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4년_4-3_LID(저영향개발) 기법을 활용한 녹지대 생태습지 조성방안 수립
2024.06.28 14:56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3
4-3
LID(저영향개발) 기법을 활용한
녹지대 생태습지 조성방안 수립
시 설 처-725
(2013. 3. 11)
I 목적 및 배경
□ 추진목적
o 나들목․분기점에 LID기법 생태녹지 공간 조성으로 환경영향
저감 및 “국민행복”을 위한 선진국 수준의 환경복지 실현
o 환경․경관․기능 고려, 빗물정화․염수중화․수경관 향상 및
건설비 절감으로 조경시설 투자 효율성 제고
※ LID(저영향개발)기법; Low Impact Development
o 水환경을 개발전 여건으로 유지키 위해, 자연적원리(침투, 저류 등) 이용
☞ 홍수방지 및 오염물질 저감 도모
□ 추진배경
▪LID기법 적용 의무화 예정
▪상수원 수질보호
▪수질정화 생태습지 사회적관심
▪현정부 국토개발 추진전략
- 생태휴식공간 확대, 환경과 조화
▪물관리 정책 변화
- 빗물 신속배출 → 유출저감
▪물부족 문제 해결
▪홍수․가뭄의 사회적손실 증가
- 3년간1조원피해(국가재난정보센터)
▪물의 역할 변화
- 이용 → 휴식+이익
▪도공 부채 급증
▪한국에 적합한 LID기법 개발
▪조경시설의 Smart한 변화
- 그린빗물인프라(GSI1)) 확보
LID기법 적용
조경기술 필요
Politics(정치부문) Economy(경제부문)
Society(사회부문) Technology(기술부문)
1) 그린빗물인프라(GSI;Green Stormwater Infrastructrue) : 녹색공간, 생태공간 등의 확대를 통
해 침투, 증발산, 재이용을 증가시켜 빗물의 유출을 감소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4
Ⅱ LID기법 개요
□ 개 념
소규모 분산형의 자연친화적 생태녹지 조성기법을 활용해 우수유출
분산관리․수해예방 및 비점오염 저감, 우수유출속도 지연으로
자연계의 물순환 구조를 회복하는 기법
※ 1990년대 美Maryland주 Prince George's County의 우수관리계획으로부터 시작
□ LID기법의 물순환 구조
□ 주요 시설물
빗물정원
(Rain Garden)
생태수로
(Grassed Swales) 생태(인공)습지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5
Ⅲ 관련법령 검토
□ 법적근거
o 옥외공간 빗물이용시설 설치「물의재이용촉진및지원에관한법률」
o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조경용수로 처리「수도법」
o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수질및수생태계보전에관한법률」
o 공공용지를 우수저류․침투시설로 활용
「도시공원 및 녹지등에 관한법률」
o 개발사업시 LID기법 적용토록 규정「자연재해대책법」
□ 정부지침 및 기준
o 환경친화적인 도로 유지관리 지침 (국토부, 2006)
- 비점오염원 직유입 지역 최적관리방안 수립, 식생형시설 설치 등
o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국토부, 2010)
- 우수유출억제시설 계획 수립, 빗물관리 및 빗물침투시설 설치 등
o 우수유출 저감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 (소방방재청, 2010)
- 우수유출량 저감, 첨두유출시간 지연 위한 저류․침투시설 설치관리
o 친수구역 조성 지침 (국토부, 2011)
- 주요 도로변 녹지 LID기법 적용한 우수침투 및 저류계획 수립
o 제2차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국토부 등, 2012)
- 저영향개발(LID)기법 적용 확대, LID기법적용시 제도적 인센티브 제공예정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6
Ⅳ 조성방안
★ LID기법을 활용한 녹지대 생태습지 조성『3S』전략
『Slow! Spread! Soak!』
☞ “빗물을 낮은 속도로 넓은 자연의 그릇에 담자”
☞ 녹지대에 생태수로, 빗물정원, 생태습지의 복합설치
2018년까지 52개 나들목에 LID기법활용 생태습지 조성
□ 대상지 및 적용시설
o 조성대상지
- 배수불량 및 침수지, 용출수 발생지, 암반지역
-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수질보전지역 인접지 등
o 적용시설
구 분 적 용 시 설 비 고
나들목․분기점 녹지대 생태수로, 빗물정원, 생태습지 본 기준 적용
건물주변 및 기타 침투플랜터, 가로수저류 등
공간구조검토필요로
향후추진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7
□ 중장기 조성계획
o 총 괄
구 분
IC, JC현황
(개소)
활 용 유 형 생태습지
녹지대관리 생태습지기조성태양광시범사업 조성계획
공용노선 404 359 10 3 32
건설구간
(2015까지) 40 20 - - 20
※공용노선 IC 329개소(민자23․평면1․하이패스전용2제외)․JC 75개소(‘13. 2월현재)
o 연도별
[단위 : 개소/억원]
연 도 계 공용노선 건설구간 비고
계 52/47 32/27 20/20
2013 3/3 2/2 1/1
2014 16/15 6/5 10/10
2015 15/14 6/5 9/9
2016 6/5 6/5 -
2017 6/5 6/5 -
2018 6/5 6/5 -
□ 시행방법
o 공용노선
- 2013년 2개소 : 기 확정된 조경사업 포함 시행
- 2014년이후 : 2013년 사업 효과분석을 통해 중기투자계획
(사업비 내)에 의거 연차적 시행
o 건설구간
- 조경설계․공사시 현장조사 및 확인 후 계획대상지 확정,
조경사업 포함시행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8
Ⅴ 설계기준 검토
□ 기준수립 절차
빗물관리․오염정화․물순환 구조 고려한 설계기준 수립
(생태습지, 빗물정원, 생태수로)
관련 전문가 자문 유지관리부서 의견수렴
국내․외 관련기준 분석․검토
□ 전문가 자문 및 유지관리부서 의견수렴 결과
o 자문결과
전 문 가 주요 자문내용 반영여부
서울대 이동근 교수
(경관생태)
▪우수경로 및 토양기준 고려 ○
공주대 김이형 교수
(비점오염저감)
▪하이브리드(2개셀이상)개념 도입 ○
넥서스환경연구원조동길원장
(생태습지)
▪습지식물 식재면적 50%내외 ○
o 의견수렴 결과
구분 주 요 내 용 반영여부
구 조 ▪다양한 수심 조성, 최소기준 고려 ○
식 생 ▪확산속도 높은 식물 지양 ○
유입․유출 ▪세굴방지 시설 필요 ○
유지관리 ▪계량적 모니터링 기준 필요 검토후반영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69
□ 세부 설계기준
o 생태습지
▪국외(美)
- (구조) 습지2개셀 이상 조합
- (수심) 다양하게
- (식생) ㎡당초화60+관목0.5+교목0.1
▪국내
- (식생) 식물전문가 식재계획 수립
- (경사) 종단 0.5~5%, 횡단 3:1
- (완충지) 8m폭 이상
관련기준 검토
(구조) 2개셀이상 상호 연결된
하이브리드(Hybrid) 구조
(수심) 최대1~2m, 다양하게
(식생)수질정화력 높은식물 식재
(경사)종단0.5~5%, 횡단[3(W):1(H)]
(완충지)폭5m이상
(유지관리)습지식물․완충식생 관리
(기타)수심1.0m이상, 침입방지책설치
적용방안
o 빗물정원
▪국외(美)
- (경사)종단0.5~6%,횡단3(W):1(H)이하
- (식생)㎡당초화12+관목0.5+교목0.1
▪국내
- (구조) 길이:폭=2:1, d0.1~0.2m
관련기준 검토
(구조) 길이:폭=2:1, 폭8m, d0.3m
(경사)종단0.5~6%, 횡단3(W):1(H)이하
(식생)생태습지와연계한습지식물식재
적용방안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70
o 생태수로
▪국외(美)
- (구조) L30m․W1.8․d0.45m
- (유속감쇄장치) L1.2m(체크댐)
- (식생) ㎡당초화60+관목0.5+교목0.1
▪국내
- (구조) L30m․W2.0,여유고0.15m
- (경사) 종단 0.5~6%, 횡단 3:1이하
- (유지) 초장 10cm이하
관련기준 검토
(구조) L20m․W1.5․d0.3m,여유고0.15m
(유속감쇄장치)자연석제방 설치
(경사)종단0.5~6%,횡단3(W):1(H)이하
(식생)잔디(평떼) 식재
(유지)초장 15cm이하
(기타)현장에 따라 습지식물 도입
적용방안
o 유입․유출부
관련기준 검토 | ▪전처리시설(수질처리용량의 10%이상) 설치 |
문제점 |
▪접속사면 급경사시[3(W):1(H)이상] 토양유실 및 세굴우려 |
적용방안 |
▪자연석제방 등을 이용 전처리 시설 도입 ▪녹지대내 급경사면 콘크리트 배수로 설치 ▪유출부는 강우시 월류토록 토목 배수시설과 연계 |
2013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배수공사
171
Ⅵ 기대효과
□ 자연형 생태습지 조성으로 건설 및 유지비 절감
o 건설구간 건설비 절감액 : 10억원
o 조성완료 후 5년간 유지관리비 절감액 : 2억원
□ 온실가스 감축, 홍수․가뭄피해의 사회적 손실비용 감소
o 환경편익 및 온실가스 감축 비용 : 3억원/년
* 관련근거 :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국토부) 등
□ LID기법 적용에 대한 선도적 역할로 환경기업 이미지 제고
□ 설계․시공 노하우 및 저감효과 관련 Data 지식자산화
□ 향후 계획
o 대외 언론 및 관련 협회 등 홍보
o 정화효과 검증위한 수질조사 등 모니터링 추진
붙 임 : 1. LID 생태습지 조성 설계기준(안) 1부.
2. LID(저영향개발)기법 개요 1부.
3. LID 생태습지 관련 국내․외 기준 1부.
4. LID 생태습지에 적합한 식재기반 검토 1부.
5. LID 생태습지 적정규모 산정방법 검토 1부.
6. LID 생태습지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 1부.
7. 전문가자문 및 유지관리부서 의견수렴 결과 1부.
8. 위치별 세부현황 및 우선순위 선정표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