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16 ❙ 토 공

32

토 공

비탈면 토사유실 최소화 방안 검토 설계처-2678

(2014.10.30)

1 검 토 배 경

◇ 비탈면 붕괴유형중 토사유실이 높은 비율을 차지

* 공용중 비탈면 피해중 표면유실이 80%

◇ 높은 발생비율에도 피해규모가 작아 설계기준 개선 등 비탈면

유실 최소화를 위한 노력 미미

◇ 설계단계 비탈면 유실 최소화를 위한 관련기준 개선 검토

□ 최근 5년간 비탈면 붕괴현황 (2008~2013년)

o 피해유형 분석결과 절토부에 집중되며, 특히 표면유실이 다수 차지

비탈면 피해 위치 절토부 피해 유형

□ 토사유실 피해유형

o (표면유실) 불투수층의 상부에 위치한 토사층이 강우로 인하여 전단

강도가 상실되어 발생(토심 약 2m이내)

개통 초기 유실 쌓기비탈면 유실 암반위 얕은 토층 유실

o (배수불량) 강우시 표면수의 산마루측구 배면 침투, 도수로 및 집수정

월류, 측구내 토사유입으로 비탈면유실

표면수 측구 배면 침투 도수로 및 집수정 월류 측구내 토사유입

토 공 ❙ 117

토 공

2 그간 추진현황

◇ 비탈면 토사유실 예방을 위한 각종 기준을 수립․시행하였으나

매년 집중호우시 토사유실이 발생되고 있어 추가적인 대책 필요

 산지부 도로설계 기준 검토(’06.12, 설계처)

o 표면보호공법 : Seed-spray+거적덮기(세굴구간), 식생기반재 취부공법(건조척박토양)

o 배수시설 규격 확대 : 설계빈도 상향 (당초 10년 → 산지 20년)

- 배수시설 유입부 및 유출부 개선(집수정 규격 확대)

․집수정 폭(B) : 700→900mm ․연결배수구(Φ) : 400→600mm

 깎기비탈면 설계기준 개선(`08.10, 설계처)

o 계곡부 도수로 규격 확대 : 추가 규격(1,000×600mm) 제시

 집중호우 피해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개선(`09.12, 설계처)

o 집수정 및 연결수로 규격 확대

- 현행 1.0×0.9m ⇒ 추가 1.2×0.9m(연결수로 D800), 1.4×0.9m(연결수로 D1,000)

 깎기비탈면 수평배수공 설계 및 시공지침(`11.02, 도로교통연구원)」

o 수평배수공 설계시 설치구간의 지반조건 및 수량산출기준 제시

- 지반조건 : 투수층과 불투수층의 경계부, 붕적층 등

- 수량산출 : 50㎡당 1개 반영(시공중 지반조건 확인 관찰후 결정)

 절토비탈면 배수시설 개선방안(’12.09, 기술심사처)

o 산마루측구 형식-1 구간 형식 개선

- 일반구간 V형, 세굴 우려구간 L형

 화강풍화토 비탈면 녹화공법 적용방안(’14.03, 도로교통연구원)

o 화강풍화토 등 세굴 예상구간 건조척박한 도양 : Ex-spray 적용

o 설계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시행

-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염기치환용량, 전질소량, 유효태인산함유량

118 ❙ 토 공

3 실태분석

비탈면 유실의 원인은 녹화불량, 비탈면 배수불량, 지질특성(낮은

토심, 화강풍화토)이 미고려된 안정해석의 원인이 있음

 토질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녹화공법 적용

o 토질조사시 토사층에 대한 조사 및 분석 미흡

- 실트질 성분(ML, SM)이 많을수록 소성이 낮을수록 세굴에 취약

o 일괄적인 Seed Spray 적용*으로 식생 불량구간 다수 발생

* 토사 : seed spray, 리핑암 : seed spray, 발파암 : 식생기반취부공(미관필요시)

- 깎기작업 난이도로 분류하여 일괄적인 보호공법 적용

- 화강풍화토의 경우 점착성분이 없어 침식이 발생되고 활착이 불량

⇒ 시공중 식생이 불량한 구간에 대하여는 표면유실 방지공법 시행

토록 설계시 공사비 반영 필요

o 비탈면 공정관리 미흡으로 개통초기 비탈면 유실 발생

- 비탈면의 공사특성(장기간 공사시행, 공사시행 용이)상 주요 공정계획

수립시 후순위에 놓여 준공년도 공사시행 사례 다수

- 대부분의 비탈면 유실은 개통초기에 발생함에도 이에 대한 고려 미흡

* 여주∼양평구간 개통초기 비탈면 유실 40건, 복구금액 51억원

개통후 경과년도 계 1년 2년 3년 4년 5년

개소 119 21 32 30 25 11

금액(백만원) 25,649 2,982 5,646 9,259 4,805 2,957

- 비탈면 조기 녹화를 위한 공정계획(녹화시기) 수립 필요

토 공 ❙ 119

토 공

 비탈면 배수 불량

o 산마루측구 배면의 침투수로 인한 비탈면 붕괴 다수 발생

- 지반여건 및 되메우기 재료에 따라 우수침투로 비탈면 파괴 발생

․시공시 측구 배면 지반과의 밀착 불량으로 우수 침투

o 산마루측구 퇴적물로 인한 통수능력 부족으로 월류 발생

- 측구 배면 녹화불량으로 토사유입, 나뭇가지 및 낙엽 등의 퇴적 발생

⇒ 지반상태를 고려한 되메우기 재료개선, 지형여건(급경사, 오목부 등)에

맞는 맞춤형 측구 시공 필요

 깎기 비탈면(토사층) 안정해석 방법 불합리

o 국내 비탈면 지층은 토심이 낮고 기반암 출현함에도 이에 고려 미흡

- 토사와 풍화암의 경계부에서 지하수위 형성될 경우가 많음

- 강우시 지표의 강우침투로 인해 습윤구간이 형성되어, 지반 강도정수

(점착력) 감소되며 포화심도는 0.5~3.0m임

o 강우시 원호활동이 아닌 평면적인 얇은 지표면 포화대를 따라 발생하는

파괴거동(얕은 파괴)에 대한 안정해석 필요

- 단기간 강우로 인한 지하수위 상승은 미미

- 강우 지표침투시 전단강도가 감소하고 포화단위중량에 의한 활동력

증가로 앝은 파괴 발생

※ 비탈면 강우시 수위 현황

120 ❙ 토 공

4 개선방안 검토

화강풍화토구간 녹화 신공법을 적용하고, 산마루측구 되메우기 재료

개선(소일시멘트), 얕은파괴 해석 시행을 통하여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1 녹화공법 부문

□ 토질 특성을 고려한 녹화공법 적용

o 설계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시행

*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염기치환용량, 전질소량, 유효태인산함유량

- 시험을 통해 건조 척박한 토양 유무 결정

- 토양경도값 측정을 통해 세굴예상구간 판단

o 설계시 토사비탈면 녹화공법 적용성 강화

- 보통토사 : Seed-spray

- 화강풍화토 등 세굴예상구간, 건조 척박한 토양 : Ex-spray*

* 현장여건,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시공중 품질확보가 가능한 공법 적용 가능

- 경질토사, 급경사(45°) 구간 :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o 시공중 시험시공을 통해 다양한 녹화공법 선정

※「화강풍화토 비탈면 녹화공법 적용방안, 2014. 3. 도로교통연구원」참조

□ 토사유실 방지공법 반영

o 설계시 녹화불량구간, 세굴구간의 정확한 선정이 곤란

o 설계시 토사유실 방지 대책공법 반영, 시공중 적용구간 재검토

- 대책공법 : 덮개식 돌망태(매트리스 개비온), 식생기반재 취부공법 등

- 녹화면적의 5% 설계반영, 시공중 녹화불량구간 시공후 정산

※ 붙임 #1 비탈면 녹화공법 조사, 설계, 시공 개선방안 참조

토 공 ❙ 121

토 공

2 배수시설 부문

□ 산마루측구 되메우기 재료 개선

o 재료상태를 고려하여 시공방법 결정

- 사질토, 화강풍화토 등 투수성 지반의 경우 소일시멘트 채움* 적용

구 분 현 재(기존형식) 추가 (안)

방 법 양질의 토사 되메우기 소일시멘트 채움

단 면 도

2종(Φ25M/M)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양질토

1:4

1:S

1:0.3

VAR VAR

300 1,010 300

120 120

150 450 150

600 500 VAR

Soil 시멘트

비양질토

h/2

VAR

1:4

1:S

1:0.3

VAR VAR

2종(Φ25M/M) 300 1,010 300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120 120

150 450 150

600 500

적용구간 양질의 토사 사질토, 붕적토(화강풍화토) 등투수성 지반

특 징

- 녹화 양호

- 우수침투 예방

- 재료 보완을 통한 우수침투 예방

- 부분적 녹화 가능

단 가 82,484원/m 117,786원/m

* 상주안동건설사업단 시험시공 결과 유지관리측면, 시공성, 경제성 측면에서

소일시멘트 채움이 유리

※ 붙임 #2 산마루측구 시험시공 비교(안) 참조

□ 맞춤형 배수시설 설계 및 시공

o 지형여건을 고려한 설계 및 시공

- 비탈면 상단 오목부, 계곡부 토사유출 방지를 위한 보강시설 설치

․보강시설 : 콘크리트, 돌쌓기, 돌망태 등

- 표면수와 지하수, 용수를 고려 수평배수공 및 측구 설치

122 ❙ 토 공

․토질조사 및 지표지질조사를 근거로 대상구간 시설물을 설계반영하고

시공시 지하수 및 투수층을 재검토, 계획 변경하여 공사시행

※「깎기비탈면 수평배수공 설계 및 시공지침(안), 2010.12. 도로교통연구원」참조

o 배수 취약구간 설계․시공시 유의사항

- 깎기비탈면 높이 20m 이상

․소단측구는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최소 종단경사 0.5% 이상 유지

․소단측구는 깎기비탈면과 접속되어 토사 퇴적을 고려 수리계산

(통수단면의 80%에서 60%로 변경)

⇒ 통수량 부족지점 깎기부 도수로 설치

※ 붙임 #3 소단측구 수리계산 참조

- 터널 입출구부*, 비탈면 상단 오목부

* 갱구부 형성을 위한 깎기공사로 계곡부가 형성되어 배수 집중현상 발생

(산마루측구+소단측구+도수로+U형수로+집수정+횡단배수+종배수)

․노선선정시 터널 입출구부 지형, 지질, 지하수 조사를 통해 대규모

비탈면 및 배수집중이 미발생 되도록 검토 철저

․유역면적 조사 철저 : 산마루측구 유입면적 + 하천(오목부) 유입면적

․배수구조물 연결 유출부 월류방지, 유속저감을 위한 단면확대,

집수정 및 월류방지턱 설치

※ 붙임 #4 배수구조물 연결 유출부 상세도 참조

토 공 ❙ 123

토 공

3 안정해석 부문

□ 강우침투를 고려한 얕은파괴 해석 수행

o 대상 구간

- 비탈면 높이에 비해 활동면 깊이가 작은 경우, 토층이 얇은 경우

- 느슨한 사질토, 화강풍화토 구간

o 지반조사

- 조사 시험을 통한 지반물성치(강도정수 :  ) 산정 반영

- 지표 침투율 측정 (필요시 문헌값 적용)

o 침투해석 수행

- 함수특성곡선 사용 (함수비와 모관흡수력 관계곡선)

- 강우지속시간 : 48시간 적용

※ 강우조건은 과거 50년 동안 해당지역 최대 강우기록의 가장 불리한 48시간

범위의 강우기록 적용, 지표침투율 이상의 강우강도 값은 지표침투율 값 적용

o 실제 활동 형상에 맞도록 파괴선 적용

- 강우에 의한 지표면 침투 범위(두께) 파악 (포화도 85% 구간)

․침투깊이 산정 : Pradel & Raal 방법

- 원호활동 파괴선 ⇒ 최적화 파괴선 탐색 (무작위 탐색기법 적용)

1단계 : 원호파괴 2단계 : 취약부위 선정 3단계 : 얕은파괴

지표면에서 침투범위를

파악하여 표층파괴면을

예상하여 안정성 해석

※ 침투범위 산정곤란시

지표면에서 깊이 3m

F.S = 1.32 > 1.3 (O.K) 구간 포화로 가정 F.S = 1.21 < 1.3 (N.G)

- 집중호우시 표면부터 포화(0.5~3m)되며 지반정수가 감소됨으로 비탈면의 취약한

지점을 중심으로 무한병진활동 안정해석을 통해 앝은파괴 가능여부 판단

※ 붙임 #5 비탈면 앝은파괴 안정해석(예) 참조

124 ❙ 토 공

5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설계완료 미발주 노선 : 보완설계시 적용

□ 시공중인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주관(시행)부서에서

판단후 적용

붙 임 : 1. 비탈면 녹화공법 조사, 설계, 시공 개선방안

2. 산마루측구 시험시공 비교(안)

3. 소단측구 수리계산

4. 배수구조물 연결 유출입부 상세도

5. 비탈면 얕은파괴 안정해석(예)

토 공 ❙ 125

토 공

붙임 #1 비탈면 녹화공법 조사, 설계, 시공 개선방안

구 분 현 행 변 경

조사

설계

o 시험굴조사, 시추조사 실내시험

- 녹화공법 적용을 위한 토질상태

분석 미흡

(함수비, 비중, 체분석, 입도분석 등)

o 일괄적인 녹화공법 적용

- 보통토사 : Seed-spray

- 심각한 세굴예상구간 :

Seed-spray + 거적덮기

- 건조척박한 토양, 견고한 점토질 :

식생기반재 취부공법

o 지표지질조사, 토질조사 철저

- 인근지역 시공자료 조사(도로, 철도비탈면)

- 시추조사, 시험굴 조사 시 흙의 공학적

분류 및 검증 철저

o 토양의 화학적 특성관련 시험항목(5개) 추가

- 건조척박한 토양 구분을 위한 시험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염기치환용량,

전질소량, 유효태인산함유량)

o 토질특성에 따른 녹화공법 적용

- 보통토사 : Seed-spray

- 화강풍화토 등 세굴예상구간 :

Ex-spray(형식-1)

- 화강풍화토 등 세굴예상구간, 건조

척박한 토양 : Ex-spray(형식-2)

- 경질토사, 급경사(45°)구간 :

얇은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t=1~3cm)

o 설계시 녹화불량구간, 세굴구간의 정확한

조사가 불가능하므로 시공중 토사유실

구간 방지를 위한 대책공법(덮개식 돌망

태, 식생기반재뿜어붙이기) 설계반영

시공

o 비탈면 공정관리 미흡

- 준공년도 공사시행 다수

- 개통초기 비탈면 유실

o 유지관리시 비탈면 유실구간 덮개식

돌망태 공법 시공

o 비탈면 공정관리 철저

- 대규모 비탈면 조기 공정 추진

- 녹확공법 최적시기 시행

o 시험시공을 통한 최적의 녹화공법 선정

o 하도급계약 저가심사를 통한 품질저하

예방(설계금액 대비 63% 기준)

o 침식방지 안정제의 침식방지 성능 확인

o 시공중 녹화불량구간, 세굴구간 발생시

대책공법 적용

수량

산출

o 전개도를 통한 일괄적인 녹화공법

면적 수량산출

o 토질특성에 맞는 녹화공법 면적 수량산출

o 시공중 비탈면 녹화불량구간, 토사유실 구간

보호를 위한 대책공법 수량 반영

(전체 녹화 면적의 5% 설계반영, 시공중 정산)

126 ❙ 토 공

□ 토질특성에 따른 비탈면 녹화공법 적용방안

구 분 현 행 개 선

토사

비탈면

쌓기

․ 보통토사 : Seed-spray

․ 마사토 등 세굴예상 구간 :

Seed-spray + 거적덮기

․ 보통토사 : Seed-spray

․ 마사토 등1) 세굴예상 구간2) :

Ex-spray(형식-1)

․ 건조 척박한 토양3) :

Ex-spray(형식-2)

깎기

․ 보통토사 : Seed-spray

․ 심각한 세굴예상 구간 :

Seed-spray + 거적덮기

․ 건조 척박한 토양, 견고한 점토질 :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 *지질조건 : 모래, 실트질모래,

화강풍화토 지역

․ 보통토사 : Seed-spray

․ 마사토 등 세굴예상 구간, 건조 척박한 토양 : Ex-spray(형식-2)

․ 경질토사4) 구간 : 얇은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t=1~3cm)

1) 마사토 등은 지질조건이 모래, 실트질 모래, 화강풍화토 지역.

2) 세굴우려 구간은 산중식 토양경도계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며, 총 10곳의

위치에서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토양경도 값이 10mm 미만인 구간

3) 건조 척박한 토양은 아래 표와 같이 토양의 화학적 평가등급이

“하급”이하인 토양

평가항목

평가기준

항 목 단 위

유기물함량(O.M.) % 3.0 미만

전기전도도(E.C.) ds/m 1.0 이상

염기치환용량(C.E.C) cmol/kg 6 미만

전질소량(T-N) % 0.06 미만

유효태인산함유량(Avail, P2O5) mg/kg 100 미만

4) 경질토사란 토양경도 값이 점성토 23mm 이상, 사질토 25mm 이상인 토양

토 공 ❙ 127

토 공

산 출 근 거 재 료 비 노 무 비 경 비 합 계

     

덮개식 돌망태 / 매트리스형 T=30㎝/m2 26,714 7,359 2,322 36,395

    

     

1. 철망태 (2.7m/m×2.9m/m)     

재료비 : 1.0 ㎥ * 24,000 * 1.03 =

24,720.0

24,720.0   24,720.0

소 계 : 24,720.0   24,720.0

     

2. 깬잡석 채취 및 운반 (암유용) : 공통 BASIC [ZCCM0E100500] 참조  

경 비 : 0.315 ㎥ * 5,529 = 1,741.6   1,741.6 1,741.6

노무비 : 0.315 ㎥ * 4,604 = 1,450.2  1,450.2  1,450.2

재료비 : 0.315 ㎥ * 3,586 = 1,129.5 1,129.5   1,129.5

소 계 : 1,129.5 1,450.2 1,741.6 4,321.3

     

3. 설치비     

1) 조립 설치     

특별인부 : 0.010 인 * 102,334 =

1,023.3  1,023.3  1,023.3

보통인부 : 0.006 인 * 84,166 = 504.9  504.9  504.9

2) 돌채움     

석 공 : 0.027 인 * 128,136 =

3,459.6  3,459.6  3,459.6

보통인부 : 0.004 인 * 84,166 = 336.6  336.6  336.6

3) 기계경비 (굴삭기 무한궤도 1.0㎥) : [E00000201010000000]  

경 비 : 23,233 * 0.025 hr = 580.8   580.8 580.8

노무비 : 23,389 * 0.025 hr = 584.7  584.7  584.7

재료비 : 34,590 * 0.025 hr = 864.7 864.7   864.7

소 계 : 864.7 5,909.1 580.8 7,354.6

     

전체 합계 26,714 7,359 2,322 36,395

□ 비탈면 덮개식 돌망태 공법 단가산출서

128 ❙ 토 공

붙임 #2 산마루측구 시험시공 비교(안)

구분 벽체 경사처리 소일시멘트채움 덮개 설치 Con'c채움

․배수기능양호

․동물이동

탈출 용이

․거푸집 고정

등시공복잡

․되메우기생략

․현장토사유용

․표면세굴예방

․부분녹화가능

으로미관양호

․일부적용시공사

비보통

․유지관리측면

에서유리

․우수유도향상

및표면세굴예방

․침하시균열발생

등유지관리애로

․침하예방을위한

다짐필요

․녹화곤란및미관

불량

․경계부세굴발생

․공사비고가

․10cm수직터파기

곤란(실제40cm이상)

․벽체분리타설시

시공복잡

․두께증가시균열

등유지관리불리

토 공 ❙ 129

토 공

산마루측구 형식별 공사비, 표준도

□ 형식 1

구 분 형식 1(현행) 형식 1-1(추가)

개요도

2종(Φ25M/M)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양질토

1:4

1:S

1:0.3

VAR VAR

300 1,010 300

120 120

150 450 150

600 500 VAR

Soil 시멘트

비양질토

h/2

VAR

1:4

1:S

1:0.3

VAR VAR

2종(Φ25M/M) 300 1,010 300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120 120

150 450 150

600 500

공종 단위 단가 수량 공사비 수량 공사비

터파기 ㎥ 2,118 1.146 2,427 1.146 2,427

되메우기(기계) ㎥ 3,605 0.54 1,946 0.295 1,063

되메우기

(인력비빔,타설)

㎥ 72,311 - - 0.245 26,100

거푸집

(유로폼:수직)

㎡ 14,071 1.2 16,885 1.2 16,885

거푸집

(유로폼:경사)

㎡ 14,071 0.94 13,226. 0.94 13,226

철근 TON 913,147 0.002 1,826 0.002 1,826

콘크리트

(2종25mm)

㎥ 65,531 0.32 20,970 0.32 20,969

수축줄눈

(6×50m/m)

m 5,984 0.14 838 0.14 838

신축줄눈

(스티로폼T=10)

㎡ 6,513 0.027 176 0.027 176

비닐깔기 ㎡ 617 1.01 623 1.01 623

순공사비 58,917 84,133

공사비계

(제잡비

40%포함)

82,484 117,786

※ `13년 단가산출

130 ❙ 토 공

□ 형식 2

구 분 형식 2(현행) 형식 2-1(추가)

개요도

1:0.3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양질토

2종(Φ25M/M)

120 120

150 600 150

600 500 VAR

1:4

1:S

VAR VAR

300 1,100 300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Soil 시멘트

비양질토

1:S

1:0.3

120 120

150 600 150

600 500 VAR

1:4

VAR VAR

2종(Φ25M/M) 300 1,100 300

공종 단위 단가 수량 공사비 수량 공사비

터파기 ㎥ 2,118 1.556 3,296 1.556 3,295

되메우기(기계) ㎥ 3,605 0.73 2,635 0.371 1,337

되메우기

(인력비빔및

타설)

㎥ 72,311 - - 0.36 38,351

거푸집

(유로폼:수직)

㎡ 14,071 1.5 21,107 1.5 21,106

거푸집

(유로폼:경사)

㎡ 14,071 1.253 17,631. 1.253 17,631

철근 TON 913,147 0.002 1,826 0.002 1,826

콘크리트

(2종25mm)

㎥ 65,531 0.32 27,326 0.417 27,326

수축줄눈

(6×50m/m)

m 5,984 0.14 993 0.166 993

신축줄눈

(스티로폼T=10)

㎡ 6,513 0.027 228 0.035 228

비닐깔기 ㎡ 617 1.01 678 1.01 679

순공사비 75,720 112,772

공사비계

(제잡비40%포함)

106,008 157,880

토 공 ❙ 131

토 공

□ 형식 3-1

구 분 형식 3-1(현행) 형식 3-1-1(추가)

개요도

1:0.3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양질토

2종(Φ25M/M)

120 120

150 800 150

600 500 VAR

1:4

1:S

VAR VAR

300 1,220 300

1:0.3

Soil 시멘트

비양질토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120 120

150 800 150

600 500 VAR

1:4

1:S

VAR VAR

2종(Φ25M/M) 300 1,220 300

공종 단위 단가 수량 공사비 수량 공사비

터파기 ㎥ 2,118 2.180 4,617 2.180 4,617

되메우기(기계) ㎥ 3,605 1.021 3,680 0.481 1,734

되메우기

(인력비빔및

타설)

㎥ 72,311 - - 0.54 57,526

거푸집

(유로폼:수직)

㎡ 14,071 1.9 26,734 1.9 26,734

거푸집

(유로폼:경사)

㎡ 14,071 1.67 23,499 1.67 23,498

철근 TON 913,147 0.002 1,826 0.002 1,826

콘크리트

(2종25mm)

㎥ 65,531 0.567 37,156 0.567 37,156

수축줄눈

(6×50m/m)

m 5,984 0.201 1,203 0.201 1,203

신축줄눈

(스티로폼T=10)

㎡ 6,513 0.047 306 0.047 306

비닐깔기 ㎡ 617 1.22 753 1.22 753

순공사비 99,773 155,353

공사비계

(제잡비40%포함)

139,682 217,494

132 ❙ 토 공

□ 형식 3-2

구 분 형식 3-2(현행) 형식 3-2-1(추가)

개요도

1:0.3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양질토

2종(Φ25M/M)

120 120

150 1,000 150

600 500 VAR

1:4

1:S

VAR VAR

300 1,340 300

1:0.3

Soil 시멘트

비양질토

C.T.C 300

D13 L=250

시공이음

120 120

150 1,000 150

600 500 VAR

1:4

1:S

VAR VAR

2종(Φ25M/M) 300 1,340 300

공종 단위 단가 수량 공사비 수량 공사비

터파기 ㎥ 2,118 2.892 6,125 2.892 6,125

되메우기

(기계)

㎥ 3,605 1.351 4,870 0.601 2,166

되메우기

(인력비빔및

타설)

㎥ 72,311 - - 0.75 79,898

거푸집

(유로폼:수직)

㎡ 14,071 2.3 32,363 2.3 32,363

거푸집

(유로폼:경사)

㎡ 14,071 2.088 29,380 2.088 29,380

철근 TON 913,147 0.002 1,826 0.002 1,826

콘크리트

(2종25mm)

㎥ 65,531 0.741 48,558 0.741 48,558

수축줄눈

(6×50m/m)

m 5,984 0.236 1,412 0.236 1,412

신축줄눈

(스티로폼T=10)

㎡ 6,513 0.062 403 0.062 404

비닐깔기 ㎡ 617 1.34 827 1.34 827

순공사비 125,764 202,959

공사비계

(제잡비40%포함)

176,070 284,143

토 공 ❙ 133

토 공

134 ❙ 토 공

토 공 ❙ 135

토 공

붙임 #3 소단측구 수리계산

□ 당 초

(1) 통수량계산(통수면적의 80% 적용)

* 측구경사 10%일때

유량(Q) = 0.8 × A × (1/n) × R⅔ × I½) = 10.1046 × I½

유수단면적(A) = 0.567

유수의 윤변(P) = 2.935

경심(R) = A ÷ P = 0.567÷2.935 = 0.19315

R⅔ = 0.334145585

조도계수(n) = 0.015

(2) 종단경사에 따른 통수량(Q)

㎥/sec

구분

횡단

0.3

(%)

0.5

(%)

1.0

(%)

1.5

(%)

2.0

(%)

2.5

(%)

3.0

(%)

4.0

(%)

5.0

(%)

5.5

(%)

10% 0.553 0.715 1.011 1.238 1.429 1.598 1.750 2.021 2.259 2.370

(3) 종단경사에 따른 통수량(Q)

1) 설계빈도(광주기점) : 218 mm/hr

* 절개부 폭원이 10.0m인 경우 (W=10.0m)

S =

3.6 × 106 ×Q

= 2064.22Q

0.8 X 218 X 5.0

2) 소단측구 초기 도수로 위치

설치계산/설치결정(단위:m)

종단

경사

0.3

(%)

0.5

(%)

1.0

(%)

1.5

(%)

2.0

(%)

2.5

(%)

3.0

(%)

4.0

(%)

5.0

(%)

5.5

(%)

10%

1,142 1,474 2,085 2,554 2,949 3,297 3,612 4,171 4,664 4,891

1,140 1,470 2,080 2,550 2,940 3,290 3,610 4,170 4,660 4,890

136 ❙ 토 공

□ 변 경

(1) 통수량계산(통수면적의 60% 적용)

* 측구경사 10%일때

유량(Q) = 0.6 × A × (1/n) × R⅔ × I½) = 7.7584 × I½

유수단면적(A) = 0.567

유수의 윤변(P) = 2.935

경심(R) = A ÷ P = 0.567÷2.935 = 0.19315

R⅔ = 0.334145585

조도계수(n) = 0.015

(2) 종단경사에 따른 통수량(Q)

㎥/sec

구분

횡단

0.3

(%)

0.5

(%)

1.0

(%)

1.5

(%)

2.0

(%)

2.5

(%)

3.0

(%)

4.0

(%)

5.0

(%)

5.5

(%)

10% 0.415 0.536 0.758 0.928 1.072 1.198 1.313 1.516 1.695 1.777

(3) 종단경사에 따른 통수량(Q)

1) 설계빈도(광주기점) : 218 mm/hr

* 절개부 폭원이 10.0m인 경우 (W=10.0m)

S =

3.6 × 106 ×Q

= 2064.22Q

0.8 X 218 X 5.0

2) 소단측구 초기 도수로 위치

설치계산/설치결정(단위:m)

종단

경사

0.3

(%)

0.5

(%)

1.0

(%)

1.5

(%)

2.0

(%)

2.5

(%)

3.0

(%)

4.0

(%)

5.0

(%)

5.5

(%)

10%

856 1,106 1,564 1,915 2,212 2,473 2,709 3,128 3,498 3,668

850 1,100 1,560 1,910 2,210 2,470 2,700 3,120 3,490 3,660

토 공 ❙ 137

토 공

붙임 #4 배수구조물 연결 유출부 상세도

□ 산마루측구 및 수로보호공과 도수로와 연결되는 유출부 개선

o 유출부 확대

o 월류방지턱(0.3m) 설치

o 집수정 설치

☞ 연결 유출부 확대(곡선처리), 월류방지턱으로 월류현상 방지

138 ❙ 토 공

토 공 ❙ 139

토 공

140 ❙ 토 공

토 공 ❙ 141

토 공

142 ❙ 토 공

토 공 ❙ 143

토 공

144 ❙ 토 공

붙임 #5 비탈면 얕은파괴 안정해석(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74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7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83
145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6년_99_부록98년도-14년도목차 file 효선 2024.10.23 492
145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4.10.23 1095
145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0_졸음쉼터 안전시설 강화 file 효선 2024.10.23 583
145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1_유지관리보고서 작성방안 file 효선 2024.10.23 865
145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2_유지관리를 고려한 실시설계 시행방안 file 효선 2024.10.23 537
145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3_건설안전 설계기법(Design For Safety)도입방안 file 효선 2024.10.23 1026
144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4_설계성과 내실화를 위한 실시설계 품질 제고방안 file 효선 2024.10.23 634
144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5_건설현장 중심의 설계도서 작성방안 file 효선 2024.10.23 971
144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2-1_집중호우시 주행안전성 제고를 위한 고속도로 수막현상 예상 설계대책 file 효선 2024.10.23 732
144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1_고속도로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 시공 관리체계 개선 file 효선 2024.10.23 165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2_비탈면 토사유실 최소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23 561
144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3_화강풍화토 비탈면 녹화공법(ex-spray)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0.23 1019
144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3-4_지반조사 신뢰도 향상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10.23 1185
144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1_기존 부지 내 설치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분리형 초생수로』설치기준 효선 2024.10.23 1097
144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2_고속도로 암거 설계기준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10.22 1075
144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4-3_L2측구 단부처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10.22 981
143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1_하상교량의 경제적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초기우수 유도관』적용방안 file 효선 2024.10.22 892
143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2_교량하부 내화설계 지침 수립 file 효선 2024.10.22 1176
143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3_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800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10.22 527
143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5-4_유지관리를 고려한 구조물 설계개선 file 효선 2024.10.22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