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3권 교량

 

교 량

제8편 교량

제8-1편 교량 계획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4편 내진 설계

제8-5편 교량 부대시설물

제8-6편 교량의 확폭

제8-7편 옹벽

제8-8편 가설 구조물

제3권

 

제 8-1 편 교량 계획

 

제8-1편 교량 계획

63

5.1 육교 형식 선정

육교의 계획 및 형식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1) 설치위치는 본선과 가급적 교차시키고 육교의 높이, 종단경사 등에 대해서도 전체적인 균형을

고려한다.

(2) 형식 선정 시 대상지역이 유사한 현황일 경우 일정구간 별로 형식을 통일하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고가교를 적극적으로 눈에 띄게 하고, 경계표식으로서의 고

려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구조단면이나 배수 구조, 낙하물 방지책 등의 교량 부속물 등의 구조 상세에 대해서도 충분히

배려해야 한다.

육교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가) 본선과의 교차교통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통과시킬 것.

(나) 본선 교통의 주행을 용이하게 하고, 심리적으로 연속감을 방해하지 않을 것.

(다) 경계표식으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

(가)에 대해서는 교량구조물의 공통기능이며, (나) · (다)의 기능은 육교의 특징적 기능으로 일

컬어지며, 육교의 경관적 배려가 강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 육교 설치위치 선정은 현 도로의 기능을 위주로 결정되는 요소가 강하지만 설계, 시공은 물

론 경관도 고려함과 동시에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가) 가능한 한 본선 도로와 직각으로 교차시킨다.

(나) 육교의 종단선형은 가능한 한 수평으로 하며, 특히 본선 횡단경사와 반대의 종단선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 전후 육교의 계획높이는 차이가 크게 나지 않도록 한다.

(라) 주변 경관과의 조화에 유의한다.

교차조건 때문에 어느 구간에 다수의 육교가 있어 한 번에 시계에 들어오는 경우 (가),

5. 육교 및 출입시설

(인터체인지, 분기점)의 교량

제3권 교량

64

(나), (다)에 대하여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배려하기 위해서는 측도의 계획과

연관하여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 사항에 대하여 다음 그림 5.1을 참고한다.

(2) 육교의 구조형식에는 여러 형식이 있으며, 짧은 구간에 많은 종류를 사용하는 것보다 어느

일정구간에서는 구조형식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시공상 · 경관상으로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계표식으로서의 기능도 있으므로 단독으로 있는 경우에는 경계

표식으로서 특수한 형식을 사용하여 강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육교의 구조형식별 장단점

을 간단히 제시한다.

(a) 높이, 지간을 같게 할 수 있는 L구간에 교량을 만들고

뒤는 측도로 정리한다.

(b) 다리 밑 공간이 높은 육교는 개방된 느낌을 주어야 좋다.

(c) 본선에 경사진 교량은 심리적으로 부자연스럽고 앞

(좌측)이 높고 뒤(우측)가 낮게 보인다.

(d) 너무 많은 육교가 아케이트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은 대

단히 나쁘다. 그러나 부득이 연속할 경우에는 형식을

통일시키면 미관을 살릴 수 있다.

(e) 좌우 높이가 다른 교량은 심리적 혼란을 일으킨다.

(f) 부자연스러운 설치

<그림 5.1> 육교 형식 선정 시 주의사항

제8-1편 교량 계획

65

(가) 사재가 있는 π형 라멘(경사 π형)

가장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중앙분리대에 교

각을 설치하지 않아 주행차로에서의 시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사각이 있는 경우, 넓은 폭원(차도

폭원 W > 10 m) 및 흙쌓기 구간에서는 불리하다.

(나) 변형 경사 π형

경사 π형과 거의 비슷하다. 특히 다리 밑 공간이 높은

경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 경사 π형

에 비해서 중앙 지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 중간 V 지거더 라멘

경사 π형 라멘을 사용하기에는 지간장이 길어 중앙분리

대에 V 지주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중앙분리대에 지

주가 있어 시계가 방해받고 시설한계의 지장을 주므로

최근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않다.

(라) 단순보

단순 구조이므로 설계 · 시공이 간단하고, 사각 · 폭원

에 대한 적합성도 높다. 경관은 비교적 거더 높이가

높아 중압감을 준다.

(마) 연속보 (2경간, 3경간)

지간이 길어지는 경우에 적합하다. 2경간의 경우 중

앙분리대에 교각을 세우므로 시계가 방해받는 결점

이 있지만 거더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중앙분리대 폭은 최소

3 m가 필요하다. 본선과 평행하게 측도를 계획하고 있는 경우 본선과 측도 사이에 교각

을 설치한 3경간 연속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형식은 사각, 폭원에 대한 적합성이 높다.

(바) 2힌지 라멘

다리 밑 공간이 높은 경우, 상 · 하 차로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 적용하여 경관을 빼어나

W

제3권 교량

66

게 할 수 있다.

단, 농로 등 폭원이 작은 교량, 직교 등 사용범위가 한정된다.

(사) 사장교

지간이 긴 경우에 적합하다. 또, 거더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거더 높이가 제한을 받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특히

이 형식은 외관상 경계표식으로 이용하기 좋다. 설계 ·

시공이 다른 형식에 비하여 어렵고, 공사비도 높아져서

일반형식으로는 부적당하다.

(아) 아치

이 형식은 설계 · 시공 모두 다른 형식에 비하여 어렵고, 사각이 있

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경관은 본선 내에 지주

가 없어 시계를 넓게 할 수 있고 경계표식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각 구조형식은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되며, 교량의 종류는 유지관리나 경관 등

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형식의 통일과 동시에 배려해야 할 것은 규모의 통일이다. 폭원은 다른 요인에 따라 통일시

키는 것이 어려운 면도 있지만, 사각 · 교장 · 지간분할에 대해서 사전에 가능한 한 통일시키

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짧은 구간에 많은 육교가 집중되어 있어 시공관리 · 품질의 집중

관리가 유리한 프리캐스트(precast) 공법을 검토하는 경우에는 규모 · 형식의 통일은 극히 중

요한 요소가 되므로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3) 육교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경관적 기능을 높이는 필요 불가결한 요소로 구조 상세에 대하

여 충분한 배려를 해야 한다. 육교는 도로 이용자의 끊임없는 주시의 대상이므로 구조 상세

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고려해야 할 제 요소는 대개 다음과 같다.

(가) 구조부재로서의 단면 형상에 대한 검토

사교 또는 곡선 중의 교량처럼 지주가 모든 방향에서 보이는 경우 얇은 벽상 부재보다는

원주단면이 경관 상 바람직하다.

육교는 경쾌함이 요구되는 경향이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음영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거나

제8-1편 교량 계획

67

돌출이 있는 단면 · 경사진 측면 또는 지주 부재에서 모따기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교량 부속물에 대한 배려

최근 안전대책 상 난간에 콘크리트 벽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중압감이 크므로 다소

경쾌감을 주기 위해 표면처리 · 무늬 · 삽입 · 난간 경사를 바꾸어 음영의 효과를 살리거나

또는 난간 병용형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의 처리도 직접 바깥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재 난

간을 사용하는 경우 녹 방지에 유의한다.

5.2 인터체인지교 형식 선정

인터체인지교는 내진성, 유지관리 및 경관에 관하여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인터체인지의 기하구조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인터체인지교라도 본선교로 사용되는 경우

램프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라도 일반적으로 거더 높이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고 다리 밑 공간도 끊임없이 교통차량이 주행하므로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공용 후의 유

지관리가 용이한 교량형식을 선정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재도장이 필요한 강교보다 콘크

리트교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교처럼 본선교이며 곡선교가 되는 경우를 강교로 할 경우에는 부반력 발생 여부와 내구

성이 높은 도장을 적용하는 등의 유지관리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이 좋다.

인터체인지교 또는 교차교는 설치위치에 따른 경관적 기능은 육교와 같으며, 구조 상세의 배

려 등 경관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ʻ5.1 육교 형식 선정ʼ 참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9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6.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111
94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5.철근콘크리트교 file 황대장 2021.01.18 2222
93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4.강교 file 황대장 2021.01.18 3316
92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3.재료 file 황대장 2021.01.18 1129
91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황대장 2021.01.18 1309
90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2편 교량 상부 구조물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146
»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5.육교 및 출입시설 (인터체인지, 분기점)의 교량 file 황대장 2021.01.18 981
88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4.교량 형식 선정 file 황대장 2021.01.18 2091
8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3.재료 황대장 2021.01.18 831
8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2.조사 및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160
8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1편 교량 계획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2832
84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18 926
83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7.U형 옹벽 file 황대장 2021.01.18 947
82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6.관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1214
81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5.문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47
80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4.아치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969
79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3.박스형 암거 file 황대장 2021.01.18 3548
78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2.암거의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1342
77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7편 암거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8 1667
76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부록 황대장 2021.01.18 974