관리 담당 자와 협의0) 주변건물+ 1/1000~1/300ㆍ건물 경사계주) 장 : 장 구조허용응력도,단 : 단 구조허용 응력도나. 예측 관리1) 일반 사항ㆍ계 측 자료와 예측 료자를 비 교 하여계 측 자료가 허용 범위내에유 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설계된 단면을 재가 정하여안전 측에도달되도록 반 복설계를 실시한 다. * 개 착 구간에서는 절 대 치 관리 구조 법을 주로 사용 하고, 특수 구간및 문제 발생가능 성이상당히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예측 관리 법 구조을 사용한 다,2) 토 류 구조물공사에서행한안전관리 기준예시DABEaigeeaeaae이용한 토압/실 측 | 01 (08 | os(risi2}A) 12eae에 의한 토압(예측)ㆍ『2 =설계시의 벽체 변형 |ㆍ실 계 시의 축 정치 ㅣ추정치/실측의F2C08 | O8sF2(12]F2) 12변형 량(예측)a‘B= aco}aoeae허용인장응력/실 축 | 02 (08 | 08(83=10 | 88) 10 ene의 인장응력(예측) 2a oF= Heue aea (08 | 08(F4(10]FA) 10(44)15 = 부재의.50마 축 력 |ㆍ부재의 혀 용 축 력 ㅣ 허용 축력/ 실 측의 |『5(07 | 07(55=12|8)12aaa)ㆍ실 측결과가 |ㆍ실 측 결과가 |ㆍ실 측 결과가글 착 저 면의 |ㆍ실 측 결과 1, 14. [20050에 의한 허용위 험영 역에 |주의 영 역에 |안 건 영 역에Heaving?|Heaving미아 되는 ㅣPlot = |Plot SJ경우경우경우 침하량 |가 현 마다장가 현장 상 황에 맞는 허용 침하량을 지 정 하고, 그 허용 침하량올 ba [Seat허용 치를 결정넘으면, 위험 또는 주의 신 호로 판단한 다.ㆍ물의 8[REIS [e092 [no-no+See다. 계측 결과의 활용 1) 일반 사항ㆍ계 측 결과를공사에 정확하게 반영 시키 구조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신 속 하면서도공사의 진 척 상황및 관리 기준치와 대비할수 있도록 정 리 하여안전 성을 판정한다.*ㆍ글착으로 인한 위 험이 예상될 경에는우안전관리 기준과 관리 항 목에의하여 대책을 수립한다.2) 개 착 구간에 대한 관리 항 목과 방법머 리부 변위( 수 평 방향)피 아 선노머 리부 변위( 수 방향)직28agueere-2adud aes 9 agbeat벽체 옹 력aaa토압토계압수 압수 계압 구조노버 보됨 축 력 | 하중 계 , 번 계동형 | , 주료 강재 버팀 보, 매일정 기초버 보팀의 신축변 위계으로 2 회이상 측정앵커 | ㅣ aaa하중 계 |ㆍ메 일정 구조 적으로 2의이상 측정ae레 별, 침 하 계트랜 시트:=a gael 7288 | aa hed eitaA| 내 림 추 경사계호061게타레 별관로의 손상 ㅣ가스 검 지구조등용수량노치 박스5 al _aaeal수위 계지반 팽창 | oa aaa피워aaaa|*도로, 매설 물의안전관리 상수, 지 변브 수 평 변위| 트 렌 시트 번 위계 |필요4 y{ ceases[aaa지하수 위수 위 계 |ㆍ강 제배수 시공의 경우에는 반드지반 균열육안시 측정- 굴착 단계별 토압, 근입 깊이 결정및 자 립 식 널 막 뚝의 단계산면: Rankine-Resal, Caquot및 60550!등의 삼각형 토압- 흙막이 벽체설계 굴착 단계별 검토 시: 삼각형 토압- 굴착및 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장 기초안정해석 : [00의 경험 토압 2-20 Ho] ALA ANTS HySs0:( '05. 4. 18)LS4지반을 개 착 식으로 굴착하는 경우에안전성 확보와 주변 구조물의 피 해를 방지하기 위해설치하는 흙막이가시설의설계시 적용되는 일부 조건 들이 명확한 기준 없이 사용되고 있어, 적정 하게 사용할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시 코자함 .※ 관련근거( 감사 구조 12108-30001, 2004. 1. 2)흙막이가시설에 대한 명확한설계기준 정립이 필요2. 현 실태및 문제점가. Ho]AAAWaAAASBy-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건설교통부, 2003. 2)- 서울 지하철건설공사설계기준(서울 특별시지하철 건설 본부, 2004. 8)-도로설계 요령(한국도로공사 2001.12) 나문제점BVABESTA및 부 산-언양 간 확장공사 구간설계 현황 조사결과.-가시설상 단부에 작용 하는 것으로가 정 하는 지표면 상 재하중의 경우 주변조건 고려요소에 대한 명확한 적용기준이 없어 상 재하중이상이( 4=1.0~ㅁ 하게3.0 100/ 0적용되고있음.- 흙막이 벽체설계시 적용되는 토압(삼 각 형 토압 , 경험 토압등)은 굴착 단계와굴착및 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토압 분포가 다 르 므로 시공 단계로별적정한 토압 분포를 적용 하여 종 합 적인 검토 후설계 하여야 하나, 토압 적용을 위한 세부 적인 적용기준이 없음- 흙막이가시설의 지지구조체가 지반 앵커 정착 방식 인 경우 앵커의 자 유장과정착 장 산정기준이 현장 별로서로 상이함3. 검토 내용가. 흙막이가시설의설계 흐름도[.9 |---| 저자 스레 랬이sve }--|__==그 떼어고-1 해 19}사하기ae 때iesaus ae sesxsvae|-[p Sg: Raperss eeUES 5Tiareaged aaa 때saga ae디다ag |-사걸도 지반at ae eazieaya ae |- aanae I근원 pola dababby be alae가상 지 저 정의 계산;|[- |ANdFEO wes tea단 먼 결정 용도 압 계산;t-Renilne Rel 두 "Peck St‘ "HESeaewee eeenya seen ea-}-[293999-20I-& FowlUS Fesete 22222 2bfeatsB(lo% B=)Hxsto 2HwTloisRlowp Alrigis ietsBRETRER fe BRAA ECSE BRlo wy | Se kieTe Kee BERRke dobteleis lek Rick | SSK SRG kere Erk | beeT BERERL kEHBB Me BeEWR Akek | SVE bk SloRHy bem | HS bREL AloRt ecg. | RHE leh$k RURAL cheELAlR|ovele USFGRERERES) @Bhtek Tle $k Reis:Se ESET | FF Blawor lows Fewavinte EeiyKR ‘ee SORE SERRER | ekeeervese eren eve | PRE PEER C7) bh | Te ante bleh «neeean ovede“RE bun aces anes | FE bee abae besoRiek KR BDRieR themes | RRR$(ACT)loRtk bl | icwor-e FR SloRRReeebh+tk £2z- BR AbbRR kick btBE $82 Bb blo tk |te BARE bred AbrBAK RAE LAS Aken-|BA bem FAR HR loRe-|BESEPeeAe7|ay BoB BBE BR peSy BE weu- super | veRbR pawpa bean cave|PRET PS Ree Ree |Abe BER BBA HRAlob’ab ao oo bm Rina:.|PF SER BOE Wek RRA- |FAL tloR BS ole lofe-BE 977$3 Scke|SE SR ERE BRE GLSE eae bPRic BB Ab bRK ‘A|BTSA BER Kee ea-|Ri bike alee BRi- | Steke ARK(RRS)울보따 04000올 볼풀 502eh BELRIc-“ekw/juoI'T SLielete -fle 77BE Fla Skebh& 검토결론가. 지표면 상재하중- 지 표면에 1.0 1008/ ㅁ의 상 재하중 적용.「- 자동차, 중 구조및 건축물등이 근 접 하는 경우 별도의 적절한 값 적용.- 건설 용 중 구조( 크레인등)의 작업 하중은 필요에 따라 검토하여 적용.= 자 하철설계기준 (2004. 8.) 적용 나토압1) 굴착 단계별 토압- 굴착 단계별 토압, 근입 깊이 결정및 aa 널 말뚝의; 단면 계산에는 흙의 내부 마찰 각과 점 착 력이 적정 하게 고려되어안정 측 인 삼각형 토압(Rankine-Resal) #]-2-,2) 굴착및 지지구조 설치 완료 후의 토압- 굴착및 지지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벽 체 변 위에 따라 토압 aes발생 하여 벽 체 하단부 토압이 감소 되며 펙 (0000이 제안한 형태와 비슷한토압 분포를이루게 되므로 장 기초안정 해석은 경험 토압 (0600 적용.3)안정성 검토및 부재 단면 검토 시 두가지 경우의 해석을 모두 병행한후그 결과를 종 합 하여설계수행=도로설계 요령 (2001.12),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 2.) 적용 다. 자 유 장및 정착 장1) 자 유 장- 지지구조체가 지반 앵커 인 경우 정착 부는가상 활동 파괴 면 밖에 위치 하여야하며, 자유 장은가상 활동 면으로부터 150 또는 01541( 굴착 깊이)를 더한가 중 큰 값을 적용하되 최소 450이상이어야 함 .2) 정착 장:- 앵커의 정착장([,)은설계 정착 력으로부터 산출 되는 앵의커 정착 (장 ㅠ)과 인장 재의 부착 장(…) 중 큰 값 적용.- 토사 충 인 경우 최소 정착 장은 4.50이상이어야 함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 2) 적용5. 적용방안가.설계 완료 후미 발주및설계 중 노선 : 본 기준 적용나.공사 시행중 노선 :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붙임 : 흙막이가시설세부설계기준 1 부 .2005. 4AE판콕 드르 ㄴ 090AoA처CORPORATION aq 9M-21 daAAW-3. HU] Ss aA 3.1- 측벽 말뚝( 엄 지 말뚝) 3.2토류판 3.3떠 장 (0210 … 3.4버 팀보 (9600 3.5사보강재 3.6지반 앵커(82001 400100 3.7 기타검토사항1, 적용범위MISAMs] TABS ASHE BP SAA및 주변 지반의안정을 확보 하기 위해설 하는치흙 막이 중 측벽 말뚝(엄 말뚝)지가시설 a계에 적용한 다.지하 매설물에 대한 관리 사항은 지하 매설물 HSS S Rea1995. 5)을 기준으로한다.( 표 17가시설벽체공법선정흐름도)¢지하 조구 웅의 계피)제 조 견의 톤시부지, 지반, 주변 조건, 실적 자료글 착 공번의 선정(벽 체 지지방범)ea4 aul sensaa)neau.aeaua보ere조 공의법 ire검도베 수 공에범 아튼 주의번 영하던가가xo.He lsau egvesSawa PEAYeade tue( 인장, 근 용 려 , 변형, 지지구조 아려)2184 8 (rebound) Bt토류 벅의 번현이의한Fang eeueNo eerves2.설계일반2.1 단면설계법가시설구조물의설계는 허용 응력설계법을 적용 함을 원칙으로한다. aaaPoeee Perry)AREER EE Teaeee단면가경MUG ees?ease* 지반정수의 결정Coy aaTene rae weaa se na}-[ESRFAGagaPELLETEEE 구조가a4가상 지지 정의 계산aol FEET Weal ea단면 걸 정웅 토압 계산a Rankin e Real SOPec mea포니Has Reed aa|BSUS228중 2.2.1 하중의 종류ㆍ고정 하중ㆍ활 하중ㆍ충 격 하중 ㆍ*ㆍ토압및 수압ㆍ기타 하중2.2. 하중의 조합하중의 조 합은 아래표를 기준으로하되각가설부재에 작용 하는 하중 조건을 면밀히검토하여추가 하중을 조 합 할수 있다.측벽 파일버 팀보|떠장하중의 종류근입장 | 지지력단면단면단면고정하중ㅇㅇㅇ활하중ㅇㅇㅇ충격ㅇㅇ토압및 수압ㅇㅇㅇㅇ2.2.3 고정 하중재료의 중량은 개 개의 경우에 따라 다르고설계시 큰 영향이 있어가능한 실 하중을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정하기 어 려 우므로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2.1.2 장에서 규정 하는 고정 하중을 사용 하기로한다.2.2.4 활 하중*ㆍ지표면상재하중- 지 표면에 1.0 1006/ ㅁ의 상 재하중 적용- 자동차, 중 구조및 건축물등이 흙 막이에 근 접 하는 경우 별도의 적절한값 적용. (자동차 하중은 ㅁ 8 하중 사용)- 건설 용 중 구조( 크레인등)의 자중및 작업 하중을 필요에 따라 검토하여 적용225 SABES활하중에 의한 충 격을 고려하여 충 격 계수는 지간에 관계 없이 03으로한다.226토압(1)흙 막이 벽체설계시 적용 토압-가설흙막이 벅에서 굴착단계별 ,근입 깊이 결정및 자 립 식 널 말뚝의 ㅣ yaa단면 계산- 흙막이 벽체설계 굴착 단계별{Rankine Resel)검토 시- 굴착및 버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경 토험 압후의 장 기초안정 해석(Peck)-안정성 검토및 단면 검토 시 두가지 경우의 해석을 모두병 행한후 그 결과를 종 합 하여설계수행(2) 삼각형 토압Rankine-Resal9] 9}.1SaEevase"수 동 토압 (8,|SEEM (P)P,=(at vi): tan “(as +-$)P,=(atyh) + tan (45° --¢)+2C- tan(4s +2)20: tan(45* --$)0 : 지 표면 상에서의 상 재하중 (100ㅁ ”,/ : 흙의 단위 체 적 중량 (600/ㅁ ”)1 : 지표면에서 임의 점 까지의 깊이(40, 《 : 흙의 내부 마찰 각(ㆍ)( : 흙의 점 착 력 (00ㅁ/0(3) 경험 토압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토압은 실 측 자료및 최 악의 조건등을 고려하여 260의 제안 식을 구조 본 적으로 적용한 다.사질 토 지반에서의 200 토압 분포ens차 수 성 BAer Sel강( 널 말뚝, 지중 연속 벅 , 주 열 식 말뚝)Foor..ifseaH-_--F#| aPalpeaiz P, = 0.65K,¥H+ Kw,P,’ = 0.65K,v'H+K,w,Py= have Ky FEEDALF(1- sino)/(1+ sing],《 : 흙의 내부 마찰각 ("), 1: 흙의 습 윤 단위 중량 (600[ㅁ/) ': 흙의 수 중 단위 중량 (004/ㅁ 1?), va: $9 EASA (tont/m, 7 : 굴착 깊이로서공사용 측구 하단 까지 포함(0): 지표면과 재하중(6006/),1 : 지하 수 면의 높이 (0)점성토 지반에서의 200 토압 분포,20.4의 경우K, 60.4의 경우나00씨arsheepox 스 , : 토압 계수 =1- 까 끝 음), ~: 체감를 (10, (: 흙의 점 착 력 60070 1 : 흙의 습 윤 단위 중량 (6006/0),4 : 지표면과 재하중 (00/ㅁㅎ다층지반에서의 토압 분포보이 미 니 내 구조- a, hy, 1및 16는 760 토압의 기준에 따라 결정- 지반이 여러로 충으로 구성된 경우의 토압(5., ,8, 『ㅁPa = AK yXVqrh), Pa = aKg*terh, Pag = a(Kgrt rhs)(4). 암반 지반에의서 토압암반 지반의 토압 분포 적용은 현장조사등을 시행 하여 불 연속 면 방향성과 경사각의 임계 파 괴 면을 확인한 후 책임 구조기술자의 판단에의해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적용한다227수압 * 굴착 배면 지반의 수 위는 굴착 as, 지반의 특성및 흙 막이 벽 종 류에따라 변 하므로 시공 조건을 감안하여 흙 막이 벽 체에 작용 하는 수 압을설계에 반영한 다. * 토사 지반에 작용 하는 수 압은 흙 막이 벽 체가 불 투 수 충에이상 적으로 관입된경우와 관입 되지 못한 경우등의 시공 상태와 굴착 배면 토 층의 투 수 계수가다른 경우등의 지층 조건을 고려하려 합리적으로 적용 하여야한다. * 암반 지반에 작용 하는 수압은 암반의 투 수 성이 작은 경우와 투 수 성이큰 경우 또는 암반 내에 파쇄 대가 발 달 하는 경우등을 조사 하여 합리적으로 적용한 다.23aq).& 231 허용 응력의 증가 계수영구 구조물구분가시설기물시도중공시공 완료후허용 응력증가 계수151.251.023.2 AD및 콘크리트의 허 응력 용콘크리트 철은구푼허용흰 압축 응력| 허용 휠 인장 응력| 허용 압축응력허 응력용Sea = 0.40 fx |fan = 0.50F,fa = 0.40 f,※"도로교설계기준 해설2003"중 2.2.2.4장 참조2.3.3 강재의 허용 응력ㆍ흙 막이용가설강재의 허용 응력및 강 널 말뚝의 허용 응력은 “구조물 구조 설초 계 기준 해설 2003" 7.7.3장을 따른다.ㆍ가 설 흙막이 구조물에서 강재의허용 응력은 영 구 구조물에 대한 허용응력 보다 50% 큰 값을 사용 하며신 강재가 아닌 구 강재를 사용 하는 경우 부재의 재 사용이나 단면의 감소에 따른 허용 응력 저하를 고려한 다.*공사 기간이 2 년 미만인 경우에는가설기물로 간 주 하여설계 하고, 2년이상인 경우에는 영구 구조물로 간 주 하여설계한다.2.3.4 목 재의 허 응력용토류 판에 사용 되는 목 재의허용응력은 “구조물 기초설계기준해설2003" 7.7.3 장을 따른다.2.3.5 구조등의 유 효좌 굴 길이구조용 강재의 허용 응력 계산시기 둥의 유 효 좌 굴 길이는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2003" 3.3.2 장을 따른다.3. Hos Aa3.1 측벽말뚝. 327 지반 지지력 _ 검토0 허용지지력최대 축방향력은 말뚝의 허용지지력 내에 들어야한다.… 최대 축방향력 (0) = 주 형 보 접지의 반력+ 버 팀보 지점의 반력+ 주형 보 지지보 자중 + 떠 장의 자중 + 파 일의 자중+ 앵커의 수직분력+ 부 마찰력(필요 시)@ 허용지지력 산정- 말뚝 재하시험을 하지 않는 정 역학적 공식으로 계산 하며, 필요한 a우 시 항 타에의해동역학적 공식으로확인한다.- 정 역학적공식에 의한극한 지지력으로부터허용지지력 산정시안전율은 2.0이상을적용한 다.- 측벽 말뚝배면흙이 배수등의 원인으로침하할 우려가 있는경우부 마찰력을 측벽 파 일의 축 하중에가 산 하여검토한다.- 최대 축방향력에 춤 막이 앵커의 수 직 분 력이 포함 되는 경우에는 허용지지력 산정시 흙막이앵커의 수평 분력및버 팀보의 반력에 의한 마찰력을 고려한다.- 천공 말뚝의 마찰력또는부착력은 말뚝의 재질또는뒷채움 재등에의해결정 된다. 3.1.2 말뚝의 근입 깊이 검토ㆍ흙막이 말뚝의 근입 깊이는 평 형 깊이의 12 배로 하며 150를 만 족 하지않을 때는 1.5 퍼로한다. 단 , 평 형 깊이는 아 래 표 중 큰 값을 적용한 다.「굴착 완료 시의 계산최하단 버팀 설치 직 전의 계산‘SHEA EIOIOLAGM ARSxeganaYP28 깊 미가상 지지인ado,가 지승 지점ㆍ암반을 지지층으로 하는 경우는 1.00이상으로하여선단폐쇄효과가 발생 하도록한다.ㆍ엄 지 말뚝에 작용 하는 주 동 토압의 작 응 폭은 굴착저면 상부는 말뚝의간격, 굴착 저면 하부는 플랜지 폭으로 하며, 수동 토압의 작용 폭은 아래 표에 준 하되 특별한 경우 책임 구조기술자의 판단에 따른다.7사질토제) 30ㆍ]. 30는제)10N(10"지반의 상태로지)88)N)4N(4ik|토압의 작용 폭(까 일 간격이하)| 플랜지 폭의 3 배 | 플랜지 폭의 2 배 | 플랜지의 폭3.1.3측벽 말뚝의 구조ㆍ버 팀 보 설치 위치를 탄성 지점으로 하는 연속 보로 계산한다.ㆍ관용 계산시 지증가상 지지점의 위치- 굴착도중 : 굴착 저 면 아래 0.50로 하되 연약 지반인 경우에는 그이상으로한다.- 굴착 완료 후 : 평형 근입장을 계산하여 수동 토압 합 력의 작용 점으로한다.* 배 면 지반 침하량및 부등 침 하 경사각은 측벽 파 일의 수 평 변 위를이용하여 검토한다.3.1.4굴착 저 면의안정성1) 지반 음 구조 (0360008)- 점성토 지반은 융기에 대한 검토를한다.- 지반 융기에 대한안정성 검토는 하중-지반 지지력에 의한 방법과 모멘트 평 형에 의한 방법에의하며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2003"의 제 7 장에 따라 검한다.토2) 파이핑 (2008)- 사질 지반에서 차 수 성 흙 막이를 설치할 때는 파이 핑에 대한 검토를한다.- 파이 핑에 대한안정성 검토는한계 동 수 경사 방법및 테 르 자 구조(16028811) 방법에의하며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 2003"의 제 7장에 따라 검토한다,3.2 EB Fp Mt구분 | ㆍ내용Ed|ㆍ토 류 벽에 작용 하토는압 적용ㆍ=ㄴ- 옷5계산 지간] 구조 -(《: 계산 지간 , ㄴ 측벽 파 일 중 심간격, 6: 플랜지 폭)목 재 토 류판 |ㆍ= | 쁘 씩 ,브 16 = 긍 ㅠ 63(0: 토 /압 《, ; 허용 응력,회b: ERB (10cm)응력| * 모멘트 : Marasage MicsAE(2: 단면계수)ㆍ전단 :력 5=- 뚝은ㆍ전 응력:단= 음(ㅠ,3.3 a}(Wale)ㆍ떠 장은버 팀 보또는앵커위치를지점으로하는 3 경간연속 보 또는단 순 보로가 정 하고, 떠장위치에서의엄 지 말뚝지점 반력을 집중 하중으로간 주 하여 계산한다.ㆍ* 굴착및 해체 단계의 떠장설계에쓰이는하중은 각단계에있어 서의최대하중으로한다.ㆍ떠 장의길이및연 직 간격은하중크기, 흙 막이 벽체 부재의 강도,강성및 작업 성등을 고려하여충분히안전 하도록 결정한 다.* 떠 장은이음으로 일체 화 시키고,이것이 곤란한 경우 다음 엄 지 말뚝 까지 떠 장을 연장하여 내 민 보가 생 구조지 않도록한다.* 버 팀 보 위치에서 떠 장의 횡 변위를 구하고, 그 변 위가 버 팀 보 축 력에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ㆍ버 팀 보와 연결 되는 떠 장 부 위는 5666 아로 보강한다.3.4 버 팀 보 (6600* 버 팀 보는 압축 재로서 좌 굴 되지 않도록 충분한 단면과 강 성을가져야한다.ㆍ버 팀 보 위에는 원 칙 적으로 재하해서는안되며 버 팀보 위에 부득이재하 시에는축 력과 횡이 작용 하는 단면으로설계 하여야한다.* 버팀 보에는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나 부 득이하게이음을 하는 경우에는 보강을 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한다.이음의 위치는 띠등으로 구속 된 부 근 (1.00이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흙막이 벽 체의 변 위를 역 제 하고 띠 장과 Hepo}yalo] Ware 위하여초 구조 지 압 력을도 입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세장비(는 100이하이어야 하며, 현장여건 상 좌 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구속이 불가능한 경우 라도 120을 초과 할수 없다.ㆍ좌굴 길이 산정방법구분좌 글 길이ㆍ말뚝의Tee? | aaesa eda wane a수 평 방향| 없는 경우 | 꾸이(《)를 고정 점 간 거 리로 함 .( 약 축 방 |향수 평 방향 |ㆍ1571 15;및 207; 중 큰 것을구속이 | 고정점 간 거 리로 하며이 값이 전장있는 경우 ㅣ 《을 넘을 경우 /로 합 .3.5 사 보강재의설계ㆍ사 보 장 재는 버팀 보의 수 평 간격을 넓게 하거나, 모서리의 떠 장 하중의발 침 또는 떠 장을 보강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 다.ㆍ사 보강재의 접 합 부는 활 동에 대하여 충분한 내 력이 있는 구조로 하여야한다.ㆍ사 보 장재를 버 팀 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좌 , 우 대 칭으로 하여버팀 보에 편 심하중에 의한 흰 모멘트가 생 구조지 않도록한다.회ㆍ사 보강재는 떠 장과 45* 각도로대 칭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한다.ㆍ사 보강재는 축 력을 받는 압축 재로설계한다.*ㆍ사 보강재를 설치하는 떠 장은 수 평 력에 대하여 밀리지 않도록 보강한다.사 보강재에 작용 하는 축 력 4= 스낭\~- 금-3.6 지반 앵커 (80001 40000 3.6.1일반 사항.ㆍ지반 앵커는 구조의물 규모, 형상, 지반 조건및 환경 조건에 적합한 것을선정 하고,설계 하중에 대하여 인 발 저항력을 갖도록설계한다.ㆍ지반 앵커는 흙 막이의 구조, 앵커의 치수등을 고려해서 소요 정착 력이얻어 지도록설계 하여야한다.ㆍ지반 앵커는 양호한 지반에 정착 하는 것으로 하고, 그 길이및 배치는토질 조건, 시공 조건, 환경 조건, 지하 매설 물의 유무, 홈 막이 벽의 응력,변위및 구조계의안정등을 고려하여 결정한 다.ㆍ지반 앵커의 초 구조 긴 장 력은 지반조건, 흙 막이 벽의 규모, 설치 기간및시공방법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을 설정한다.ㆍ좌 대및 지 압 판은설계 정착 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유해한변형이 생 구조지않도록한다.3.6.2설계 순서(2 주어진 지반및 하중 조건을 검토 하고시공성을 고려하여 앵커배치계획을 수립한다.@ 1개의 앵커에가 해 지는 외 력을 계산한다.@안전을율 고려하여앵커1개당극한 인 발저항력을 구하고앵커 체의설계를 실시한 다, @ 흙 막이의 경우 구조체 전체의안정성 검토를 실시한 다. (6 앵커 두부, 인장 부 , 좌대등의 세부설계를 실시한 다. (@ 변 위 량 , 초 구조인장력등 구조물과 관련된 기타세부를설계한다.3.6.3 앵커의 허용 정착력(ㅜ,)*설계 정착 력 (10)은 허용 정착 력(L,)이하이어야한다.ㆍ허용 정착 력(10은 허용인발 력(1,)과 허용인장력 (1,) 중 작은 값을 사용한 다.BAYHSMM(Tag)앵커의 종류사용 기간 ㅣ 극한인 발 력([,에 대한안전율 「임시앵커2년 미만15.상시2년:영구앵커|= !이채제L_지진시2 년이상15 ~ 20ㆍ허용인장력(1.0은 인장 재 극한 하중([.0및 인장 재 항 복 하중 (,)에 대하여 아래 표의 값 중에서 작은 값을 사용한 다.gnaen | 18 | Waa seas | 인장 재 항 하중복YAN SH | aa | “rd matey | (te) wate}UMAGA |2 년 미만0.65 Tus0.80 Tysa3 ant 상aliaPe0.60 Tus0.751, Tys지진 시 |2 년이상0.75 Tus0.90 Tys*커앵 체 단위 면적에 작용 하는 지반과의 주 면 마찰 저항(ㅠ)은 구조 본 시험을토대로 구하는 것이 원 칙이나, 시험에의하지 않을 경우 책임 구조기술자의판단에의해 아래 표를 참고 하여 정할수 있다.지반의종류ta (kgf/em’)Ta암10 ~ 25암+a암6~ 15=화암4 = 1G101.0 ~ 20:2017 ~ 25+4충N3025 = 35:403.5~ 455045~ 701010~ 142018~ 22모aq€N30 ㆍ23-27402.9~ 35503.0~ 40점정토1.0xC(=44} e})3.6.4 BAS] Yh} (L,)* 앵커의 정착 장([/)은설계 정착 력으로부터산출되는앵커의 정착장(…)과 인장재의 부착장 (…) 중 큰 값을 적용한 다.ㆍ토사 충 인 경우 최소 정착 장은 4.5ㅁ0이상으로한다.ㆍ정착 장 검토에 있어 진행성 파 괴에 대한 검토를 생 략 할수 있는경우는 정착장이 .100이 내 인 경우로한다.[구포앵커의 정착장 (ㅠㅠ)인장 개의 부착장Gi.Regis※도 그누Tea eaTy: BABAR (keh7, :설계 정착 (0688력산출식 | 『, :안전율 (=18) 7 : 인장 재의 사용 본 수72, : 양 커 체의 지름(00)0, : 인장 재의 지름(07)ㅠ, : 앵커 체와 지반의ㅠ, : 주 입 재와 인장 재의주변 마찰 저항 ((【[/073)허용 부착응력 0686/003)ㆍ주 입 재와 인장 재의 허용 부착 응력 (ㅠㅠ)지반의 종류 | 단 구조 허용 부착 응력 68007 | 장 구조 허용 부착응력(66003)&사47암반7103.6.5 앵커의 자 유 장ㆍ버 팀 구조체가 지반 앵커 인 경우 정착 부는 벽 체로부터가상 활 동 파 괴 면밖에 위치 하여야 하며 자 유 장은가상 활 동 면으로부터 150 또는0.715301(= 굴착 깊이)를 더한 값 중 큰 값을 적용하되 최소 450이상으로한다.ㆍ앵커 체가설계 정착 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양호한 지반에 위치 하도록지반 조건,동상등의 구조 상 조건,구조조건등을 고려하여 앵커자유 장을 결정한 다.3.66 9A Se 빛 정착 위치 ㆍ앵커 축력및 연 직 벽에 ,,shoesBAS) Bat 91a) oe | 2,= 스.-60668*설계자 유장) (앵커 지점에서 파 괴 면ㆍ연 직 벽에 작용 하는 축력까지의 거 리)+(0.1511 또는 1.50값 중 큰 a)Vo=R)tandㆍ최 상단 앵커 체의 최소 토 피 고ㆍ앵커의 수 평 력 (최대- 토사 충 : 5.00이상지반 반력)- 신선한 암반 충 : 150이상ㆍ6 : 앵커의 설치 각도ㆍ앵커 체 간이격 거리- 수직 방향 : 3.50(= 양 커 체 지름)이상- 수 방향평 : 4.00(= 양 커 체 지름)이상3.6.7 기타 검토사항;* 굴착 현장에인 접 하여주변건물이 존 재하는경우에는구조물의 침하(부등및 균등침 하)에 대하여안정성검토를 수행한다.5. 계측5.1 계 측의 목적설계 당시에 지반 정보를 얻 구조 위해 현장의 대표지점에서 지반조사를시행 하나이는한계가 있으므로 상세한 정보는 시공 기간 중에 확인한ㆍ글착공사시 지반및 인 접 구조물의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한다.*계측결과에 의한설계의 수정및 보강을 시행한다.:ㆍ축적된. 자료를 통하여 차 후설계에 반영 하여, 흙막이 구조물 건설에 있어서합리성을 확보한다.5.2 계측 계획가. 계 측 계획 수 럽 시 일반 사항1) 개 착 구간 계 측 계획수립시의 일반적 검토 항목a-"주변도로망과 악인접 구조물 특성 |ㆍ인 접 건물의 배치및 노 후 상태 파악ㆍ인 접 건 몰의 토질 특성 파악ㆍ구조물 형의태 특성과 악구조물 특성|ㆍ지반 지지주 체의 특성ㆍ연적자및 인위적 현상의 상 호 관계:|+ 광 역적 지질 특성지질, 토질 특성 、|* 해당 지역의 지지구조 반 층 생성과 발 달과정암반및 토질의 공학적 특성부재및베 대구조의 거동 득성PRM시ㆍ공 순서및 시공eee시간: Iㆍ시공성및 취약 요소의 파악ㆍ작 동 원리및 설치 구조법계 측구조의 특성ㆍ측정 법 위및 측정 오차ㆍ정측 방법및 경제성ㆍ운영 시스템의 호환성및 내구성2) 지반조사항목ㆍ기존 지반조사자료와 현장여건이상이 할 경우아래표와 같은조사를 필요로한다.지질구성지 답사지질지질 분포 상황링 조사,ㆍ보0사 운 딩,비중, 입도 분석easy | adenㆍ토질 시험의 물 리 시험ㆍ액 소성한계.eae | Batesㆍ일축 압축시험, 콘 관입 시험 아자이가도 |" 전만 장도ㆍ삼 축 압축, 베 인 횡방향 시험반ㆍ접착력, 마찰가ㆍ직접전단 시험, 표준 관입 시험:강도증가게수전단 특성 |ㆍ흡 수 팽창에 의한: 삼 축 압축 시험강도저하도ㆍ압 지수축압 밀 득 성 |ㆍ이선 행 압 밀 하중:ㆍ암피 조밀 메타시험 ates압밀계수 측정- 일축,삼축 압축시험ㆍ굉 방향 재하시험Se| eRㆍ표준 관입 시험, 사 운 딩 ,콘 관입 시험ㆍ주동토압게수60 압 밀 시험토 알|ㆍ정지토압 게 수| augaa등: 수 동토압 계수ㆍ전 응력 계 , 수 암 파쇄 시험극 수압공극 수압 ㅣㆍ공공극 수압 측정ae tt |oe유향, 유속 측정 구조ㆍ수질 분석ek- 브 링 조사,사운 딩 지로 구게, 분포 상황 | sea태 수 층의 조사 | .ㆍ투머 수계수* 입도 분석,실 내 투 수 시험나. 시스에템 대한 검토사항계 측 빈도 |ㆍ계 축 항 목 별로 시공 진행도및 변화 속도등을 검토 후 결정Aa oi | 45 ws 2a So Ba aE|처리시스템ㅣㆍ측정 구조,컴퓨터종류, 용량, 통신 방법등의 검토Ae aA* 담당자 선정, 시스템 구축, 계 측 관리 조 직에 대한 장 기초인체제 확립다. 계측구조 배치에 대한 검토사항 1내에 계측 목적과의 부함성ㆍ계 측 목적및 해석 상부 합 하는 장소 선정과 배치 간격,수량및 심도 검토ㆍ선 행 부분 또는가장 취약 하다고 판단 되는 부분 검토시공사항ㅣㆍ시공과정에 대한 합리성 검토ㆍ지반 조건및 주변 여건을 고려한 검토전체 판리및ㅣ ㆍ한계 구조가 부담 할수 있는 영역 검토집중 관리ㆍ주 계 측 단면및 보조 계측 단면의 선정계 구조 보수|:가 설 물 , 중 구조등에 의한계 측구조의 손상 여부 검토neㆍ장 기간 계 측 하는 경우 계 측구조의 유지 관리 방법 검토라 . 계 측 위치 선정 시 검토사항계 측 위치 선정 시 경제성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흙막이 구조물및 배면지반의 거 동을 대표 할수 있는 최소한의 점을 선정 하여 최대 효과를 얻도록한다.(2 원 위치 시험등에의해서 지반 조건이 충분히 파악되어 있는 곳(또는 비교적 단 순 하고 대표적인 지반상태를 갖는 지점)(0설계와 시공 면에서 흙막이 구조물을 대 표 할수 있는 장소(0 중요구조물이 인 접 하여 있는 곳@ 우 선 적으로 굴착공사가 진행될 곳© 흙막이 구조물이나 지반에 특수한 조건이 있어공사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지반상태및 재료가 변경 되는 지점)© BFP] Be Jt(2 하 천 주위등 지수하의 분포가 다 량이고 수 위의 상승, 하 강이 빈번한 곳(8) 계 측이용이하고 계 측구조의 훼 손이 적은 곳( 구조 설치와 측정이용이한 지점)(9과다한 변 위가 우려 되는 지점53 계측 항목가. 일반 사항ㆍ계 측 항 목은 터파기 규모 또는 지반 조건등에 따라서 달 라 지구조 때문에구체적인 계 측 결과의 활용 목적, 평가 수 법을 명 확 하게 수립한 후 필요한계 측 항 목을 선정 하여야한다.나. 흙막이공사에 따른 현장 계 측 항목, 사용계 구조및 측정목적토압토압계© 49] ASAls} aS) via구안 | 수압 | sept | sags)Fa +4, Wee,벽 면 수 압의 관련성 파악aq[PRA]Sas,(0) 변 형이 허용치이 내 인가?Rl박이고quanaaa) + Reto}Tea49]| (9 토 ae압, 수압, 벅 체 변 형의 관계누수(0 응력 분포를 구해설계시변 계형계산 된 응력과 비교MATES | gag |ㆍ주변 지반 균열 | gam sage uae빅 체안정성 확보버 팀보, |축력, 신축 ,량 ㅣ하신 중축계계 ㅣ age평 성탄aaa7@ 버팀 보, 어 스 앵커의 토압 어 스 앵커온도번 위계 ㅣㆍ블 트의 조임분담 역할을 분명히 함 .esa | 상태@ H8Se3H9] ulm eaegaya[Asa] mere ae [0 seeped ae zeei aseeal aoe 윗 suresa경사 계 |ㆍ파이 핑 , 히 빙 | @ 배면, 흙 막이빅, 굴착저면aeraenEdewa al프- 먼배 지역의 | 실 측과 허용번 위 량의 비교 주변 지반east oneae] 지 SNe북 Be중변 위 계| ,은 5lo 글 착/베 수에 따른 dae어이 | 아 구조 | 조이은 | cease) ae sop및 침하 범위 파악aaaaaol Gageqa 24 | asa | zaes ae [O8 aed58 aes경계티도시가스(0) 굴착 내가스 Shee] itera[ABI발생OQ 지반 개량등에 의한 주변확인수 질 오염지역의 수 질오염확인5.4 계측빈도i설치 즉시 . ㅣㆍ1 회 / 일 (1 일간)지하 수 위계 |ㆍ공사 진행중 ㅣㆍ1 희 / 일 "ㆍ초 구조치 선정* 공 완료사후 ㅣ ㆍ2 희 / 주 "ㆍ우 천이 후 3 일 간 연속 측정ㆍ설치즉시 ㅣㆍ3 회 / 일 (2 일간) |ㆍ초 구조치 선정하중 계 ㅣ ㆍ공사진행중 ㅣㆍ1희 /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 완료사후 ㅣㆍ2 회/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3 회/ 일ㆍ초 구조치 선정변 위 계 |ㆍ공 진행사 중 ㅣ *1 희 /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사 완료 후 ㅣㆍ2 회 /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1 회 / 일 (3 일 간) |ㆍ초 구조치 선정지중 경사 계 |ㆍ공 진행사 중 |ㆍ1 회/ 일 'ㆍ다음 단 설치시 추가 측정ㆍ공사 완료 후 |ㆍ2 회 / 주 "*ㆍ다음 단 해체 시 추가 측정ㆍ설치즉시 |ㆍ1 회/ 일 (일간)건물 경사 계 |ㆍ공사 진행 s | rayaㆍ초 구조치 선정ㆍ공 완료사후 ㅣㆍ2희 / 주'ㆍ설치즉시 ㅣㆍ1 희 / 일 (3 일 간)지 표 침 하 계 |ㆍ공 진행 사 Ss | sig"ㆍ초 구조치 선정Lㆍ공사 완료후 ㅣㆍ2 회/ 주 '주)ㆍ공사 중은 굴착공사를의미함 .ㆍ상 구조 측정 빈도는 경우에 따라(계측분석 반에 승인을 득한+) 조정, 수행할수 있다.ㆍ) 표시된 빈도는 외 부 하중및 지반 거동 변화 시 추가 측정을 실시하며:공사가 중 단 된. 경우 측정 빈도를 재조정한다.ㆍ지하 수 위계, 지중 경사 계 , 건물 경사 계, 지 표침 하 계(특히, 센서)는 =착 전에 설치하여야 하고, 하중 계와 변 위 계는가시설강재시공시설치한다.5.5 계 측 관리 기준가. 절 대 치 관리 1) 일반 사항ㆍ이 구조 법의가장 큰 문 제는설계 치에 대한 관리 기준치의 결정 방법과계 측 결과 치가 관리 기준치를 초과 했을 때의 대 처 방안이다ㆍ관리 기준치설정 방법- 1 차 관리 기준치:설계 서에 나타난 각각 허용 차의 80%으로 설정 함.'- 2차 관리 기준치:설계 서에 나타난 각각 허용 치의 100%으로 설정 함 .ㆍ측정 결과 치가 관리 기준치에도달하면 계 측 빈도를 높이는등의 감시 체계를 강화 하고, 측정치가 계 속적인 증가 양상을 보일경우에는공사를중 단 하고 그 발생 원인을 파악 하여이에 따른 대책을 강 구 하여야한다.ㆍ이 구조 범은이상 발 견 시 대이웅늦어 질 우려가 있으므로 굴착 심도가얄은 토 류 구조물에 적 함 하다. 2) 계측 관리의 기본적 개념 0 1 단계 : 측정치 = 1 차 관리 기준치 = 토 류 구조물이안전함 . (2 2 단계 : 1 차 관리 기준치( 측정치 = 2차 관리 기준치= 다음 단계 굴착 시 예의 주 시 함. @ 3 단계 : 2차 관리 기준치(측정치=공사 중지및 토 류 구조물안정에 대한전면 검토가 요구 되며 , 굴착 깊이의 변경이나 지보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3) 계측 결과 치 관리 기준예압계@ 토 류의빅 변형ㆍ1/300,설계 치이하 |ㆍ지중 경사계(@ 버 팀 보 축력, 옹 력 ㅣㆍ(장 + 단 /2이하 |ㆍ하중계, 변 위 계@) 버 팀 보의 평면도ㆍ1/100이하Gaga et _|Gear cia _| tea주변 지반의 침해…1/500-1/200'@ 주변 매설물ㆍ관리 담당 자와 협의 | " 구조 프 저하게주변시설물 |(상ㆍ하수,도시가스관)@ 지하철ㆍ관리 담당 자와 협의0) 주변건물+ 1/1000~1/300ㆍ건물 경사계주) 장 : 장 구조허용응력도,단 : 단 구조허용 응력도나. 예측 관리1) 일반 사항ㆍ계 측 자료와 예측 료자를 비 교 하여계 측 자료가 허용 범위내에유 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설계된 단면을 재가 정하여안전 측에도달되도록 반 복설계를 실시한 다. * 개 착 구간에서는 절 대 치 관리 구조 법을 주로 사용 하고, 특수 구간및 문제 발생가능 성이상당히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예측 관리 법 구조을 사용한 다,2) 토 류 구조물공사에서행한안전관리 기준예시DABEaigeeaeaae이용한 토압/실 측 | 01 (08 | os(risi2}A) 12eae에 의한 토압(예측)ㆍ『2 =설계시의 벽체 변형 |ㆍ실 계 시의 축 정치 ㅣ추정치/실측의F2C08 | O8sF2(12]F2) 12변형 량(예측)a‘B= aco}aoeae허용인장응력/실 축 | 02 (08 | 08(83=10 | 88) 10 ene의 인장응력(예측) 2a oF= Heue aea (08 | 08(F4(10]FA) 10(44)15 = 부재의.50마 축 력 |ㆍ부재의 혀 용 축 력 ㅣ 허용 축력/ 실 측의 |『5(07 | 07(55=12|8)12aaa)ㆍ실 측결과가 |ㆍ실 측 결과가 |ㆍ실 측 결과가글 착 저 면의 |ㆍ실 측 결과 1, 14. [20050에 의한 허용위 험영 역에 |주의 영 역에 |안 건 영 역에Heaving?|Heaving미아 되는 ㅣPlot = |Plot SJ경우경우경우 침하량 |가 현 마다장가 현장 상 황에 맞는 허용 침하량을 지 정 하고, 그 허용 침하량올 ba [Seat허용 치를 결정넘으면, 위험 또는 주의 신 호로 판단한 다.ㆍ물의 8[REIS [e092 [no-no+See다. 계측 결과의 활용 1) 일반 사항ㆍ계 측 결과를공사에 정확하게 반영 시키 구조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신 속 하면서도공사의 진 척 상황및 관리 기준치와 대비할수 있도록 정 리 하여안전 성을 판정한다.*ㆍ글착으로 인한 위 험이 예상될 경에는우안전관리 기준과 관리 항 목에의하여 대책을 수립한다.2) 개 착 구간에 대한 관리 항 목과 방법머 리부 변위( 수 평 방향)피 아 선노머 리부 변위( 수 방향)직28agueere-2adud aes 9 agbeat벽체 옹 력aaa토압토계압수 압수 계압 구조노버 보됨 축 력 | 하중 계 , 번 계동형 | , 주료 강재 버팀 보, 매일정 기초버 보팀의 신축변 위계으로 2 회이상 측정앵커 | ㅣ aaa하중 계 |ㆍ메 일정 구조 적으로 2의이상 측정ae레 별, 침 하 계트랜 시트:=a gael 7288 | aa hed eitaA| 내 림 추 경사계호061게타레 별관로의 손상 ㅣ가스 검 지구조등용수량노치 박스5 al _aaeal수위 계지반 팽창 | oa aaa피워aaaa|*도로, 매설 물의안전관리 상수, 지 변브 수 평 변위| 트 렌 시트 번 위계 |필요4 y{ ceases[aaa지하수 위수 위 계 |ㆍ강 제배수 시공의 경우에는 반드지반 균열육안시 측정- 굴착 단계별 토압, 근입 깊이 결정및 자 립 식 널 막 뚝의 단계산면: Rankine-Resal, Caquot및 60550!등의 삼각형 토압- 흙막이 벽체설계 굴착 단계별 검토 시: 삼각형 토압- 굴착및 버 팀 구조 설치가 완료된 후의 장 기초안정해석 : [00의 경험 토압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16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06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67
8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_분기점 연결로 설계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02.05 1274
8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_교량 기초 시공시 발생토량(절토부) 토공유동관련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32
8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3_깍기비탈면 설계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120
8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4_중분대 종배수관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29
8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5_흙깍기부 초기집수정 설치위치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04
8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6_터널 공동구 바닥부 여굴 처리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74
8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7_터널 교대근무조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221
8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8_개착터널 인버트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76
8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9_터널 측방배수관 재질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98
8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0_PSC빔 표준화 적정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70
8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1_교면배수구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4.02.05 865
8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2_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교량바닥판 적용검토 file 효선 2024.02.05 907
8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3_구조물 표면마무리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38
8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4_강재트러스 합성거더교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66
8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5_탄성받침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80
8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6_콘크리트 노출 바닥판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599
7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7_교각 시공용 리프트 공법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62
7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8_다발철근의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08
7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9_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 시행 file 효선 2024.02.05 87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0_흙막이 가시설 설계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2.05 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