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2_확장공사구간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방안
2024.03.29 14:55
397
8-12 확장공사구간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 방안
건설관리처-394
(2010. 1. 29)
Ⅰ 추진배경
확장공사의 특성을 감안한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기준을 마련하여
고속도로 이용고객의 교통안전 및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자 함
Ⅱ 현 황
비상주차대 설치 기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고속도로의 경우 길어깨 폭원이 2.5m이하인 경우 설치
설치간격 : 750m
설치단면
비상주차대 설치현황
확장공사 구간 길어깨 폭은 0.6~2.0m로 비상주차대 설치필요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 현황(고속도로 확장공사 구간, 2009.11)
구 분 |
소 요 |
설 치 |
논산-전주등 9개 구간 |
52개소 |
22개소(42%) |
※ 미설치 사유 : 교통 운영기간이 짧거나, 용지확보 불가등
398
Ⅲ 문 제 점
비상주차대 사용목적
설문조사 (2009.11, 458명)
고속도로에서 길어깨에 사용목적, %
고속도로에서 길어깨 사용 목적은 고장차 대피보다는
- 차량점검등 기타용도가 84%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문 제 점
도로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750m간격) 설치토록 규정 확장 공사구간에서는 현행기준을 만족하여 적용곤란
- 교통전환시 마다, 짧은기간 운영되는 구간에 설치는 곤란
- 공사특성상 용지확보가 곤란한 구역이 많음
공사구간에서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어 운전자 이용 혼란
표지판 미설치 설치규격 미흡
399
Ⅳ 설 치 방 안
공사 중 임시로 설치되는 비상주차대 이지만
운전자가 필요시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최대설치 간격 분석
확장공사 특성(교통전환기간, 용지확보등)을 반영하여 기준수립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간격 검토
설치간격 적정성 분석
구분 |
분석내용 |
간격(km) |
기준 |
․사람이 밀어서 이동 가능한 최대 거리(평지) |
0.75 |
기대심리 |
․정부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2008) - 차량점검등 필요시 부터 3~5분내 정차 가능거리 - 전문가 설문조사(설계,건설,유지관리자,%)
|
2~3 |
사례 |
․일 본(용지취득 곤란시) |
1.5 |
․오스트리아 Wein 고속도로(20.5km구간 평균) |
1.6 |
|
․국도16호(사능-답례17.4km 자동차 전용도로 평균) |
1.3 |
현행기준을 준수하여 공사구간도 750m간격으로 설치하되
용지부족등 설치가 곤란한 구간도 운전자 기대심리등을 반영
- 최대 1.5km 간격 미만으로 설치
(필요 시점부터 1분 이내 정차하여 사용 가능한 거리)
추진방향
400
위치별 세부적용(안)
750m간격으로 설치가 곤란한 구간은 다음안 적용
위치 |
설치검토 |
길어깨 폭원 |
A |
․최종 완성단면(다이크, 방음벽)으로 설치곤란 ☞ 용지확보 가능구간은 설치 |
0.6m |
B |
․교통운영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가시설등 공간확보후 - 1.5km간격으로 설치 ․포장 완료후 포장부에 설치가 가능한 경우 - 750m간격으로 설치(차선테이프 적용 - 제거용이) |
2.0-1.0m |
C |
․방호벽 2단 또는 매트등을 활용하여 공간확보후 - 최대 1.5km간격으로 설치 |
1.5-1.0m |
D |
․교통운영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가시설등 공간확보후 - 가능한 1.5km간격으로 설치 |
0.6m |
※ 가설방음벽, 터널, 교량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전후구간에 설치
임시비상주차대 인지성 향상을 위하여
설치간격이 750m이상인 구간은 “본 표지판” 추가 설치
750m간격 구간은 현행기준 준수(200m 표지판만 설치)
3.0
비상주차대
20m
설치높이 2.0m
차량진행
200m 20(20-30) 20(20-30) 20(20-30)
200m
표지판
본표지판
401
적용방안
공사중인 노선은 설치예정(필요) 구간부터 적용
- 표지판은 기존설치 구간에도 설치 설계중인 노선은 임시 비상주차대 및 표지판 비용 반영
Ⅴ 기 대 효 과
고속도로 이용고객의 교통 편의성 증대
- 설치 곤란한 구간도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비상주차대
설치로 고객편의 증대
- 표지판 추가 제공으로 활용편의성 증대 공사구간 임시 비상주차대 기준마련
- 현장특성을 감안한 적용성 향상
- 공사중 발생되는 공사비 증가 요인 해소 운전자 성향 분석을 통한 적정 간격의 시설물 설치
402
확장공사 공사단면
□ 4 → 6차로 확장
기존 고속도로
길어깨보강
16.8
1.0 2 a 3.5 1.2 2 a 3.5 0.6
16.8
0.6 1.2 1.0
2
3
1
중분대 가포장
2 a 3.5 2 a 3.5
0.5 추가쌓기 추가쌓기 0.5
0.5m추가성토 →
□ 4→8차로 확장
상세 "A"
(B=2.0m, T=15cm)
중분대기초 전폭시공
1.4m
=7.0m
2@3.5
=7.0m
2@3.5
19.9m
2.5m 0.35m
18.9m
2@3.50
=7.0m
1.5m 1.4m 2@3.50 2.0m
=7.0m
0.15m
2.0m
중분대기초
상세 "A"
임시다이크
길어깨보강
2.0m
0.15m
기존도로
403
확장공사 구간별 공사단면 적용사례
상세 "A"
(B=2.0m, T=15cm)
중분대기초 전폭시공
1.4m
=7.0m
2@3.5
=7.0m
2@3.5
19.9m
2.5m 0.35m
18.9m
2@3.50
=7.0m
1.5m 1.4m 2@3.50 2.0m
=7.0m
0.15m
2.0m
중분대기초
상세 "A"
임시다이크
길어깨보강
2.0m
0.15m
기존도로
(단위 : m)
구 분 |
연장 (km) |
유효폭 (a) |
차로폭 (b+b') |
임시 중분대(c) |
길 어 깨 |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현황 |
|
(d) |
(d') |
||||||
냉정-부산(4→6) |
53.28 |
17.8 |
3.5 |
1.2 |
2.0 |
0.6 |
1/6 |
신갈-호법(8→10) |
33.6 |
19.4 |
3.5 |
1.4 |
2.0 |
2.0 |
2/2 |
성서-옥포(6→8) |
3.86 |
19.4 |
3.5 |
1.4 |
2.0 |
2.0 |
1/1 |
영동-옥천(4→6) |
7.07 |
16.8 |
3.5 |
1.2 |
1.0 |
0.6 |
0/5 |
진주-마산(6→8) |
48.2 |
19.6 |
3.5 |
1.6 |
2.0 |
2.0 |
5/10 |
동광주-고서(4→6차로) |
4.3 |
18.2 |
3.5 |
1.2 |
1.0 |
2.0 |
2/2 |
논산-전주(4→8차로) |
17.1 |
19.6 |
3.5 |
1.6 |
2.0 |
2.0 |
11/26 |
담양-지리산(2→4) |
56.7 |
11.2 |
3.5 |
- |
2.0 |
2.0 |
- |
지리산-성산(2→4) |
|
11.2 |
3.5 |
- |
2.0 |
2.0 |
- |
404
표지판 형식
노면 노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