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2-9_고속도로 접속부 회전교차로 적용방안
2024.06.07 15:3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39
2-9 고속도로 접속부 회전교차로 적용방안 설 계 처-2726
(2011. 11. 10)
I 개 요
최근 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 일환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회전
교차로(Round About)에 대한 도로 및 교통여건,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한 고속도로 접속부 적용방안 검토
II 관련기준
o 인터체인지 접속부 처리지침 (설심이 13202-231, 2000. 12.)
- 입체화여부 및 입체화형식 결정기준
o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 개정 (국토해양부, 2009. 12.)
- 규칙 해설편에 회전교차로 형식 도입
- 교통량이 적은 지방지역 교차로 등에 우선 적용 권장
o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제정 (국토해양부, 2010. 12.)
- 국내여건이 고려된 한국형 지침 개발
o 회전교차로 활성화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11. 7.)
-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방지역 고속도로 요금소에 적용 권장
III 접속부 처리절차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0
IV 평면교차로의 비교
□ (비)신호교차로와 회전교차로
구 분 신호 및 비신호교차로 회전교차로
형 태
2.5 2.5 2.5
3.6 3.6
14.7
식재형중분대
테이퍼 가속차로
접근로테이퍼(AT)
차로테이퍼(BT)
좌회전차로(L) 10.0
10.0 7.5
진입차로 테이퍼
감속차로 테이퍼
식재형중분대
2.5 2.5 2.5
3.6 3.6
14.7
중앙교통섬
(40~44m)
화물차턱
(1~3m)
회전차로폭
(5.0~5.5m)
내접원
(50~55m)
특 징
- 교통량이 적은 경우 불필요한 신호대기
및 지체 발생
- 비신호교차로의 경우 교통사고 위험 큼
- 신호등 설치 및 유지관리비용 발생
- 접속도로 기하구조 변경 최소
- 신호대기시간 감소 및 용량증대
- 상충최소화로 교통사고 및 피해정도 감소
(3지교차 9회→6회, 4지교차 32회→8회)
- 신호교차로에 비해 사업비 증가 미미
- 신호등 미설치로 유지관리비용 최소
- 접속도로 기하구조 변경 수반(직선→곡선)
사업비
접속부만 시행시 접속도로 개량시 회전교차로 도입 (사업비 증감)
계 : 3.5억원
공사 : 2.8억원
용지 : 0.7억원
계 : 6.0억원
공사 : 5.3억원
용지 : 0.7억원
계 : 4.0억원
공사 : 3.2억원
용지 : 0.8억원
-접속부만 시행시와 비교시 :
증 0.5억원
-접속도로 개량시와 비교시 :
감 2.0억원
□ 로터리와 회전교차로
구 분 로터리(Traffic Circle) 회전교차로(Roundabout)
형 태
기본원리 진입차량 우선 (회전차량 양보) 회전차량 우선 (진입차량 양보)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1
V 회전교차로의 도입방안 검토
□ 도입 필요성
평면교차로 용량증대 ․ 사고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대안 ➠ 적극적 적용 필요
o 상충횟수 감소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성 감소
차량간 상충 75%, 차량/보행자간 상충 50% 감소
o 교차로 지체도 감소 및 처리용량 증대
신호교차로
불필요한
신호대기 및
지체 발생
회전교차로
회전차로에
주행중인
자동차들간
간격을
이용하여 진입
<대기 및 지체시간 감소>
>
교차로 규모 용량처리 비교
소 형 회전교차로 > 신호교차로
중 형 좌회전 및 직진비율에 따라 상이
대 형 회전교차로 < 신호교차로
o 경제적 편익증대 및 환경오염 예방
경제적 측면
경제적 측면 |
|
교차로당 편익 : 2.4억원/년간(2010년 기준) -운행비용 절감 : 9백만원 -운행시간 단축 : 188백만원 -교통사고 절감 : 33백만원 -대기오염 절감 : 9백만원 유지관리비 절감 : 73백만원(신호등설치70백/년간운영비3백) |
|
|
|
환경적 측면 |
|
지체감소, 정지, 출발횟수 감소로 에너지 및 오염 감소 연료비 28%, CO배출량 29%, NOx 21% 감소 |
※ 자료출처 : 회전교차로 활성화 방안(한국교통연구원, 2010.7)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2
□ 도입에 따른 문제점 검토
o 운전자의 양보가 전제되어야 도입효과 보장
- 도입초기 직선주행 변환에 대한 반감, 통행요령 교육 및 홍보
부족 등으로 운전자들에게 익숙해지는데 상당한 시간 필요
☞ 도입초기 혼선이 최소화되도록 소형교차로에 시범도입 후 확대
o 교통량이 많은 도심지의 회전교차로 도입효과 의문
- 교통량이 많은 경우, 대기행렬이 길어지면 진입 운전자는 좁은 차두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체유발 및 교통사고 증가 예상
☞ 교통량이 적어 신호위반 및 과속이 우려되는 지방지역에 우선 도입
o 접속도로 관리청과의 협의 선결 필요
- 회전교차로 설치로 접속도로의 구조변경과 유지관리구역 변경 수반
< 신호 및 비신호 교차로 > < 회전교차로 >
유지관리경계선
유지관리경계선
☞ 접속도로의 도로관리청이 회전교차로 도입을 수용하는 경우
도입 검토
□ 도입방안
o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방지역 평면교차로에 우선 도입
- 지방지역 시범도입하여 도입효과를 확인 후 도심지 등 확대 적용
o 접속도로 조건 등 고려 최적교차로 형식이라 판단시 도입
- 접속도로의 기하구조, 교통조건, 지형조건, 관계기관 협의 등 고려시
회전교차로가 유리한 형식이라 판단될 경우 도입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3
□ 도입기준
구 분 |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2010.12,국토해양부) |
도입 기준 |
사 유 |
(접속도로) |
|
|
|
설치지역 |
지방지역, 도시지역 |
지방지역 |
교통량 적은 지방지역 교차로에 시범도입 후 도심지 확대적용 |
설계속도 |
70km/h 이하 |
“좌 동” |
동일기준 적용 |
차 로 수 |
편도2차로 이하 |
편도1차로 |
주행변환이 수반됨을 감안 교통량이 적은 편도1차로에 시범도입 후 2차로 확대적용 |
접근로의 수 |
5지 이하 |
4지 이하 |
설치사례가 많은 3지 및 4지교차로에 시범도입 후 5지교차로 확대적용 ※시범사업 92%(84개소)가 3지 및 4지 |
도로관리청 협의 |
- |
접속도로 관리청 수용 조건 |
접속도로 기하구조와 유지관리 구역 변경이 수반됨을 감안 관리청이 회전교차로를 수용하는 경우 도입 ※실시설계 관계기관 협의시 확정 |
(지형조건) |
|
|
|
지형적 제약조건 |
지형적 제약조건 無 (편입용지, 지장물 등) |
“좌 동” |
동일기준 적용 |
(교통조건) |
|
|
|
교차로 교통량 |
(1차로) 2.0만대/일 이하 (2차로) 3.2만대/일 이하 |
“좌 동” |
동일기준 적용 |
개별진입로 차로당 교통량 |
400대/시 이하 |
3지:500대/시이하 4지:400대/시이하 |
고속도로 톨게이트 진출입부의 경우 대부분 3지교차로 3지와 4지로 구분하여 기준 제시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4
VI 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 검토
구 분 |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2010.12,국토해양부) |
적용 기준 |
사 유 |
||
일반 사항 |
회전교차로 유형 |
1차로형, 2차로형 |
1차로형 |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1차로형 시범도입후 2차로형 확대적용 |
|
설계기준 자동차 |
소형, 대형자동차 및 세미트레일러 |
세미트레일러 |
고속도로 설계기준 적용 |
||
접근로 종단경사 |
3.0%이하 |
“좌 동” |
|
||
진입부 |
진입부 최대속도 |
40km/h, 50km/h |
“좌 동” |
|
|
진입부 차로폭 |
5.5m |
“좌 동” |
|
||
진입부 진입각 |
30~40° |
“좌 동” |
|
||
회전부 |
회전차로 설계속도 |
20km/h, 30km/h |
30km/h |
고속도로 유출부 원활한 교통흐름 위해 고규격 적용 |
|
회전차로 폭 |
5.0m(권장), 5.5m |
“좌 동” |
|
||
내접원 지름 |
50m(권장), 55m |
“좌 동” |
|
||
중앙교통섬 지름 |
40m(권장), 44m |
“좌 동” |
|
||
화물차 턱 |
1.0~3.0m |
“좌 동” |
|
||
최소 내외측 길어깨 |
0.5m |
“좌 동” |
|
||
회전차로 횡단경사 |
-2.0% |
“좌 동” |
|
||
화물차턱 횡단경사 |
-3.0~4.0% |
“좌 동” |
|
||
교통섬 |
연석높이 |
25cm이하 |
“좌 동” |
|
|
내부처리방법 |
중앙섬 |
잔디 또는 1.0m이하 되도록 나무식재 |
“좌 동” |
|
|
분리섬 |
잔디 또는 보도블럭 |
“좌 동” |
|
||
※ 우회전 교통량이 많아 직진과 우회전 교통류에 방해가 될 경우 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검토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5
VII 결 론
□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교통분석 후 회전교차로 적용
구 분 |
적용 기준 |
비 고 |
|
접속도로 조건 |
설치지역 |
지방지역 |
도심지 및 편도 2차로, 5지 교차로 등은 향후 도입효과 분석 후 확대 적용 |
설계속도 |
70km/h 이하 |
||
차 로 수 |
편도1차로 |
||
접근로의 수 |
3지 및 4지 |
||
관리청 협의 |
접속도로 관리청 수용 조건 |
||
기 타 |
가변차로 미운영 인접교차로와 신호연동화 미운영 |
||
지형조건 |
지형적 제약 |
편입용지, 지장물 등 제약 無 |
|
교통조건 |
교차로 교통량 |
기준용량(20,000대/일) 이하 |
|
개별 진입로 차로당 교통량 |
3지 : 500대/시 이하 4지 : 400대/시 이하 |
붙임#1 참조 |
※단, 위 기준에 부합되지 않더라도 영업소와 접속도로가 매우 근접하거나
지사 진입도로가 설치되는 등 특별한 경우, 나들목 특성에 맞게 교통
분석을 실시하여 회전교차로가 유리할 경우 적용 가능
□ 향후 추진계획
o 2011년 : 현재 계획 중인(설계 및 시공) 노선에 적용
※시공중 노선은 현장여건 감안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o 2015년 : 회전교차로 효과분석
o 2016년 : 확대 적용(도심지, 편도2차로, 5지교차로 등) 검토
붙 임 #1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결과
#2 설치 상세도 및 부대시설도
#3 공사비 검토
1) 교차로 교통량 : 각 접근로 교통량을 합한 교차로 전체 교통량
2) 개별 진입로 차로당 교통량 : 개별 진입로의 차로당 첨두시 교통량중 가장 큰 값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6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결과
□ 분석조건
o 분석방법
- 교차로 접근로 교통량 비율을 변경시켜가며 서비스수준 분석
-「회전교차로 활성화 방안(2011.7, 국토해양부)」용량산정방법 준용
o 분석프로그램 : VISSIM (Simulation 프로그램)
□ 분석결과
3지
교차로
5
4지
교차로
※ 개별 진입로 교통량이 130~200 및 500~650대/시/차로(3지), 100~150 및 400~500대/시/차로(4지) 범위에서는
교통류 특성과 교차로 주변 여건에 따라 교차로 운영방식 결정
□ 적 용 성
o 모든 경우에 대해 시뮬레이션 수행은 현실적으로 곤란하여 특정
교통량 비율에 대해서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임
o 따라서, 회전교차로 도입을 위한 참고기준으로만 활용하여야 하며,
회전교차로를 도입하는 경우 실제 예상교통량 비율에 따른 교통
분석을 필히 수행할 것
붙 임 #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7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8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49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5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통 및 기하구조
151
교차로 공사비 수량 산출 근거
□ 평면교차 Case 1 (접속도로 가감속부만 설치)
o 포장면적
구 분 |
접속도로부 |
연결로부 |
기 타 |
||||
설치연장 |
설치폭원 |
설치면적 |
설치연장 |
설치폭원 |
설치면적 |
(교차로내) |
|
가속차로 |
145m |
4.5m |
529㎡ |
90m |
3.60m |
270㎡ |
700㎡ |
감속차로 |
125m |
4.5m |
439㎡ |
- |
- |
- |
|
좌회전차로 |
205m |
3.5m |
359㎡ |
126m |
1.25m |
133㎡ |
|
소 계 |
|
|
1,326㎡ |
|
|
403㎡ |
700㎡ |
총 계 |
2,429㎡ |
o 전기시설물
교통신호등 |
세갈래용 교통신호등 1식 |
가로등 설치 |
교차로에서 각 방향별 200m까지 50m간격으로 설치 |
200m ÷ 50m × 3방향 = 12개 |
□ 평면교차 Case 2 (접속도로 개량)
기존도로 개량 |
교차로에서 전후 200m 개량(총 400m) |
포장면적 |
Case 1(2,429㎡) + 400m(연장) × 9m(폭원) = 6,029㎡ |
□ 회전교차로
녹지대떼 |
40×40×3.14÷4=1,256㎡ (녹지대 직경 D=40m) |
비다짐(녹지대) |
녹지대 면적×0.5= 628㎡ (녹지대 두께 0.5㎝) |
포장면적 |
(회전교차로내) 1,794㎡, (교통처리) 200m×9m=1,800㎡ |
회전교차로표지판 |
양보표지 3개, 회전교차로 표지 3개(단주식) |
가로등 설치 |
평면교차로 조건과 동일(12EA)+녹지대(4EA)= 16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