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1-1_유지관리보고서 작성방안
2024.10.23 15:10
01 설계행정
1-1 유 지 관 리 보 고 서 작 성 방 안
1-2 유 지 관 리 를 고 려 한 실 시 설 계 시 행 방 안
1-3 건 설 안 전 설 계 기 법 (Design For Safety) 도 입 방 안
1-4 설 계 성 과 내 실 화 를 위 한 실 시 설 계 품 질 제 고 방 안
1-5 건 설 현 장 중 심 의 설 계 도 서 작 성 방 안
설계행정
설계행정 ❙ 3
11
설계행정
유지관리보고서 작성방안 설계처-371
(2014.02.13)
1 검토배경
□ 고속도로 관리연장 및 공용연수 증가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의 지속적인
증가로 우리공사의 재무구조 악화요인으로 작용
□ 시공 및 유지관리 경험이 없는 설계사의 인적구성으로 유지관리를
고려한 실시설계 다소 미흡
□ 유지관리비 최소화와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설계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
〈향후 유지관리 예측〉
구 분 2011년
⇨
2020년
관리연장 증가 3,632km 4,297km
유지관리비 증가 5.19억원/km 8.52억원/km
노후도(공용년수) 12.5년 18.3년
공용년수별 연장(km) 공용년수 및 유지관리비(억원/km)
3.3억/k
m
( 증
64%)
2 현실태 및 문제점
□ 설계·시공시유지관리효율성을고려하지못하여공용시보완사례지속발생
〔개통초기 시설물 보완비용 : 16,070백만원 (전체투입예산의약19%차지)〕
구 분 계 2007 2008 2009 2010 2011
계 16,070(100%) 94 266 4,299 3,736 7,675
재난복구 11,489(71.5%) - - 2,821 2,657 6,011
민원해소 2,230(13.9%) 94 207 599 782 548
유지관리 1,255( 7.8%) 722 59 474
안전시설 227( 1.4%) - 5 5 17 200
기 타 869( 5.4%) - 54 152 221 442
71.50%
13.90%
7.80%
1.40%
5.4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재난복구 민원해소 유지관리 안전시설 기 타
4 ❙ 설계행정
☐ 실시설계 참여기술자의 고속도로 시공 및 유지관리 경험 부족
〔밀양∼울산 설계참여자 경력 분석 (9개공구, 77명)〕
구 분 기본 및 실시설계 감리 유지관리 비고
도로분야 평균 14.1년 0.5년(1명) - 38명
구조분야 평균 12.2년 - - 21명
지반분야 평균 13.9년 - - 18명
☞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반영 미흡
* 배수시설 단부처리, 교량하부 배수, 긴급회차시설 등에 대한 설계 미반영
□ 유지관리비 효율화를 위한 소관부서의 지속적인 개선 노력
o (비탈면) 개통후 10년 이하노선(64%)에서 피해집중 발생
☞ 사전관리 및 신속한 대응체계로 예방적 유지관리 개념 전환
o (포 장) 포장연장 증가, 노후화, 염해로 성능저하 및 관리 어려움
☞ 포장상태에 적합한 공법 제시와 품질관리를 통한 포장 장수명화
o (구조물) 10년 동안 관리구조물 2.4배 증가한 반면 관리인원은 1.4배 증가
☞ 유지관리 전문화, 조직강화를 통한 점검 및 관리 효율화
- 신축이음 및 종방향 이음부 누수로 인한 구조물 열화 및 부식 발생
☞ 신축이음 하부 유도배수로 설치 및 종방향 맹죠인트 설치 등
비탈면 피해발생 현황 구조물 증가 현황
비탈면복구비 연평균 120억원 관리구조물(8,412개), 관리인원(153명)
설계행정
설계행정 ❙ 5
□ 설계단계시 유지관리를 고려한 검토 미흡
o 설계단계에서 유지관리성을 검토하고는 있으나 절차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아 내실있고 중점적인 검토가 부족
o 유지관리 미경험자의 설계시행으로 인해 유지관리를 고려한
세세한 검토가 다소 미흡한 실정
☞ 유지관리성 검토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체계적인
검토절차의 정립과 별도 보고서 작성의 필요성 대두
□ 유지관리보고서 시범작성
o 대상노선 : 밀양∼울산, 대구순환 노선
o 작성시기 : 2013. 12
o 보고서 주요내용
-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내용
· 신축이음, 교좌장치, 방음벽 등 세부설계 및 사용자재 등에 대한 사항
· 기타 유지관리를 고려한 시설물 또는 설계반영 내용 등
- 기후, 토질, 교통, 민원 등 노선특성을 감안한 유지관리시 착안사항
· 특이지질 등 비탈면의 특성을 고려한 시공 및 유지관리 유의사항
· 배수시설 기능 분석을 통한 유지관리방안 등
☞ 최초 작성 및 설계사 직원의 유지관리 경험 부족으로 인하여
실효성이 다소 미흡하므로 내실있는 작성을 위한 별도지침 필요
시공단계 유지관리 고려사항 등 유지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설계시『유지관리보고서』작성지침 마련
6 ❙ 설계행정
3 작성방안 검토
1. 작성방안
o 작성시기 : 상세설계중 작성하여 성과품심의 前 제출
o 작 성 자 : 공구별 유지관리 경력자
* 설계 및 시공중 유지관리성 확보를 위하여 적극적인 설계검토 병행
o 작성내용 :
· 노선특성과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적용된 설계 내용
· 유지관리성 확보를 위한 설계검토 및 보완사항
·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시공시 및 유지관리시 유의사항
2. 세부 작성지침(안)
o 효율적이며 일관성 있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작성지침’ 마련
- 보고서 작성방법, 내용 및 절차 등에 대하여 상세 기술
o 공종별 유지관리 취약분야 및 유지관리시 유의사항 조사를 통해
선정된 ‘필수검토사항’에 대한 중점 검토 및 기술
〈 필수검토사항 사례 (유지관리부서 관련지침 참고) 〉
(토공) 비탈면 붕괴대책, (배수) 배수시설 관리방안
(교량) 신축이음, 교좌장치 내구성 확보방안 등
(포장) 콘크리트포장 줄눈파손 및 스폴링 대책 등
o 시공중 변경내용 또는 특이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보완하여
유지관리부서에 인계
설계행정
설계행정 ❙ 7
3. 유지관리성 확보를 위한 설계 FLOW
1. 설계검토단계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 시행
- 선형, 교량, 갱문, 포장 등 주요형식 선정시 유지관리성 고려
- 비탈면, 배수시설, 교량부대시설 등 세부설계 방안 검토시 유지관리
및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한 제품 및 공법 적용
※ 설계내용에 대하여 유지관리 경력자가 검토 및 확인
2. 상세설계단계 설계완료전 설계내용 검토 및 보완
- 1차 작성된 상세설계 내용(가설계도면 등)에 대하여 유지관리
경력자가 유지관리성 확보방안 검토 및 설계 보완
3. 설계완료단계 최종성과품에 대한 유지관리성 검토 및 보고서 작성
- 보고서 작성전 노선별 유지관리 경력자 합동회의를 통해 중점
검토방향 설정
- 최종 설계성과품(설계도면, 시방서 등) 검토를 통해 시공시
유의사항 및 유지관리시 주안점을 파악 → 보고서 수록
※ 설계검토 및 보완사항, 시공 및 유지관리 착안사항 등을 포함하여
유지관리성 확보를 위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작성
4. 행정사항
o 유지관리보고서 작성 의무를 ‘과업지시서’에 명기
o 유지관리 효율성 및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계사 상시평가 반영
* 상시평가 반영방안은 상시평가 기준개선시 추가 검토
8 ❙ 설계행정
4 기대효과 및 적용방안
☐ 기대효과
o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시공을 통해 선순환 도로관리체계를 구축
으로 유지관리비용 절감
☐ 적용방안
o 설계중 노선 적용
※ 당진〜천안, 함양〜밀양, 광주순환, 남이〜천안 등
붙 임 : 1. 작성양식(예시)
2. 필수기술사항
3. 세부작성지침
4. 과업지시서 추가(안)
설계행정
설계행정 ❙ 9
붙임 2 필수기술사항
공종 필수검토항목 비고
토공
o 절토사면
- 지반특성 및 불연속면에 의한 붕괴, 지하수 용출 등
- 사면보강공법 및 관리방안
o 산사태(토석류)
- 계곡부 식생, 지형, 지질에 의한 사면 붕괴, 토석류
o 연약지반 : 침하에 대한 유지관리 대책
배수공
o 배수로
- 주변 세굴, 팽창줄눈 파손, 균열 및 파손 등
o 배수민원
- 침수, 배수불량, 배수로 세굴 등
o 암거
- 물고임, 시공이음부 누수, 균열 등
포장공
o 콘크리트포장
- 줄눈파손, 스폴링, 균열발생 등
o 아스팔트포장
- 소성변형, 포트홀 발생 등
교량공
o 교면포장
- 염화물 및 노후화에 의한 열화, 균열, 물고임 등
o 신축이음장치
- 본체 및 후타재 파손, 소음 및 누수발생 등
o 교량받침
- 탄성받침 : 고무재 파손, 단차, 균열 등
- 강재받침 : 도장부식, 미끄럼판 파손, 신축장애 등
o 거더
- 콘크리트 : 균열발생, 표면손상 등
- 강재거더 : 균열발생, 도장손상 및 부식 등
o 하천통과교량 : 기초부 세굴, 표면마모 등
부대공
o 제설대책
- 염수분사시설, 개구부, 비상연결로 등
o 회차시설
- 본선, 교차시설, 영업소 등
o 방음벽
- 형식별 재료별 파손형태, 부식, 소음누수 등
터널공
o 라이닝
- 균열발생(천단, 측벽부), 누수 등
※ 시공시 유의사항을 위 필수사항에 병행하여 작성
10 ❙ 설계행정
붙임 4 과업지시서 추가사항
제5장 설계도서 작성기준
제1절 실시설계 성과품의 구분
8. 유지관리보고서
제2절 실시설계 성과품의 내용
8. 유지관리보고서
가. 표지
나. 목차
다. 토공
라. 배수공
마. 포장공
바. 교량공
사. 부대공
아. 터널공
제3절 성과품작성의 특이사항
9. 유지관리보고서
가. 선형결정, 구조물 형식, 갱구형식 등 각종 설계방침, 재료선정 등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한다.
나. 도로 및 보강시설에 대하여 기후, 교통, 민원 등 환경조건과
공법특성을 감안한 유지관리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다. 유지관리 유경험자의 최종검수를 통해 실질적인 유지관리
내용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