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8-3 현장발생자원 재활용 제고방안

설 계 처-3667

 

(2010. 8. 6)

 

 

 

추 진 배 경

 

지속가능 건설을 위한 자연환경 보전과 복원

저탄소녹색성장 시대를 대비한 온실가스배출 저감

자원순환을 위한 현장자원 재활용 제고

 

 

 ※ 현장발생자원 재활용

◦ 현장에서 발생되는 자연석, 표토(비옥토), 제거수목, 폐자재 등을

자연석옹벽, 자연형하천 등 친환경시설자재로 활용하는 방법

추진방향

 

 

 

 

 

재활용 현황

 

 

자연자원 재활용현황(자연석, 표토, 수목 등)

전체공정 20% 이상 7개 사업단, 착공 ~ 현재

재활용 실적

 

자원별 재활용 현황

빗물이나 지하수를 활용한 생태습지

- 건설노선 : 수도권사업단 1개소, 20,000

- 공용노선 : 영동선외 8개 노선 20개소, 140,000

 

 

폐자재 재활용 현황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팔트 재활용

- 5개 사업단 재활용처리시설 운영 중이나 그 외 사업단은 위탁처리

 

흡음형방음판 재활용 : 수도권사업단

 

 

문제점분석 및 개선방안

 

 

문제점 분석

 

 

 

현장 여건

 

 

재활용계획의 부재

- 현장여건에 따라 즉흥적으로 재활용

건설폐기물 재활용 곤란

- 소량발생 되는 사업단의 경우 위탁처리

현장여건개선

 

 

 

재활용 인식

 

 

온실가스 저감 및 친환경건설 인식 부족

시공사의 자발적 의욕 부족

- 추가비용 소요, 인센티브 부족

재활용 인식제고

 

 

 

재활용 실적

 

 

공정률에 관계없이 실적 미흡

- 착공에서 준공까지 평균 7건에 불과

재활용 사례 단순

- 전체적으로는 많은 사례가 있으나 각 사업단별로는 일부사례에 한정

인센티브 제공

재활용 사례 공유

 

 

개선방안

 

현장여건개선

 

사업단 현장발생자원 재활용 계획 수립

폐자재 재활용 제고방안 마련

 

재활용 인식제고

 

사업단 환경관리교육 시 포함

자연자원을 자연형시설 설계반영

 

인센티브 제공

재활용 사례 공유

 

사업단 조직업적평가에 재활용실적 반영

환경우수현장 선정 시 반영

◦「현장발생자원 재활용사례집작성 전파

 

 

 

주요 활용사례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성

 

 

 

터널 분리대 조경석 설치

IC 등 여유부지에 돌탑 조성

터널 입출구부 법면 보강

성토부 법면보강

 

 

자연형 하천 조성

 

 

 

자연석 호안

거석 등을 이용한 물흐름 조절

 

생태통로 보완시설

 

 

 

생태통로 입출구부 돌쌓기

생태통로 내부 나무더미 쌓기

 

 

생태녹화 및 비점오염저감시설

 

 

 

우드칩을 이용한 멀칭

침투도랑 쇄석 또는 자갈채움

 

 

현장 임시 환경시설

 

 

자연석 침사지

가배수로 토사유실방지

 

 

 

 

추 진 방 안

 

 

건설사업단 조직업적평가에 활용실적 반영(2011년도부터)

 

계량지표 : 탄소감축지수산정 시 감축실적 인정

 

탄소감축지수(설계처-2316 2010. 5.11)

2010년도 예고지표로 시범운용 후 2011년도부터 정식평가 시행

 

 

비계량지표 : “현장발생자원의 활용성평가항목 신설

- 평가항목 수는 그대로 유지하되 평가내용 조정하여 신설

- 평가내용 : 현장발생자원 재활용 계획 수립 및 실적

 

환경우수현장 선정 시 반영(2011년도부터)

 

환경관리 노력도항목에 반영

- 환경관리 우수현장 선정 업무기준변경

 

당 초

변 경

환경관리 노력도(40)

- 경제적, 창의적 환경관리

개선사례

환경관리 노력도(40)

- 경제적, 창의적 환경관리 개선 사례 현장발생자원 재활용사례

 

 

자연자원 활용 및 폐자재 재활용의 중요성 인식 제고

 

◦ 「현장발생자원 재활용사례집작성 전파(PDF 파일)

- 개인별 이메일 송부 및 hi-건설, hi-기술, 지식나들목 등재

- 사례집 작성 시 현장명과 시공사 명기하여 자긍심 고취

 

환경관리업무 교육자료에 포함 배포(8)

 

사업단 환경관리점검 시 사례소개 및 착수현장교육 시 포함

 

자연자원을 이용한 자연형시설 설계반영

 

자연형시설 및 적용가능 지역 설정(붙임자료 참조)

 

설계중인 노선

- 적용가능지역에 자연형시설 검토 후 설계반영

 

공사중인 노선

- 적용가능지역에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자연형시설 적극 반영

 

폐자재 재활용 제고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의 현장 내 재활용 제고

- 사업단 재활용처리시설 운영(2010년 하반기 및 2011년도 공동운영방안 수립 예정)

 

폐콘크리트의 고품질자재로 재활용

- 보조기층 또는 선택층 활용(별도 품질확보방안 수립 예정)

 

흡음형방음판

- 확장공사 등 재활용이 가능한 흡음형방음판이 발생되는 현장

- 경관이 민감하지 않는 지역에 설계 시부터 재활용 반영

 

 

 

 

 

 

 

붙 임 : 1. 자연형시설 및 적용가능 지역

2. 건설사업단 조직업적평가 반영

3. 환경관리우수현장 선정 평가표

4. 탄소배출저감량 산정방법

5. 현장발생자원 재활용 사례 ..

 

 

자연형시설

적용가능 지역

자연형시설 공통

(경관 및 환경이

고려되는 지역)

주변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

외부의 주요 조망점에 노출되는 지역

사람통행이 많아 미관이 고려되는 지역

- 휴게소, IC 녹지대, 영업소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 백두대간 및 국립공원 지역

-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 지역

- 법적보호 야생동식물 서식지

환경민원발생지역 등

자연석을 이용한

배수구조물

자연형하천과 연결되는 배수구조물

유속이 빠르지 않아 세굴이나 침식의 우려가 없는 지역

자연석옹벽

주요도로에 인접한 지역의 성토부

터널 입출구부 좌우 사면

본선상의 L2형 측구 상단

높이 2M의 옹벽형방음벽

자연석을 이용한 교대보호시설

경관 및 환경이 고려되는 지역

자연석호안 하상물흐름조정

자연형하천

- 이설되는 하천이 자연하천으로 연결되는 경우

생태습지

IC 녹지대 및 터널과 연결된 교량하부 등으로 지하수가 발생되는 지역

비점오염저감시설

채움자갈

침투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이나 자연형수로 바닥잡석 설치구간

생태통로 보완시설

(돌더미, 나무더미)

육교형 및 터널형 생태통로

주요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지역의 교량하부

경관용 돌탑

IC 내부, 도로변 여유부지 등

생태녹화

(비옥토, 멀칭, 수목그루터기공법)

자연경관복원이 필요한 지역에 우선적용

- 백두대간 및 국립공원 지역

-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 지역

측구 소형동물

탈출경사로

양서파충류 집단서식지 또는 노선근처에 이동경로가 있는 도로구간

자연석 화단

휴게소, IC 녹지대, 버스정류장 등

가설사무실, B/P

자연석침사지

자연석가배수로

건설현장 가배수로 설치구간 중 장기설치지역이나 배수량이 많은 지역

토사방음둑

영구시설

- 도로변 여유부지가 있는 지역

임시시설

- 터널 갱구부전면, 노상발파지역

- 구조물터파기(브레이커 작업)구간 인근에 정온

시설이 있는 경우

 

 

 

현장자재 재활용을 통한 탄소배출 저감량 산정

표준화 되어있는 구조물의 경우

 

 

 

 

 

 

 

(수량산출서 또는 표준도의) 단위 m당 재료사용량

 

 

×

 

 

사용재료의 단위배출계수

(콘크리트=346kgCO2/m3, 철근=2,340kgCO2/ton)

배출계수 참고 : 고속도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적용을 위한 온실가스 예측 및 저감대책 연구(2009.11, 설계처 녹색환경팀)

 

 

×

 

 

현장자재 재활용하는 구조물의 연장(m)

 

 

 

 

탄소배출 저감량

 

 

 

 

 

 

 

 

표준화 되어있지 않은 구조물의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재료사용량

 

 

×

 

 

사용재료의 단위배출계수

(콘크리트=346kgCO2/m3, 철근=2,340kgCO2/ton)

배출계수 참고 : 고속도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적용을 위한 온실가스 예측 및 저감대책 연구(2009.11, 설계처 녹색환경팀)

 

 

 

 

탄소배출 저감량

 

 

 

 

 

 

 

 

탄소배출 저감량 산정방법 예시

 

o 콘크리트(0.41m3/m) x 탄소배출계수(346kgCO2/m3) = 141.86kgCO2/m

o 철근(0.00199ton/m) x 탄소배출계수(2,340kgCO2/ton) = 4.66kgCO2/m

 

V-1형 측구 1m 변경시 = 146.52kgCO2 저감

 

 

탄소배출 저감량 산출표 (재료사용량 : 표준도 수치 활용시)

 

구 분

단위 m당 재료사용량

단위 m

총 저감량

[kgCO2]

비 고

종류

형식

콘크리트 사용량

[m3/m]

철근 사용량

[kg/m]

V

측구

1

0.410

1.99

146.52

 

2

0.520

1.99

184.58

 

3-1

0.688

1.99

242.71

 

3-2

0.880

1.99

309.14

 

L

측구

1

0.08957

0

30.99

 

2

0.523

1.30

3,222.96

 

3

1.570

1.56

4,193.62

 

4

0.140

0

48.44

 

5

0.340

0.78

1,942.84

 

6

0.153

0.78

1,878.14

 

 

 

자연석을 이용한 배수구조물

 

 

IC U형개거 연결

U형개거 주변 돌쌓기

배수로

가배수로

측구 단부처리

침사지

U형개거 단부처리

U형개거 단부처리

 

자연석을 이용한 교대보호시설

 

구조물의 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주위 환경과 어울리는 경관연출

 

 

 

 

자연석옹벽

 

성토부 소단, L2형 측구 등에 법면보호용으로 활용

법면보호기능과 더불어 도로경관 향상 및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 도모

 

 

터널 입출구부 법면 보강

성토부 보강

L2 측구보강

돌망태를 이용한 방음벽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성

 

 

터널 분리대 조경석 설치

IC, 도로변 여유부지 등에 돌탑 조성

 

 

 

현장 환경시설물로 활용

 

 

터널 임시환기시설 기초돌쌓기

현장사무실 내 생태연못

가설사무소 이면도로 조경석 화단설치

집수정

 

 

측구 소형동물 탈출경사로

 

수환경이 풍부한 양서파충류 집단서식지 또는 노선에 이동경로가 있는 경우

기울기 30° 이하, 폭은 최소 20cm 이상

 

 

V형 측구 이동경사로

V형 측구 이동경사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자갈

 

침투도랑의 채움자갈 및 자연형수로의 잡석으로 사용

 

 

침투도랑 쇄석 또는 자갈채움

자연형수로 바닥 잡석 또는 자갈 처리

 

 

 

자연형 하천 조성

 

어류조류수생곤충양서류파충류 등의 서식환경을 조성

호안은 콘크리트 대신 돌, 나무 등을 이용한 자연재료로 설치

 

 

자연석 및 나무말뚝을 이용한 하상 시설

하천변 돌탑설치

자갈을 이용한 자연형 수로

자연석 호안

 

생태통로 보완시설

 

돌더미, 나무더미 등을 설치하여 소형동물 및 양서파충류 등의 피난처 또는 산란장소로 제공

기존 횡단구조물도 겸용생태통로로 조성

 

 

생태통로 입출구부 돌쌓기

양서파충류용 터널형 생태통로

기존 횡단시설에 나무더미 쌓기

생태통로 내부 나무더미 쌓기

생태통로 내부 자갈이나 토사깔기

기존 횡단시설을 겸용통로로 조성

(자연석 연속 설치)

 

 

터널형 생태통로 부대시설 설치 사례

생태녹화

 

그루터기를 이용한 법면 조기녹화(Recycling-Eco 공법)

제거수목이식

우드칲을 이용한 멀칭

 

 

수목그루터기 공법

수목이식

우드칩을 이용한 멀칭

임목파쇄

 

 

비옥토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Seed Bank 공법)

 

비옥토 활용계획을 사전에 수립

 

 

비옥토 채취

비옥토 보관

 

 

토사 임시방음둑 설치

 

구조물터파기(브레이커), 노상발파, 터널 갱구부 전면 설치

소음원과 정온시설의 높이와 거리에 따라 방음둑 높이 산정

 

 

구조물 기초시공시 방음둑 설치

터널 전면부 방음둑 설치

 

 

폐자재 재활용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재활용

흡음형 방음판 재활용

 

 

지하수 및 노면수를 이용한 생태습지

 

 

 

 

익산장수선 0k 익산분기점

중부내륙선 52.4k 현풍분기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43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300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70
11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4_터널 타일세척수 배수체계 개선방안 보완사항 통보 file 효선 2024.04.12 881
11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5_장대터널 공동구 벽체 철근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04.12 1147
11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6_터널 숏크리트용 배치플랜트(BP)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964
11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7-7_터널내 탄성파반사법 탐사(TSP)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12 1025
11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_방음벽 미관설계·평가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04.12 844
11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2_도로전광표지(VMS) 기초 설계반영 검토 file 효선 2024.04.12 889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3_현장발생자원 재활용 제고방안 file 효선 2024.04.12 777
11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4_콘크리트 생산시설(BP,CR) 전원 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04.12 1105
11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5_표지판, FTMS 설비의 지주보호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4.12 1152
11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6_영업소 아일랜드부 차선도색 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3.29 844
11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7_고속도로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 세부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3.29 1645
11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8_비탈면 점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3.29 908
11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9_콘크리트 배치플랜트 및 가설건물 폐수처리시설 설계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3.29 913
11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0_표지판 기초터파기 기준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3.29 976
11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1_고속도로 간이휴게소 부지면적 산출기준(안) file 효선 2024.03.29 994
11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2_확장공사구간 임시 비상주차대 설치방안 file 효선 2024.03.29 862
11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3_확장공사구간 확폭 비상주차대 설치 방안 file 효선 2024.03.29 980
11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4_차선도색 잠정기준(안) file 효선 2024.03.29 1246
11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5_고속도로 표지체계 개선 추진계획 효선 2024.03.29 1275
11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6_고속도로 시·종점 표지석 설치 file 효선 2024.03.29 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