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8-3_터널 갱문형식 다양화방안 검토
2024.02.28 15:06
8-3 터널 갱문형식 다양화방안 검토
설 계 처-2323
(2008. 9. 2)
1. 검토목적
국내․외 터널 갱문 적용현황 조사 및 사례분석 등을 통하여 터널 갱문의
안전성향상 및 형식의 다양화 방안을 검토코자 함
2. 추진경위
○ 2002. 1 터널 갱구부 설계기준 검토(기술관리실)
- 터널 갱구 설치위치 : 최소 토피고 2~3m에서 1D 범위내
○ 2003. 3 터널 갱문부 설계기준 검토
- Bell Mouth 변형, Bird Beak형, Arch 면벽형 적용
○ 2004. 12 터널 갱문부 설계기준 보완
- 갱구위치는 갱구 상단부 토피 3~5m 확보되는 지점에 선정 등
○ 2006. 9 터널 입구부 안전시설 개선검토(교통처)
- PC방호벽을 1/20이하 접속설치율 설치
○ 2008. 1 터널 안전시설 설치기준 검토
- 돌출차선 등 터널내부 안전시설 추가․보완
○ 2008. 4 터널갱문 접속방안 검토
- 터널 전․후구간 땅깎기부 주행선측 길어깨폭 조정(4→3m)
- 여건을 고려 갱문 확폭, 가드레일 설치 등 접속방안 강구(접속률 1:30)
3. 관련기준 및 적용현황
가. 갱문형식 기준
□ 건교부(도로설계편람)
☞ 일본도로공단 기준과 동일
□ 우리공사
다. 갱문형식 적용현황
【단위 : 개소수(%)】
구 분 |
전 체 |
국내(630개소) |
국외(14개국 225개소) |
비고 |
계 |
855(100) |
630(100) |
225(100) |
|
면 벽 형 |
404(47.2) |
343(54.5) |
61(27.1) |
|
원통절개형 |
211(24.7) |
133(21.0) |
78(34.7) |
|
벨마우스변형 |
61(7.1) |
55(8.7) |
6(2.7) |
|
확 폭 형 |
21(2.5) |
11(1.8) |
10(4.4) |
|
기 타 |
158(18.5) |
88(14.0) |
70(31.1) |
|
‣국내는 면벽형이 다수 차지
‣국외는 국내보다 다양한 형태 분포
※ 최근 시공완료 또는 시공중인 국내터널 갱문형식으로도 면벽형(49%),
벨마우스 변형(29%) 분포도가 다소 높음
4. 문제점
□ 대부분 면벽형 등 획일적 갱문형식적용
□ 설치지역 및 위치 특성, 미관을 고려한 다양한 갱문형식 고려 미흡
□ 터널 입구부의 도로폭원 차이(우측 1.65m, 좌측 0.6m)로 주행자에게 중압감을
주고 추돌사고 지속발생
구 분 |
세부내용(교통처 자료참조, ’06.9) |
비고 |
사고발생 현황 (’01∼’05) |
- 사고건수 : 96건 - 사상자수(총 81명) : 사망 18명, 부상 63명 ‣사상률 : 0.84명/건(전노선 평균:0.5명/건) |
|
주요 사고요인 |
- 졸음(57%), 과속, 주시태만 등 |
☞ 길어깨 폭 변화구간 : 현재 PC, PE방호벽 등으로 다양하게 처리
□ 동서방향 노선 경우 터널 출구부에서의 햇빛에 의한 눈부심으로 안전
사고 발생 우려
※ 터널 갱문관련 설문조사 결과(’08. 5)
□ 설문조사 대상
○ 시공사 : 강원건설사업단 현장직원
○ 도로이용자 : 내부직원(충청지역본부)
□ 주요의견
○ 시공사 ⇨ 터널갱문 설계․시공관련 조사
- 현 설계기준 개선 필요 : 25%
- 기준개선이 필요한 부분
․터널진입시 안전성 개선 34%
․주변지형과 조화 39%
○ 도로 이용자 ⇨ 터널이용시 불편사항관련 조사
- 터널진입시 위험 느낀적 있음 : 70%
- 주변경관과 조화측면 개선필요 : 65%
- 터널 진출시 눈부심으로 사고위험 느낌 : 75%
5. 갱문형식 다양화 방안 검토
□ 추진방향 : 터널 갱문형식 다양화
○ 지형과 노선특성을 연계한 갱문형식 기준을 마련
○ 입구부 중압감 최소화 등 안전성 향상
○ 미관을 고려
가. 지형특성․노선 연계성을 고려한 갱문형식 기준 재정립
: 터널과 경사면 교차조건에 따라 4가지 TYPE 분류
□ 경사면 직교형
□ 경사면 평행형
나. 터널 입구부 중압감 최소화 등을 통한 안전성 향상
□ 갱문 폭원 확장방안 강구(smooth한 유도기능 확보)
○ 개 요
터널 갱문 진입구간에서 주행자 측면 시각인지 특성 검토를 통해 최적의 갱문 폭원 시행방안 정립
○ 주요 분석내용
○ 터널 갱문변화에 따른 시각 범위별 인지기능 분석
※분석 인자 : 터널구조물 인지율, 길어깨 인지율, 인지변화 급변율
구분 |
심리적 요인 |
터널 확장폭원 |
터널 확장길이 |
||
감소시 |
증가시 |
감소시 |
증가시 |
||
터널구조물 인지율 |
압박감 |
낮음 |
높음 |
높음 |
낮음 |
길어깨 인지율 |
안정감 |
낮음 |
높음 |
낮음 |
높음 |
터널구조물 인지변화 급변율 |
낮음 |
높음 |
- |
- |
|
길어깨 인지변화 급변율 |
낮음 |
높음 |
- |
- |
○ 3차원 모델링
○ 확장폭원 및 확장길이 단면유형 설정 및 주행 시뮬레이션 결과
- 확장폭원의 단계별 변화에 대한 검토 : 5개 유형으로 구분(0.0m~3.0m)
【대표적인 유형】
․ 터널 확장폭원 관련 분석
⇨ 심리적 요인에 따른 인지성능 지수화
⇨ 인지성능의 안정감 환산지수
․ 분석결과
확장폭원이 “1.5m”인 경우 최적의 인지성능을 나타낼 것으로 분석됨
- 확장길이의 단계별 변화에 대한 검토 : 9개 유형으로 구분(0.5~15.0m)
【대표적인 유형】
․ 터널 확장길이 관련 분석
▷ 확장길이가 증가하면서 점차 압박감 지수의 감소폭이 축소
▷ 확장길이가 10m이하인 경우에는 확장길이 증가에 따라 압박감지수가 감소,
확장길이 10m부터는 압박감지수의 감소추이가 완만히 진행되며 확장
길이 14m에서는 변화가 없음
․ 분석결과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시 최적 확장길이로는 “10m”가 바람직
□ 갱문 설치위치 특성 고려
○ 직광에 의한 위험율 분석을 통한 안전성확보 방안 강구
: 터널 출구부의 직광노출에 대한 시각적 장애 유발 우려
※ 글레어현상 : 태양광 등의 빛이 눈에 들어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시각
장애현상
○ 주행 방위별 직광 영향검토
○ 분석 Flow
구 분 |
|
주 요 내 용 |
※ 직광 순응시설 설치시(사례)
다. 미관을 고려
○ 면벽식 갱문 벽면재질 다양화
국내터널 갱문형식으로 적용빈도가 높은 면벽형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벽면재질 적용으로 미관 증진 및 주변 자연과 조화로 진입시 중압감 해소
6. 갱문형식 다양화 방안 검토결과
□ 지형특성․노선 연계성을 고려하여 갱문형식 기준 재정립
○ 터널과 경사면 교차조건에 따라 4가지 TYPE 분류
⇨ 경사면 직교형, 경사면 경사교차형, 경사면 평행형, 골짜기 진입형
□ 터널 갱문 적용형식 다양화 및 미관개선 등을 추진
○ 적용빈도가 높은 면벽형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벽면재질 적용
: 미관 증진 및 주변 자연과 조화로 진입시 중압감 해소
○ 터널 입구부의 “확폭형 갱문” 은 기방침(터널갱문 접속방안 검토, 2008.
4.25 설계처)을 적용
- 「TN 갱문설계 흐름도」에 따라 설계추진
-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본 검토내용(최적 확장폭원 및 길이 : 1.5m, 10m)은
시험시공을 통한 검증이후 적용여부 판단
【 향후 추진계획(본 검토내용 : 확장 1.5m, 10m) 】
․2009. 1 ~ 6 : 시험시공 대상구간 선정
․2009. 6 ~ 2010. 12 : 시험시공 시행
․2011년 ~ 2012년 : 확폭터널에 대한 추적조사(사고발생 등)
⇨ 변경여건 발생시 시기를 조정하여 시행
․2013년 : 효과분석 시행 및 적용방안 수립 추진
○ 터널 출구측은 직광에 의한 위험율 분석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용
- 직광영향이 많은 동-서축 노선은 순응시설, 표지판설치 등의 근본적
대책강구
- 기타 노선에 대해서는 직광영향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 분석을
통해 입구측 전광표지판에 관련 문구표출 등 대안을 설계시 제시
7.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주관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