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4권 터널

 

터 널

제 9 편 터널

제 9-1 편 터널 본체

제 9-2 편 터널 환기

제 9-3 편 터널 조명

제 9-4 편 터널 방재

제4권

 

제 9-4 편 터널 방재

 

제4권 터널

636

3.1 소화기구

3.1.1 일반사항

(1) 소화기구는 화재 초기의 자기구조단계에 사용하는 수동식 소화기로 소화 성능 및 적응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를 선정해야 한다.

(2) 소화기는 터널 화재 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으므로 일반 터널 이용자가 사용하기에 적절한

위치, 크기, 무게,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3) 소화기란 고체 · 액체 · 기체 소화약제를 가압 또는 축압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직

접 조작하여 소화하는 기구이다.

(4) 이 요령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및 도로터널화재안

전기준(NFSC 603)에 준한다.

3.1.2 기기 사양

(1) 터널 내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① 터널 내 소화기는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한 분말소화기로 소화능력이 A급 3단

위 · B급 5단위 이상이고,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한다.

② 격납, 운반, 소화 조작이 용이한 것으로 한다.

③ 온도 · 습도의 변화에 의해 소화약제가 변질되지 않고 장기간 보존되며, 유지관리가 쉬운

것으로 한다.

(2) 소화기함

① 소화기함의 내 · 외함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한다.

3. 소화설비

제9-4편 터널 방재

637

② 외함의 망입유리는 차량의 운행에 의한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설치하지 않는다.

③ 외함의 개폐장치는 한 번의 동작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손쉽게 파손되지 않는 구조로 한

다. 누름손잡이형은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동작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적용하지 않음을 원

칙으로 한다.

3.1.3 설치 지침

(1) 소화기구

① 소화기구는 50 m 이상의 터널에 설치한다.

② 소화기구의 설치 간격은 50 m 이하로 하고, 주행차로의 측벽(우측 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구조적인 특성 등 현장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③ 대면통행 터널 및 4차로 이상의 일방통행 터널은 양쪽 측벽에 지그재그(교차)로 설치한다.

④ 2개 1조로 소화기구함에 설치하며, 소화기구함은 ʻ소화기ʼ라고 조명식 표지판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고속국도 터널 소화기 표시등은 터널 소화기

표지등 시인성 개선 방안(시설처-1417, 2015.5)의 통합표지등으로 적용한다.

(2) 소화기구함

① 소화기구함의 설치는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함을 표준으로 한다. 단, 기존 터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노출하여 설치할 수 있다.

②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콘센트, 옥내소화전과 함께 설치되는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설치

한다.

③ 화재 사실의 통보, 분실 방지 및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소화기함 문의 개방 시 또는 소화기

탈착 시 자동으로 이상 신호가 통보되도록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단, 500 m 이하로 경보

설비가 설치되지 않는 터널에서는 제외할 수 있다.

④ CCTV나 유고감지설비가 설치되는 터널에서는 이들 설비와 연동하여 경보발생구역에 대

한 집중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4권 터널

638

3.2 옥내소화전설비

3.2.1 일반사항

(1)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이용자 및 터널 관리자에 의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구조물 내에 설치하는 고정식 수동소화설비이다.

(2) 소화용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 옥내소화전함, 전원(상용전원, 비상전원), 방수구, 소방용

호스, 노즐 등으로 구성된다.

(3) 이 요령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옥내소화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및 도로터널화재안

전기준(NFSC 603)에 준한다.

3.2.2 기기 사양

(1) 터널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① 방수구는 구경 40 mm의 단구형으로 한다.

② 노즐 선단의 방수 압력은 0.35 MPa 이상으로 하며, 방수량은 190 ℓ/min 이상으로

한다.

③ 방수구, 소방호스 및 노즐은 소화전함에 비치하며, 소방호스의 총 연장은 45 m 이상으로

한다.

④ 비상전원은 가압송수장치를 4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옥내소화전의 수원은 소화전용으로 설치한다.

3.2.3 설치 지침

(1) 옥내소화전의 배치

① 연장등급이 2등급 이상이거나 방재등급이 2등급 이상인 터널에 설치한다.

② 통행방식에 관계없이 터널 내 차로수가 3차로 이하 터널은 한쪽 측벽에 설치하되, 일방통

행 터널은 주행차로 우측 측벽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터널 구조상 우측 측

벽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좌측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③ 통행방식에 관계없이 터널 내 차로수가 4차로 이상인 터널은 양쪽 측벽에 지그재그로 설

제9-4편 터널 방재

639

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④ 설치 간격은 50 m 이내로 한다.

(2) 옥내소화전의 가압송수장치와 수원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산정한다.

① 동시 사용 소화전의 개소는 2개소로 한다. 단, 4차로 이상의 터널은 3개소로 한다.

② 방수지속시간은 터널의 지역적인 특성상 소방차의 출동 시간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최소

40분 이상으로 한다.

(3) 소화전함

① 소화전함은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제작하며,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등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소화전함에는 ʻ소화전ʼ이라는 표시를 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소화전함의 설치는 터널 라이닝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함을 표준으로 하며, 기존 터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노출하여 설치할 수 있다.

③ 수동식 소화기,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콘센트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설치

한다.

④ 소화전함문의 개폐 시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수신반과 연동되도록 구성

한다.

⑤ 또한, CCTV가 설치되는 터널에서는 CCTV와 연동하여 경보발생구역에 대한 집중 감시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CCTV는 수동으로 연동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3.3 물분무설비

3.3.1 일반사항

(1) 화재 시 소화용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터널 시설이 손상되지 않도록 냉각 보호하고, 복사열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

하는 적극적인 화재진압 수단이다.

(2) 물분무 소화 헤드 또는 노즐는 화재 시 직선류 또는 나선류의 물을 미립상태로 분무하기

제4권 터널

640

위한 기구를 말한다.

(3) 급수배관이란 수원 및 옥외송수구로부터 물분무헤드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한다.

(4) 일제개방밸브란 화재 발생 시 자동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에 의해 열려지는 밸브를 말하며,

방수구역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밸브 폐쇄 기능도 있어야 한다.

(5) 이 요령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물분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4) 및 미분무소화설

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4A)에 준용한다.

3.3.2 기기 사양

(1) 물분무소화설비의 헤드는 도로면(비상주차대, 길어깨에 1m2당 6ℓ/min 이상의 수량을 방수

할 수 있도록 제원 및 설치 간격을 선정한다. 단, 미분무소화설비는 별도로 한다.

(2) 미분무설비의 노즐은 미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104A)을 따라 제원 및 설치 간

격을 선정한다.

3.3.3 설치 지침

(1) 물분무설비(미분무소화설비 포함)는 방재등급이 1등급 이상인 터널에 설치한다.

(2) 물분무설비의 작동(미분무소화설비 포함)은 관리자가 CCTV에 의해서 방수대상구역에 대피

자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방수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급격한 화재의 확산으로 조기에 방

수하는 경우에는 3회 경고 방송을 시행한 후에 방수할 수 있다.

(3) 물문부설비의 방수구역(미분무소화설비 포함)은 25 m ~ 50 m 이상으로 하며, 2 ~ 3구역을

동시에 40분 이상 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4) 물분무설비의 비상 전원(미분무소화설비 포함)은 40분 이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7
175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4편 터널 방재_4.경보설비 file 황대장 2021.01.19 1012
»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4편 터널 방재_3.소화설비 file 황대장 2021.01.19 1033
173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4편 터널 방재_2.도로터널 방재시설 file 황대장 2021.01.19 1281
172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4편 터널 방재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9 893
171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3편 터널 조명_참고 문헌 file 황대장 2021.01.19 959
170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3편 터널 조명_1.터널조명 file 황대장 2021.01.19 2370
169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참고 문헌 file 황대장 2021.01.19 1770
168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6.운전과 제어 file 황대장 2021.01.19 954
167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5.TAB(시험 · 조정 · 평가) file 황대장 2021.01.19 986
166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4.계측기 file 황대장 2021.01.19 902
165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3.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422
164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2.계획 · 조사 file 황대장 2021.01.19 924
163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2편 터널 환기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9 845
162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참고 문헌 황대장 2021.01.19 2215
161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4.쉴드 터널 file 황대장 2021.01.19 1433
160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3.TBM 터널 file 황대장 2021.01.19 1268
159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2.터널 내장 file 황대장 2021.01.19 3096
158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1.단면 확폭부 및 분기부 file 황대장 2021.01.19 990
157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0.계측 file 황대장 2021.01.19 1539
156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9.방수 및 배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