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3.재료
2021.01.18 14:30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3권 교량
교 량
제8편 교량
제8-1편 교량 계획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4편 내진 설계
제8-5편 교량 부대시설물
제8-6편 교량의 확폭
제8-7편 옹벽
제8-8편 가설 구조물
제3권
제 8-2 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77
3.1 강재
강재는 표 3.1의 최신 KS규격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하며 강도는 표 3.2를 적용한다.
<표 3.1> 표준으로 하는 강재
강재의 종류 규격
강재기호
(강재대표기호)
1. 구조용강재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SS235, SS275, SS315, SS410,
SS450, SS550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 강재 SM275A, B, C, D - TMC
SM355A, B, C, D - TMC
SM420A, B, C, D - TMC
SM460B, C - TMC
KS D 3529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SMA275AW, AP, BW, BP, CW, CP
SMA355AW, AP, BW, BP, CW, CP
SMA460W, P
KS D 3868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380, L, W
HSB460, L, W
HSB690, L, W
2.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SGT275, SGT355, SGT410, SGT450,
SGT550
KS F 4602 기초용 강관말뚝 STP275, STP355, STP380, STP450,
STP550
KS F 4605 강관 시트 파일 SKY400, SKY490
3. 접합용강재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 6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F8T, F10T, F13T
3. 재료
제2권 교량
78
강재의 종류 규격
강재기호
(강재대표기호)
4. 용접재료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강용 피복 아크 용접
5. 주단조품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SF-A, SF-B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SC
KS D 4106 용접구조용 주강품 SCW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SCMn
KS D 3752 기계구조용 탄소 강재 SM-C
SM-CK
KS D 4301 회주철품 GC
KS D 4302 구상 흑연주철품 GCD
6. 선재, 선재
2차 제품
KS D 3509 피아노 선재 SWRS-A –B
KS D 3510 경강선 SW-A, SW-B, SW-C
KS D 3514 와이어 로프 -
KS D 3556 피아노선 PW-1, PW-2, PW-3
KS D 3559 경강선재 HSWR -A -B
KS D 7002 PC강선 및 PC 강연선 SWPC, SWPD
7. 강봉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SD300, SD400, SD500, SD600
KS D 3505 PC강봉 A종 2호 SBPR 785 / 1030
B종 1호 SBPR 930 / 1080
B종 2호 SBPR 930 / 1180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79
<표 3.2> 주요 구조용 강재의 재료강도(MPa)
강
도
강재
기호
판 두께
SS235 SS275
SM275
SMA2751) SS315
SM355
SMA3551) SS410 SM420 SS450
SM4602)
SMA4603) SS550
Fy
16 mm
이하
235 275 275 315 355 410 420 450 460 550
16 mm
초과
40 mm
이하
225 265 265 305 345 400 410 440 450 540
40 mm
초과
75 mm
이하
205 245 255 295 335 - 400 - 430 -
75 mm
초과
100 mm
이하
205 245 245 295 325 - 390 - 420 -
100 mm
초과
195 235 235 275 305 - 380 - - -
Fu 330 410 410 490 490 540 520 590 570 690
주1) SMA275CW,CP, SMA355CW, CP 적용두께 100 mm 이하
주2) SM460B, C는 주문자 제조자 협정에 따라 150 mm 이하 강판 제조 가능
주3) SMA460W, P 적용두께는 100 mm 이하
강
도
강재
기호
판 두께
HSB380
HSM5001) HSB460 HSB6902) HSA6502) SM275-
TMC3)
SM355-
TMC3)
SM420-
TMC3)
SM460-
TMC3)
Fy
100 mm
이하
380 460 690 650 275 355 420 460
Fu
100 mm
이하
500 600 800 800 410 490 520 570
주1) HSM500 적용두께는 22 mm 이하
주2) HSA650, HSB690 적용두께는 80 mm 이하
주3) 열가공제어(TMC)를 한 경우 두께에 따른 항복강도의 저감없이 기준값(16 mm 이하의 항복강도)을 적용한다
건축 강구조에 적용되는 TMC강재의 적용두께는 80 mm 이하
제2권 교량
80
강
도
강재
기호
판 두께
SN275 SN355 SN460 SHN2752) SHN3552) SHN4202) SHN4602)
Fy
6 mm 초과
40 mm 이하
275 355 460
275 355 420 460
40 mm 초과
100 mm이하
2551) 335 440
Fu 100 mm이하 410 490 570 410 490 520 570
주1) SN275A의 항복강도는 265 MPa
주2) SHN강의 적용두께는 75 mm 이내
온도구역 및 강종
온도구역 Ⅰ
(-15℃)1)
온도구역 Ⅱ
(-25℃)1)
온도구역 Ⅲ
(-35℃)1)
구분 기호
충격시험3)
최대 허용판두께2)(mm)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J)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SM275B
SM275C
SM275D
0
- 20
- 40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40
100
100
40
100
100
40
90
100
SM355B
SM355C
SM355D
0
- 20
- 40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40
100
100
40
80
100
40
70
100
SM420B
SM420C
SM420D
0
- 20
- 40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40
80
100
40
65
100
40
55
80
SM460B
SM460C
0
- 20
47 이상
27 이상
65
75
55
60
45
50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SMA275B
SMA275C
0
- 20
27 이상
27 이상
40
100
40
100
40
90
SMA355B
SMA355C
0
- 20
27 이상
27 이상
40
100
40
80
40
70
SMA460 0 47 이상 65 55 45
<표 3.3> 인장 또는 교번응력을 받는 주부재의 강종별 인성규격과 온도구역별 최대 허용 판두께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81
온도구역 및 강종
온도구역 Ⅰ
(-15℃)1)
온도구역 Ⅱ
(-25℃)1)
온도구역 Ⅲ
(-35℃)1)
구분 기호
충격시험3)
최대 허용판두께2)(mm)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J)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
HSB380
HSB380L
HSB380W
-5℃
-20℃
-5℃
47J 이상
47J 이상
47J 이상
85
100
85
70
95
70
60
80
60
HSB460
HSB460L
HSB460W
-5℃
-20℃
-5℃
47J 이상
47J 이상
47J 이상
70
95
70
60
80
60
50
65
50
HSB690
HSB690L
HSB690W
-20℃
-40℃
-20℃
47J 이상
47J 이상
47J 이상
55
80
55
45
70
45
40
60
40
주1) 선형보간법에 따라 최대 허용판두께를 산정할 때 사용되는 각 구역별 기준 공용온도.
주2) 교량이 건설되는 지역의 최근 30년 내 최저기온(T)를 알고 있는 경우, 주 1의 기준공용온도에 따른 선형보
간법을 적용하여 최대 허용판두께를 산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SM520C의 경우, 어느 지역의 최저기온(T)
이 –20℃라면 구역 Ⅰ의 -15℃와 구역 Ⅱ의 -25℃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허용판 두께는 77.5 mm(≒78
mm)로 된다. 단, 최저기온의 범위가 -35℃≤T-15℃일 때만 선형 보간을 적용할 수 있다.
주3) KS B 0810 “금속 재료 충격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며 강재의 인성을 충격에 대한 에너지흡수능력으로
표현하는 값임.
제2권 교량
82
3.2 콘크리트
(1) 콘크리트는 원칙적으로 표 3.4의 설계기준강도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2) 휨과 축방향력을 받는 부재의 강도는 KDS 24 14 21(3.1.2.1)을 참조하도록 하며, 전단강도에
대해서는 같은 기준 4.1.2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응력한계는 같은
기준 4.2.2 응력한계ʼ를 따른다.
<표 3.4>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및 적용 구조물
종류
설계기준
강도
(MPa)
골재
최대치수
(mm)
적용구조물 비고
고강도
(PSC)
45 ~ 60 13 ∙ 개량형 PSC Girder
40 19
∙ 일반 PSC Beam, Preflex 아래플랜지 ∙ 교각(코핑,기둥) ∙ 프리스트레스트 PC패널
일
반
콘
크
리
트
35 25
∙ 교량 노출바닥판 ∙ 교량하부구조(교대, 교량날개벽) ∙ 주형교량 슬래브(Steel Box, ST Plate, Preflex, PSC
GIRDER) ∙ RC라멘, 함형라멘 ∙ 방호벽, 방음벽 기초 ∙ 콘크리트포장 접속 및 완충슬래브
27 25
∙ 교대, 교각(기초) ∙ 현장제작 철근콘크리트관 ∙ SP 패널 ∙ 암거(구체, 날개벽)
27
25
(수중) ∙ 수중콘크리트 (단일 현장타설말뚝) ∙호칭강도35
24 25 ∙ 라이닝 등 필요시
25
∙ RC 옹벽 ∙ 암거접속슬래브 ∙ 도수로 집수거 ∙ 갓길 집수정 ∙ 문형식 및 내민식 표지판 기초 철근 콘크리트
24 25
(수중) ∙ 수중콘크리트(현장 타설 말뚝, 우물통 저면 슬래브) ∙호칭강도30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83
종류
설계기준
강도
(MPa)
골재
최대치수
(mm)
적용구조물 비고
일
반
콘
크
리
트
21
25 ∙ 절성토부 도수로, 도수로 집수거 ∙ L형, V형, U형 측구
40
∙ 중력식 옹벽, Mass 콘크리트 ∙ 부대시설 기초 ∙ 배수관 기초
15 40
∙ 레벨링 콘트리트 ∙ 우물통 속채움 콘크리트(유수부세굴우려 부위 및 폐기물
상에 위치한 교각에 적용)
기계타설
소구조물
24 25 ∙ 일반지역(L형측구, 다이크)
30 25 ∙ 특수지역(L형측구, 다이크)
포장 fbk = 4.5 30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슬래브 ∙ 통로암거 접속저판 콘크리트, 부체도로
빈배합 fck7 = 5.0 40 ∙ 포장중간층용 콘크리트
주) ∙ 적용재료비중 : 시멘트(1종, 3.15), 잔골재(2.6), 굵은골재(2.65), 플라이애시(2.2), 고로슬래그(2.9)
∙ 수량산출 : 골재 - 설계강도 - 슬럼프치(20 - 40 - 15), 도면에는 설계법 NOTE란에 fck = 40 MPa로 표기
∙ 현장 여건 및 사용 장비에 따라 골재치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2권 교량
84
3.3 철근
(1)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한 재료를 기준으로 하며, 구조물별 철근의 강도는 원칙적으로 표 3.5
의 설계기준강도를 사용하도록 한다.
<표 3.5> 철근 설계기준강도 및 적용 구조물
종류 설계기준강도 적용 구조물
SD 500 fy = 500 ∙ 교각 기둥 및 기초의 주철근
SD 400
fy = 400
∙ fck = 27 MPa 이상 구조물 ∙ 교각 기둥 및 기초의 전단철근 ∙ 일반적인 부재
fy = 400 ∙ 바닥 및 지간이 10 m 이하인 슬래브교 ∙ 수중 혹은 지하수위 이하에 설치되는 구조물
SD 300 fy = 300 ∙ fck = 27 MPa 미만 구조물
3.4 강연선과 강봉
PS강선, PS강연선 및 PS강봉의 품질규격 등은 KDS 24 14 21(3.3 프리스트레싱 강재)에 따른다.
PS강재의 기계적 성질, 공칭단면적, 단위중량 등은 KS D 7002(PC 강선 및 PC 강연선) 및
KS D 3505(PC 강봉)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PS강재는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는 편이 경제적
으로 유리한 경우가 많지만 응력부식, 지연파괴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강도 선정에 주의를
기하도록 한다.
3.5 설계계산에 사용하는 물리상수
설계계산에 사용하는 물리상수는 KDS 14 31 05 (3.5 물리상수), KDS 24 14 21(3.1.2.2 재료특
성)을 적용한다.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85
(1) 강재
설계계산에 사용하는 강재의 물리상수의 값은 다음 표 3.6의 값을 사용하면 된다.
<표 3.6> 설계계산에 사용하는 강재의 물리상수
종류 물리상수의 값
강과 주강의 탄성계수
철근의 탄성 계수
PS강선, PS강봉의 탄성계수
PS강연선,의 탄성계수
주철의 탄성계수
강의 전단탄성계수
강과 주강의 포아송 비
주철의 포아송 비
210,000 MPa
200,000 MPa
205,000 MPa
195,000 MPa
100,000 MPa
81,000 MPa
0.30
0.25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산출하는 경우의 PS강재 릴랙세이션율은 표 3.7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다만, PS강재가 고온을 받는 경우의 PS강재의 겉보기 릴랙세이션율은 표 3.7의 값에
2%를 가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 3.7> PS강재의 릴랙세이션율(%)
PS강재의 종류 겉보기 릴랙세이션율
PS강선, PS강연선
PS강봉
5
3
이것에 따르기 힘든 경우에는 PS강재 인장응력에 따라서 측정된 릴랙세이션율에서 콘크리트
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별도로 PS강재의 릴랙세이션율을 정하는 것으로
한다.
(2) 콘크리트
(가) 보통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 (fcm점에서 구한 할선 탄성계수)의 근사값은 다음 식으
로 평가할 수 있다.
Ec mc fcm (MPa) (3.1)
여기서, mc 는 콘크리트의 단위 질량kgm 이다.
(나) 콘크리트의 전단탄성계수는 식 3.2에 따라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Gc Ec v (3.2)
제2권 교량
86
여기서,
Gc : 콘크리트의 전단탄성계수(MPa)
Ec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MPa)
ν : 포아송 비
(다)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와 건조수축률은 ‘KDS 24 14 21 (3.1.2.3∼4)’의 크리프와 건조
수축 규정에 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