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470 ❙ 부대공

813

부 대 공

차선(구분선) 규격 검토 교통처-4583

(2016.11.09)

1 추진배경

□ 14년 차선(구분선) 규격을 축소하여 시범적용 중에 있으나,

과거 기존 노선에 비해 시인성 저하에 대한 의견 다수

□ 현 차선 규격에 대한 재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수립으로 교

통안전성 및 고객 만족도 향상

* 구분선 규격변경 (폭 15cm → 13cm, 도색연장 8m → 6m)

『차선도색 시행기준 개선(안) [교통처-897 ‘14. 2. 28]』

2 적용현황

□ 현 적용기준 : 도로교통법 기준 만족

구분선 법적기준

현 기준 참고

공용구간 신설・확장 (과거기준)

폭원(cm) 10 ∼ 15 13 13 15

도색길이(m) 3 ∼ 10 8 6 8

빈길이 도색길이 1∼2배 12m (1.5배) 12m (2배) 12m (1.5배)

□ 규격별 적용현황

◦ (폭원 13cm, 도색연장 6m)‘14년 이후 준공된 경부선 판교-양재

등 5개 구간 (137km)

* (10차로)판교-양재, (6~8차로)냉정-대저, 냉정-서부산, 양산-김해, (4차로)담양-성산,

◦ (폭원 13cm, 도색연장 8m) 그 외 공용중인 노선

설계행정

부대공 ❙ 471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3 현 차선규격에 대한 의견

과거 차선규격의 익숙함과 국도 등에 비해 작은 폭원 등으로

현 차선규격에 대한 시인성 부족 불만 표현

(현행) 폭 13cm, 도색연장 6m (과거) 폭 15cm, 도색연장 8m

□ 운전자 설문조사 결과

◦ 운전자 대다수가 축소된 규격의 구분선에 대해 불만족(79%)

◦ 15cm 폭원 선호(78%)

□ 운송관련기관 및 유지관리부서 의견

◦ 운전자의 시인성 저하, 작은 규격으로 인한 부실시공 오해, 교통관리

편의(차선도색 간격에 맞춰 안전시설 설치) 및 교통사고 예방 등의 사유로

도색연장은 8m(80%), 폭원은 15cm(91%) 시공 필요

* 설문조사 및 의견조회결과 붙임 참조

☞ 네트워크 체계로 구성된 도로망에서 연계된 도로간 차선규격차이로

인한 불만족 표현으로 기인됨

※ 타 도로 차선규격 현황

(자동차 전용도로, 국도) 차선폭원 15cm, 도색길이 3~8m

(민자 고속도로) 차선폭원 13~15cm, 도색길이 6~8m

472 ❙ 부대공

4 개선방안 검토

▷ 운전자, 운송기관, 유지관리부서 현 차선규격에 대해 부정적

▷ 차선폭원 15cm, 도색연장 8m 운영 요구

▷ 운전자의 시인성 등을 감안한 원인분석 및 규격개선 검토 필요

□ 원인분석

◦ 운전자 시선높이 차이에 따른 차선 규격

: 승용차에 비해 화물차에서 보이는 차선폭이 40% 작아 보임

화물차

(h=2.5m)

승용차

(h=1.2m)

◦ 도색연장에 따른 운전자 시인성 변화

- 6m 도색 시 8m 도색에 비해 운전자 시야각(시인성) 감소

* 6m 도색 시 8m에 비해 20m 전방은 19%, 60~80m 전방은 23% 시인성 감소

◦ 도색규격과 시력과의 관계

- 도로주행 중 운전자의 시력 30~40% 감소

* 동체시력(움직이면서 물체를 보거나 움직이는 물체를 볼 때 시력)

: 1.2 시력이 60km/h에서는 0.7, 100km/h에서는 0.4 (출처:교통안전공단)

☞ 시력감소로 인해 도색규격 차이(22%)가 시각적으로는 더욱더

크게 느껴지는 것으로 판단됨.

* 차선규격별 도색면적 비교

구분 도색면적

100m 주행 시

차선수 면적 대비

8m 15cm 1.2㎡ 5 EA 6㎡

6m 13cm 0.78㎡ 6 EA 4.68㎡ -22%

설계행정

부대공 ❙ 473

교통 및

기하구조

토 공

배수공

구조물공

포장공

터널공

부대공

기 타

◦ 도색 폭원(13cm vs 15cm)에 따른 운전자 시선 집중도 분석

- 폭원 13cm : 15cm에 비해 운전자의 시선집중도 약 45% 감소 (VAS 프로그램 분석)

* VAS(Visual Attention Software) : 시선추적(eye tracking)을 통한 시선 주목도 분석

* 세부 검토내용 붙임 참조

□ 개선방안 전문가 자문

경찰청, 내․외부(교통영향평가기관, 본사 관련부서) 전문가 자문 시행

◦ (전문가 자문결과) 고속도로와 같이 통행속도가 빠르고 도로 폭이

넓은 구간의 경우 차선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폭과 도색길이를 크게(15cm, 8m) 하는 것이 바람직함

* 세부 자문내용 붙임 참조

4 추진방안

도색연장 8m, 빈길이 12m, 도색 폭원 15cm로 변경 시행

□ 세부 시행방안

◦ 폭원 13cm, 도색연장 6m 운영 구간(경부선 판교-양재 등 5개 구간, 137km)

☞ 재 도색 시 도색연장 7m, 빈길이 11m, 도색 폭원 15cm로 변경 시공

* 도색길이가 길수록 도로선형의 시인성 확보에 유리하나

* 변경규격의 도색연장과 빈공간 비율(1:1.5)에 맞춰 도색연장 최대 확보

- 도색연장 7m 빈길이 11m (1:1.6)

◦ 그 외 공용중인 노선

☞ 재 도색 시 도색폭원 15cm로 변경 시공(도색연장은 현재 8m로 시행중)

474 ❙ 부대공

◦ 신설, 확장, 설계 중 노선

☞ 도색연장 8m, 빈길이 12m, 도색 폭원 15cm로 시행

□ 차선규격 변경에 따른 사업비 검토

◦ 차선규격을 도색연장 8m, 빈길이 12m, 도색 폭원 15cm로 변경 시

전체 사업비 약 12억 증가(3%, 12억/350억)

◦ 세부 사업비 현황

- 폭원 13cm, 도색연장 6m 운영 구간(판교-양재 등 5개 구간, 137km)

☞ 증 4.8억원(2종 7천만원, 5종 4.1억원)

* 경부선 판교-양재 등 5개 구간(137km) 차선규격별 사업비 비교

총 사업비(2종+5종)

도색 6m:12m

폭원 13cm

도색 6m:12m

폭원 15cm

도색 7m:11m

폭원 15cm

도색 8m:10m

폭원 15cm

3.2억(5천+2.8억) 3.7억(5천+3.2억) 4.8억(7천+4.1억) 5억(7천+4.3억)

- 그 외 공용중인 노선

☞ 증 7억원(2%, 7억/350억, 도색연장은 8m로 시행중)

- 신설․확장 중인 노선

☞ km당 2종은 11만원/차선, 5종은 38만원/차선 증가

* 대부분 도색연장 8m, 도색폭원 15cm로 설계되어 사업비 변동 없음

** 단, 15년 이후 착공한 노선은 변경 필요

- 15년 이후 착공노선 : 아산천안, 광주순환, 창녕밀양, 포항영덕

□ 추진계획

◦ (공용노선) 2017년 이후 차선도색 공사 시 변경된 규격으로 시행

◦ (신설․확장 구간) 방침 시행에 맞춰 차선 규격 변경 시행

◦ (설계중인 노선) 변경된 기준에 맞춰 설계반영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23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1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82
15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2_곡선구간 갈매기표지 및 시선유도도장 개선 file 효선 2024.11.12 92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3_차선(구분선) 규격 검토 file 효선 2024.11.12 969
15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8-14_휴게소 기능 및 안전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11.12 1616
15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_국민안전을 위한 환기구 등 개구부 설계 및 관리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11.12 697
15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2_정기안전점검 및 초기점검 내실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1.12 761
15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3_스마트톨링 도입 대비 톨게이트 디자인 개선 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11.12 1010
15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4_터널관리시설 발주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11.12 984
15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5_녹지대 잔디식재물량 설계반영 기준 file 효선 2024.11.12 1232
15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6_주행안정성 강화를 위한 터널 전기 방재시설 개선 방안 file 효선 2024.11.08 1495
15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7_피난연결통로 유도시설(S-하이라이트) 시범설치 효과분석 file 효선 2024.11.07 1128
15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8_터널 공동구 내 통신관로 위치 및 재질변경 file 효선 2024.11.07 1248
15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9_연결터널 간 연결 케노피 재질 검토 file 효선 2024.11.07 1140
15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0_도로터널 방재시설 지침 개정에 따른 전기시설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1.07 1125
15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1_건설구간 전기시설물 개선 대책 file 효선 2024.11.07 1035
15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2_단터널 전기실 및 부전기실 설치위치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1.07 1096
15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9-13_조경수목 하자 예방을 위한 식재 설계기준 개선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11.06 1105
15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ⅰ_2016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자료집(요약본) file 효선 2024.11.06 1957
15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7년_ⅱ_실무자료집 수록 목록(1998년 통합본 ~ 2015년) file 효선 2024.11.06 1084
15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4.10.30 1006
15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1-1_건설기술용역의 실적관리를 위한『건설기술용역 통합관리 시스템』운영방안 file 효선 2024.10.30 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