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9-7_나들목 및 분기점의 조명방식 변경
2024.03.06 16:07
559
9-7 나들목 및 분기점의 조명방식 변경 시 설 처-1900
(2009. 5. 20)
1. 검토사유
가. 나들목 및 분기점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조명방식 적용
나. 조명방식별 장·단점을 검토하여 나들목 및 분기점의 최적설계로 민
원예방 및 이용고객 만족도 향상
2. 설치기준
ㅇ 나들목 및 분기점
【(도로조명방식 기준 수립시행(시설전12101-415, 1999. 05. 25)】
- 편도 2~3차로 인터체인지 및 분기점 조명은 가로등주로 설계
- 편도 4차로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 및 분기점의 중앙부 조명은 조명
탑(승·하강식)으로 설계
3. 조명방식별 비교
구 분 조명탑 가로등주 비 고
규 격 승·하강식 17~30M 8.5~12M
장 점
ㅇ다차선에서 균제도 좋음
ㅇ유지보수가 용이
ㅇ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적게 소요
ㅇ가로등주에 비해 미관 양호
ㅇ조명효율이 좋음
ㅇ조명탑에 비해 공사비 저렴
ㅇ유지보수비 및 전력료 저렴
ㅇ도로선형 및 유도기능 좋음
단 점
ㅇ가로등에 비해 공사비가
많이 소요
ㅇ유지보수 및 전력료 많이 소요
ㅇ빛의 확산으로 민원발생
ㅇ조명 효율이 안좋음
ㅇ차로가 복잡한 경우 미관이 나쁨
ㅇ공사기간이 길고 유지관리 불리
ㅇ다차선의 경우 노면 균제도
안좋음
예산
공사비
(백만원) 509 446
(절감액 : 63)
전력료
(백만원/년
)
13.6
8
(절감액 : 5.6)
신 갈
분기점
560
4. 검토결과
영업소 및 휴게소 광장부는 전체 조명방식이 효율적으로 현 방식(조명
탑)대로 유지하고 나들목 및 분기점은 공사비 및 전력료 등 예산절감과
이용객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가로등으로 변경시행
5. 향후 추진계획
ㅇ 향후 나들목 및 분기점 조명설계시 반영
ㅇ 현재 시공중인 공사는 공정을 고려하여 설계변경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