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544 ❙ 부대공

88

부 대 공

교량구간 방호벽 및 방음벽 기초 개선 설계처-1880

(2015.07.06)

1 추 진 배 경

교량구간 방호벽 및 방음벽기초에 대해 설계기준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염해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호등급별 교량 방음벽 기초 높이를

구분 적용하여 추락으로 인한 2차 사고를 예방코자 함

* 개정된 설계기준 : 도로교 설계기준(2015),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2 그간 추진 경위

□ 시멘트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적용방안 (설계처-1662호, 2008.6.23)

o 환경요소 등을 감안 기계타설 소구조물 설계기준 강도 차등 적용

- 일반지역 : 24MPa, 특수지역 : 30MPa

□ 방음벽 표준도 개정 (국토부 간선도로과-79호(2011.1.11), 설계처-337호(2011.2.16))

o 토공부 방음벽 설계기준 정리 및 고속도로․국도 표준도 통일 (교량부 제외)

□ 이상기후 및 제설환경 고려 소구조물 설계기준 개선 (설계처-2328호, 2013.8.1)

o 기계타설 소구조물(중분대, L형측구, 다이크) 강도 상향 : 최소 30MPa 이상

o 이외 구조물(교량난간 포함)은 도로교통연구원에서 적용방안 검토

□ 교량용 방호울타리 SB6등급 적용기준 검토 (설계처-2115호, 2014.8.25)

o SB6등급 방호울타리 적용기준 수립 및 교량용 방호울타리 콘크리트

강도 상향 조정 : 24MPa → 30MPa

※ 철근 규격 변경으로 기계타설 시험시공 전까지 인력타설 우선 시행

□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제․개정 (2012.1, 2015.1)

o 종래 설계기준(2010) 대비 철근 피복두께 및 콘크리트 강도 변경

※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제정 : 2012.1 (2015.1.1부터 시행)

□ 교량 난간 방호벽 콘크리트 표준배합 (포장연구실-378호, 2015.4.29)

o 도로교 설계기준 및 관련시방서에 맞춰 배합기준 검토 : 35MPa 적용

부대공 ❙ 545

부대공

3 설계기준 변경에 따른 개선사항

1. 교량 난간 방호벽(방음벽기초 포함) 콘크리트 강도 및 철근 피복두께

□ 도로교 설계기준 (2012 제정, 2015 개정)

o 설계 내구수명 확보를 위해 염화물에 의한 부식방지, 동결․융해 등

노출환경 등급에 따른최소 적용기준 규정 (붙임 #1 참조)

- 콘크리트 강도 : ED3 등급 적용시 최소 35MPa 이상

- 철근 피복두께 : ED3 등급, 기계타설 기준 적용시 최소 82~83mm 이상

※ ED3 등급: 염화물을함유한물보라에노출된교량부위(차도로부터6m이내모든난간)

【우리공사 설계 적용현황】

구 분

방호벽 방음벽기초

인력타설 기계타설 인력․기계타설

대표

단면도

적용

기준

o 높이 : 1.0~1.27m

o Con'c 강도 : 30MPa

o 피복두께 : 5cm

o 높이 : 1.0~1.27m

o Con'c 강도 : 24MPa*

o 피복두께 : 7cm**

o 높이 : 1.0m

o Con'c 강도 : 24MPa

o 피복두께 : 5cm

기타

사항

* 방호벽 내구성 향상을 위해 Con'c 강도를 일괄 24→30MPa로 상향조정

단, 기계타설 방호벽은 시공성 확인시까지 잠정적으로 기존강도 적용(‘14)

** 기계타설 방호벽 : 배근형태의 요철모양 발생으로 5→7cm로 피복 조정(‘03)

※ 방음벽 기초는 피복 조정시 누락

√. 콘크리트 강도 및 철근 피복두께에 대한 변경기준 반영 필요

546 ❙ 부대공

2. 교량용 방음벽 기초 앵커볼트

□ 강구조 설계기준 (2014)

9.1.9 앵커볼트

(1) 앵커볼트는 주각부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인장 및

전단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2) 앵커볼트의 콘크리트 내 정착관련 규정은 “콘크리트구조기준(2012)”

부록 II를 참고한다.

(3) 앵커볼트의 설계는 9.1.3.3에 따른다.

□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

o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부록Ⅳ) *2007년 개정시 앵커 설계기준 신설 수록

구 분 내 용 비고

안전성

검토항목

인장을 받는 앵커 전단을 받는 앵커

․앵커의강재강도(인장,전단)

․앵커의콘크리트파괴강도

․앵커의뽑힘강도

․앵커의 강재 강도(인장,전단)

․앵커의 파괴강도

․앵커의 콘크리트 프라이아웃강도

□ 기초 연결재 품질기준 개선 (녹색환경처-346호, 2013.1.22)

o 앵커볼트 등 기초연결재의 부적합자재 사용방지를 위해

한국산업표준규격(KS) 준수 및 공급원 승인대상 포함

【우리공사 설계 적용현황】

o 교량용 방음벽기초 표준도 적용 현황

구분 사용규격

KS 규격*

반영 여부

콘크리트 구조기준

반영 여부

앵커볼트

M22~29mm

(L=500~600mm)

× ×

*J형 앵커볼트의 KS 규격(직경) : 24, 30, 36mm 등

√. 방음벽의 앵커볼트 개정기준 반영 필요

부대공 ❙ 547

부대공

3. 교량 방음벽 기초 높이

□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o 교량용 방호울타리 설치기준

- 차량 추락시 2차사고가 우려되는 구간 및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은 SB6 등급으로 설치

방호울타리 설치등급 대상구간 비고

SB6

- 특수구간(타 도로와 교차 등)

-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h=1.27m

SB5 - 기타 일반구간 h=1.0m

【우리공사 설계 적용현황】

o 교량용 방음벽 기초 높이 : 특수구간 등 고려없이 일괄 h=1.0m 적용

√. 방음벽 기초는 방호울타리 기능도 하고 있어 추락으로 인한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방호 등급별 방음벽기초 높이 구분 적용 필요

4. 기타사항

□ 교량 방호벽 타설방법

o 우리공사 기준

- 2014년 SB6등급 방호울타리 적용기준 수립시 철근 변경에

따라 SB6등급 기계타설 시험시공전까지 인력타설 우선적용

√. 음성제천건설사업단 SB6등급 기계타설 시험시공(2015.4) 결과분석을

통한 기계타설 확대 적용 검토

548 ❙ 부대공

4 교량 방호벽(방음벽기초 포함) 개선 검토

1. 교량 방호벽

□ 콘크리트 압축강도 변경【24~30MPa → 35MPa】

o 도로교 설계기준(2015)에 맞춰 철근이 배근되는 방호벽은 35MPa 적용

o 배합비는 도로교통연구원에서 검토한 표준 배합비 사용 (붙임 #2 참조)

※ 노출환경등급에 따른 최소 콘크리트 기준 압축강도(도로교 설계기준, 2015)

노출환경

부식

탄산화에 의한 부식 염화물에 의한 부식 해수의 염화물에 의한 부식

EC1 EC2 EC3 EC4 ED1 ED2 ED3* ES1 ES2 ES3

최소 기준

압축강도(MPa)

21 24 30 30 35 30 35

* ED1(방호벽 배면) : 공기중의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

* ED3(방호벽 전면) : 염화물을함유한물보라에노출된교량부위(차도로부터6m이내의모든난간)

□ 철근 피복두께 변경【기계기준 7cm → 전면부 9cm, 상단․배면부 7cm】

o 도로교 설계기준(2015)에 따른 사용 피복두께* 계산값 (붙임 #3 참조)

구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비고

인력타설

최소피복기준 (65+D/2)mm (55+D/2)mm (45+D/2)mm 당초

계산값 73mm 63mm 53mm 5cm

기계타설

최소피복기준 (75+D/2)mm (55+D/2)mm (55+D/2)mm 당초

계산값 83mm 63mm 63mm 7cm

* 사용 피복두께 : 철근 중심에서 콘크리트표면까지의 최단거리

o 사용 피복두께 변경안

구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비고

철근 피복두께 90mm 70mm 70mm

※ 인력타설시 피복두께를 전면부 75mm, 배면부 65mm로 조정 가능

부대공 ❙ 549

부대공

□ 피복확보 단면 계획【슬라브 확폭없이 방호벽 배면 여유폭 활용, 단면 확대】

구 분 피복확보 단면 계획 비고

개 요

o 슬라브 확폭없이 방호벽 배면 여유폭을 활용하여

방호벽 단면 확대 (방호벽 상단폭 : 230mm→250mm)

o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압축강도 270MPa 이상은 SD400

철근을 사용하므로 연강→고강 변경을 통한 안전율 증대

슬라브

단면도

슬라브

확폭無

방호벽

단면도

당초 변경

인력타설 기계타설

※ 당초기계타설의철근배근도를그대로사용(인력,기계타설배근도동일)

기 타

o 실물충돌시험을 통과한 안전단면을 그대로 유지한 채

콘크리트 강도 및 철근피복 두께만 증대시켜 방호울타리

강도 향상 및 내구성 증대

※ ILM 교량 중분대는 분리형으로 방호벽 배면 여유폭이 전혀 없이

시공중이므로 기계타설시 배면 여유공간 없이도 시공 가능

하단폭 : 33cm

(양방향 30cm 이격)

550 ❙ 부대공

□ 타설 방법【인력타설 우선적용 → 기계타설 우선적용】

o 현재 기준 (설계처-2115호, 2014.8.25)

- SB6등급(h=1.27m) 방호울타리 적용에 있어 철근 변경에 따른

내구성 확보를 위해 기계타설 시험시공 전까지는 인력타설 우선 적용

- 기계타설은 시험시공 후 결과에 따라 확대방안 검토

o SB6등급 방호울타리 시험시공 결과

- 위 치 : 음성-제천건설사업단 제2공구 삼탄1교(L=240m)

- 시공일자 : 2015.4.21~25

- 내 용 : SB6 등급 방호울타리 기계타설 시험시공

(주철근 : H16@250, 배력철근 : H19×7EA, 콘크리트 압축강도 : 30MPa)

- 시공결과 : 성형성 등 시공성 양호, 균열 등 손상 없음

o 타설방법 변경안

- SB6등급 방호울타리 기계타설 시험시공 결과가 양호하므로 향후부터

전체 방호울타리에 대해 기계타설 우선 적용

※ H=1.27m 표준도에서 기존의 H=1.27m의 실물충돌시험 미인증 방호울타리는

삭제하고 실물충돌시험에서 인증된 SB6등급 방호울타리를 등재 (붙임 #4 참조)

부대공 ❙ 551

부대공

2. 교량부 방음벽 기초

□ 콘크리트 압축강도【30MPa → 35MPa】

o 도로교 설계기준에 부합되도록 교량부 방호벽과 동일하게 적용(35MPa)

□ 철근 피복두께 적용【5cm → 전면부 9cm, 상단․배면부 7cm】

o 도로교 설계기준에 부합되도록 교량 방호벽과 동일하게 적용

구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비고

철근 피복두께 90mm 70mm 70mm 당초 5cm

※ 인력타설시 피복두께를 전면부 75mm, 배면부 65mm로 조정 가능

□ 피복확보 단면계획【슬라브 확폭을 통해 방음벽기초 단면 확대】

구 분 피복확보 단면 계획 비고

개 요

o 슬라브 확폭 및 방호벽 배면 여유폭 활용을 통해

방호벽 단면 확대 (방호벽 상단폭 : 400mm→460mm)

o 방호벽과 동일하게 연강→고강 변경을 통한 안전율 증대

※ 앵커볼트 설치를 위한 주철근

최소간격 고려시 철근 간격

축소 불가 → 슬라브 확폭

슬라브

단면도

슬라브

4cm 확폭

방호벽

단면도

당초 변경

기 타 o 중분대측 방음벽(무근제외) 기초도 동일하게 피복두께 변경

552 ❙ 부대공

□ 교량 방음벽 기초 높이 조정【H=1.0m → H=1.0m, 1.27m 구분 적용】

o 설계기준 및 문제점

- 우리공사 설계기준

․교량 방호울타리 : 지형조건 등에 따라 일반구간은 SB5등급(H=1.0m),

특수구간 등은 SB6등급(H=1.27m)을 적용

․교량 방음벽 기초 : 방호시설 등급 구분 없이 일괄 h=1.0m 적용

- 문제점

․SB6 설치대상 교량에 방음벽이 일부 설치될 경우 높이차 발생으로

미관 불량 및 높이가 낮은 방음벽 구간 불안감 발생

․특수 위험구간의 추락사고 발생시 2차 사고 발생 가능

SB6등급 방호벽 방음벽 기초

교면포장 상단

교량 구간

1.27m 1.0m

o 교량 방음벽 관련 해외 현황 (붙임 #5 참조)

- 미국, 영국, 홍콩 등에서 방음벽기초에 대해 방호시설로

안전단면 형상으로 하거나 충돌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음

o 교량 난간부 방음벽 기초높이 조정 검토

- 방음벽 기초는 방호울타리 기능도 겸하고 있으며 해외현황도 참고하여

- 방호울타리의 설치 등급에 따른 높이 구분 적용을 통해 추락으로

인한 2차사고 예방이 타당함

- 교량 난간부 방음벽 기초 높이 적용방안

방호울타리

설치등급

대상구간

방음벽기초 적용

비고

당초 변경

SB6

- 특수구간(타 도로와 교차 등)

-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h=1.0m h=1.27m

SB5 - 기타 일반구간 h=1.0m h=1.0m 변경無

부대공 ❙ 553

부대공

- 단면 적용계획 : 실물충돌시험에서 인증된 안전단면 그대로 사용

구 분 h=1.0m h=1.27m 비고

표준

단면

방음판높이

5.0m이하

주철근

전면부 : H13@100

배면부 : H13@200

전면부 : H13@100

배면부 : H13@200

풍하중

검토

안전율 : 2.0 (배면부)

(Mr : 127kN․m>Mu : 63kN․m)

안전율 : 1.8 (배면부)

(Mr : 127kN․m>Mu : 69kN․m)

도로교

설계기준

충돌하중

검토

SB5등급 기준 만족

(충돌저항력 : 80t > 충돌력 : 34t)

SB6등급 기준 만족

(충돌저항력 : 91t > 충돌력 : 61t)

항복선

이론

※ 교량구간 높이 1.27m구간과 토공부 높이 1.0m구간의 단차 처리방법은 붙임 #6 참조

554 ❙ 부대공

□ 교량용 방음벽기초 앵커볼트 규격 조정

o 현재 표준도 적용 현황

지주규격 Rib-Plate Base-Plate 앵커볼트(MD×L) 비고

125×125×6.5×9 90×150×6 325×325×14 M22×500

200×150×6×9 90×150×6 350×400×16 M25×600 비KS 규격

200×200×8×12 90×150×8 400×400×24 M25×500

- 방음벽전도사례발생방지를위해앵커볼트KS규격준수(녹색환경처-346호, 2013.1.22)

※ 2012. 8 : 태풍 볼라벤에 의한 방음벽 전도

구 분 호남선 176k(광주방향) 무안-광주선 14k(광주방향)

피해전경

-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반영을 통한 앵커볼트 규격조정을 통해

향후 대형 태풍 등에 적극 대처

(콘크리트구조기준: 앵커의뽑힘강도등콘크리트용앵커설계기준2007년신설)

o 교량용 방음벽 기초 앵커볼트 조정안

지주규격 Rib-Plate Base-Plate

앵커볼트

(MD×L)

뽑힘강도 계산 비고

125×125×6.5×9 90×150×6 325×325×14 M24×600

안전율1.10

(허용인장강도160kN

>발생인장강도145kN)

KS

규격 200×150×6×9 90×150×6 350×400×16 M30×700

안전율1.09

(허용인장강도250kN

>발생인장강도229kN)

200×200×8×12 90×150×8 400×400×24 M36×700

안전율1.05

(허용인장강도360kN

>발생인장강도342kN)

부대공 ❙ 555

부대공

5 검토 결론

□ 교량용 방호벽 및 방음벽 기초는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피복두께 상향 조정을 통한 내구성 향상

구 분 콘크리트 압축강도 철근 피복두께 비 고

교량 방호벽 24~30MPa → 35MPa 5~7cm → 7~9cm 증6백만원/km

교량 방음벽 기초 24MPa → 35MPa 5cm → 7~9cm 증12백만원/km

□ 교량 난간부 방음벽 기초는 방호울타리 기능도 있으므로 방호울타리

등급에 맞춰 높이 구분 적용을 통한 추락에 의한 2차사고 방지

방호울타리

등급

대상구간 방음벽기초 높이 비고

SB6

- 특수구간(타 도로와 교차 등)

-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h=1.0m →h=1.27m 증25백만원/km

SB5 - 기타 일반구간 h=1.0m → h=1.0m 변경無

□ 교량용 방음벽 기초 앵커볼트는 부적합자재 사용방지를 위해

한국산업표준규격(KS)을 반영하고, 또한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에

의거 앵커볼트 규격 조정을 통해 향후 대형 태풍 등에 적극 대처

구 분 앵커볼트 직경(mm) 앵커볼트연장(mm) 비 고

J형 앵커볼트 22, 25 → 24, 30, 36 500~600 → 600~700 증5백만원/km

□ 현재 인력타설 우선 시행중인 교량방호벽에 대해서는 시험시공

결과를 반영하여 전체 교량용 방호벽에 대해 기계타설 우선 시행

556 ❙ 부대공

6 향후 적용 방안

□ 설계중 및 실시설계 완료 후 미발주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 주관부서 판단 후 시행

붙 임 : 1. 콘크리트 강도관련 시방서 및 기준

2. 콘크리트 표준 배합비

3. 피복두께 계산결과

4. 교량 난간 방호울타리 적용 형식

5. 교량 난간 방음벽 기초 충돌관련 해외 적용현황

6. 방음벽 기초 단차구간 처리 방법

7. 변경 표준도. 끝.

부대공 ❙ 557

부대공

붙임 #3 방호벽 피복두께 계산 결과

□ 피복두께 적용안

o 철근 공칭 피복두께 계산값 (철근의 표면과 가장 가까운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거리)

구 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인력타설 60+ 5 = 65mm 50+5 = 55mm 40+ 5 = 45mm

기계타설 65+10 = 75mm 50+5 = 55mm 45+10 = 55mm

※ 피복두께 산출근거 참조(tc,min + △tc,dev)

o 철근 사용피복 두께 적용안 (철근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거리)

구 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비고

인력타설

최소피복기준 (65+D/2)mm (55+D/2)mm (45+D/2)mm

당초 5cm

계산값 73mm 63mm 53mm

기계타설

최소피복기준 (75+D/2)mm (55+D/2)mm (55+D/2)mm

당초 7cm

계산값 83mm 63mm 63mm

※ D : 방호벽 외측철근인 수직철근의 직경

◆ 사용피복 두께 적용안 (기계, 인력타설 동일)

구 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비고

인력 및

기계 타설

적용값

90mm

(75mm)

70mm 70mm

(65mm)

※ ( )안의 치수는 인력타설시의 치수임

558 ❙ 부대공

□ 피복두께 산출근거 (도로교 설계기준에 의거 산출)

tc,nom = tc,min + △tc,dev

여기서 tc,nom : 공칭피복두께 (철근의 표면과 가장 가까운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거리)

tc,min : 최소피복두께

△tc,dev : 설계 편차 허용량

o 인력타설

- tc,nom(공칭 피복두께)

구 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인력타설 60+5 = 65mm 50+5 = 55mm 40+5 = 45mm

- tc,min(최소 피복두께)

구분

tc,min

(최소

피복두께)

tc,min,dur

(환경조건

만족하는

최소피복두께)

△tc,dur,ɤ

(고부식성

노출환경에

의한피복두께

증가값)

△tc,dur,st

(스테인레스

철근 사용시

피복두께

감소값)

△tc,dur,add

(코팅 등 보호

조치시 피복

두께 감소값)

기타

철근 위치

변동이없는

슬라브

형상의경우

특별한

품질관리방안이

확보되었다고

승인받은 경우

전면부 60mm 55mm 15mm - - - 5mm - 5mm

상단부 50mm 50mm 10mm - - - 5mm - 5mm

배면부 40mm 45mm 5mm - - - 5mm - 5mm

※ 전면부는 ED3, 배면부는 ED1, 상단부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중간등급인 ED2 노출등급 적용

- △tc,dev(설계 편차 허용량)

구분

△tc,dev

(설계편차허용량)

기본값

피복두께 측정

품질보증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정밀한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프리캐스트인 경우

전면부 5mm 10mm - 5mm -

상단부 5mm 10mm - 5mm -

배면부 5mm 10mm - 5mm -

부대공 ❙ 559

부대공

o 기계타설

- tc,nom(공칭 피복두께)

구 분 전면부 상단부 배면부

기계타설 65+10 = 75mm 50+5 = 55mm 45+10 = 55mm

- tc,min(최소 피복두께)

구분

tc,min

(최소

피복두께)

tc,min,dur

(환경조건

만족하는

최소피복두께)

△tc,dur,ɤ

(고부식성

노출환경에

의한피복두께

증가값)

△tc,dur,st

(스테인레스

철근 사용시

피복두께

감소값)

△tc,dur,add

(코팅 등 보호

조치시 피복

두께 감소값)

기타

철근 위치

변동이없는

슬라브

형상의경우

특별한

품질관리방안이

확보되었다고

승인받은 경우

전면부 65mm 55mm 15mm - - - 5mm

상단부 50mm 50mm 10mm - - - 5mm - 5mm

배면부 45mm 45mm 5mm - - - 5mm

※ 전면부는 ED3, 배면부는 ED1, 상단부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중간등급인 ED2 노출등급 적용

- △tc,dev(설계 편차 허용량)

구분

△tc,dev

(설계편차허용량)

기본값

피복두께 측정

품질보증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정밀한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프리캐스트인 경우

전면부 10mm 10mm - -

상단부 5mm 10mm - 5mm -

배면부 10mm 10mm - -

※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5.4 최소 피복 두께

5.4.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는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하며, 또한 5.4.6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③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다)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40 mm

⇒ 콘크리트 구조기준보다 도로교 설계기준이 더 높은 값으로 산출되므로

도로교 설계기준으로 피복두께를 결정함

560 ❙ 부대공

부대공 ❙ 561

부대공

562 ❙ 부대공

붙임 #6 방음벽 기초 단차구간 처리 방법

□ 대 상

o H=1.27m 방음벽기초와 H=1.0m 방음벽 기초간 27cm 단차 발생구간

□ 지주 설치 위치 (최대한 단차부에 지주를 근접 설치)

o 교량 시종점 중 1개소만 토공부와 연결된 경우

- 교량-토공부간 접속부 단차지점에 맞춰 지주 설치

o 교량 시종점 양측으로 토공부와 연결된 경우

- 양측 중 1개소는 교량-토공 접속부 단차지점에 지주 설치,

나머지 1개소는 교량날개벽 상부에서 방음벽 기초 높이를

조정(지주 설치부 단차 형성)하여 지주 설치

교대 날개벽 상부

교량부 H=1.27m 방음벽 기초 토공부 H=1.0m 방음벽 기초

③ 교대 날개벽구간

② →→→ 교량구간 지주위치 확정 최종 설치 지주

① 최초 단차부

지주 위치 확정

교대 날개벽 상단부 지주 설치부에서 단차처리

토공부 H=1.0m

방음벽 기초

부대공 ❙ 563

부대공

□ 단차구간 틈새 처리방법 (예시)

o 누음차단재 ANGLE과 동일한 두께 1.6mm의 용융아연도금 강재를

이용하여 전면부측에 틈새 차단

구분 내용 비고

개요도

상세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6
14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5_고속도로 안개대비 도로교통 안전 종합대책 file 효선 2024.10.28 1167
14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6_고속도로 차로유도선 설치 개선 file 효선 2024.10.28 403
14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7_개선형 중앙분리대 확대적용 방안 file 효선 2024.10.28 1207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8_교량구간 방호벽 및 방음벽 기초 개선 file 효선 2024.10.28 1216
14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9_방음벽 전면 식수대구간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8 1320
14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10_방음판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25 1007
14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11_이용고객 주행안전을 위한 연성 방호울타리(가드레일) 품질관리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0.25 1447
14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12_금속재 방음자재 품질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10.25 1080
14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13_연약지반 장기침하를 고려한 설계 개선 방안 file 효선 2024.10.25 1246
14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8-14_고속도로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 file 효선 2024.10.24 1053
14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1_『KS 터널조명기준』개정에 따른 고속도로 터널조명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0.24 1212
14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2_표준 LED 조명등 도입에 따른 디밍제어시스템 추진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10.24 1206
14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3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원격관리시스템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4 1101
14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4_터널 소화기 표지등 시인성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4 892
14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5_조경수목 재료할증 및 하자공제율 적용방안 개선 file 효선 2024.10.24 1188
14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6_조경공사용 부자재 적용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10.24 1032
14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7_건설중인 고속도로의 설계변경 관리절차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4 1017
14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8_작업 효율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제설자재창고 표준도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4 546
14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9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슬러지 처리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10.23 651
14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10_건축 설계기준 개선 수립 file 효선 2024.10.23 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