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2권 토공 및 배수

 

토공 및 배수

제5편 토공

제6편 배수시설

제7편 암거

제2권

 

제 6 편 배수시설

 

제2권 토공 및 배수

442

3.1 강우

강수는 강우와 강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최고 유출량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강우가 지배적이므로 도로배수 설계 시 유출량은 강우를 대상으로 한다.

3.2 강우와 유출

3.2.1 개요

강우 유출량의 첨두 흐름(peak flow)과 유량은 배수시설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유효

유량(직접적인 표면 유출을 의미하며, 총 강수량의 일부분)은 저류 현상, 침투, 지하수 유출

을 고려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유입량 = 유출량 + 저수량의 변화

강수량 = 저유량 + 증발 + 침투 + 차단 + 지표면 유출

3.2.2 증발

증발이란 물이 액체로부터 기체로 변화되는 과정으로서, 증발은 증기의 순수 이동 비율로

정의된다. 대략 총 강우의 75 % 정도가 지구의 대기로 환원되고 있다. 만일, 장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강우가 예상된다면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3.2.3 차단

증발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환원 될 때까지 땅속에 저장되어 있는 강우량의 일부를 말한다.

차단은 식물이 덮여 있는 지역에서는 총 강우량의 10 ~ 25 % 정도이다.

3. 도로의 수리 수문

제6편 배수시설

443

3.2.4 저류량

오직 증발과 침투만이 가능한 지표에 도달한 강우가 지표의 작은 웅덩이 등에 갇히게 되는

현상을 저류라고 한다. 저류량을 산정하는 경험 방정식(Linsley 1982)은 다음 식 3.1과 같다.

V  Sd ×   e kpe (3.1)

여기서, V : 특정 시점의 저유량(m3)

Sd : 최대 저유 용량(m3)

Pe : 강우 초과 = 총 강우 × (증발, 차단, 침투)(mm/h)

K : Sd

3.2.5 침 투

침투는 지표 유출 현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작용이다. 침투는 지표 표면을 통하여 토양 속으

로 물이 흐르는 것을 말한다. 침투 정도는 식생의 두께와 형태, 지표의 상태, 온도, 강우강

도, 토양의 특성과 수질 등에 영향을 받는다. 식물 등과 같은 식생이 없는 토양의 침투는

숲이나 풀로 덮어 있는 토양보다 3 ~ 7.5배 증가 할 수 있지만, 작물이 심어진 토양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침투를 나타낼 수 있는 경험적인 방법의 하나는 지수법이다. 지

수법은 강우가 지속하는 동안에 침투는 일정한 비율로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이 방법은 강

우 초기에는 침투를 과소평가하고, 강우 말기에는 과대평가하게 된다. 지수법은 침투율이

강우 초기에 일정 비율에 도달하였다고 가정되는 곳에서 수분이 많은 토양이나 강우강도가

큰 곳에 적용해야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75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참고 문헌 file 황대장 2021.01.18 4323
74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3.환경친화적 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870
73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2.기타 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952
72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1.횡단 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1436
71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0.지하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1027
70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9.측도 및 도로 인접지 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874
69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8.비탈면 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2638
68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7.노면배수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4068
67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6.배수시설기준 file 황대장 2021.01.18 2448
66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5.조사 file 황대장 2021.01.18 1010
65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4.배수시설 설계 황대장 2021.01.18 1202
»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3.도로의 수리 수문 file 황대장 2021.01.18 948
63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2.기본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992
62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8 1014
61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14.연약지반 상의 흙쌓기 file 황대장 2021.01.18 4145
60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13.유지관리를 위한 비탈면 대책 황대장 2021.01.18 1409
59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12.비탈면 내진설계 기준 file 황대장 2021.01.18 1345
58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11.낙석방지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1857
57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10.산사태 및 급경사지 관리대책 file 황대장 2021.01.18 1119
56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5편 토공_9.토석류 대책시설 file 황대장 2021.01.18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