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2권 토공 및 배수

 

토공 및 배수

제5편 토공

제6편 배수시설

제7편 암거

제2권

 

제 7 편 암거

 

제7편 암거

667

2.1 평면 형상

암거의 계획은 도로 또는 수로의 상황에 적합하고, 또 본선과 평면 교차각이 큰(90°에 가깝게)

형상을 선택한다.

사각을 이루는 박스형 암거, 아치형 암거 및 문형 암거는 한쪽 면만 토압의 영향을 받아 부재에

생기는 응력이 직각 암거보다 크다. 이 영향은 연약지반에 설치하는 암거의 경우가 더 현저

하다. 따라서 평면 형상을 직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획상 사각 설치가 불가피 한

경우 이에 따른 검토를 수행해야 한다.

수로의 기점과 종점에서 기존 수로의 유속 및 수심이 바뀌면 하상의 세굴 또는 토사의 퇴적에

따른 하상의 상승이 생겨 호안 파괴의 원인이 되므로 계획에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2.2 내공 단면

(1) 암거의 내공 단면 결정에 있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가) 통로 암거

① 도로의 시설한계 이상일 것

② 필요한 경우 배수시설과 매설관 (통신, 전기 등)등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것

③ 도로와 개수로가 병행할 경우 도로의 시설한계와 수로 통수단면을 유지할 것

④ 일반적인 통로암거규격은 표 2.1과 같으며, 통행차량의 종류, 통행량, 지형 및 선형여

건 등을 고려해 적정한 규격으로 결정할 것

2. 암거의 계획

제2권 토공 및 배수

668

<표 2.1> 통로암거규격 기준범위

구조물 규격 적 용 기 준

6.0 m × 4.5 m

(규격은 검토 후 반영)

기존도로 폭원고려 교량설치 불합리한 곳 또는 경제성 확보 필요위치

4.5 m × 4.5 m 현재 대형차량이 통행하고 있거나 장차 통행가능성이 있는 곳

4.0 m × 4.0 m 위의 규정에서 부득이 축소해야 할 경우

3.5 m × 3.5 m 산간지대에서 차량의 통행이 없을 곳 또는 위의 기준에 만족하는 우회도로가

3.0 m × 3.0 m 위의 기준 외에 부득이 한 곳

(나) 수로 암거

① 계획유량, 계획홍수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단면으로 계획할 것

② 내공 높이는 H · W · L + 여유고 이상일 것

③ 침사지를 두는 경우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높이를 결정

④ 산지부도로의 횡단암거는 상시로 퇴적되는 토석류 및 유송잡물을 고려하여 규격을

산정

(다) 지하차도 또는 지하보도

① 소정의 시설한계 이상일 것

② 조명 등 기타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것

(2) 연약지반 위에 암거를 시공할 경우에, 시공 후 공용 중에도 침하에 따른 장애(도로 시설한계

의 부족, 수로 통수단면의 부족 등)가 예측되고, 또한 노면 덧씌우기만으로 대처할 수 없을

때에는 암거의 내공 높이에 여유를 두어 침하량만큼 암거 바닥을 올리고, 노면을 덧씌우기

해 암거의 기능을 유지한다.

(3) 암거의 내공 단면은 보통 설계 협의 과정에서 결정되나 이때 표준설계 단면을 채택하도록

각별히 유의한다.

내공 단면은 「제 3-1편 본선 기하구조」 및 「제 9-1편 터널 본체」를 적용한다.

(4) 연약지반 위에 시공되는 암거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인접 지반의 경우

보다 추가 하중(△p)이 오히려 부(負)가 되는 경우가 있어 침하가 주변 지반에 비해 덜 발생

할 수도 있고, 종방향으로 단차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접속슬래브 등을 설치하여 단차를

제7편 암거

669

억제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교대부의 접속슬래브(approach slab)를 설치하거나 현장타

설시 선 타설 콘크리트와 후 타설 콘크리트의 침하가 예상되는 구간에 부등침하 방지공을

설치한다. 그림 2.1과 같이 전단키 등을 사용하여 단차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별도로 수

립한다.

<그림 2.1> 전단키를 사용한 부력 방지 또는 단차 방지공(예)

2.3 암거의 형식 선정

암거의 형식 선정 시에는 내공 단면의 크기, 기초지반의 상태, 시공성, 공사비를 고려한다.

암거의 형식 선정에는 여러 가지 조건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인 선정 기준을 표 2.1에 표시한다.

<표 2.1> 암거의 형식선정

형 식 기 초 형 식 순경간 또는 내경(m) 토피 두께(m) 비 고

관 형 암 거 직접기초 1.0 ~ 4.5 1.0 ~ 10

박스형 암거 직접기초 2 ~ 14 1.0 ~ 15

문 형 암 거

직접기초 8 ~ 17

말뚝기초 12 ~ 17 각도가 직각인 경우

아치형 암거 직접기초 2 ~ 14 15

1. 활하중을 고려하고, 최소 토피고 1.0 m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할 것

2. 토피고 3 m 미만은 충격계수(최대 0.3까지)를 고려하고, 3 m 이상은 DB-24하중으로 고려할 수 있다.

3. 내경은 관형 암거의 지름

4. 경간은 박스형, 문형 및 아치형 암거 벽체의 앞면 사이의 거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6
9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6.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113
94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5.철근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223
93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4.강교 file 황대장 2021.01.18 3318
92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3.재료 file 황대장 2021.01.18 1135
91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황대장 2021.01.18 1310
90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146
89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5.육교 및 출입시설 (인터체인지, 분기점)의 교량 file 황대장 2021.01.18 983
88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4.교량 형식 선정 file 황대장 2021.01.18 2093
8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3.재료 황대장 2021.01.18 831
8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2.조사 및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163
8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2840
84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18 928
83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7.U형 옹벽 file 황대장 2021.01.18 952
82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6.관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1215
81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5.문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49
80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4.아치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75
79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3.박스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3552
»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2.암거의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342
77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8 1668
76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부록 황대장 2021.01.18 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