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2권 토공 및 배수

 

토공 및 배수

제5편 토공

제6편 배수시설

제7편 암거

제2권

 

제 7 편 암거

 

제7편 암거

663

이 편은 철근 콘크리트 암거(박스형 암거, 아치형 암거 및 문형 암거) 및 관형 암거를 설계할 때

필요한 기본사항 및 암거의 설계에 적용한다.

본선용 암거란 본선, 연결로 등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만드는 것을 말하며, 설계에서는 이 편 1 ~

5장을 적용한다. 또 본선에 만드는 U형 암거에 대해서도 해당 장소에 따라 박스형 암거를 준용

한다.

박스형 암거, 아치형 암거, 문형 암거 및 관형 암거의 공통 사항은 박스형 암거의 항에 표시하므로,

아치형 암거, 문형 암거 및 관형 암거 항에 표시되어 있지 않는 사항은 박스형 암거 항을 준용한다.

이 요령에 규정되어 있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시방서 및 지침에 따른다.

∙ KDS 14 20 00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 KDS 00 00 00 도로암거구조설계기준

∙ KDS 11 10 05 지반설계 일반사항

∙ KDS 11 10 10 지반조사

∙ KDS 11 44 00 공동구 설계기준

∙ KDS 11 80 05 콘크리트 옹벽

∙ KDS 14 20 24 콘크리트구조 스트럿 타이모델 기준

∙ KDS 14 20 74 기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

∙ KDS 24 12 11 교량 설계하중조함(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2 21 교량 설계하중(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KDS 14 20 00 2018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 도로설계기준, 국토교통부, 2016

1. 개요

제2권 토공 및 배수

664

∙ 도로설계편람, 국토해양부, 2012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2016

∙ 도로암거표준도, 국토해양부, 2008

∙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 2010

1.1 적용범위

1.1.1 일반사항

(1) 이 기준은 도로와 일체 또는 부대시설로서 수로 및 통로 암거의 구조설계에 적용한다.

(2) 적용 토피는 0.6 m ~ 10 m 사이이다. 다만, 토피 두께가 0.6 m 이하인 경우, 접속슬래브를

설치하여 암거 경계에서 상대 처짐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3) 암거의 규격과 가설조건이 이 기준에서 제시된 1.2.2와 상이한 경우에는 가설 현장의 조건

을 따르며 그 이외의 사항은 이 기준을 준용할 수 있다.

1.1.2 설계조건

(1) 암거의 환경조건에 따라 노출등급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설계 강도를 결정해야

한다.

(2) 구조설계에 필요한 설계 표준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재료중량

- 철근콘크리트 = 24.5 kN/m3

- 포장 = 22.5 kN/m3

② 환경조건 및 사용재료의 강도

- 제빙화학제가 적용되지 않은 환경조건이며, 제빙화학제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KDS 24 14 21 (4.4.2)에 따라 환경조건을 검토해야 한다.

제7편 암거

665

<표 1.1> 환경조건에 따른 표준 노출등급

구 분 탄산화 동결/융해

노출등급 EC4 EF1

최소강도(MPa) 30 24

설계강도(MPa) 30

- 콘크리트 강도 (fck) = 30 MPa

- 콘크리트 탄성계수(Ec)  

   MPa 

- 철근 (fy) = 400 MPa 이상

- 철근 탄성계수 (ES) = 200000 MPa

③ 쌓기 재료

현장여건에 따라 토질조사를 실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구한 특성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며, 이 값이 없는 경우에 다음 표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표 1.2> 쌓기 재료 특성

구 분 단위 토사 암

흙의 단위중량(t) kN/㎥ 19 20

내부마찰각() ° 30 35

정지토압계수[   sin ] 0.5 0.426

④ 내진등급 및 내진성능목표

- 내진등급 : 2등급(위험도 계수 : 1.0)

- 지진구역 : Ⅰ구역(지진구역 계수 : 0.11)

- 지반종류 : S4(깊고 단단한 지반) (필요한 경우 별도 고려)

- 내진성능 목표 : 붕괴방지수준

⑤ 노면활하중 : KL-510 적용

⑥ 수압 : 쌓기 구간에서 고려하지 않음(필요한 경우 별도 고려)

⑦ 하중조합 : KDS 24 12 11[교량설계하중조합(한계상태설계법)]

⑧ 기초지반 : 암거 구조계산과 도면에서 제시한 지반반력 이상의 지내력을 갖고 있는 지반

에 적용할 수 있다.

제2권 토공 및 배수

666

1.1.3 구조세목에 의한 적용범위

(1) 피복두께 : 암거의 방수방법, 무늬거푸집 사용 등을 고려하여 KDS 24 14 21(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 따라 검토한다.

(2) 정착 및 이음 : KDS 24 14 21[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9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6.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111
94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5.철근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222
93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4.강교 file 황대장 2021.01.18 3316
92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3.재료 file 황대장 2021.01.18 1129
91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황대장 2021.01.18 1309
90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146
89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5.육교 및 출입시설 (인터체인지, 분기점)의 교량 file 황대장 2021.01.18 981
88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4.교량 형식 선정 file 황대장 2021.01.18 2091
8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3.재료 황대장 2021.01.18 831
8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2.조사 및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160
8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2832
84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18 926
83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7.U형 옹벽 file 황대장 2021.01.18 947
82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6.관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1214
81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5.문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47
80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4.아치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69
79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3.박스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3548
78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2.암거의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342
»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8 1667
76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부록 황대장 2021.01.18 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