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2_단터널 전기실 및 부전기실 설치위치 개선방안
2024.11.07 10:21
562 ❙ 기 타
912
기 타
단터널 전기실 및 부전기실 설치위치 개선방안 시설처-3745
(2016.11.28)
1 추 진 배 경
현재 단터널 전기실 및 부전기실이 중앙분리 녹지대에 설치
되어 유지관리 편의성 및 작업자 안전성 저하
2 현실태 및 문제점
□ 전기실 현황
구 분 개 요 도 면 적 비 고
500m 미만
전기실
전기 실 : 17.4×6.4=111.4㎡
전체부지 : 18.9×7.9=149.3㎡
500m 이상
1km 미만
전기 실 : 21.4×6.4=136.9㎡
전체부지 : 22.9×7.9=180.9㎡
비상발전기실
포함
1.6km 이상
터널관리동
부전기실 부전기실 : 27.8×11.5=319.7㎡
전체부지 : 35.0×19.5=682.5㎡
지상, 지하 1층
콘크리트 건축물
□ 전기실 설치 위치
o 현재 중앙분리 녹지대 공간 내 설치
전기실 전경 고장 기기 교체
설계행정
기 타 ❙ 56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유지관리 시 문제점
구 분 일반 점검 시 고장 기기 교체 시
개요도
전기실
1차선 차단 필요
전기실
문제점
⦁점검자 도로횡단 시 교통사고 위험
노출 (최소 월 2회 실시)
⦁터널 입구 길어깨 장시간 주차 시
교통 사고 위험 증가
⦁전기실 내 고장 기기 교체 및 수리
시 1차선 차단 필요
⦁입구부 인근 차단 시 교통사고 위험증가
※ 차단비용 : 약 140만원 (1일 8시간)
3 개 선 방 안
유지관리 시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단터널 전기실 및 부전기실을
길어깨 외측에 설치
※ 전기실, 부전기실 인근 회차로 존재 시 중앙분리 녹지대 설치 가능
단터널 전기실 유지보수 차량용 최소 주차 면적 확보
□ 설치 위치 우선 순위
구 분 전기실 설치 위치 우선 순위 비 고
개요도
①
②
③
주차 공간 (폭 2m)
②
①
③
① 순위 : 터널 진입 측 길어깨
(전기실 진입 시 안전)
② 순위 : 터널 진출 측 길어깨
(시야확보 어려움으로 위험)
③ 순위 : 중앙 분리 녹지대
(①②순위 설치 불가 시)
564 ❙ 기 타
□ 설치 위치 별 비교
구 분 당 초 개 선 비 고
개요도
전기실
한전인입
특고압횡단
한전인입
전기실
주차공간
주차공간
최소 폭 2m
공사비
(백만원)
총계 3,366 3,385 증 19백만원
전기공사 3,354 3,364 700m터널기준
부지조성 12 12
용지매입 - 9 부산외곽기준
장 점
⦁전기실 부지조성 및 용지매입
불필요
⦁전력케이블 및 배관 비용 절감
⦁전기시설 유지관리 용이성 향상
⦁전기실 유지관리 시 작업자
안전 확보 가능
⦁1차선 차단 없이 장비 교체 가능
단 점
⦁전기실 유지관리 시 작업자
안전 위협
⦁전기실 장비 교체 및 긴급보수
시 1차선 차단 필요
⦁경우에 따라 추가 용지매입 필요
⦁추가 전기공사비 소요
※ 단터널 전기실 유지관리 주요 업무 내용
업무 내용 업무 주기
업무 시간
(1회당) 업무 참여자
1차선
차단여부
비 고
비상발전기 시험 가동 2회/월 1시간
지사담당자1
전기안전관리자1
×
수배전반 안전점검 2회/월 4시간
지사담당자1
전기안전관리자1
×
자동제어 및 조명설비 점검 1회/월 3시간 점검용역자2 ×
비상발전기, UPS 등 정밀점검 1회/분기 8시간
지사담당자1
전문업체8
×
수전설비 정기검사 1회/연 8시간
지사담당자1
전기안전공사2
×
발전기 유류보충, UPS 배터리 교체 등 필요 시 2시간
지사담당자1
관련업체2
○
MOF 등 고장 기기 교체 고장 시 8시간
지사담당자1
도급업체4
○
설계행정
기 타 ❙ 565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4 향 후 계 획
□ 신규 노선 설계 시 반영
□ 시행 중 노선에 대해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