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2018.11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5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2.1 교통관리 계획 수립

도로를 점용하는 모든 공사에 대하여 공사 범위, 시공성 및 도로

이용자의 접근성과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공사 현장 여건에 따라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1.1 교통관리 기법

도로를 점용하는 모든 건설공사는 적정한 도로 서비스수준을 유지하면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통관리 기법을 적용한다.

○ 교대통행(Alternating, one-way operation)

○ 우회(기존 도로 이용, 임시 우회도로 건설)

○ 전면 도로 차단(Full road closure)

○ 일시적 도로 차단(Intermittent closure)

○ 차로 차단(Lane closure)

○ 협소 차로(Narrow lane)

○ 역방향 통행(Median crossover)

○ 길어깨 사용(Use of shoulders)

6 |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가. 교대통행

교대통행은 주로 2차로도로에서 적용되는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기법이다.

2차로도로에서 공사 활동으로 인해 한 차로를 점용하여 양방향 통행이 불가능할

때, 한 차로를 사용하여 교대로 양방향 교통류를 처리하는 기법이다. 신호 통제수

또는 임시 교통 신호등 등의 교통통제시설을 설치하여 한 차로로 양방향 교통류를

교대로 통행시킨다.

나. 우회(기존 도로 이용, 임시 우회도로 건설)

도로 공사구간에서 다른 도로로 교통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전환시키는 교통관리

기법이다. 공사구간 주변의 기존 도로로 우회시키는 방법과 임시 우회도로를 건설하여

우회시키는 방법이 있다.

기존 도로를 이용하는 방안은 우회도로의 정체로 인한 서비스 상태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우회 교통량 처리와 차종(대형 차량) 수용 여부를 함께 검토하여야

한다.

도로 공사장 주변에 임시 우회도로를 건설하는 방안은 기존 도로와의 일관성을

갖는 설계 및 운영 조건이 유지하도록 한다. 관련 상세 설계기준은 본 지침의 제6장

도로 공사구간 도로 설계기준 편을 참조한다.

다. 전면 도로 차단

일방향 또는 양방향 도로 전체를 통행 차단하는 기법으로서 시공성과 공사작업의

질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반면, 짧은 시간 내에 공사를 완료해야 한다. 도로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회와 같은 다른 교통관리 기법이 함께 요구된다.

라. 일시적 도로 차단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짧은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일방향 또는 양방향 도로를

차단하는 기법이다. 도로 차단으로 인한 시간과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7

경우에 적용한다.

마. 차로 차단

차로 차단은 다차로도로에서 한 차로 이상 차량 통행을 금지하는 기법이다. 기존

도로의 용량 감소는 대기행렬 및 지체 발생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교통량, 대형

차량 비율 등의 도로·교통 여건을 고려하여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정도(지체, 대기

행렬 등)를 평가해야 한다. 또한 통행차로가 공사장에 인접하기 때문에 도로

이용자와 작업자의 안전 및 공사작업 수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바. 협소 차로

차로 폭을 좁게 하는 교통관리 기법으로, 최소 차로 폭 설정에 따른 특정

차량에 대한 통행 제한을 할 수 있다. 공사장에 인접하여 차량이 통행하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 수행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도로유형별 최소

차로 폭에 대한 기준은 본 지침의 제6장 도로 공사구간 도로 설계기준 편을

참조한다.

사. 역방향 통행

양방향 통행 분리도로에서 한 방향 차도를 공사구간으로 사용할 경우, 남은

차도를 양방향 통행으로 처리하는 기법이다. 역방향 통행을 위해 임시 또는 기존

개구부를 통해 중앙분리대를 넘어야 한다. 양방향 차량이 인접하여 통행하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시 방호울타리 설치 등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 기법은 차량과 공사구간을 분리시켜 주행차량으로부터 작업활동을 보호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차로 수와 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교통량, 중차량 비율 등의

도로·교통 여건을 고려하여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정도(지체, 대기행렬 등)를

검토해야 한다.

기존 접근로 위치와 운영여부가 역방향 통행 위치 설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8 |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대향차도의 기하구조(횡단 경사, 도로선형 등)에 따라 역방향 통행 기법의 적용과

설치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 길어깨 사용

통행차로의 차단으로 인한 용량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길어깨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임시 통행차로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이 전략은 서비스 요구 조건(교통량,

차종, 속도, 공사기간 등)과 기존 길어깨 포장 상태에 따라 임시 통행차로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 공사비용(길어깨 포장 보강 등)이 소요된다. 또한 도로주변

장애물 존재여부, 근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장애물 제거 또는 방호 등 안전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

2.1.2 공사 시행 관련 전략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 계획 수립 시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공사 시행 전략

○ 공사 시행시기별 전략

○ 대외 홍보 전략

가. 공사 시행 전략

교통류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사 계획 관련 대안을 세워

도로 이용자의 통행안전 및 쾌적성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관계기관별 정기적 공사

협의 및 합리적 조정을 통하여 교통량이 많은 도로 공사인 경우 공기 단축, 첨두

시간대 회피 등 사전 공사 시행 대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나. 공사 시행시기별 전략

도로를 점용하는 공사의 경우 시간별 공사 관리기법이 필요하다. 계절에 따라

변하는 교통량을 고려하여 도로망 전체의 도로 건설 사업을 계획하고 일정을 조정

하는 등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수립한다.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9

교통량이 첨두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와 휴일이나 휴가철 위락 교통이

집중되는 시기는 가능한 공사를 피해야 한다. 그러나 교통량이 적은 도로에서는

주말이나 휴가철 등이라도 공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교통제약이 미미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교통량이 많은 도시 고속도로나 주 간선도로에서는 공사 시 막대한 교통정체와

안전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주간보다는 야간에 공사를 시행하는 방안이 교통소통

측면에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야간 시인성과 예상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운전자와 작업자에게 주간보다 더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이

단점이다. 야간 공사의 주요 장단점은 <표 2.1>과 같다.

장점 단점

○ 주간 공사에 비해 도로 이용자에게

양호한 서비스 제공(주간공사는 정체

및 지체 가능성 높음)

○ 작업구간을 확장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 수행 가능

○ 주간 공사에 비해 교통류에 의한

간섭이나 장애가 적어 작업시간 확보

가능

○ 제한된 시인성과 예상치 않은 상황,

운전자의 부주의, 음주운전, 과속

등으로 인해 운전자 및 작업자에게

주간보다 더 위험한 상황 노출

○ 주거지역 부근 공사 시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 가능

○ 야간 작업에 따른 품질저하, 공사비,

교통통제 비용 등 증가

<표 2.1> 야간 공사의 장단점

다. 대외 홍보 전략

해당 도로 구간이나 그 주변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공사 상황에 대한 정보(공사

구간의 특정 위치, 시간 및 접근 방법)를 제공하는 대외 홍보 전략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도로 공사구간을 포함한 도로망 전체의 이용 효율 및 서비스를 높일

수 있다. 도로 공사구간에서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도로관리청은 도로 작업구간 인근에 도로전광표지(VMS)가 있을 경우

VMS관리자에게 공사시행 3일 전에 공사기간 및 공사일시, 공사구간 등을 알리

10 |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고, VMS관리자는 도로관리청의 요청에 따라 작업구간의 인근의 도로전광표지

(VMS)를 통해 가능한 우선적으로 공사정보를 표출토록 해야 한다.

○ 현장에서 안내할 수 있는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및 이동식

도로전광표지(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

○ 교통방송(TV, 라디오 등)

○ 공사 시행청 홈페이지

2.2 교통관리 계획 평가

도로 공사구간 유형에 따라 수립된 여러 교통관리 대안들에 대해

적정 평가과정(교통관리 기법의 장·단점,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거쳐 최적 대안을 선정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여러 교통관리 대안이 나올 수 있으며, 이러한 대안들은 적정

평가과정을 거쳐 최적 교통관리 대안을 선정한다. 대안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

절차는 <그림 2.1>과 같다.

1단계는 도로·교통 조건과 건설공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서 도로 공사

구간 교통관리 대안 수립을 위하여 다음 사항들을 상세히 파악한다.

○ 교통조건:연간, 주간, 24시간, 첨두시 각각의 예상 교통량, 대형차 구성비,

휴일 등 특별기간 교통량

○ 건설공사 범위:작업형태, 공사 방법

○ 현장 여건

- 도로 공사구간:접근성, 부지 관계

- 도로 공사구간 인근 도로:기하구조(차로 수와 배치, 차로 폭, 길어깨 폭,

종단 및 평면 곡선반경 등), 포장구조, 안전시설, 기존 중앙분리대 개구부 등

- 관련 공사 여건:동일 도로 구간 또는 대안 도로에서 계획된 공사

- 잠재적 문제:소음, 배기가스, 비산먼지 등의 생활환경 폐해에 대한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11

주민들의 반대

<그림 2.1>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절차

2단계는 도로·교통 조건, 건설공사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한 후, 공사 특성에 따라

도로에서 공사 수행이 가능한 도로 점용공사 유형(일방향 차로 차단, 일방향 차도

차단, 양방향 차도 차단 등)을 결정한다.

3단계는 앞에서 설명한 교통관리 기법의 장·단점 및 도로 점용공사의 특성을

토대로 적용이 가능한 교통관리 대안을 <표 2.2>와 <표 2.3>과 같이 수립한다.

4단계는 3단계에서 수립된 교통관리 대안에 대해 공사로 인한 영향 정도를 평가

하며, 평가 척도는 용량, 속도, 대기행렬 길이, 지체, 사고 건수, 연료 소모, 대기

오염, 공사비용 등을 고려한다. 그러나 교통관리 계획단계에서 공사의 영향을 정량화할

수 없는 척도들이 많기 때문에 교통운영 척도(용량, 속도, 대기행렬 길이, 지체

등)를 중심으로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평가는 본 지침과

함께 제공되는 교통관리 대안 평가 툴(도로시설기준 홈페이지(http://rdguide.kict.re.kr)

12 |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자료실에서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 대안 평가 프로그램” 검색 후 다운로드)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른 교통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준은 어느 대안이 해당 공사로 인한 영향을 최소로

하는가에 있다. 따라서 5단계에서는 각 교통관리 전략에 대한 평가를 비용으로

환산하여 대안별로 편익 대 비용의 비(B/C) 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적 교통관리

대안을 선정한다. 만약 최적 교통관리 대안 선정 시 문제가 있을 경우 과업 설계나

공정 계획을 수정하여 도로 점용 범위를 재수정하여 앞 단계를 반복한다.

또한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절차에 의해 선정된 교통관리 대안을

도로 공사구간에 적용한 후 지속적으로 서비스수준을 모니터링하여 예상보다

서비스수준이 더 악화될 경우에는 교통관리 대책을 재수립한 후 적용해야 한다.

도로 공사장 교통관리지침| 13

도로

조건

공사유형 교통관리 대안

2차로

도로

차로별 차단

가능 공사

1. 차로 차단 + 교대통행

2.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3.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 임시 우회도로 건설

4. 차로차단+길어깨사용+임시우회도로건설 + 협소 차로

5. 차로 차단 + 주변도로 우회

6.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7.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8. 일시적 도로차단

차도 전체

차단 필요

공사

1. 일시적 도로 차단

2.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3.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차도의 절반

차단 필요

공사

1. 일시적 도로 차단

2. 차로 차단 + 교대통행

3. 차로 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4. 차로차단+임시우회도로건설+길어깨사용 + 협소 차로

5. 차로 차단 + 주변도로 우회

6.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7.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표 2.2> 2차로도로 적용 가능한 교통관리 대안(예시)

14 | 제2장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계획 수립 및 평가

도로

조건

공사유형 교통관리 대안

다차로

도로

일방향

차로별

차단 가능

공사

1. 차로 차단

2.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3.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 협소 차로

4.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 역방향 통행

5. 차로 차단 + 길어깨 사용 + 협소 차로 + 역방향 통행

6. 차로 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7. 차로 차단 + 주변도로 우회

8.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9.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10. 일시적 도로차단

일방향

차도 전체

차단 필요

공사

1. 일시적 도로 차단

2. 차로 차단 + 역방향 통행

3. 차로 차단 + 역방향 통행 + 길어깨 사용

4. 차로 차단 + 역방향 통행 + 길어깨 사용 + 협소 차로

5. 차로 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6. 차로 차단 + 주변도로 우회

7.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8.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양방향

차도 전체

차단 필요

공사

1. 일시적 도로 차단

2. 전면 도로차단 + 임시 우회도로 건설

3. 전면 도로차단 + 주변도로 우회

<표 2.3> 다차로도로 (고속도로 , 일반도로 ) 적용 가능한 교통관리 대안(예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17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1
437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1편_일반사항 file 땅콩 2021.08.27 1978
436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2편_도로대장도면작성 file 땅콩 2021.08.27 2059
435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3편_도로대장제원및조서작성 file 땅콩 2021.08.27 1795
434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4편_도로대장유지관리 file 땅콩 2021.08.27 1826
433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5편_도로대장납품 file 땅콩 2021.08.27 1459
432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부록_1_도로대장전산화구간테이블 file 땅콩 2021.08.27 1646
431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부록_2_레이어목록 file 땅콩 2021.08.27 2820
430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부록_3_심벌목록 file 땅콩 2021.08.27 1773
429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머리말및목차 file 땅콩 2021.08.27 1904
428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1장_총론 file 땅콩 2021.08.27 1777
»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2장_도로공사구간_교통관리계획수립및평가 file 땅콩 2021.08.27 1844
426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3장_도로공사구간_교통관리기본사항 file 땅콩 2021.08.27 2222
425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4장_도로공사구간_교통관리적용 file 땅콩 2021.08.27 2551
424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5장_도로공사구간_임시교통통제시설 file 땅콩 2021.08.27 2231
423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6장_도로공사구간_도로설계기준 file 땅콩 2021.08.27 1817
422 도로공사장교통관리지침(2018.11)_부록및참여연구진 file 땅콩 2021.08.27 1642
421 200707_수해예방을_위한_산악지_도로설계_매뉴얼_목차 file 땅콩 2021.08.27 1614
420 200707_수해예방을_위한_산악지_도로설계_매뉴얼_1장_총칙 file 땅콩 2021.08.27 2523
419 200707_수해예방을_위한_산악지_도로설계_매뉴얼_2장_산악지도로 file 땅콩 2021.08.27 1249
418 200707_수해예방을_위한_산악지_도로설계_매뉴얼_3장_산악지도로계획및조사 file 땅콩 2021.08.27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