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도로대장입력지침_배포(v1.8.1)_3편_도로대장제원및조서작성
2021.08.27 17:15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2012. 6.
제3편 도로대장 제원 및 조서 작성
1. 개요
2. 작성 기준
89
1 개요
1.1 일반사항
도로대장전산화를 위해 작성해야 하는 테이블에는 도로대장의 속성 정
보인 도로대장 총괄, 교량제원 및 각종 조서들이 있으며, 이러한 조서
자료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테이블이 있다.
도로대장 조서 작성을 위해서는 도로대장전산화 자료의 유지관리기관
에서 제공하는 시스템관리번호(Serviceid)를 모든 조서 테이블 레코드
에 필수적으로 기입해야 한다. 관리번호의 구성은 일련번호(4자리)+국
도번호(2자리)+호선번호(4자리)+구간번호(2자리)로 구성된다.
또한 조서별로 입력되는 시설물관리번호(Fserviceid)의 구성은 관리번
호를 부여한 년도(4자리)+국토관리사무소기관번호(2자리)+호선번호(4자
리)+구간번호(2자리)+상하행 및 횡단(2자리-상행:0, 하행:1, 횡단:2, 중
심선:3)+구간이정정보(5자리)+본선/램프(본선일 경우 : 00, 램프일 경우
: 램프번호 2자리)+중복감안(2자리) 기입한다. 예를 들어 2013년에 관
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12) 관할 3호선(0003) 4구
간(04)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0) 15+345(15345)지점에 본선(00)상에 위치
한 시설물일 경우 조서 시설물관리번호는 “2013120003040153450000”
이며, 선형 시설물의 경우 시설물 시점부의 구간이정정보를 기입한다. 기
하구조 조서(버스정차대 제외),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조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조서에 대한 내용은 도로법 시행규칙 별지 제20호 서식을 포함하고 있
으며, 조서 데이터 입력시 코드로 정의되어진 항목은 반드시 도로대장
전산화 항목 코드표를 참조하여 입력한다.
90
새로운 공법 도입 등으로 항목 코드표상 내역이 없을 경우에는 국토해
양부 주무부서, 지방국토관리청 및 도로대장전산화 유지관리 기관과 협
의해야 하며, 도로대장전산화 작성구간이 2개 이상의 도로대장전산화
구간에 걸쳐 있는 경우 구간별로 구분하여 작성해야 한다.
모든 조서의 이정은 도로대장구간 시점에서 부터의 이격거리로 하되
IC의 램프교량, 부체도로상의 각종 조서와 같이 본선의 이정을 정의하
기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도로공사에서 사용되는 공사측점으로 작성하
며, 비고란에 이를 필히 명시해야 한다.
점용조서의 경우 도로점용허가 내용 공고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며, 용
지조서의 경우에는 도로구역결정(변경) 고시에 따라 작성된 토지 세목
조서를 이용하여 작성하며, 이 외의 조서 및 관리테이블에 대한 세부
속성 정보의 구체적인 입력 방법은 기존에 발간된 지침서 및 조서입출
력 프로그램 매뉴얼을 참고한다.
1.2 조서의 구성
조서는 주요시설물제원, 기하구조조서, 토공 및 배수 조서, 안전시설
조서, 부대시설 조서,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조서 및 관리테이블로 구성
되어 있으며 자세한 구성은 <표 3.1>과 같다.
분류 내용
도로대장 총괄 MROAD
주요시설물 제원
교량제원 BRIDGE
터널제원 TUNNEL
육교제원 OVERPASS
지하차도제원 UNDER_ROAD
지하보도제원 UNDER_SIDEWALK
고가도로제원 HIGH_ROAD
IC제원 INTERCHANGE
<표 3.1> 도로대장전산화 제원 및 조서 현황
91
분류 내용
기하구조 조서
도로중심선교점 XPOINT
교차시설 XRAIL
오르막차로 CLIMBING_LANE
종단경사 SLOPE
정차대 STOPBAY
토공 및 배수 조서
측구 SIDE
석축 STONE
옹벽 WALL
도로절개면 CUT_SLOPE
도로성토면 LAND_FILL
배수암거및배수관 BOX_PIPE
안전시설 조서
중앙분리대 MEDIAN_STRIP
차량방호안전시설 DEFENCE
낙석방지시설 NORI
표지 SIGN
전광표지 VARIABLE_SIGN
가로등 STREET_LIGHT
신호등 SIGNAL_LAMP
충격흡수시설 IMPACT
생태통로 ECO_CORRIDOR
부대시설 조서
방음시설 SOUND_PROOFING
가로수 STREET_TREE
지하매설물 DIP_EQP
과적검문소 OVER_CHECKPOINT
제설시설 REMOVE_SNOW
공동구 PIPE_CONDUIT
통로박스 PATHWAY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조서
실연장 REALNTH
용지 LANDUSE
유료도로 TOLL_ROAD
우회도로 BYPASS
접도구역 POST
도로점용 OCCUPY
관리테이블
이력 정보 HISTORY
구간 정보 SECTION
단위도면 정보 500_DWG
구조물도면 정보 STR_DWG
구조물 정보 STR_COD
<표 3.1> 도로대장전산화 제원 및 조서 현황(계속)
92
2 제원 및 조서 작성 방법
제2장에서는 조서는 주요시설물제원, 기하구조조서, 토공및배수조서,
안전시설조서, 부대시설조서, 기타조서 및 관리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
며 자세한 구성은 <표 3.1>과 같다.
도로대장 작성 시 위치 표현 방법
노선(구간)
시점
노선(구간)
종점
OO 교
OO 터널
OO 교
시점
OO 교
종점
OO터널
시점
OO터널
종점
하행
상행 우측
좌측
1. 노선의 시점에서 종점 방향으로의 진행 방향을 상행, 그 반대 방향을 하행이라 한다.
2. 노선의 상행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의 좌․우측을 구분한다.
3. 제원 및 시설물의 시․종점은 노선의 상행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93
2.1 도로대장 총괄
① 시스템관리번호 : 도로대장 총괄 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국토해양부 및
국토관리사무소 이하 생략)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000161001801 : 광주국토 18호선 1구간
② 관리기관 : 해당 도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국토해양부에서 시도지사에게
위임한 일반국도 구간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도로대장 유지관리기관에 문의하여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국토해양부 1600 서울지방국토관리청 1610
수원국토관리사무소 1611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1612
원주지방국토관리청 1620 홍천국토관리사무소 1621
강릉국토관리사무소 1622 정선국토관리사무소 1623
대전지방국토관리청 1630 충주국토관리사무소 1631
보은국토관리사무소 1632 논산국토관리사무소 1641
예산국토관리사무소 1642 익산지방국토관리청 1650
전주국토관리사무소 1651 남원국토관리사무소 1652
광주국토관리사무소 1661 순천국토관리사무소 1662
부산지방국토관리청 1670 대구국토관리사무소 1671
포항국토관리사무소 1672 영주국토관리사무소 1673
진주국토관리사무소 1681 진영국토관리사무소 1682
■ 입력 코드 내역 (국토해양부 관할 코드)
③ 도로종류 : 도로법 제8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9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고속국도 1501 일반국도 1502
특별시도 1503 지방도 1504
시도 1505 군도 1506
광역시도 1507
■ 입력 코드 내역
④ 노선명 : 도로법에 의해 고시된 노선명을 기재. 고속국도 노선지정령,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국가지원지방도 노선지정령, 기타 도로는 도로법 시행규칙 제5조의 별지3호
서식의 규정에 의거 노선의 인정공고한 노선명 기재(노선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통상 사용하는 도로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⑤ 노선번호 : 도로법 등에 의해 지정공고 또는 인정공고된 노선번호를 기재
기입 예 제 1 호
⑥ 구간 : 도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하나의 노선을 여러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경
우는 구간을 표현하는 구간번호 또는 구간 내용을 기입하고, 구간 구분 없이 노선을
하나로 관리하는 경우는 대쉬‘-’로 기재
기입 예 38
⑦ 노선지정(인정)일 : 노선지정(인정) 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1991-10-16
⑧ 도로구역결정(변경)일 : 도로구역 결정(변경) 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1991-10-16
⑨ 접도구역지정일 : 접도구역 지정 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1991-10-16
95
⑩ 지형도면 고시일 : 지형도면 고시 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1991-10-16
⑪ 위치-시점 : 해당 도로(구간) 시점의 소재지를 번지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고양시 관산동 876-2번지
⑫ 위치-종점 : 해당 도로(구간) 종점의 소재지를 번지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위전리 산23-1번지
⑬ 주요 경과지 : 도로가 통과하는 지점에 있는 주요 지명 또는 지형지물(교량, 교차로
등)을 기재
기입 예 조리읍 송산면 행주대교 이수교차로 올림픽공원
⑭ 노선연장 : 도로대장 작성 해당 구간의 총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5,125.0
⑮ 전용연장 : 도로의 전용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1,884.0
중용연장 : 도로의 중용 구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241.0
통행불능연장 : 미개통으로 통행이 불가능한 구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계 : 포장도로 총연장을 기재, =+계+계, 단위:m
기입 예 25,125.0
96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도로 : 포장도로 중 교량, 터널을 제외한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4,747.2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터널―종류 : 포장도로 중 차로수별로 터널 종류가 구분
되어짐(2차로/3차로/4차로/5차로이상/계)
터널, 교량은 상․하행 구분없이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상․하행을 구분하여 작성할 수 있다.
기입 예 2차로 3차로 4차로 5차로 이상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터널―개소 : 포장도로 중 터널 종류별(차로수별) 터널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1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터널―연장 : 포장도로 중 터널 종류별(차로수별) 터널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52.6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교량―종류 : 포장도로 중 교량 종류별로 교량이 구분
되어짐(강교/철근콘크리트교/합성교/그 밖의 교량/계)
기입 예 강교 철근콘크리트교 합성교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교량―개소 : 포장도로 중 교량 종류별 교량의 개소 기
재, 단위:개소
기입 예 1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도로―교량―연장 : 포장도로 중 교량 종류별 교량의 연장 기
재, 단위:m
기입 예 125.2
97
노선연장의 내역―비포장도로 : 해당 도로의 비포장 구간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미개통도로 : 해당 도로의 미개통 구간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폭원―계 : 도로의 전체 폭원 기재, =++, 단위:m
기입 예 18.1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폭원―차도 : 도로의 차도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3.5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폭원―중앙분리대 : 도로의 중앙분리대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2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폭원―길어깨(보도) : 도로의 길어깨 또는 보도의 폭원(좌․우측 포
함) 기재, 단위:m
기입 예 3.4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두께―계 : 도로의 전체 포장두께 기재, =+, 단위:cm
기입 예 95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두께―표층기층․포장슬래브 :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표
층+중간층+기층의 두께를 기재하고, 표층의 두께는 (괄호)를 만들어 기재.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는 포장슬래브의 두께를 기재, 단위:cm
기입 예 30(12) (구간내 대표지점)
노선연장의 내역―포장두께―보조기층 : 도로의 보조기층 두께 기재, 단위:cm
기입 예 65 (구간내 대표지점)
98
노선연장의 내역―차로수―2차로 미만 : 해당 도로의 차로수(상행+하행)가 2차로 미만
인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차로수―2차로 이상∼4차로 미만 : 해당 도로의 차로수(상행+하행)
가 2차로 이상∼4차로 미만인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차로수―4차로 이상∼6차로 미만 : 해당 도로의 차로수(상행+하행)
가 4차로 이상∼6차로 미만인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5,125.0
노선연장의 내역―차로수―6차로 이상 : 해당 도로의 차로수(상행+하행)가 6차로 이상
인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차도―계 : 해당 도로의 차도 전체 연장을 상․하행 구분하여 기재,
=++, 단위:m
기입 예
상행 하행
25,125.0 25,125.0
노선연장의 내역―차도―아스팔트 : 해당 도로의 차도 중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구
간의 연장을 상․하행 구분하여 기재, 단위:m
기입 예
상행 하행
25,125.0 25,125.0
노선연장의 내역―차도―콘크리트 : 해당 도로의 차도 중 콘크리트 포장 구간의 연장
을 상․하행 구분하여 기재, 단위:m
기입 예
상행 하행
0.0 0.0
99
노선연장의 내역―차도―비포장 : 해당 도로의 차도 중 비포장 구간의 연장을 상․하행
구분하여 기재, 단위:m
기입 예
상행 하행
0.0 0.0
노선연장의 내역―길어깨(보도)―포장―좌 : 해당 도로의 좌측에 있는 길어깨(보도) 중
포장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4,747.2
노선연장의 내역―길어깨(보도)―포장―우 : 해당 도로의 우측에 있는 길어깨(보도) 중
포장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4,747.2
노선연장의 내역―길어깨(보도)―비포장―좌 : 해당 도로의 좌측에 있는 길어깨(보도)
중 비포장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길어깨(보도)―비포장―우 : 해당 도로의 우측에 있는 길어깨(보도)
중 비포장 구간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자전거도로―좌 : 해당 도로의 좌측에 있는 자전거도로 구간의 연
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노선연장의 내역―자전거도로―우 : 해당 도로의 우측에 있는 자전거도로 구간의 연
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100
도로부지면적―계 : 도로부지 전체 면적 기재, =++, 단위:㎡
기입 예 454,762.5
도로부지면적―국유지 : 도로부지 중 국유지의 면적 기재, 단위:㎡
기입 예 439,735.0
도로부지면적―공유지 : 도로부지 중 공유지의 면적 기재, 단위:㎡
기입 예 12,715.3
도로부지면적―사유지 : 도로부지 중 사유지의 면적 기재, 단위:㎡
기입 예 2,312.2
곡선반경 : 도로곡선부의 곡선반경이 100m 미만, 100m 이상~200m미만, 200m 이
상~300m 미만, 300m 이상~460 미만, 460m 이상~700m 미만, 700m 이상으로 구분
하여 해당 구간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100m미만
100m이상
200m미만
100m이상
200m미만
300m이상
460m미만
460m이상
700m미만
700m이상
1 2 3 3 2 3
교차―육교 : 도로에 육교가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1
교차―지하도 : 지하도가 도로를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0
교차―철도―과선 : 철도 위를 도로가 횡단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0
101
교차―철도―가도 : 도로 위를 철도가 횡단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0
교차―도로―평면 : 다른 도로가 평면 형태로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2
교차―도로―입체 : 다른 도로가 입체 형태로 교차하는 지점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1
종단경사 : 도로의 종단경사가 3% 미만, 3% 이상~5% 미만, 5% 이상~10% 미만,
10% 이상으로 구분하여 해당 구간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3% 미만 3% 이상
5% 미만
5% 이상
10% 미만 10% 이상
5 2 1 0
21,884.0 2789.0, 452.0 0.0
유료도로―관리자 : 해당도로내 유료도로의 관리기관 기재
기입 예
유료도로―요금징수기간 : 유료도로의 요금징수 시작일과 종료(예정)일을 기재
기입 예
유료도로―요금징수시설수 : 유료도로 구간내 요금징수시설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유료도로―요금징수근거 : 유료도로의 요금징수 근거를 상세하게 기재
기입 예
유료도로―연장내역―계 : 유료도로의 전체 연장 기재, =++, 단위:m
기입 예
102
유료도로―연장내역―도로 : 유료도로 중 교량이나 터널을 제외한 연장을 기재, 단
위:m
기입 예
유료도로―연장내역―터널―개소 : 유료도로 중 터널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유료도로―연장내역―터널―연장 : 유료도로 중 터널의 전체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유료도로―연장내역―교량―개소 : 유료도로 중 교량의 개소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유료도로―연장내역―교량―연장 : 유료도로 중 교량의 전체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03
[작성요령]
도 로 대 장
□ 총 괄
①관리번호 0001161001801 ②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③도로종류 일반국도 ④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⑤노선번호 제 1 호 ⑥구간 38
⑦노선지정(인정)일 1991-10-16 ⑧도로구역결정(변경)일 1991-10-16
⑨접도구역지정일 1991-10-16 ⑩지적고시일 1991-10-16
위치
⑪시점 경기도 고양시 관산동 876-2번지
⑬주요 경과지 관산교, 지영터널
⑫종점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위전리 산23-1번지
⑭노선연장 25,125.0 m ⑮전용연장 21,884.0 m 중용연장 3,241.0 m 통행불능연장 0.0 m
노
선
연
장
의
내
역
포장도로 비포장
도로
미개통
계 도로 도로
터널 교량
⑳종류 개소 연장 종류 개소 연장
25,125.0 m 24,747.2 m
2차로 강교
0.0 m 0.0 m
3차로 철근콘크리트교
4차로 1 개소 252.6 m 합성교
5차로 이상 그 밖의 교량 1 개소 125.2 m
계 1 개소 252.6 m 계 1 개소 125.2 m
폭원 포장두께 차로수
계 차도
중앙분리대
길어깨
(보도) 계 표층기층․
포장슬래브 보조기층
2차로 미만
2차로 이상
4차로 미만
4차로 이상
6차로 미만
6차로 이상
18.1 m 13.5 m 1.2 m 3.4 m 95 cm 30(12) cm 65 cm 0.0 m 0.0 m 25,125.0 m 0.0 m
차도 길어깨(보도) 자전거도로
계 아스팔트 콘크리트 비포장 포장 비포장 좌 우
상행 하행 상행 하행 상행 하행 상행 하행 좌 우 좌 우
25,125.0 m 25,125.0 m 25,125.0 m 25,125.0 m 0.0 m 0.0 m 0.0 m 0.0 m 24,747.2 m 24,747.2 m 0.0 m 0.0 m 0.0 m 0.0 m
297㎜×210㎜(보존용지(1종) 70g/㎡)
104
도로부지면적 곡선반경
계 국유지 공유지 사유지 100m 미만
100m 이상
200m 미만
200m 이상
300m 미만
300m 이상
460m 미만
460m 이상
700m 미만
700m 이상
454,762.5 ㎡ 439,735.0 ㎡ 12,715.3 ㎡ 2,312.2 ㎡ 1 개소 2 개소 3 개소 3 개소 2 개소 3 개소
교차 종단경사
육교 지하도
철도 도로 3% 미만
3% 이상
5% 미만
5% 이상
10% 미만
10% 이상
과선 가도 평면 입체 5 개소 2 개소 1 개소 0 개소
1 개소 0 개소 0 개소 0 개소 2 개소 1 개소 21,884.0 m 2789.0, m 452.0 m 0.0 m
유료
도로
관리자 요금징수기간
요금징수시설수 요금징수근거
연장
내역
계 도로
터널 교량
개소 연장 개소 연장
비고
105
2.2 주요시설물 제원
2.2.1 교량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교량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11534501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설치 15+345지점에 램프1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교량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③ 도로종류 : 교량이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④ 노선명 : 교량이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⑤ 노선번호 : 교량이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⑥ 구간 : 교량이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⑦ 교량명 : 교량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장기IC교
106
⑧ 시설물종별 :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시설물은 ‘1’, 2종
시설물은 ‘2’, 그 외 시설물은 대쉬‘-’로 기재
기입 예 2501: 1종
구분 코드 구분 코드
1종 2501 2종 2502
그 외 시설물 2599
■ 입력 코드 내역
⑨ 위치―시점 : 교량 시점의 위치는 교량이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3.422
⑩ 소재지 : 교량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고양시 가장동
⑪ 위치―종점 : 교량 종점의 위치는 교량이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3.547
※ ⑫, ⑬ 항목은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2종 시설
물에 한하여 기재
⑫ 상태등급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나
타난 시설물의 상태등급을 A, B, C, D, E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601: A
107
구분 코드 구분 코드
A 2601 B 2602
C 2603 D 2604
E 2605
■ 입력 코드 내역
⑬ 진단결과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701: 양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양호 2701 보통 2702
불량 2703
■ 입력 코드 내역
⑭ 교량연장 : 교량의 총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25.2
⑮ 경간수 : 교량의 총 경간수를 기재, 단위:경간
기입 예 5
최대경간장 : 교량의 각 경간장 중 최대값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8.0
차로수(상행) : 교량 상행선의 차로수를 기재. 하행선 전용 교량의 경우 생략, 단위:차로
기입 예 2
108
총폭원 : 교량의 총폭원(보도폭+차도폭)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7.5
차도폭 : 교량상판에서 차도에 해당하는 부분의 횡방향 길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3.5
보도폭 : 교량상판에서 보도(좌․우측 보도 및 좌․우 연석 포함)에 해당하는 부분의 횡
방향 길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4.0
차로수(하행) : 교량 하행선의 차로수를 기재. 상행선 전용 교량의 경우 생략.단위:차로
기입 예 2
설계활하중 : 교량의 설계활하중을 기재
기입 예 0601: DB-24/DL-2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DB-24/DL-24 0601 DB-18/DL-18 0602
DB-13.5 0603 T13/D13 0604
T12/D12 0605 T9/D9 0606
T8/D8 0607 T6/D6 0608
기타 0699
■ 입력 코드 내역
허용통행하중 : 차량 통행이 허용되는 최대하중을 기재, 단위:ton
기입 예 10.5
109
내진설계 : 해당 교량 설계시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의 적용여부를 기재
기입 예 0: 미적용 1: 적용
경간구성 : 교량 총연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 경간의 길이와 합을 수식으로 기재
기입 예 52.4+ 2@40.0+ 40.0+ 8@120.0+ 28.0+ 2@40.0 = 1240.4
주경간형식 : 교량 상부구조 주경간의 형식을 기재. 교량이 서로 다른 상부구조 형식
으로 구성된 경우는 최대경간장을 가지는 경간의 상부구조 형식을 기재
기입 예 0514: 프리플렉스빔교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트러스트 0501 T 빔교 0502
PC 빔교 0503 I 형교 0504
라멘교 0505 강판형교 0506
현수교 0507 스라브교 0508
목조교 0509 아치교 0510
게르바교 0511 사장교 0512
(콘크리트)박스가더교 0513 프리플렉스빔교 0514
스틸박스가더교 0515 기타 0516
■ 입력 코드 내역
부경간형식 : 교량 상부구조 부경간의 형식을 기재. 교량이 같은 상부구조 형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기재 생략
기입 예 0514: 프리플렉스빔교
110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트러스트 0501 T 빔교 0502
PC 빔교 0503 I 형교 0504
라멘교 0505 강판형교 0506
현수교 0507 스라브교 0508
목조교 0509 아치교 0510
게르바교 0511 사장교 0512
(콘크리트)박스가더교 0513 프리플렉스빔교 0514
스틸박스가더교 0515 기타 0516
■ 입력 코드 내역
상부공―주형―간격 : 교량 상부구조 주형 간격을 기재, 단위:cm
기입 예 180.0
상부공―주형―높이 : 교량 상부구조 주형 높이를 기재, 단위:cm
기입 예 82.0
상부공―상판―두께 : 교량 상판의 두께를 기재, 단위:cm
기입 예 95.0
상부공―상판―재료 : 교량 상판의 재료를 기재
기입 예 2201: 현장타설콘크리트바닥판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 2201
현장타설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바닥판
2202
프리크스트 바닥판 2203 I형 격자 바닥판 2204
강상판 2205 기타 2299
■ 입력 코드 내역
111
상부공―난간―높이 : 교량 난간의 높이를 기재, 단위:cm
기입 예 100.0
상부공―난간―연장 : 교량 난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10.5
상부공―난간―재료 : 교량 난간의 재료를 기재
기입 예 0102: 강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0101 강재(파이프) 0102
가드레일 0103 철재 0104
알루미늄 합금 0105 스테인레스 0106
석축 0107 기타 0199
■ 입력 코드 내역
상부공―신축이음장치―형식 : 신축이음장치의 형식을 기재
기입 예 0243: Transflex죠인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맹죠인트형식(불명확) 0210 맹죠인트 0211
절삭죠인트 0212 맺댐선시공형식(불명확) 0220
즐눈판 죠인트 0221 앵글보강 죠인트 0222
보강강재 죠인트 0223 맞댐 후시공형식(불명확) 0230
CUT OFF 죠인트 0231 COUPLING 죠인트 0232
HAMA HIGHWAY 죠인트 0233 RUBBER TOP 조인트 0234
고무조인트 형식(불명확) 0240 HAMA HIGHWAY 죠인트(YY형) 0241
샌드위치 조인트 0242 TRANS FLEX 죠인트 0243
ACE 조인트 0244 FRESSYNET 죠인트 0245
강제형식 (불명확) 0250 강핑거 죠인트 0251
강겹침 죠인트 0252 MAGEBA 죠인트 0253
특수형식(불명확) 0260 DEMAG식 죠인트 0261
GAI TOP 죠인트 0262 기타 0299
■ 입력 코드 내역
112
상부공―신축이음장치―길이/수량 :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단위:m)와 수량(단위:개소)을
기재
기입 예 0.051 / 10
상부공―교면―포장재료 : 교량 교면포장 재료 기재
기입 예 1002: 아스팔트콘크리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1001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2
사리도 1003 비포장 1004
일반사각블럭 1005 소형고압블럭 1006
투수성아스팔트 1007 투수성콘크리트 1008
오너멘트블럭 1009 세라믹블럭 1010
화강석타일 1011 화강석판재 1012
가타 1099
■ 입력 코드 내역
상부공―교면―포장두께 : 교량 교면포장 두께 기재, 단위:cm
기입 예 12.0
상부공―교면―방수형식 : 교량 교면 방수형식 기재
기입 예 2401: 모르터방수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모르터방수 2401 아스팔트 방수 2402
시트방수 2403 도막방수 2404
기타 24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교대―형식 : 교대의 형식을 기재
기입 예 0401: 중력식
113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중력식 0401 반중력식 0402
역T형 0403 부벽식 0404
구주식 0405 라멘식 0406
박스식 0407 기타 04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교대―매립깊이 : 교대의 매립된 깊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2.1
하부공―교대―총높이 : 교대의 총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5.56
하부공―교대―기초형식 : 교대의 기초형식을 기재
기입 예 1701: 직접기초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독립(직접)기초 1701 확대(전면)기초 1702
우물통 기초 (오픈케이스) 1703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
1704
기성 PC 말뚝기초 1705 기성 RC말뚝기초 1706
강재 말뚝기초 1707 기타 17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교각―형식 : 교각의 형식을 기재
기입 예 2005: 라멘식
11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중력식 2001 벽식 2002
구주식 2003 T형 교각식 2004
라멘식 2005 아치식 2006
V형 교각식 2007 반중력식 2008
기타 20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교각―매립깊이 : 교각의 매립깊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8 (복수일 경우 교각 중 최대값 기입)
하부공―교각―총높이 : 교각의 총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51.6 (복수일 경우 교각 중 최대값 기입)
하부공―교각―기초형식 : 교각의 기초형을 기재
기입 예 1701: 직접기초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독립(직접)기초 1701 확대(전면)기초 1702
우물통 기초 (오픈케이스) 1703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
1704
기성 PC 말뚝기초 1705 기성 RC말뚝기초 1706
강재 말뚝기초 1707 기타 17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교각―평수위 : 교량 밑 하천의 평수위 기재, 단위:m
기입 예 1.5
하부공―날개벽―종류 : 날개벽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0301: 콘크리트
11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0301 석축 0302
콘크리트블록 0303 토사(자연법면) 0304
보강토 0305 기타 0399
■ 입력 코드 내역
하부공―날개벽―길이 : 날개벽의 길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3.8
점검통로 : 점검통로 유․무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상부공―교좌장치―형식 및 규격 : 교좌장치의 형식 및 규격 기재. 한 지점에 여러 종
류의 교좌장치가 있을 경우에는 많은 수의 형식을 기입하고, 동수인 경우에는 최외측
교좌장치 형식을 입력
기입 예 1903: 고무받침 0903: 일방향가동단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평면받침 1901 선받침 1902
고무받침 1903 고력황동 받침판 받침 1904
포트받침 1905 로울러받침 1906
라카받침 1907 피봇받침 1908
핀받침 1909 일방향 수평저항 받침 1910
메나제 힌지 1911 기타미상 1999
■ 입력 코드 내역 (형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고정단 0901 일방향가동단 0902
이방향가동단 0903 기타 0999
■ 입력 코드 내역 (규격)
116
교차종류 : 교량위 또는 교량밑으로 교차하여 지나가는 교차 시설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4605: 고가도로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교량 4601 보도육교 4602
지하차도 4603 지하보도 4604
고가도로 4605 생태통로 4606
과선교 4607 기타 4699
고속국도 1501 일반국도 1502
특별시도 1503 지방도 1504
시도 1505 군도 1506
광역시도 1507
■ 입력 코드 내역
중앙분리대―종류 : 교량에 설치된 중앙분리대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
기입 예 3101: 가드레일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가드레일 3101 가드펜스 3102
가드파이프 3103 가드케이블 3104
콘크리트방호 울타리 3105 낙석방호 울타리 3106
박스형 보형 3107 콘크리트 보형 3108
연석형 3109 광폭형 3110
기타 3199
■ 입력 코드 내역
117
중앙분리대―연장 : 교량에 설치된 중앙분리대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차․보도분리시설―종류 : 교량에 설치된 차․보도분리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3102: 가드펜스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가드레일 3101 가드펜스 3102
가드파이프 3103 가드케이블 3104
콘크리트방호 울타리 3105 낙석방호 울타리 3106
박스형 보형 3107 콘크리트 보형 3108
연석형 3109 광폭형 3110
기타 3199
■ 입력 코드 내역
차․보도분리시설―연장 : 교량에 설치된 차․보도분리시설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조명시설―종류 : 교량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3401: 수은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004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조명시설―수량 : 교량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20
118
방음시설―종류 : 교량에 설치된 방음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3001: 흡음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흡음형 3001 반사형 3002
혼합형 3003 기타 3099
■ 입력 코드 내역
방음시설―연장 : 교량에 설치된 방음시설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공사기간 : 교량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교량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교량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0: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공자 : 교량을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교량을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119
감리자 : 교량을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총사업비 : 교량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교량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교량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교량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전경사진 : 교량을 확인할 수 있는전경과 정면, 측면, 기타 전경사진을 부착
기입 예
120
위치도 : 교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형도 또는 일반평면도(약도) 부착
기입 예
121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교량제원
①관리번호 2013120001381034220100 ②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③도로종류 일반국도 ④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⑤노선번호 제 1 호 ⑥구간 38
⑦교량명 장기IC램프교(하) ⑧시설물 종별 -
위치
⑨시점 3.422 km ⑩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가장동
⑪종점 3.547 km ⑫상태등급 ⑬진단결과
⑭교량연장 125.2 m ⑮경간수 5 경간 ⑯최대경간장 28.0 m ⑰차로수(상행) 2
⑱총폭원 17.5 m ⑲차도폭 13.5 m ⑳보도폭 4.0 m 차로수(하행) 2
설계활하중 DB-24 허용통행하중 10.5 ton 내진설계 미적용 경간구성
20.6+3@28.0+20.6
=125.2
주경간형식 스틸박스거더교 부경간형식
상부공
주형
간격 180.0 cm
하부공
교대
형식 중력식
높이 82.0 cm 매립깊이 2.1 m
상판
두께 95.0 cm 총높이 5.56 m
재료 프리케스트바닥판 기초형식 직접기초
난간
높이 100.0 cm
교각
형식 라멘식
연장 110.5 m 매립깊이 1.8 m
재료 알루미늄합금 총높이 51.6 m
신축
이음
장치
형식 앵글보강죠인트 기초형식 말뚝기초
길이/수량 13.5 m / 10 개 평수위 1.5 m
교면
포장재료 아스팔트콘크리트
날개벽
종류 보강토
포장두께 12.0 cm 길이 3.8 m
방수형식 모르터방수 점검통로 무
교좌장치 형식 및 규격 평면받침(일방향 가동단) 교차종류 봉일천
122
중앙분리대시설 차․보도분리시설 조명시설 방음시설
종류 연장 종류 연장 종류 수량 종류 연장
없음 0.0 m 없음 0.0 m 없음 0 개 없음 0.0 m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서울지방국토관리
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전경사진 위치도
123
2.2.2 터널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터널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1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설치 15+345(시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터널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③ 도로종류 : 터널이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④ 노선명 : 터널이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⑤ 노선번호 : 터널이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⑥ 구간 : 터널이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⑦ 터널명 : 터널의 명칭을 기재. 터널이 상행․하행 각각 별도로 건설된 경우 각각 터널
제원을 작성하고, 터널명 뒤에 (괄호)를 만들어 상행․하행 기재
기입 예 중부1터널
124
⑧ 시설물종별 :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시설물은 ‘1’, 2종
시설물은 ‘2’, 그 외 시설물은 대쉬‘-’로 기재
기입 예 2501: 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1종 2501 2종 2502
그 외 시설물 2599
■ 입력 코드 내역
⑨ 위치―시점 : 터널 시점의 위치는 터널이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9.242
⑩ 소재지 : 터널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등원리
⑪ 위치―종점 : 터널 종점의 위치는 터널이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9.492
※ ⑫, ⑬ 항목은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2종 시설
물에 한하여 기재
⑫ 상태등급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나
타난 시설물의 상태등급을 A, B, C, D, E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601: A
12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A 2601 B 2602
C 2603 D 2604
E 2605
■ 입력 코드 내역
⑬ 진단결과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701: 양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양호 2701 보통 2702
불량 2703
■ 입력 코드 내역
※ 상행 터널인 경우 상행만 하행 터널인 경우 하행만 기재하고, 동일터
널내에 상․하행이 같이 있는 경우 상행란에 기재하고 하행란은 “상
동”으로 기재
⑭ 연장/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총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52.6
⑭ 연장/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총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52.6
⑮ 폭원―계/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총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9.6
⑮ 폭원―계/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총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9.6
126
폭원―차도/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차도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3.2
폭원―차도/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차도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3.2
폭원―보도/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보도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6.4
폭원―보도/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보도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6.4
높이/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4.5
높이/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4.5
통행제한높이/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통행제한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3.5
통행제한높이/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통행제한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3.5
형상/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형상 기재
기입 예 난형
127
형상/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형상 기재
기입 예 난형
차로수/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차로수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4
차로수/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차로수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4
공법/ 상행 : 상행방향 터널의 공법 기재
기입 예 전단면 굴착
공법/ 하행 : 하행방향 터널의 공법 기재
기입 예 4703: NATM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재래식 4701 침매 4702
NATM 4703 TBM 4704
기타 4799
■ 입력 코드 내역
바닥/ 두께 : 터널 바닥 마감재의 두께 기재, 단위:cm
기입 예 60.5
바닥/ 재질 : 터널 바닥 마감재의 재질 기재
기입 예 1002: 아스팔트 콘크리트
128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1001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2
사리도 1003 비포장 1004
일반사각블럭 1005 소형고압블럭 1006
투수성아스팔트 1007 투수성콘크리트 1008
오너멘트블럭 1009 세라믹블럭 1010
화강석타일 1011 화강석판재 1012
가타 1099
■ 입력 코드 내역 (바닥)
천정/ 두께 : 터널 천정 마감재의 두께 기재, 단위:cm
기입 예 30.2
천정/ 재질 : 터널 천정 마감재의 재질 기재
기입 예 2107: 합성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측벽/ 두께 : 터널 측벽 마감재의 두께 기재, 단위:cm
기입 예 45.0
측벽/ 재질 : 터널 측벽 마감재의 재질 기재
기입 예 2104: 콘크리트
129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측벽)
종단경사 : 터널의 최대 종단경사 기재, 단위:%
기입 예 0.7
곡선반경 : 터널의 최대 곡선반경 기재 , 단위:m
기입 예 780.0
라디오방송설비 : 터널에 설치된 라디오방송설비의 유․무를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무 0 유 1
■ 입력 코드 내역
배수시설 : 터널 배수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측구 4810 L형 측구 4811
U형 측구 4812 V형 측구 4813
다이크 4820 집수정 4830
도수로 4840 배수관 4850
암거 4860 맹암거 4861
기입 예 4850: 배수관
■ 입력 코드 내역
130
비상전화 : 터널에 설치된 비상전화 수량을 기재, 단위:대
기입 예 2
환기설비 : 터널에 설치된 환기설비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4911: 종류환기(젯트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종류환기 4910 종류환기(제트팬) 4911
횡류환기 4920 횡류환기(배기) 4921
횡류환기(급배기) 4922 반횡류환기 4930
■ 입력 코드 내역
방재시설/ 종류 : 터널에 설치된 방재시설 중 소화설비와 경보설비가 아닌 기타 방
재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없음
방재시설/ 수량 : 터널에 설치된 방재시설 중 소화설비와 경보설비가 아닌 기타 방
재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0
조명시설/ 종류 : 터널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
로 기재(여러개의 종류가 존재할 경우 최근 설치하거나 고가시설 순으로 입력)
기입 예 3401: 수은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4
LED 3405 형광램프 3406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131
조명시설/ 수량 : 터널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20
소화설비/ 종류 : 터널에 설치된 소화설비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
로 기재, 여러 종류가 같이 있을 경우 고가 장비 기재
기입 예 5012: 분말소화기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소화기 5010 이산화탄소소화기 5011
할론소화기 5012 분말소화기 5013
강화액소화기 5014 소화전 5020
물분무설비 5030 기타 5099
■ 입력 코드 내역
경보설비 : 터널에 설치된 경보설비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비상경보(비상벨)설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비상경보(비상벨)설비 5101 화재감지기 5102
기타 5199
■ 입력 코드 내역
그 밖의 설비 : 터널에 설치된 기타 시설에 대하여 기재
기입 예 -
차량대피시설 유무 : 차량대피시설의 유무 및 대피시설 개소를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132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무 0 유 1
■ 입력 코드 내역
무정전시스템 유무 : 무정전시스템의 유무를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무 0 유 1
■ 입력 코드 내역
공사기간 : 터널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터널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터널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0: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공자 : 터널을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터널을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133
감리자 : 터널을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총사업비 : 터널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터널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터널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터널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34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터널제원
①관리번호 2013120001380192420000 ②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③도로종류 일반국도 ④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⑤노선번호 제 1 호 ⑥구간 38
⑦터널명 중부1터널 ⑧시설물 종별 1
위치
⑨시점 19.242 km ⑩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등원리
⑪종점 19.492 km ⑫상태등급 A ⑬진단결과 양호
구분 ⑭연장
폭원
⑱높이
⑲
통행제한높이
⑳형상 차로수 공법
⑮계 ⑯차도 ⑰보도
상행 252.6 m 19.6 m 13.2 m 6.4 m 4.5 m 3.5 m 원형 4 차로 전단면 굴착
하행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구분 바닥 천정 측벽 종단경사 0.7 % 곡선반경 780.0 m
두께 60.5 cm 30.2 cm 45.0 cm 라디오방송설
비
무 배수시설 배수관
재질 아스팔트콘크리트 합성재 콘크리트 비상전화 2 대 환기설비 종류식(젯트팬)
구분 방재시설 조명시설 소화설비 경보설비 화재감지기 그 밖의 설비 -
종류 없음 수은램프 소화기 차량대피시설 유무 무
수량 0 개 252 개 8 개 무정전시스템 유무 무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35
2.2.3 육교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육교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2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설치 15+345지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육교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6: 인천시청
③ 도로종류 : 육교가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7: 광역시도
④ 노선명 : 육교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광3-8(부평로)
⑤ 노선번호 : 육교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광3-8 호
⑥ 구간 : 육교가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
⑦ 육교명 : 육교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부평육교
⑧ 위치―시점 : 육교 시점의 위치는 육교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136
기입 예 1.137
⑨ 소재지 : 육교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⑩ 위치―종점 : 육교 종점의 위치는 육교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138
⑪ 연장 : 육교의 총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1.1
⑫ 높이 : 육교의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7.8
⑬ 형식 : 육교의 종류 및 형식을 기재
기입 예 2302: 아치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아치형 2302 외팔보형 2303
상로교/노선교 2304 도개교 2305
부교 2306 형교 2307
탑형 현수교 2308 아치형 현수교 2309
적교 2310 선개교/선회교 2311
승개교 2312 운반교 2313
목판교 2314 세로 빔/들보다리 2315
결구교 2316 미닫이형 2317
고정형 2318 인도교 2319
기타 2399
■ 입력 코드 내역
137
⑭ 설계활하중 : 육교 설계 당시의 설계활하중을 기재, 단위:ton
기입 예 4.5
⑮ 허용통행하중 : 허용되는 최대하중을 기재, 단위:ton
기입 예 3.85
통행제한높이 : 육교의 통행제한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4.8
구체―폭원 : 육교 구체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8
계단―폭원 : 육교 계단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4
난간―연장 : 육교 난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3.5
구체―상부구조 : 육교의 상부구조 형식을 기재
기입 예 0501: 트러스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트러스트 0501 T 빔교 0502
PC 빔교 0503 I 형교 0504
라멘교 0505 강판형교 0506
현수교 0507 스라브교 0508
목조교 0509 아치교 0510
게르바교 0511 사장교 0512
(콘크리트)박스가더교 0513 프리플렉스빔교 0514
스틸박스가더교 0515 기타 0516
■ 입력 코드 내역
138
계단―연장/개소 : 육교 계단의 전체 연장(단위:m)과 계단의 개소를 기재
기입 예 12.2 / 4
난간―높이 : 육교난간의 높이를 기재, 단위:cm
기입 예 110.0
구체―하부구조 : 육교의 하부구조 형식을 기재
기입 예 2003: 구주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중력식 2001 벽식 2002
구주식 2003 T형 교각식 2004
라멘식 2005 아치식 2006
V형 교각식 2007 반중력식 2008
기타 2099
■ 입력 코드 내역
계단―재질 : 육교 계단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1005: 일반사각블럭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1001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2
사리도 1003 비포장 1004
일반사각블럭 1005 소형고압블럭 1006
투수성아스팔트 1007 투수성콘크리트 1008
오너멘트블럭 1009 세라믹블럭 1010
화강석타일 1011 화강석판재 1012
기타 1099
■ 입력 코드 내역
139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0101 강재(파이프) 0102
가드레일 0103 철재 0104
알루미늄 합금 0105 스테인레스 0106
석축 0107 기타 0199
■ 입력 코드 내역
난간―재질 : 육교 난간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0106: 스테인레스
조명시설―종류 : 육교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3401: 수은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5
LED 3406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조명시설―수량 : 육교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여러개의 종류가
존재할 경우 최근 설치하거나 고가시설 순으로 입력)
기입 예 0
장애인편익시설―종류 : 육교에 설치된 장애인편익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턱낮추기
140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턱낮추기 5301 점자블럭 5302
기타 5399
■ 입력 코드 내역
장애인편익시설―수량 : 육교에 설치된 장애인편익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0
부대시설―종류 : 육교에 설치된 기타 부대시설이 있는 경우 설치된 부대시설의 종류
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없음
부대시설―수량 : 육교에 설치된 부대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0
공사기간 : 육교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육교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육교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ICC: 인천시청
141
시공자 : 육교를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육교를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 육교를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총사업비 : 육교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육교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육교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육교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42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육교제원
①관리번호 23-431 ②관리기관 인천시청
③도로종류 광역시도 ④노선명 광3-8(부평로) ⑤노선번호 제 광3-8 호 ⑥구간 -
⑦육교명 부평육교
위치
⑧시점 1.137 km
⑨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⑩종점 1.138 km
⑪연장 21.1 m ⑫높이 7.8 m ⑬형식 아치형
⑭설계활하중 4.5 ton ⑮허용통행하중 3.85 ton ⑯통행제한높이 4.8 m
구체 계단 난간
⑰폭원 3.8 m ⑱폭원 2.4 m ⑲연장 13.5 m
⑳상부구조 강판형교 연장/개소 12.2 m / 4 개소 높이 110.0 cm
하부구조 구주식 재질 일반사각블럭 재질 스테인레스
조명시설 장애인편익시설 부대시설
종류 수량 종류 수량 종류 수량
없음 0.0 m 없음 0 개 없음 0 개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인천시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43
2.2.4 지하차도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지하차도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0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15+345지점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지하차도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6: 인천시청
③ 도로종류 : 지하차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7: 광역시도
④ 노선명 : 지하차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광3-8(부평로)
⑤ 노선번호 : 지하차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광3-8 호
⑥ 구간 : 지하차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
⑦ 지하차도명 : 지하차도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부평지하차도
144
⑧ 시설물종별 :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시설물은 ‘1’, 2종
시설물은 ‘2’, 그 외 시설물은 대쉬‘-’로 기재
기입 예 2501: 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1종 2501 2종 2502
그 외 시설물 2599
■ 입력 코드 내역
⑨ 위치―시점 : 지하차도 시점의 위치는 지하차도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315
⑩ 소재지 : 지하차도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⑪ 위치―종점 : 지하차도 종점의 위치는 지하차도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590
※ ⑫, ⑬ 항목은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2종 시설
물에 한하여 기재
⑫ 상태등급 : 해당 지하차도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나타난 시설물의 상태등급을 A, B, C, D, E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601: A
14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A 2601 B 2602
C 2603 D 2604
E 2605
■ 입력 코드 내역
⑬ 진단결과 : 해당 지하차도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를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701: 양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양호 2701 보통 2702
불량 2703
■ 입력 코드 내역
⑭ 연장 : 지하차도의 Box 연장과 옹벽구간을 합한 총 연장을 기재하고 (괄호)를 만들어
Box 구간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75.0(215.0)
⑮ 규격 : 지하차도의 Box 구간의 규격(폭×높이×열) 기재, 단위:m
기입 예 4.0m × 4.8m × 2
폭원(차도) : 차도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3.6
폭원(보도) : 보도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146
차로수(상행) : 상행 방향의 차로수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2
차로수(하행) : 하행 방향의 차로수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2
종단경사 : 지하차도의 최대 종단경사 기재, 단위:%
기입 예 0.92
곡선반경 : 지하차도의 최대 곡선반경 기재, 단위:m
기입 예 396.0
옹벽―높이 : 지하차도 진․출입부에 건설된 옹벽의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4
옹벽―연장 : 지하차도 진․출입부에 건설된 옹벽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60.0
조명시설―종류 : 지하차도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여러개의 종류가 존재할 경우 최근 설치하거나 고가시설 순으로 입력)
기입 예 3402: 메탈할라이드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4
LED 3405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147
조명시설―수량 : 지하차도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40
소화시설―종류 : 지하차도에 설치된 소화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 여러 종류가 같이 있을 경우 고가 장비 기재
기입 예 5010: 소화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소화기 5010 이산화탄소소화기 5011
할론소화기 5012 분말소화기 5013
강화액소화기 5014
소화전 5020 물분무설비 5030
■ 입력 코드 내역
소화시설―수량 : 지하차도에 설치된 소화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8
마감재―천정 : 지하차도 천정의 마감재 기재
기입 예 2107: 합성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148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마감재―벽체 : 지하차도 벽체의 마감재 기재
기입 예 2101: 벽돌
통행제한높이 : 지하차도의 통행제한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3.2
환기방식 : 지하차도의 환기방식 기재
기입 예 4930: 반횡류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종류환기 4910 종류환기(제트팬) 4911
횡류환기 4920 횡류환기(배기) 4921
횡류환기(급배기) 4922 반횡류환기 4930
■ 입력 코드 내역
배수시설 : 지하차도의 배수시설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4830: 집수정
149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측구 4810 L형 측구 4811
U형 측구 4812 V형 측구 4813
다이크 4820 집수정 4830
도수로 4840 배수관 4850
암거 4860 맹암거 4861
■ 입력 코드 내역
공사기간 : 지하차도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지하차도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지하차도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 인천시청
시공자 : 지하차도를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지하차도를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 지하차도를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150
총사업비 : 지하차도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지하차도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지하차도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지하차도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51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지하차도
①관리번호 24-431 ②관리기관 인천시청
③도로종류 특별․광역시도 ④노선명 광3-8(부평로) ⑤노선번호 제 광3-8 호 ⑥구간 -
⑦지하차도명 부평지하차도 ⑧시설물 종별 1
위치
⑨시점 2.315 km ⑩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⑪종점 2.590 km ⑫상태등급 A ⑬진단결과 양호
⑭연장 275.0(215.0) m ⑮규격 7.4m × 3.8m × 2 ⑯폭원(차도) 13.6 m ⑰폭원(보도) 0.0 m
⑱차로수(상행) 2 ⑲차로수(하행) 2 ⑳종단경사 0.92 % 곡선반경 396.0 m
옹벽 조명시설 소화시설 마감재
높이 연장 종류 수량 종류 수량 천정 벽체
0.4 m ~ 1.8 m 60.0 m 메탈할라이드 40 개 소화전 8 개 합성재 벽돌
통행제한높이 3.2 m 환기방식 반횡류식 배수시설 집수정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인천시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52
2.2.5 지하보도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지하보도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1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 15+345 시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지하보도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6: 인천시청
③ 도로종류 : 지하보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7: 광역시도
④ 노선명 : 지하보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광3-8(부평로)
⑤ 노선번호 : 지하보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작성요령은 1.총괄 참조)
기입 예 제 광3-8 호
⑥ 구간 : 지하보도가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
조)
기입 예 -
⑦ 지하보도명 : 지하보도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부평지하보도
⑧ 시설물종별 :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시설물은 ‘1’, 2종
시설물은 ‘2’, 그 외 시설물은 대쉬‘-’로 기재
153
기입 예 2501: 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1종 2501 2종 2502
그 외 시설물 2599
■ 입력 코드 내역
⑨ 위치―시점 : 지하보도 시점의 위치는 지하보도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4.152
⑩ 소재지 : 지하보도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⑪ 위치―종점 : 지하보도 종점의 위치는 지하보도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 (구간
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4.272
※ ⑫, ⑬ 항목은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2종 시설
물에 한하여 기재
⑫ 상태등급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나
타난 시설물의 상태등급을 A, B, C, D, E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061: A
15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A 2601 B 2602
C 2603 D 2604
E 2605
■ 입력 코드 내역
⑬ 진단결과 : 해당 교량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701: 양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양호 2701 보통 2702
불량 2703
■ 입력 코드 내역
⑭ 연장 : 지하보도의 총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120.0
⑮ 규격 : 지하보도의 규격(폭×높이)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8.0 × 4.5
폭원 : 지하보도의 총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7.5
출입구수 : 지하보도의 출입구 개수를 기재, 단위:개
기입 예 4
마감재―천정 : 지하보도 천정의 마감재 종류를 기재
기입 예 2107: 합성재
15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마감재―벽체 : 지하보도 벽체의 마감재 종류를 기재
기입 예 2101: 벽돌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마감재―바닥 : 지하보도 바닥의 마감재 종류를 기재
기입 예 2104: 콘크리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156
마감재―출입구 : 지하보도 출입구의 마감재 종류를 기재
기입 예 2103: 시멘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벽돌 2101 블록 2102
시멘트 2103 콘크리트 2104
사리도 2105 아스팔트 2106
합성재 2107 화학재질 2108
플라스틱 2109 기타 2199
■ 입력 코드 내역
조명시설―종류 : 지하보도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여러개의 종류가 존재할 경우 최근 설치하거나 고가시설 순으로 입력)
기입 예 3401: 수은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4
LED 3405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조명시설―수량 : 지하보도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40
소화시설―종류 : 지하보도에 설치된 소화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 여러 종류가 같이 있을 경우 고가 장비 기재
기입 예 소화전
157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소화기 5010 이산화탄소소화기 5011
할론소화기 5012 분말소화기 5013
강화액소화기 5014
소화전 5020 물분무설비 5030
■ 입력 코드 내역
소화시설―수량 : 지하보도에 설치된 소화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8
배수시설 : 지하보도 배수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없음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측구 4810 L형 측구 4811
U형 측구 4812 V형 측구 4813
다이크 4820 집수정 4830
도수로 4840 배수관 4850
암거 4860 맹암거 4861
■ 입력 코드 내역
방송설비 : 지하보도에 설치된 방송설비의 유․무를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환기방식 : 지하보도에 설치된 환기설비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기
재
기입 예 4922: 횡류환기(급배기)
158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종류환기 4910 종류환기(제트팬) 4911
횡류환기 4920 횡류환기(배기) 4921
횡류환기(급배기) 4922 반횡류환기 4930
■ 입력 코드 내역
공사기간 : 지하보도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지하보도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지하보도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
기입 예 ICC: 인천시청
시공자 : 지하보도를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지하보도를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 지하보도를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159
총사업비 : 지하보도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지하보도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지하보도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지하보도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60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지하보도
①관리번호 24-431 ②관리기관 인천시청
③도로종류 광역시도 ④노선명 광3-8(부평로) ⑤노선번호 제 광3-8 호 ⑥구간 -
⑦지하보도명 부평지하보도 ⑧시설물 종별 -
위치
⑨시점 4.152 km ⑩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⑪종점 4.272 km ⑫상태등급 ⑬진단결과
⑭연장 120.0 m ⑮규격 8.0m × 4.5m ⑯폭원 7.5 m ⑰출입구수 4 개소
마 감 재 조명시설 소화시설
⑱천정 ⑲벽체 ⑳바닥 출입구 종류 수량 종류 수량
합성재 벽돌 콘크리트 시멘트 메탈할라이드램프 40 개 소화전 8 개
배수시설 없음 방송설비 무 환기방식 없음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인천시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61
2.2.6 고가도로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고가도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2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15+345 시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고가도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6: 인천시청
③ 도로종류 : 고가도로가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7: 광역시도
④ 노선명 : 고가도로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광3-8(부평로)
⑤ 노선번호 : 고가도로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광3-8 호
⑥ 구간 : 고가도로가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
조)
기입 예 -
⑦ 고가도로명 : 고가도로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부평고가도로
162
⑧ 시설물종별 :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시설물은 ‘1’, 2종
시설물은 ‘2’, 그 외 시설물은 대쉬‘-’로 기재
기입 예 2501: 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1종 2501 2종 2502
그 외 시설물 2599
■ 입력 코드 내역
⑨ 위치―시점 : 고가도로 시점의 위치는 고가도로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782
⑩ 소재지 : 고가도로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단 고가도로의 연장이 길어 두
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쳐 있을때는 시점과 종점의 소재지를 기재
기입 예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동
⑪ 위치―종점 : 고가도로 종점의 위치는 고가도로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6.657
※ ⑫, ⑬ 항목은 시설물의안전관리에대한특별법의 규정에 의한 1종, 2종 시설
물에 한하여 기재
⑫ 상태등급 : 해당 고가도로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나타난 시설물의 상태등급을 A, B, C, D, E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601: A
163
구분 코드 구분 코드
A 2601 B 2602
C 2603 D 2604
E 2605
■ 입력 코드 내역
⑬ 진단결과 : 해당 고가도로에 대하여 최근에 실시한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를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기재
기입 예 2701: 양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양호 2701 보통 2702
불량 2703
■ 입력 코드 내역
⑭ 도로―폭원 : 고가도로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0.5
⑮ 램프―개수 : 고가도로 램프의 개수를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0
재질―차도 : 고가도로 차도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1002: 아스팔트콘크리트
16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1001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2
사리도 1003 비포장 1004
일반사각블럭 1005 소형고압블럭 1006
투수성아스팔트 1007 투수성콘크리트 1008
오너멘트블럭 1009 세라믹블럭 1010
화강석타일 1011 화강석판재 1012
가타 1099
■ 입력 코드 내역
도로―연장 : 고가도로의 총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875.0
램프―폭원 : 고가도로 램프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재질―보도 : 고가도로 보도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1006: 소형고압블럭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1001 아스팔트 콘크리트 1002
사리도 1003 비포장 1004
■ 입력 코드 내역
16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일반사각블럭 1005 소형고압블럭 1006
투수성아스팔트 1007 투수성콘크리트 1008
오너멘트블럭 1009 세라믹블럭 1010
화강석타일 1011 화강석판재 1012
가타 1099
■ 입력 코드 내역 (계속)
도로―차로수(상행/하행) : 고가도로의 상․하행 차로수를 기재, 단위:차도
기입 예 3 / 3
램프―연장 : 고가도로 램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재질―난간 : 고가도로 난간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0102: 강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콘크리트 0101 강재(파이프) 0102
가드레일 0103 철재 0104
알루미늄 합금 0105 스테인레스 0106
석축 0107 기타 0199
■ 입력 코드 내역
구조형식―상부구조 : 고가도로 상부구조형식을 기재
기입 예 0514: 프리플렉스빔교
166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트러스트 0501 T 빔교 0502
PC 빔교 0503 I 형교 0504
라멘교 0505 강판형교 0506
현수교 0507 스라브교 0508
목조교 0509 아치교 0510
게르바교 0511 사장교 0512
(콘크리트)박스가더교 0513 프리플렉스빔교 0514
스틸박스가더교 0515 기타 0516
■ 입력 코드 내역
구조형식―하부구조 : 고가도로 하부구조형식을 기재
기입 예 2005: 라멘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중력식 2001 벽식 2002
구주식 2003 T형 교각식 2004
라멘식 2005 아치식 2006
V형 교각식 2007 반중력식 2008
기타 2099
■ 입력 코드 내역
조명시설―종류 : 고가도로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3499
기입 예 3004: 저압나트륨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4
LED 3405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167
조명시설―수량 : 고가도로에 설치된 조명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75
방음시설―종류 : 고가도로에 설치된 방음시설의 종류를 기재. 없는 경우는 ‘없음’
으로 기재
기입 예 3001: 흡음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흡음형 3001 반사형 3002
혼합형 3003 기타 3099
■ 입력 코드 내역
방음시설―연장 : 고가도로에 설치된 방음시설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0
설계활하중 : 고가도로 설계 당시의 설계활하중을 기재
기입 예 0601: DB-24/Dl-2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DB-24/DL-24 0601 DB-18/DL-18 0602
DB-13.5 0603 T13/D13 0604
T12/D12 0605 T9/D9 0606
T8/D8 0607 T6/D6 0608
기타 0699
■ 입력 코드 내역
허용통행하중 : 차량 통행시 허용되는 최대하중을 기재, 단위:ton
기입 예 10.5
168
교차종류 : 고가도로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교차 종류를 기재
기입 예 지방도326노선
공사기간 : 고가도로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고가도로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고가도로 공사 준공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ICC: 인천시청
시공자 : 고가도로를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고가도로를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 고가도로를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총사업비 : 고가도로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169
설계비 : 고가도로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고가도로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고가도로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70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고가도로
①관리번호 26-431 ②관리기관 인천시청
③도로종류 광역시도 ④노선명 광3-8(부평로) ⑤노선번호 제 광3-8 호 ⑥구간 -
⑦고가도로명 부평고가도로 ⑧시설물 종별 1
위치
⑨시점 5.782 km ⑩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⑪종점 6.657 km ⑫상태등급 A ⑬진단결과 양호
도로 램프 재질
⑭폭원 20.5 m ⑮개수 0 개소 ⑯차도 아스팔트
⑰연장 875.0 m ⑱폭원 0.0 m ⑲보도 -
⑳차로수(상행/하행) 3 / 3 연장 0.0 m 난간 강재
구조형식 조명시설 방음시설
상부구조 하부구조 종류 수량 종류 연장
스틸박스거더교 T형 교각식 저압나트륨램프 175 개 없음 0.0 m
설계활하중 DB-24 허용통행하중 10.5 ton 교차종류 부평천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인천시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71
2.2.7 IC제원
① 시설물관리번호 : IC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2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15+345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② 관리기관 : 해당 IC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1: 수원국토관리사무소
③ 도로종류 : IC가 위치하는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④ 노선명 : IC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⑤ 노선번호 : IC가 위치하는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⑥ 구간 : IC가 위치하는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0
⑦ IC명 : IC 명칭을 기재
기입 예 부평IC
⑧ IC 개통일 : IC 개통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5
172
⑨ 위치―시점 : IC 시점의 위치를 IC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000
⑩ 위치―종점 : IC 종점의 위치를 IC가 위치한 도로 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350
⑪ 소재지 : IC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⑫ 형식 : IC 형식을 기재
기입 예 2906: 직결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트럼펫형 2901 Y 자형 2902
다이아몬드형 2903 클로버형 2904
더블트럼펫형 2905 직결형(다이렉셔널형) 2906
기타 2999
■ 입력 코드 내역
⑬ 접속도로―도로명 : IC와 접속되는 도로의 종류, 노선번호, 노선명을 기재
기입 예 광역시도 광3-8(부평로)
⑬ 접속도로―관리청 : IC와 접속되는 도로의 관리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173
기입 예 1700: 한국도로공사
⑬ 접속도로―차로수 : IC와 접속되는 도로의 차로수를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4
⑭ 램프일련번호 : IC의 각 램프를 일련번호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1
⑮ 시설구조 : 각 램프마다 램프의 시설구조을 기재
기입 예 다중엇갈림
연장 : 램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25.0
폭원 : 램프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7.2
진․출입로 구분 : 램프가 진입로인지 출입로인지를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진입로 1: 출입로
차로수 : 램프의 차로수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2
진행방향―시점측 : 램프의 이전방향(backward) 경유지명 기재
기입 예 작전동
진행방향―종점측 : 램프의 진행방향(forward) 목적지명기재
174
기입 예 서인천
하행
상행
⑨위치-시점 ⑩위치-종점
램프
진행방향
시점측
진행방향
종점측
진행방향
종점측
진행방향
시점측
공사기간 : IC 공사에 소요된 개월수를 기재, 단위:개월
기입 예 18
착공일 : IC 공사 착수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1-03-05
준공일 : IC 공사 준공 연월일을 기재
기입 예 2002-09-10
시행청 : 공사 발주 기관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0: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공자 : IC을 시공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고구려건설
설계자 : IC을 설계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175
기입 예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 IC을 감리한 업체의 상호명을 기재
기입 예 (주) 백제
총사업비 : IC 건설에 소요된 총 사업비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567,821
설계비 : IC 설계시 소요된 총 설계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8,121
공사비 : IC 시공에 소요된 총 시공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378,000
감리비 : IC 시공 감리 시 소요된 총 감리비용 기재, 단위:천원
기입 예 91,700
-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176
[작성요령] 주요시설물 제원
□ IC제원
①관리번호 27-431 ②관리기관 수원국토
③도로종류 일반국도 ④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⑤노선번호 제 1 호 ⑥구간 10
⑦IC명 부평IC ⑧IC개통일 2002-09-15
위치
⑨시점 0.000 km
⑪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⑩종점 0.350 km
⑫형식 다이아몬드형 ⑬접속도로 도로명 : 광역시도 광3-8(부평로) 관리청 : 인천시청 차로수 : 4차로
⑭램프일련번호 ⑮시설구조 ⑯연장 ⑰폭원 ⑱진․출입로 구분 ⑲차로수
진행방향
⑳시점측 종점측
1 단순엇갈림 125.0 m 7.2 m 진입로 2 작전동 서인천
2 단순엇갈림 125.0 m 7.2 m 출입로 2 부천 작전동
3 단순엇갈림 125.0 m 7.2 m 출입로 2 서인천 갈산동
4 단순엇갈림 125.0 m 7.2 m 진입로 2 갈산동 부천
5
6
공사기간 18 개월 착공일 2001-03-05 준공일 2002-09-10
시행청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공자 고구려건설 설계자 신라엔지니어링 감리자 (주) 백제
총사업비 567,821 천원 설계비 98,121 천원 공사비 378,000 천원 감리비 91,700 천원
비고
177
2.3 기하구조 조서
2.3.1 도로중심선교점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31-431
⑦ IP 번호 : 도로중심선교점(IP) 번호 기재
기입 예 16
178
⑧ 교각 : 평면곡선의 교각(I) 기재, 단위 : ° ′ ″
기입 예 20°12′58″
⑨ 곡선반경 : 평면곡선의 반지름(R) 기재, 단위:m
기입 예 396.0
⑩ 접선장 : 평면곡선의 접선장(TL) 기재, 단위:m
기입 예 70.6
⑪ 곡선장 : 평면곡선의 곡선장(CL) 기재, 단위:m
기입 예 139.72
⑫ 곡선시점 : 도로중심선교점의 곡선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000
⑬ 곡선종점 : 도로중심선교점의 곡선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140
⑭ 중앙종거 : 평면곡선의 중앙종거(SL) 기재, 단위:m
기입 예 6.24
⑮ 경사 : 평면곡선의 최대편경사(S) 기재, 단위:%
기입 예 2.0
179
확폭 : 평면곡선의 확폭 기재, 단위:m
기입 예 0.5
직선장 : 직전 곡선의 곡선시점에서 해당 곡선의 곡선종점까지의 거리 기재, 단위:m
기입 예 592.0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3.2 교차시설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21534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15+345 지점 본선상에 위치
180
⑦ 위치 : 교차시설의 위치는 교차시설이 위치한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4.072
⑧ 교차시설명 : 교차시설의 명칭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다락교차로
⑨ 교차방식 : 교차시설과의 교차방식을 기재
기입 예 0: 평면교차 1: 입체교차
⑩ 교차연장 : 교차시설과의 교차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5.0
⑪ 교차시설의 폭원 : 교차시설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4.0
⑫ 유효높이 : 교차시설의 유효높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5.0
⑬ 교차각도 : 교차시설과의 교차각도(본도로의 중심선에서 교차시설 중심선까지 시계방
향의 각도) 기재, 단위 : °
기입 예 40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기입 예 다락교차로
18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교량 4601 보도육교 4602
지하차도 4603 지하보도 4604
고가도로 4605 생태통로 4606
과선교 4607 기타 4699
고속국도 1501 일반국도 1502
특별시도 1503 지방도 1504
시도 1505 군도 1506
광역시도 1507
■ 입력 코드 내역
⑩교차연장
⑬교차각도
본도로
교차시설
⑪교차시설의
폭원
2.3.3 오르막차로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182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102376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 02+376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오르막차로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376
⑧ 위치―종점 : 오르막차로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3.096
⑨ 위치―방향 : 오르막차로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연장 : 오르막차로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720.0
⑪ 차로수 : 오르막차로가 설치된 방향의 차로수(오르막차로 포함)를 기재, 단위:차로
기입 예 3
183
⑫ 오르막차로의 폭원 : 오르막차로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3.25
⑬ 경사 : 오르막차로의 경사를 기재, 단위:%
기입 예 5.6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3.4 종단경사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006512000138
184
⑦ 위치―시점 : 종단경사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750
⑧ 위치―종점 : 종단경사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6.070
⑨ 경사 : 종단경사를 기재, 단위:%
기입 예 2.03
⑩ 시점지반고 : 종단경사 시점의 지반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24.65
⑪ 경사연장 : 종단경사 구간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20.0
⑫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3.5 정차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185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304008762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8+762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 : 정차대 위치는 정차대 시점의 위치를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8.762
⑧ 방향 : 정차대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연장 : 정차대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2.8
⑩ 폭 : 정차대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5.285
186
⑪ 대기소 : 정차대의 대기소 유․무를 기재
기입 예 0: 무 1: 유
⑫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187
[작성요령] 기하구조조서
□ 도로중심선교점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3 호 ④구간 4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IP번호 ⑧교각 ⑨곡선반경 ⑩접선장 ⑪곡선장 ⑫곡선시점 ⑬곡선종점 ⑭중앙종거 ⑮경사 ⑯확폭 ⑰직선장 ⑱비고
006512000138 16 20°12′58″ 396.0 m 70.6 m 139.72 m 5.000 km 5.140 km 6.24 m 0 % 0.5 m 592.0 m
□ 교차시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3 호 ④구간 4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위치 ⑧교차시설명 ⑨교차방식 ⑩교차연장 ⑪교차시설의 폭원 ⑫유효높이 ⑬교차각도 ⑭비고
20131200030
42153450000
4.072 km 다락육교 입체 25.0 m 24.0 m 5.0 m 40 °
□ 오르막차로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3 호 ④구간 4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연장 ⑪차로수
⑫오르막차로의
폭원
⑬경사 ⑭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20131200030
41153450000
2.376 km 3.096 km 하행 720.0 m 3 차로 3.25 m 5.6 %
188
□ 종단경사 (제12쪽)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3 호 ④구간 4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경사 ⑩시점지반고 ⑪경사연장 ⑫비고
⑦시점 ⑧종점
006512000138 5.750 km 6.070 km 2.03 % 24.65 m 320.0 m
□ 정차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3 호 ④구간 4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위치 ⑧방향 ⑨연장 ⑩폭 ⑪대기소 ⑫비고
20131200030
40153450000
8.762 km 상행 12.8 m 5.285 m 무
189
2.4 토공 및 배수 조서
2.4.1 측구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4237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4+237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측구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4.237
190
⑧ 위치―종점 : 측구의 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4.572
⑨ 위치―방향 : 측구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측구로 기재
기입 예 측구
⑪ 종류 : 측구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1301: L형
L형 1301 U형 1302
V형 1303 토사형 1304
산마루형 1305 옹벽형 1306
콘크리트 1307 다이크 1308
기타 1399
■ 입력 코드 내역 (측구)
⑫ 연장 : 측구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35.0
⑬ 높이―최대 : 측구의 최대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8
191
⑭ 높이―최소 : 측구의 최소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3
⑮ 폭―경사 : 측구의 점유폭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65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4.2 석축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192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1+920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192
⑦ 위치―시점 : 석축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1.920
⑧ 위치―종점 : 석축의 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2.035
⑨ 위치―방향 : 석축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석축으로 기재
기입 예 석축
⑪ 종류 : 석축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1215: 화강암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화강암 1215 사암 1222
대리석 1223 기타 1299
■ 입력 코드 내역 (석축)
⑫ 연장 : 석축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15.0
193
⑬ 높이―최대 : 석축의 최대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7
⑭ 높이―최소 : 석축의 최소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5
⑮ 폭―경사 : 석축의 점유폭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25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4.3 옹벽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194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5582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5+582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옹벽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5.582
⑧ 위치―종점 : 옹벽의 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5.713
⑨ 위치―방향 : 옹벽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옹벽으로 기재
기입 예 옹벽
⑪ 종류 :옹벽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4309: 보강토
195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중력식 4301 반중력식 4302
비자립형 4303 캔딜레버식(4313, 4314 참고) 4304
뒷부벽식 4305 앞부벽식 4306
U형 4307 블록쌓기(돌쌓기) 4308
보강토(4311, 4312 참고) 4309 EPS 4310
패널식 보강토 4311 블록식 보강토 4312
역T형 4313 L형 4314
선반식 4315 상자형 4316
혼합형 4317 게비온 4318
기타 4399
■ 입력 코드 내역 (옹벽)
⑫ 연장 : 옹벽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31.0
⑬ 높이―최대 : 옹벽의 최대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7
⑭ 높이―최소 : 옹벽의 최소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5
⑮ 폭―경사 : 옹벽의 점유폭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25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4.4 도로절개면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196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5443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5+443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도로절개면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443
⑧ 위치―종점 : 도로절개면의 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932
⑨ 위치―방향 : 도로절개면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197
⑩ 구분 : 도로절개면으로 기재
기입 예 도로절개면
⑪ 종류 : 도로절개면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4203: 혼합사면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암사면 4201 흙사면 4202
혼합사면 4203 기타 4299
■ 입력 코드 내역 (도로절개면)
⑫ 연장 : 도로절개면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489.0
⑬ 높이―최대 : 도로절개면의 최대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2
⑭ 높이―최소 : 도로절개면의 최소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9
⑮ 폭―경사 : 도로절개면의 경사를 기재, 단위:°(도)/비율
기입 예 68° (1:0.4)
비고 : 일반국도 신설공사 외에 도로대장 현행화 작업인 경우 CSMS(절토사면)팀에서
부여한 깍기비탈면 코드값 입력
2.4.5 도로성토면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198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105328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 05+328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도로성토면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328
⑧ 위치―종점 : 도로성토면의 종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619
199
⑨ 위치―방향 : 도로성토면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도로성토면으로 기재
기입 예 도로성토면
⑪ 종류 : 도로성토면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4201: 암사면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암사면 4201 흙사면 4202
혼합사면 4203 기타 4299
■ 입력 코드 내역 (도로성토면)
⑫ 연장 : 도로성토면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91.0
⑬ 높이―최대 : 도로성토면의 최대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2
⑭ 높이―최소 : 도로성토면의 최소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0.9
⑮ 폭―경사 : 도로성토면의 경우는 경사를 기재, 단위:%
기입 예 13
비고 : 기타 특이사항을 기재
200
2.4.4 배수암거 및 배수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207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2+070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070
⑧ 규격―가로 : 배수암거의 가로 길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3.0
201
⑨ 규격―세로 : 배수암거의 세로 길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3.0
⑩ 규격―직경 : 배수관의 직경을 기재, 단위:cm
기입 예 300.0
⑪ 연장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2.0
⑫ 재질―관 : 배수관의 재질 기재
기입 예 1203: 오지토관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흉관 1201 콘크리트 1202
오지토관 1203 염화비닐 1204
철근콘크리트 1205 주철관 1206
강관 1207 폴리에틸렌 1208
스테인레스관 1209 동관 1210
닥타일 주철관 1211 연관 1212
원형 1213 철재 1214
화강암 1215 PVC 1216
PC관 1217 오수관 1218
직접기초 1219 FC 1220
곡관 1221 기타 1299
■ 입력 코드 내역
⑬ 재질―면벽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면벽 재질 기재
기입 예 1202: 콘크리트
202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흉관 1201 콘크리트 1202
오지토관 1203 염화비닐 1204
철근콘크리트 1205 주철관 1206
강관 1207 폴리에틸렌 1208
스테인레스관 1209 동관 1210
닥타일 주철관 1211 연관 1212
원형 1213 철재 1214
화강암 1215 PVC 1216
PC관 1217 오수관 1218
직접기초 1219 FC 1220
곡관 1221 기타 1299
■ 입력 코드 내역
⑭ 날개벽―좌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좌측 날개벽 개수 기재, 단위:개
기입 예 2
⑮ 날개벽―우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우측 날개벽 개수 기재, 단위:개
기입 예 2
집수정―좌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좌측 집수정 개수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
집수정―우 : 배수암거 및 배수관의 우측 집수정 개수 기재, 단위:개
기입 예 0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03
[작성요령] 토공 및 배수 조서
□ 측구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높이
⑮폭/경사 ⑯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⑬최대 ⑭최소
20131200013
80042370000
4.237 km 4.572 km 하행 측구 L형 335.0 m 0.8 m 0.3 m 0.65 m
□ 석축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높이
⑮폭/경사 ⑯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⑬최대 ⑭최소
20131200013
80019200000
1.920 km 2.035 km 상행 석축 콘크리트 115.0 m 0.7 m 0.7 m 0.25 m
□ 옹벽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높이
⑮폭/경사 ⑯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⑬최대 ⑭최소
20131200013
80055820000
5.582 km 5.713 km 상행 옹벽 보강토 131.0 m 1.2 m 0.9 m 0.37 m
204
□ 도로절개면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높이
⑮폭/경사 ⑯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⑬최대 ⑭최소
20131200013
80054430000
5.443 km 5.932 km 상행 도로절개면 혼합사면 489.0 m 1.2 m 0.9 m 15 %
□ 도로성토면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높이
⑮폭/경사 ⑯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⑬최대 ⑭최소
20131200013
81055820000
5.582 km 5.713 km 하행 도로성토면 암사면 291.0 m 1.2 m 0.9 m 15 %
□ 배수암거 및 배수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위치
규격
⑪연장
재질 날개벽 집수정
⑱비고
⑧가로 ⑨세로 ⑩직경 ⑫관 ⑬면벽 ⑭좌 ⑮우 ⑯좌 ⑰우
20131200013
80020700000
2.070 km - - 300.0 cm 22.0 m 흄관 콘크리트 2 2 1 0
20131200013
81021800000
2.180 km 3.0 m 2.5 m - 27.0 m - 콘크리트 2 2 - -
205
2.5 안전시설 조서
2.5.1 중앙분리대 [⑬등급 항목 추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303752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중앙부에서 3+752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중앙분리대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3.752
206
⑧ 위치―종점 : 중앙분리대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6.102
⑨ 종류 : 중앙분리대 종류를 기재
기입 예 3101: 가드레일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가드레일 3101 가드펜스 3102
가드파이프 3103 가드케이블 3104
콘크리트방호 울타리 3105 낙석방호 울타리 3106
박스형 보형 3107 콘크리트 보형 3108
연석형 3109 광폭형 3110
가드레일(옹벽설치) 3111 기타 3199
■ 입력 코드 내역
⑩ 연장 : 중앙분리대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2350.0
⑪ 분리대폭 : 중앙분리대 폭원 기재, 단위:cm
기입 예 120.0
⑫ 높이 : 중앙분리대 높이 기재, 단위:cm
기입 예 125.0
⑬ 등급 : 시공시점에 따라 신규지침 및 기존지침의 코드값 기재
기입 예 5903: SB3
207
신규 지침
코드 등급 충격도(KJ)
충력도산출조건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5901 SB1 60 55
5902 SB2 90 8 65
5903 SB3 130 80 15
5904 SB4 160 65
5905 SB5 230 14
5906 SB6 420 25 80
5907 SB7 600 36
■ 입력 코드 내역
방호울타리 지침(1997) 교량용방호울타리 지침(1999)
코드 등급
충격도
(KJ)
충력도산출조건
코드 등급
충격도
(KJ)
충력도산출조건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5908 C 45 35
5909 B 60 40 4609 B 60 30
5910 A 130 3.5 60 15 4610 A 130 25 45 15
14 4612 S1 160 50
4613 S2 280 65
5911 S 230 80 4614 S3 420 80
4615 S4 650 100
⑭ 설치일 : 중앙분리대 설치일자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⑮ 비고 : 제품명 등 기타 특이사항 기재
208
2.5.2 낙석방지시설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2452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2+452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낙석방지망의 시점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452
209
⑧ 위치―종점 : 낙석방지시설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548
⑨ 위치―방향 : 낙석방지시설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안전시설 유형은 낙석방지시설로 기재
기입 예 낙석방지시설
⑪ 종류 : 낙석방지시설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3701: 낙석방지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낙석방지망 3701 낙석방지 울타리 3702
낙석방지 옹벽 3703 피암터널 3704
보강공법 3705 기타 3799
■ 입력 코드 내역
⑫ 연장 : 낙석방지시설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96.0
⑬ 높이 : 낙석방지시설의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3701: 7.4
210
⑭ 설치일 :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⑮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3 방호울타리 [⑮등급 항목 추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114028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 14+028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211
⑦ 위치―시점 : 차량방호안전시설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4.028
⑧ 위치―종점 : 차량방호안전시설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4.747
⑨ 위치―방향 : 차량방호안전시설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안전시설 유형은 차량방호안전시설로 기재
기입 예 차량방호안전시설
⑪ 종류 : 방호울타리 종류를 기재
기입 예 3101: 가드레일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가드레일 3101 가드펜스 3102
가드파이프 3103 가드케이블 3104
콘크리트방호 울타리 3105 낙석방호 울타리 3106
박스형 보형 3107 콘크리트 보형 3108
연석혁 3109 광폭형 3110
가드레일(옹벽설치) 3111 기타 3199
■ 입력 코드 내역
212
⑫ 연장 : 방호울타리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719.0
⑬ 높이 : 방호울타리의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2
⑭ 설치일 : 방호울타리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⑮ 등급 : 시공시점에 따라 신규지침 및 기존지침의 코드값 기재
기입 예 5905 : SB5
신규 지침
코드 등급 충격도(KJ)
충력도산출조건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5901 SB1 60 55
5902 SB2 90 8 65
5903 SB3 130 80 15
5904 SB4 160 65
5905 SB5 230 14
5906 SB6 420 25 80
5907 SB7 600 36
■ 입력 코드 내역 (신규지침 적용 이전 시설물은 ※1, 2 참조)
213
※1. 방호울타리 지침(1997) ※2. 교량용 방호울타리 지침(1999)
코드 등급
충격도
(KJ)
충력도산출조건
코드 등급
충격도
(KJ)
충력도산출조건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차량
무게
(ton)
충돌
속도
(km/h)
충돌
각도
(도)
5908 C 45 35
5909 B 60 40 4609 B 60 30
5910 A 130 3.5 60 15 4610 A 130 25 45 15
14 4612 S1 160 50
4613 S2 280 65
5911 S 230 80 4614 S3 420 80
4615 S4 650 100
⑯ 제품명 : 제품명 기재
⑰ 비고 : 회사명 및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4 표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1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214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476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4+765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지점 : 표지의 설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4.765
⑧ 위치―방향 : 표지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종류 : 표지의 종류를 기재(도로표지관련규정집 참고)
기입 예 1801: 경계표지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경계표지 1801 이정표지 1802
방향표지 1803 노선표지 1804
주의표지 1805 규제표지 1806
지시표지 1807 보조표지 1808
거리표지 1809 휴게소표지 1810
관광지표지 1811 양보차로표지 1812
오르막차로표지 1813 유도표지 1814
예고표지 1815 안내기타표지 1898
교통기타표지 1899 기타표지 1897
■ 입력 코드 내역
215
⑩ 명칭 : 표지의 명칭을 기재(언급되지 않는 표지는 도로표지규정집 표지번호 참조)
기입 예 4001: 면계표지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경계
표지
(지방)
면계표지 401-1
휴게소
표 지
(지방)
소형휴게소표지 405-1
군계표지 401-2 중형휴게소표지 405-2
도계표지 401-3 대형휴게소표지 405-3
이정
표지
(지방)
1지명이정표지 402-1 관광지표지
(지방) 관광지표지 406
2지명이정표지 402-2 양보
차로
표지
(지방)
양보차로예고표지 407-1
3지명이정표지 402-3 양보차로표지 407-2
좌우이정표지 402-4 양보차로끝표지 407-3
방향
표지
(지방)
3방향예고표지 403-1 오르막
차로
표지
(지방)
오르막차로예고표지 407-4
3방향표지 403-2 오르막차로표지 407-5
2방향예고표지 403-3 오르막차로끝표지 407-6
2방향표지 403-4 유도표지
(지방)
유도표지 408
2방향예고표지 403-5 예고표지
(지방)
자동차전용도로
예고표지
409
2방향표지 403-6
방향
표지
(도시)
3방향예고표지 410-1(A)
1지명방향표지 403-7 3방향예고표지 410-1(B)
2지명방향표지 403-8 3방향예고표지 410-1(C)
2지명방향표지 403-9 3방향예고표지 410-1(D)
3방향표지 403-10 3방향예고표지 410-1(E)
2방향표지 403-11 3방향표지 410-2(A)
약식3방향표지 403-12 3방향표지 410-2(B)
약식2방향예고표지 403-13 3방향표지 410-2(C)
2지명차로지정표지 403-14 2방향예고표지 410-3
1지명차로지정표지 403-15 2방향표지 410-4
광폭차로지정표지 403-16 2방향표지 410-5(A)
노선
표지
(지방)
단일노선표지 404-1(A) 2방향표지 410-5(B)
단일노선표지 404-1(B) 2방향표지 410-5(C)
중복노선표지 404-2(A) 2방향표지 410-5(D)
중복노선표지 404-2(B) 방향표지 410-6
분기점표지 404-3
보 행 인 표
지(도시)
보행인표지 411
■ 입력 코드 내역 (1)
216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주차장
표지
(도시)
주차장예고표지 412-1
주의
표지
우측방통행 12000
주차장표지 412-2 양측방통행 120-1
이정
표지
(도시)
1지명이정표지 413-1 중앙분리대시작 11300
2지명이정표지 413-2 신호기 11400
3지명이정표지 413-3 미끄러운도로 11500
분기점
표지
(도시)
분기점표지 414-1 강변도로 11600
분기점표지 414-2 노면고르지못함 11700
지점표지
(도시)
지점표지 415 과속방지턱 117-1
주의
표지
+자형교차로 10100 낙석도로 11800
T자형교차로 101-1 고임물튐 11900
Y자형교차로 101-2 횡단보도 12000
ㅏ자형교차로 101-3 어린이보호 12100
ㅓ자형교차로 101-4 자전거 12200
우선도로 10200 도로공사중 12300
우합류도로 10300 비행기 12400
좌합류도로 103-1 횡풍 12500
회전형교차로 10400 터널 12600
철길건널목 10500 야생동물보호 12700
우로굽은도로 10600 위험 12800
좌로굽은도로 106-1
규제
표지
통행금지 20100
우좌로이중굽은도로 10700 승용차통행금지 20200
좌우로이중굽은도로 107-1 화물차통행금지 20300
2방향통행 10800 승합차통행금지 20400
오르막경사 10900 2륜차통행금지 20500
내리막경사 109-1 승용2륜통행금지 20600
도로폭이좁아짐 11000 트랙터통행금지 206-1
우측차로없어짐 110-1 우마차통행금지 20700
좌측차로없어짐 110-2 손수레통행금지 20800
■ 입력 코드 내역 (2)
217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규제
표지
자전거통행금지 209000
지시
표지
우회전 30500
진입금지 210000 좌회전 305-1
직진금지 210-1 직진및우회전 30600
우회전금지 21100 직진및좌회전 306-1
좌회전금지 211-1 좌우회전 30700
횡단금지 21200 유턴 30800
유턴금지 212-1 양측방통행 30900
앞지르기금지 21300 우측면통행 31000
주정차금지 21400 좌측면통행 310-1
주차금지 21500 진행별통행 310-2
차중량제한 21600 우회로 310-3
차높이제한 21700 경음기사용 31100
차폭제한 21800 스노타이어체인사용 31200
차간거리확보 21900 안전지대 31300
최고속도제한 22000 주차장 31400
최저속도제한
(가변속도제한표지)
22100
(22101)
자전거주차장 314-1
경음기사용금지 22200 보행자전용도로 31500
서행 22300 횡단보도 31600
일시정지 22400 어린이보호 31700
양보 22500 자전거횡단도 31800
보행자횡단금지 22600 일방통행(우측) 31900
보행자보행금지 226-1 일방통행(좌측) 319-1
위험물차량통행금지 22700 일방통행(직진) 319-2
지시
표지
자동차전용도로 30100 비보호좌회전 32000
자전거전용도로 30200 버스전용차로 32100
자전거보행자겸용 302-1 다인승전용차로 32200
회전교차로 30300 통행우선 32300
직진 30400
■ 입력 코드 내역 (3)
218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보조
표지
거리(앞부터) 50100
보조
표지
해제 51900
거리(여기부터) 501-1 견인지역 52000
구역(시내전역) 50200 어린이보호구역 52100
일자 50300
기타
거리표지 90000
시간 50400 터널길이 90100
시간 50500 구역 90200
전방우선도로 50600 속도를줄이시오 90300
안전속도 50700 회차로 90400
기상상태 50800 화물적재차량1 90500
노면상태 50900 화물적재차량2 90600
교통규제 51000 거리 90700
통행규제 51100 라이트를켜시오 90800
통행주의 51200 버리지마시오 90900
표지설명 51300 담뱃불조심 91000
구간시작 51400 급경사감속 91100
구간내 514-1 이상기후감속 91200
구간끝 514-2 곡선유도(<) 91300
우방향 51500 곡선유도(>) 913-1
좌방향 515-1 구형곡선유도(<<) 91400
전방 515-2 구형곡선유도(>>) 914-1
중량 51600 교통계몽 91500-1
노폭 51700 반사경 99900-2
거리 51800 기타 99999
■ 입력 코드 내역 (4)
⑪ 지주형식 : 표지의 지주형식을 기재
기입 예 1401: 단주식
219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단주식 1401 북주식 1402
측주식 1403 편지식 1404
복합식 1405 문형식 1406
내민식 1407 부착식 1408
현수식 1409 기타 1499
■ 입력 코드 내역
⑫ 설치일 : 표지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⑬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5 전광표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1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220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106724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하행방향 6+724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지점 : 전광표지의 설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6.724
⑧ 위치―방향 : 전광표지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표시면 기술형식 : 전광표지의 표시면 기술형식 기재
기입 예 3801: 반사형(원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반사형(원형) 3801 반사형(사각) 3802
반사형(입방체) 3803 발광형(전구) 3804
발광형(광섬유) 3805 발광형(LED) 3806
기타 3899
■ 입력 코드 내역
⑩ 표출형식 : 전광표지의 표출형식 기재
기입 예 3901: 도형식
221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문자식 3901 도형식 3902
차로제어식 3903 기타 3999
■ 입력 코드 내역
⑪ 설치형식 : 전광표지의 설치형식을 기재
기입 예 1407: 내민식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단주식 1401 북주식 1402
측주식 1403 편지식 1404
복합식 1405 문형식 1406
내민식 1407 부착식 1408
현수식 1409 기타 1499
■ 입력 코드 내역
⑫ 설치일 : 전광표지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⑬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6 가로등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222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0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923001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9+230 시작지점 첫 번째 램프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가로등이 설치된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9.230
⑧ 위치―종점 : 가로등이 설치된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9.730
⑨ 위치―방향 : 가로등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등주형식 : 가로등의 등주 형식을 기재
기입 예 3201: 기본형
223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기본형 3201 2등형 3202
3등형 3203 4등형 3204
기타 3299
■ 입력 코드 내역
⑪ 등주재질 : 가로등의 등주 재질을 기재
기입 예 3301: 주물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주물형 3301 강판 3302
스테인레스 3303 강관 3304
한전주병설주 3305 조명탑 3306
기타 3399
■ 입력 코드 내역
⑫ 광원종류 : 가로등의 광원종류를 기재
기입 예 3401: 수은램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수은램프 3401 메탈할라이드램프 3402
고압나트륨램프 3403 저압나트륨램프 3404
LED 3405 기타 3499
■ 입력 코드 내역
⑬ 광원용량 : 가로등의 광원용량을 기재, 단위:W
기입 예 3506: 250
224
구분 코드 구분 코드
50 3501 100 3502
150 3503 175 3504
200 3505 250 3506
400 3507 1000 3508
기타 3599
■ 입력 코드 내역
⑭ 등기구의 수량 : 가로등의 등기구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00
⑮ 설치일 : 가로등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2.5.7 신호등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225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912502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9+125지점 두 번째 램프상에 위치
⑦ 위치―지점 : 신호등이 설치된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9.125
⑧ 위치―방향 : 신호등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종류 : 신호등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4101: 4색등
구분 코드 구분 코드
4색등 4101 3색등 4102
2색등 4103 2색 가변등 4104
2색 보행등 4105 2색 보행등+잔여시간표시기 4106
기타 4199
■ 입력 코드 내역
⑩ 설치형식 : 신호등의 설치형식을 기재
기입 예 1409: 현수식
226
구분 코드 구분 코드
단주식 1401 북주식 1402
측주식 1403 편지식 1404
복합식 1405 문형식 1406
내민식 1407 부착식 1408
현수식 1409 기타 1499
■ 입력 코드 내역
⑪ 설치일 : 신호등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⑫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8 충격흡수시설 [조서 추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227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31912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중앙부에서 19+120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지점 : 충격흡수시설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9.120
⑧ 위치―방향 : 충격흡수시설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2: 중앙부
⑨ 종류 : 충격흡수시설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6001 : 주행복귀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주행복귀형 6001 주행비복귀형 6002
비규격 6003 기타 6099
■ 입력 코드 내역
⑩ 등급 : 충격흡수시설의 등급 기재
기입 예 6101 : CC1
228
구분
코드
등급 충돌속도(km/시) 차량중량(kg) 충돌시험
CC1 60
900
1,300
시험①
시험④
6101
CC2 80
900
1,300
900
1,300
1,300
1,300
시험①
시험①
시험②
시험③
시험④
시험⑤
6102
CC3 100
900
1,300
900
1,300
1,300
1,300
시험①
시험①
시험②
시험③
시험④
시험⑤
6103
■ 입력 코드 내역
시험 ①, ②는 각각 충격흡수시설 정면의 중아지점과 차량폭의 1/4만큼 이격된 지점에 충돌시키는 방법
시험 ③은 시설 정면의 중앙지점에 15도 각도로 충돌시키는 방법
시험 ④, ⑤는 충격흡수시설의 측면에 각각 15도와 165도로 충돌시키는 방법
⑪ 설치일 : 충격흡수시설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⑫ 제품명 : 제품명 기재
기입 예 쿼드가드
⑬ 비고 : 회사명 및 기타 특이사항 기재
229
[작성요령] 안전시설 조서
□ 중앙분리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종류 ⑩연장 ⑪분리대폭 ⑫높이 ⑬등급 ⑭설치일 ⑮비고
⑦시점 ⑧종점
2013120001
383037520000
3.752 km 6.102 km 가드레일 2350.0 m 120.0 cm 125.0 cm SB5 1998-02-16
□ 낙석방지시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⑬높이 ⑭설치일 ⑮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2013120001
380024520000
2.452 km 2.548 km 상행 낙석방지시설 낙석방지망 96.0 m 7.4 m 1998-02-16
□ 방호울타리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연장 ⑬높이 ⑭설치일 ⑮등급 ⑯제품명 ⑰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2013120001
381140280000
14.028 km 14.747 km 하행 차량방호안전시설 가드레일 719.0 m 1.2 m 1998-02-16 SB5 3W 회사명
230
□ 표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종류 ⑩명칭 ⑪지주형식 ⑫설치일 ⑬비고
⑦지점 ⑧방향
2013120001
380047650000
4.765 km 상행 이정표지 2지명이정표지 단주식 1998-02-16
□ 전광표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표시면 기술형식 ⑩표출형식 ⑪설치형식 ⑫설치일 ⑬비고
⑦지점 ⑧방향
2013120001
381067240000
6.724 km 하행 발광형(LED) 문자식 문형식 1998-02-16
□ 가로등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등주형식 ⑪등주재질 ⑫광원종류 ⑬광원용량
⑭등기구의
수량
⑮설치일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2013120001
380092300100
9.230 km 9.730 km 상행 기본형 주물형 수은램프 250 w 100 개 1998-02-16
231
□ 신호등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종류 ⑩설치형식 ⑪설치일 ⑫비고
⑦지점 ⑧방향
2013120001
380091250200
9.120 km 상행 4색등 현수식 1998-02-16
□ 충격흡수시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종류 ⑩등급 ⑪설치일 ⑫제품명 ⑬비고
⑦지점 ⑧방향
2013120001
383191200000
9.120 km 상행 주행복귀형 CC1 1998-02-16 쿼드가드 회사명
232
2.6 부대시설 조서
2.6.1 방음시설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0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527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5+275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275
233
⑧ 위치―종점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5.525
⑨ 위치―방향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
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부대시설의 유형은 방음시설 및 가로수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방음시설
⑪ 종류 : 방음시설 및 가로수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3001: 흡음형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흡음형 3001 반사형 3002
혼합형 3003 기타 3099
■ 입력 코드 내역 (방음시설)
⑫ 높이―수량 : 방음시설은 높이를 기재(단위:m), 가로수는 수량을 기재
기입 예 3.8
⑬ 설치―식재일 : 방음시설 및 가로수의 설치 또는 식재일자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34
2.6.2 가로수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0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10173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10+173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0.173
235
⑧ 위치―종점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
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1.473
⑨ 위치―방향 : 방음시설 및 가로수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
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⑩ 구분 : 부대시설의 유형은 방음시설 및 가로수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가로수
⑪ 종류 : 방음시설 및 가로수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3601: 은행나무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은행나무 3601 느티나무 3602
버짐나무 3603 회화나무 3604
메타세퀴이아 3605 벚나무 3606
측백나무 3607 꽃사과 3608
단풍나무 3609 기타 3699
■ 입력 코드 내역 (가로수)
⑫ 높이―수량 : 방음시설은 높이를 기재(단위:m), 가로수는 수량을 기재
기입 예 500
⑬ 설치―식재일 : 방음시설 및 가로수의 설치 또는 식재일자 기재
기입 예 1998-02-16
236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3 지하매설물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2065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0+650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지하매설물이 매설된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
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
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650
237
⑧ 위치―종점 : 지하매설물이 매설된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
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
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745
⑨ 위치―방향 : 지하매설물이 매설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2: 횡단
⑩ 매설물종류 : 지하매설물의 종류 기재
기입 예 0701: 상수도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상수도 0701 하수도 0702
통신케이블 0703 전력케이블 0704
각종용수 0705 송유관 0706
도시가스관 0707 공업용수관 0708
기타 0799
■ 입력 코드 내역
⑪ 재질 : 지하매설물의 재질 기재
기입 예 1203: 오지토관
238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흉관 1201 콘크리트 1202
오지토관 1203 염화비닐 1204
철근콘크리트 1205 주철관 1206
강관 1207 폴리에틸렌 1208
스테인레스관 1209 동관 1210
닥타일 주철관 1211 연관 1212
원형 1213 철재 1214
화강암 1215 PVC 1216
PC관 1217 오수관 1218
직접기초 1219 FC 1220
곡관 1221 기타 1299
■ 입력 코드 내역
⑫ 규격 : 지하매설물의 규격을 가로×세로 또는 직경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3
⑬ 매설깊이 : 지하매설물의 매설깊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2
⑭ 수량 : 지하매설물의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
⑮ 연장 : 지하매설물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98.0
설치일 : 지하매설물의 매설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39
2.6.4 공동구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023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0+235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공동구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
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
확하게 기재)
기입 예 0.235
240
⑧ 위치―종점 : 공동구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
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
확하게 기재)
기입 예 0.535
⑨ 공동구명 : 공동구의 명칭을 기재
기입 예 탄현공동구
⑩ 높이 : 공동구 높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3.0
⑪ 폭 : 공동구 폭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8.0
⑫ 연장 : 공동구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00.0
⑬ 매설깊이 : 공동구 매설깊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1.5
⑭ 설치일 : 공동구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⑮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5 과적검문소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241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3275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3+275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지점 : 과적검문소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
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
확하게 기재)
기입 예 3.275
⑧ 위치―방향 : 과적검문소가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구분 : 부대시설 유형은 과적검문소 기재
기입 예 과적검문소
242
⑩ 종류 : 과적검문소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이동식
⑪ 설치일 : 과적검문소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⑫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6 제설시설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276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2+760지점 본선상에 위치
243
⑦ 위치―지점 : 제설시설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2.760
⑧ 위치―방향 : 제설시설이 설치된 방향은 도로의 상행․하행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0: 상행(우) 1: 하행(좌)
⑨ 구분 : 부대시설 유형은 제설시설을 기재
기입 예 제설시설
⑩ 종류 : 제설시설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5401: 제설함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제설함(적사함) 5401 저장탱크(슈트장) 5402
제설창고(비축장) 5403 중앙비축창고 5404
기타 5405
■ 입력 코드 내역
⑪ 설치일 : 제설시설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⑫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7 통로박스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244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00432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1호선
38구간 구간시점에서 상행방향 4+320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 : 통로박스가 설치된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
하게 기재)
기입 예 4.320
⑧ 규격―가로 : 통로박스의 가로 길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4.5
⑨ 규격―세로 : 통로박스의 세로 길이를 기재, 단위:m
기입 예 4.5
245
⑩ 재질 : 통로박스의 재질을 기재
기입 예 1202: 콘크리트
구분 코드 구분 코드
흉관 1201 콘크리트 1202
오지토관 1203 염화비닐 1204
철근콘크리트 1205 주철관 1206
강관 1207 폴리에틸렌 1208
스테인레스관 1209 동관 1210
닥타일 주철관 1211 연관 1212
원형 1213 철재 1214
화강암 1215 PVC 1216
PC관 1217 오수관 1218
직접기초 1219 FC 1220
곡관 1221 기타 1299
■ 입력 코드 내역
⑪ 설치목적 : 통로박스의 설치목적을 기재
기입 예 야생동물 이동통로
⑫ 배수시설 : 통로박스의 배수시설의 종류를 기재
기입 예 배수관
⑬ 연장 : 통로박스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30.0
⑭ 설치일 : 통로박스의 설치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⑮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46
2.6.8 생태통로 (신규 조서 추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219120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19+120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 : 생태통로가 설치된 위치(육교, 터널 또는 유도울타리의 중간지점)는 도로 구간
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
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9.120
⑧ 유형 : 생태통로의 유형(육교, 터널 등)를 기재
기입 예 4601: 육교형
247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육교형 6201 터널형(도로전용 터널) 6202
터널형(수로겸용 터널) 6203 터널형(양수파충류 전용터널) 6204
교량하부형 통로 6205 기타시설(교량하부형 통로) 6206
기타 6299
■ 입력 코드 내역
⑨ 규모–가로(중앙폭) : 육교형의 경우 중앙폭을 기재, 터널형의 경우 생태통로의 가로
기재, 단위:m
기입 예 30.0 / 4.0
⑩ 규모-세로 : 터널형의 경우 생태통로의 세로 기재, 단위:m
기입 예 3.0
⑪ 규모-길이 : 터널형의 경우 통로길이 기재, 단위:m
기입 예 15.0
⑫ 시설물 현황-구분 :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시설물 현황을 기재
기입 예 유도울타리(마름모형) / 유도식재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유도울타리(마름모형) 6301 유도울타리(사각형) 6302
유도울타리(가시철선형) 6303 유도식재 6304
기타 6399
■ 입력 코드 내역
⑬ 시설물 현황-수량(규격) : 유도울타리의 경우 길이 기재, 유도식재의 경우 식재된
수종을 기재
248
기입 예 100.0 / 조팝나무외2종
⑭ 설치일 : 생태통로 설치일자 기재
기입 예 2012-12-30
⑮ 비고 : 터널형인 경우 개방도 등을 기재 (개방도 = 생태통로 면적 ⁄ 통로길이)
기입 예 0.8
249
[작성요령] 부대시설 조서
□ 방음시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높이/수량
⑬설치/
식재일
⑭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006512000138 5.275 km 5.525 km 상행 방음시설 흡음형 3.8 m 1998-02-16
□ 가로수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구분 ⑪종류 ⑫높이/수량
⑬설치/
식재일
⑭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006512000138 10.173 km 11.473 km 상행 가로수 은행나무 500 개 1998-02-16
□ 지하매설물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⑩매설물종류 ⑪재질 ⑫규격 ⑬매설깊이 ⑭수량 ⑮연장 ⑯설치일 ⑰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방향
006512000138 0.650 km 0.745 km 상행 상수도 콘크리트 0.3 m 1.2 m 1 개 98.0 m 1998-02-16
250
□ 공동구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공동구명 ⑩높이 ⑪폭 ⑫연장 ⑬매설깊이 ⑭설치일 ⑮비고
⑦시점 ⑧종점
006512000138 0.235 km 0.535 km 탄현공동구 3.0 m 8.0 m 300.0 m 1.5 m 1998-02-16
□ 과적검문소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구분 ⑩종류 ⑪설치일 ⑫비고
⑦지점 ⑧방향
006512000138 3.275 km 상행 과적검문소 고정식 1998-02-16
□ 제설시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구분 ⑩종류 ⑪설치일 ⑫비고
⑦지점 ⑧방향
006512000138 2.760 km 상행 제설시설 제설자재함 1998-02-16
□ 통로박스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위치
규격
⑩재질 ⑪설치목적 ⑫배수시설 ⑬연장 ⑭설치일 ⑮비고
⑧가로 ⑨세로
006512000138 4.320 km 4.5 m 4.5 m 콘크리트 진입로 배수관 30.0 m 1998-02-16
251
□ 생태통로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위치 ⑧유형
규모 시설물 현황
⑭설치일 ⑮비고
⑨가로(중앙폭) ⑩세로 ⑪길이 ⑫구분 ⑬수량
006512000138 9.120 km
터널형 4.0m 3.0m 15.0m
유도울타리
(마름모형)
100m 2012-12-30 0.8
육교형 30.0m 유도식재 조팝나무외2종
252
2.7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조서
2.7.1 실연장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시설물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2013120001382037120000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관할 3호선
4구간 구간시점에서 도로횡단하여 3+712 시작지점 본선상에 위치
⑦ 위치―시점 : 실연장 구간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3.712
253
⑧ 위치―종점 : 실연장 구간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
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43041
⑨ 폭원―계 : 당해 구간 도로의 전체 폭원 기재, ⑨=⑩+⑪+⑫+⑬, 단위:m
기입 예 2.5
⑩ 폭원―차도 : 차도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15.5
⑪ 폭원―길어깨(보도)―좌 : 좌측 길어깨 또는 보도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2.6
⑫ 폭원―길어깨(보도)―우 : 우측 길어깨 또는 보도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2.1
⑬ 폭원―중앙분리대 : 중앙분리대의 폭원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⑭ 구성시설별 연장―계 : 당해 구간 도로의 전체 연장 기재, ⑭=⑮++++, 단
위:m
기입 예 329.0
⑮ 구성시설별 연장―도로 : 도로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187.0
254
구성시설별 연장―교량 : 교량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142.0
구성시설별 연장―터널 : 터널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구성시설별 연장―광장 : 광장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구성시설별 연장―그 밖의 시설 : 기타 시설의 연장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7.2 용지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255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006512000138
⑦ 소재지 : 해당 용지의 소재지를 동․리 단위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고양시 동산동
⑧ 지번 : 해당 용지의 지번 기재
기입 예 10-1
⑨ 지목 : 해당 용지의 지목 기재
기입 예 1111: 도로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전 1101 답 1102
과수원 1103 목장 1104
임야 1105 광천지 1106
염전 1107 대지 1108
공장 1109 학교용지 1110
도로 1111 철도 1112
하천 1113 제방 1114
구거 1115 유지 1116
수도용지 1117 공원 1118
체육용지 1119 유원지 1120
종교용지 1121 사격지 1122
■ 입력 코드 내역
256
구분 코드 구분 코드
잡종지 1124 묘지 1125
주차장 1126 주유소 1127
창고 1128 양어장 1129
기타 1199
⑩ 면적―저촉면적 : 해당 용지의 저촉면적 기재, 단위:㎡
기입 예 340.0
⑪ 면적―잔여면적 : 해당 용지의 잔여면적 기재, 단위:㎡
기입 예 0.0
⑫ 소유구분 : 해당 용지의 소유를 국유지, 공유지, 사유지 등으로 구분하여 기재
기입 예 4401: 국유지
구분 코드 구분 코드
국유지 4401 공유지 4402
사유지 4403 기타 4499
■ 입력 코드 내역
⑬ 소유자 : 해당 용지의 소유자를 기재
기입 예 국토해양부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57
2.7.3 유료도로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1: 고속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2경인고속도로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10호
④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99: 도로공사
⑤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72-431
⑥ 시점―구간 : 유료도로 시점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인천~서창
⑦ 시점―위치 : 유료도로 시점의 위치는 도로 시점-구간⑥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000
⑧ 종점―구간 : 유료도로 종점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서창~안양
258
⑨ 종점―위치 : 유료도로 종점의 위치는 도로 종점-구간⑧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
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
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800
⑩ 연장―계 : 유료도로 전체 연장을 기재, ⑩=⑪+⑫+⑬+⑭, 단위:m
기입 예 22,600.0
⑪ 연장―도로 : 유료도로 중 도로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2,768.0
⑫ 연장―교량 : 유료도로 중 교량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852.0
⑬ 연장―터널 : 유료도로 중 터널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980.0
⑭ 연장―그 밖의 시설 : 유료도로 중 기타 시설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0.0
⑮ 요금징수기간―시작 : 요금징수 시작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4-07-06
요금징수기간―종료 : 요금징수 종료일자를 기재. 단, 종료일자가 미확정이거 나 영
구적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경우는 ‘해당없음’으로 기재
기입 예 해당없음
259
요금징수시설수 : 유료도로내 요금징수시설수를 기재, 단위:개소
기입 예 3
유료도로 설치 근거 : 유료도로 설치 근거 조항 등 해당 내용을 기재
기입 예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7.4 우회도로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
호 기재
기입 예 006512000138
260
⑦ 위치―시점 : 우회도로와 분기되는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
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
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8,140
⑧ 위치―종점 : 우회도로와 분기되는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
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0,321
⑨ 우회도로 종류 : 우회도로의 도로종류 및 노선번호를 기재
기입 예 지방도326노선
⑩ 우회도로 폭원 : 우회도로의 폭원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10.2
⑪ 우회도로의 연장 : 우회도로의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160.0
⑫ 주요 경과지 : 우회도로가 통과하는 지점에 있는 주요 지명 및 지형지물(교량, 교차로
등)을 기재
기입 예 교하교
⑬ 지정일 : 우회도로가 지정된 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⑭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1
2.7.5 접도구역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006512000138
⑦ 위치―시점 : 접도구역 시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0.050
262
⑧ 위치―종점 : 접도구역 종점의 위치는 도로 구간④의 시점(구간이 구분되지 아니한 도
로는 노선 시점)에서부터의 거리를 조사하여 기재, 단위:km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정확하게 기재)
기입 예 2.850
⑨ 접도구역 지정연장 : 접도구역 지정 연장을 기재, 단위:m
기입 예 2,800.0
⑩ 표주현황―좌 : 접도구역 좌측에 설치된 표주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8
⑪ 표주현황―우 : 접도구역 우측에 설치된 표주 수량을 기재, 단위:개
기입 예 16
⑫ 지정일 : 접도구역 지정일을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⑬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7.6 도로점용
① 도로종류 : 도로의 종류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502: 일반국도
② 노선명 : 도로의 노선명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목포~신의주선
263
③ 노선번호 : 도로의 노선번호를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제 1 호
④ 구간 : 도로의 구간을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38
⑤ 관리기관 : 해당 조서의 관리기관명을 정확하게 기재(기입 요령은 2.1 도로대장 총괄
참조)
기입 예 1612: 의정부국토
⑥ 관리번호 : 해당 조서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 관리기관에서 부여하는 일련번호 기재
기입 예 허가번호 기입
⑦ 점용자―주소 : 점용자의 주소를 동․리, 번지까지 기재
기입 예 경기도 고양시 동산동 789번지
⑧ 점용자―성명 : 점용자의 이름을 기재
기입 예 홍길동
⑨ 점용자―주민등록번호 : 점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재
기입 예 390606-1234567
⑩ 허가일(허가번호) : 점용 허가번호 또는 허가일자를 기재
기입 예 1998-02-16
⑪ 점용위치 : 점용지의 위치를 서술식으로 기재
기입 예 경기도 파주시 교화읍 대성리32-2외 3필지
264
⑫ 점용목적 : 점용목적을 기재
기입 예 페차장
⑬ 점용면적 : 점용면적을 기재, 단위:㎡
기입 예 25.0
⑭ 점용기간 : 점용기간을 기재, 단위:년 개월
기입 예 2003.1.15~2004.7.14
⑮ 점용시설개요 : 점용시설에 대한 내용을 기재
기입 예 전주
비고 : 기타 특이사항 기재
265
[작성요령]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조서
□ 실연장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폭원 구성시설별 연장
⑳
비고
⑦시점 ⑧종점 ⑨계 ⑩차도
길어깨(보도) ⑬중앙
분리대
⑭계 ⑮도로 ⑯교량 ⑰터널 ⑱광장
⑲그 밖의
⑪좌 ⑫우 시설
006512000138 3.712 km 4.041 km 2.5 m 15.5 m 2.5 m 2.1 m 0.0 m 329.0 m 187.0 m 142.0 m 0.0 m 0.0 m 0.0 m
□ 용지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⑦소재지 ⑧지번 ⑨지목
면적
⑫소유구분 ⑬소유자 ⑭비고
⑩저촉면적 ⑪잔여면적
006512000138 경기도 고양시 동산동 10-1 도로 340.0 ㎡ 0.0 ㎡ 국유지 건설교통부
□ 유료도로
①도로종류 고속국도 ②노선명 제2경인고속도로 ③노선번호 제 110 호 ④관리기관 한국도로공사
⑤관리번호
시점 종점 연장 요금징수기간 ⑰
요금징수
시설수
⑱
유료도로
설치근거
⑲비고
⑥구간 ⑦위치 ⑧구간 ⑨위치 ⑩계 ⑪도로 ⑫교량 ⑬터널
⑭그 밖의
시설
⑮시작 ⑯종료
72-431 인천~서창
0.000
km
서창~안양
16.800
km
26,600.0 m 22,768.0 m 2,852.0 m 980.0 m 0.0 m 1994-07-06 해당없음 3 개소
266
□ 우회도로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우회도로
종류
⑩우회도로
폭원
⑪우회도로의
연장
⑫주요 경과지 ⑬지정일 ⑭비고
⑦시점 ⑧종점
006512000138 8.140 km 10.321 km
지방도368노
선
10.2 m 2,160.0 m 교하교 1998-02-16
□ 접도구역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위치 ⑨접도구역의
연장
표주현황
⑫지정일 ⑬비고
⑦시점 ⑧종점 ⑩좌 ⑪우
006512000138 0.050 km 2.850 km 2,800.0 m 18 개 16 개 1998-02-16
□ 도로점용
①도로종류 일반국도 ②노선명 목포~신의주선 ③노선번호 제 1 호 ④구간 38 ⑤관리기관 의정부국토
⑥관리번호
점 용 자 ⑩허가일
(허가번호)
⑪점용위치 ⑫점용목적
⑬점용
면적
⑭점용기간 ⑮점용시설개요 ⑯비고
⑦주소 ⑧성명 ⑨주민등록번호
006512000138
경기도 고양시
동산동 789번지
홍길동 390606-******* 1998-02-16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대성리 322외 3필지
건물신축 25.0 ㎡
2003.1.15~
2004.7.14
공사진입로
도로대장전산화 입력지침
발 행 일 / 2012. 6.
발 행 처 / 국토해양부
유지관리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 자료 활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