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2-5_교통량이 적은 구간 나들목 설치방안 검토
2024.03.13 17:31
109
2-5 교통량이 적은 구간 나들목 설치방안 검토 설 계 처-6356(2009. 12. 22)
Ⅰ. 검 토 목 적
□ 교통량이 적은 구간(LOS A,B)의 경우 경제적 타당성이 낮아 비용 절감 필요
◦ 교통량과 무관한 고규격형식 적용시 편입용지 과다 등으로 비용 증가
【2009년 도공 국정감사 “김성순 의원” 질의】
◦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노선의 경우 사업추진 취소 또는 보류해야
□ 다이아몬드 등 불완전입체시설 설치시 교통안전성 저하 우려
◦ 교통량이 적은 구간은 자유교통류로서 과속 등에 따른 사고 발생 우려
□ 교통량,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교통량이 적은 구간의 합리적인 출입시설 설치방안을 검토코자함
Ⅱ. 관 련 기 준
□ 인터체인지 접속부 처리지침【설심이13202-231(2000.12.6)】
구 분 세 부 내 용 비고
입체화여부
접속도로
차로수
-2차로 : 평면교차 원칙
-4차로 : 교차로 교통용량 및 접속도로 기능 등 분석 적용
접속지점의
지형조건
-토지이용상황 및 장래 토지이용계획 고려
접속도로
기능
-교차로 간격, 인접교차로와의 위치, 신호처리
유무 등 검토
교통용량 -교차로분석 프로그램(T7F 등) 사용 정밀 분석
입체화
형 식
지형 및
토지이용계획
-지형제약여부, 장래 토지 이용계획, 접속도로
신호교차여부, 입체화 형식 등
교통용량
-입체형식별 교통량 경계기준 검토
-불완전 입체화시 평면교차부 용량제약 등 검토
경제성 -평면교차의 입체화에 따른 경제성 분석
종합검토
-상기항 종합 검토후 입체형식(다이아몬드,
주방향입체, 완전입체 등) 결정
단계건설
검토
평면처리시 -공용개시후 15년 교통량으로 입체화 필요시 대책 강구
입체교차시 -접속도로 확장 계획 등에 따른 공사시기 검토
110
단로부용량
1
2 3
3 4
2
․접속도로 4차로(지방부)
1
2 3
3
4
2
․접속도로 4차로(도시부) X : 접속도로 통과교통량(대/일)
Y : 나들목 진출입교통량(대/일)
① : 평면교차
② : 주방향 입체교차
③ : 다이아몬드형
④ : 완전입체교차
Ⅲ. 설치현황 및 문제점
1. 설치현황
□ 교차형식별 적용현황
◦ 본선접속부의 경우 전부 입체교차이며 트럼펫 형식이 87%를 차지
◦ 접속도로 접속부의 경우 평면교차가 약 62%를 차지
※ 나들목 형식(2009.9월 현재) (단위 : 개소)
구 분
입체교차
평면교차
트럼펫 클로바 직결․준직결 다이아몬드
본선접속부 219 15 8 9 -
접속도로 접속부 59 4 12 15 151
□ 교통량별 교차형식 적용현황
◦ 본선접속부
- 교통량이 적은(1만대/일 이하) 구간의 경우도 트럼펫 형식 약 49.8% 적용
- 교통량이 적은(1만대/일 이하) 경우 다이아몬드는 약 2.4% 적용으로 미미
※ 교통량별 본선접속부 나들목 형식(2009.9월 현재) (단위 : 개소)
79
48 41
15 23 20 10 8 3 4 6 2 2 0 3 1 3 2 0 0 1 1 0 4 0 0
221
9
0
50
100
150
200
250
계 5천이하 5천~1만 1만~2만 2만~3만 3만~5만 5만이상
트럼펫
클로바
직결,준직결
다이아몬드
111
◦ 접속도로 접속부
- 교통량이 적은(1만대/일 이하) 경우에도 트럼펫 형식 약 10% 적용
※ 교통량별 접속도로접속부 나들목 형식(2009.9월 현재)
(단위 : 개소)
59
10 13 17 412 0 4 1 3 0 3 9 0 2 6 0 0 4 3 0
15 5 3 4 0 0 3
151
66
30 21 14 16
4
0
50
100
150
200
계 5천이하 5천~1만 1만~2만 2만~3만 3만~5만 5만이상
트럼펫
클로바
직결,준직결
다이아몬드
평면교차
2. 문제점
□ 접속부 교차형식 적용시 본선접속부 등에 대한 세부기준이 없음
◦ 교통량이 적은 구간의 경우 트럼펫 등 고규격 적용시 비용 과다 소요
◦ 교통량, 경제성 등에 대한 고려가 없어 교차형식 적용시 일관성 결여
☞ 교통량, 경제성 등을 고려 접속부 교차형식 및 본선접속부 적용기준 마련 필요
□ 불완전 입체형식 등 적용시 교통안전 고려 미흡
◦ 독일의 경우 다이아몬드 형식 적용시 사고발생이 가장 많음 (약 55.1%)
- 회전사고의 경우 다이아몬드형이 트럼펫형보다 높음(약4.6배)
※ 인터체인지 형식별 사고건수 및 유형【입체교차로 설치지침 연구보고서, 건교부, 2005.12】
구 분 다이아몬드형 불완전클로버형 트럼펫형
사고건수 27 10 12
독일식
사고유형
회전사고 9(60%) 4(27%) 2(13%)
일직선상에서의 사고 11 1 8
기타사고 7 5 -
◦ 트럼펫 B형의 경우 A형에 비해 사고 발생이 다소 높음
- B형의 경우 Roop Ramp를 감속차로로 이용함에 따라 안전성 다소 부족
112
※ 트럼펫형 A, B형 사고현황【트럼펫형 IC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도로학회, 2007】
구 분 A형 B형
개요도
사고건수 8.7 건수/개소수 10 건수/개소수
☞ 다이아몬드, 트럼펫 형식 적용기준 개선 필요
□ 서비스수준과 무관하게 가속차로 길이 적용
◦ 교통분석 결과 서비스수준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도 연결로 가속길이 과다 적용
※ 연결로 설계속도에 따른 가속길이【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
구 분
V=40km/h V=50km/h V=60km/h
계산값 적용값 계산값 적용값 계산값 적용값
가속길이 300 300 265 300 220 300
☞ 교통량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가속차로 길이 산정 필요
Ⅳ. 개선방안
1. 접속부 교차형식 세부 적용기준 마련
□ 본선 접속부
◦ 교통량, 현지여건 등에 따라 교통분석 후 경제성, 안전성, 환경성,
토지이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적용(붙임#1 나들목 형식별 특징 참조)
◦ 교통안전성을 고려 가급적 입체, 또는 불완전 입체형식 적용 원칙
- 다이아몬드 형식 적용시 『VISSIM에 의한 시뮬레이션 분석』후
본선에 미치는 영향 검토후 적용(붙임#2 “분석예” 참조)
☞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약 210억)이 트럼펫형(약250억) 보다 저렴(약 84%)
□ 접속도로 접속부
◦ 교통량, 접속도로 성격, 현지여건 등을 고려 교통분석 후 평면교차를
원칙으로 적용하되, 국도Ⅰ등급은 입체교차 원칙
113
※ 교차방법별 적용가능 형식
구 분 입체교차 불완전 입체교차 평면교차
적용형식
트럼펫, 클로바,
직결․준직결 등
다이아몬드,
변형 준직결 등
신호 및 비신호 교차,
회전교차로(Round About) 등
◦ 회전교차로(Round About)는 2010년 이후 국토해양부 세부지침 마련후 적용
- 진출입 교통량 20,000대/일 미만일 경우 적용 검토【회전교차로 잠정지침, 국토부, 2004】
2. 안전성 향상을 위한 교차형식 적용기준 개선
□ 다이아몬드 형식 교차점 등 설계기준 개선
◦ 교차지점 안전성 향상을 위해 시거 확보방안 마련
- 현지여건 등을 고려 본선 상부에서 육교로 횡단하는 방안 검토
- 본선 하부 통과시 교차지점 시거삼각형 확보토록 가각처리, 교량연장 35m이상 확보
◦ 다이아몬드 형식 연결로간 분․합류부 선형설계 개선
- 연결로간 분․합류부의 평면곡선 적용시 설계속도가 높은 쪽의 기준 적용
- 연결로 분․합류부 접속단간의 간격을 고려 차로수 결정
․ 위빙, 합류 영향거리 등을 고려 영업소 광장부 끝지점과 노즈사이의
이격거리가 300m이내 경우 2차로 설치
감속차로 가속차로
d
v
- v
S :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주행한 거리(m)
v1 : 유출부 평균
주행 속도(m/sec)
v2 : 감속차로 시점부
도달속도(m/sec)
d :감속도(1.96 m/sec2)
a
V
-V
L : 가속차로 소요길이(m)
V1 : 가속차로 시점부
초기속도(km/h)
V2 : 가속차로 종점부
도달속도(km/h)
a : 평균 가속도
114
□ 트럼펫 형식 적용시 B형 적용 가급적 지양
◦ 부득이 B형 적용시 복합곡선 적용으로 교차각 개선, 감속유도표지 및
미끄럼 방지시설 설치 등 검토 적용
교차각 개선 감속유도표지설치“예” 미끄럼 방지시설
3. 연결로 가속차로길이 적용시 계산값 적용
□ 연결로 합류부 교통분석 후 서비스수준(LOS D) 확보시 가속차로 길이는
설계속도에 따른 계산값을 적용
※ 본선 설계속도 100㎞/h의 경우 테이퍼를 제외한 가속차로 길이 (단위 : m)
설계속도(㎞/h) 당 초 변 경 증 감
40 300 300 -
50 300 265 감35
60 300 220 감80
Ⅴ. 검 토 결 론
1. 검토결론
□ 교통량이 적은 구간(LOS "A,B")의 경우 본선 및 접속도로 접속부
교차형식은 교통량, 현지여건, 접속도로 성격 등을 고려하여 교통분석후
결정하되, 교통안전성에 지장이 없는 경우 가급적 경제성을 우선
고려하여 적용
□ 교통안전성 향상을 위해
◦ 다이아몬드 형식은
- 동선 교차지점은 가각처리 및 육교 교량길이를 연장하고,
- 분․합류부는 설계속도가 높은 쪽의 평면선형을 적용하며,
- 영업소 광장부와 연결로 분․합류부의 거리가 300m미만인 경우 위빙을
고려 차로를 축소하지 않고 2차로로 영업소 광장부까지 설치
115
◦ 트럼펫 형식은
- 가급적 A形을 적용하되, 부득이 B形 적용시에는 교차각 개선,
미끄럼방지포장 등 시행
□ 연결로 가속차로길이는 연결로 접속부 교통분석후 서비스수준이
확보되는 경우 계산값 적용
※ 적용사례
◦ 현재 실시설계중인 부산외곽순환 고속도로 적용시 70억원 절감 가능
- 나들목별 공사비 절감가능액 (단위 : 억원)
공구 나들목 본선LOS
당초(안) 변경(안)
공사비 증감
공사비 형식 공사비 형식
1,247 1,177 감 70
1 진영 B 243 트럼펫 219 다이아몬드 감 24
3 광재 B 283 직결Y 257 다이아몬드 감 26
7 금정 B 200 트럼펫 180 다이아몬드 감 20
2. 적용방안
◦ 설계중인 신설노선부터 본 방침적용
※ 확장노선 : 현장여건 감안하여 적용여부 판단
116
【첨부#1】나들목 형식별 특징
□ 나들목 형식별 특징
구분 트럼펫 다이아몬드 직결 또는 준직결
개
요
도
적 용
예
◦주교통량이 명확
◦중차량 비율이 높은 경우
◦용지확보가 용이한 경우
◦분기점에 요금소가
병설되는 경우
◦주교통량≒부교통량
◦중차량 비율이 낮은 경우
◦용지확보에 제약이 있는 경우
◦주교통량≒부교통량
◦중차량 비율이 높은 경우
◦용지확보에 제약이 있는 경우
◦주로 고규격의 도로와
일반도로와의 인터
체인지에 사용됨
장 ․
단 점
◦공사비 및 용지비 최대
- 편입면적 : 약 15만㎥
- 공 사 비 : 약 250억원
◦우회거리가 길어 교통
경제상 불리
◦연속류로 교통흐름이
원활
◦주방향에 대한 선택이
용이
◦일반적으로 사고발생
비율이 낮으나, 루프
연결로를 유출측으로
사용할 경우 선형 및
감속차로 부족시 사고
발생비율이 다소 높음
(2.4건/년․개소)
◦공사비 및 용지비 최소
- 편입면적 : 약 11만㎥
- 공 사 비 : 약 210억원
◦우회거리가 짧아 교통경제상
유리
◦단속류로 도류화 및
신호교차로 설치 불가피
◦평면교차부 발생으로 용량이
감소
◦역주행 사고발생 우려 및
연결로 평면교차부에서
사고 발생비율이 다소 높음
(3.9건/년․개소)
◦공사비 및 용지비 보통
- 편입면적 : 약 13만㎥
- 공 사 비 : 약 230억원
◦좌회전 교통류 통행거리
최소화
◦연속류로 교통흐름이
원활
◦전방향 직결처리로
주행속도와 용량 증대
◦곡선이 완화곡선 형태를
갖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주행궤적을 유지
◦완전 입체형식 적용시
종단선형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